맨위로가기

건생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생식물은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특화된 적응을 보이는 식물로, 자체 저장, 조직 내 물 할당, 증산 억제 등의 전략을 사용한다. 선인장, 다육 식물, 가시 관목 등이 대표적이며, 북극이나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적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식물들은 형태적, 생리적 적응을 통해 물 손실을 최소화하고, CAM 광합성, 휴면, 잎 탈리 등의 메커니즘을 활용한다. 건생식물은 사막화 방지, 생물 다양성 유지, 기후 변화 대응, 조경, 식량,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중국과 같은 지역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생생물 - 완보동물
    완보동물은 네 쌍의 다리를 가진 작은 동물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극한 환경에서 생존 가능한 잠복생활 능력으로 유명하고, 유조동물, 절지동물과 함께 범절지동물에 속하는 독립된 동물문이다.
  • 건생생물 - 땅돼지
    땅돼지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흰개미와 개미를 주식으로 하는 야행성 포유류로, 돼지와 유사한 외모를 가졌지만 코끼리땃쥐 등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우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사막·건조 관목지 - 그레이트빅토리아 사막
    그레이트빅토리아 사막은 오스트레일리아 서호주주와 남호주주에 걸쳐 있는 사막으로, 모래 언덕, 초원, 염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거주하며, 일부 지역은 핵무기 실험으로 오염되었으나 현재는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사막·건조 관목지 - 깁슨 사막
    깁슨 사막은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에 위치한 사막으로, 다양한 지형과 건조한 기후를 가지며, 탐험가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원주민과 유럽계 주민이 거주하며 문화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내건성 식물 - 선인장
    선인장은 아메리카 원산의 잎이 퇴화된 다육식물로, 줄기에서 광합성을 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 가시, 꽃을 가지고, 여러 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내건성 식물 - 용과
    용과는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원산의 삼각주선인장속 선인장 열매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껍질과 과육의 색이 다양한 품종이 있고, 달콤하고 약간 신맛이 나는 젤리 같은 질감의 과육과 작은 검은 씨앗이 특징이며, 비타민 C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열대 및 아열대 과일이다.
건생식물

2. 정의 및 특징

건생식물은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인 중생 식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증산작용으로 인해 시들거나 죽을 수 있지만, 건생식물은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저장하며, 손실을 줄이는 방식으로 적응했다.

선인장다육 식물은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파인애플과 식물은 습하고 건조한 환경 모두에서 생존할 수 있다. 가시 관목 식물은 지중해성 기후에 적응하며, 북극의 부활 식물인 ''하베를레아 로도펜시스''와 ''라몬다 세르비카''는 땅이 얼어붙은 환경에서도 생존한다.[2]

맹그로브 늪이나 반사막과 같이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식물이 물을 흡수하기 어렵지만, 염생 식물과 건생식물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했다. 예를 들어, ''자이고필룸 잔토시럼''은 과도한 이온을 액포에 저장하여 세포질의 pH와 이온 조성을 유지한다.[4][5]

건생식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불규칙한 강우, 강렬한 햇빛, 빠른 물 증발, 극단적인 pH, 높은 염분 함량 등이 있다.

메커니즘적응예시
물 흡수광범위한 뿌리 시스템아카시아, 프로소피스
물 저장다육질칼랑코에, 대극
육질의 괴경라피오나크메
수분 손실 감소표면적 감소배럴 선인장, 기부 로제트, 에리오고눔 콤포지툼
함몰된 기공 및 털소나무, Nassauvia falklandica, 브로멜리아드
왁스 잎 표면손바닥 선인장, 말로스마 로리나, 두들레야 풀베룰렌타
야행성 기공차나무, 알팔파, 브라키키톤 디스컬러, 퀘르쿠스 트로자나
CAM 광합성선인장, 파인애플, 아가베 아메리카나, 에오니움 하워티, 산세비에리아 트리파시아타
말린 잎에스파르토 풀
휴면 및 감소된 광합성부활 식물라몬다 나탈리에, 라몬다 미코니, 하벨레아 로도펜시스, 아나스타티카, 크라테로스티그마 푸밀룸
휴면 종자캘리포니아 양귀비
잎의 탈리해안 세이지 덤불, 윌리윌리, 제오프레아 데코티칸스


2. 1. 형태적 적응

건생식물은 심한 건조에 견디면서 살아갈 수 있는데,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선인장류처럼 다육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선인장류는 식물체에 많은 을 저장하고, 기공이 체표에 깊이 묻혀 있어 물 소비가 매우 적다. 이들은 아침 이슬이나 빗물을 저장하여 조금씩 소비하며 생활한다. 둘째, 뿌리의 흡수력이 커서 토양 속 적은 물도 잘 빨아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뿌리를 깊이 내려 모래 속 깊은 곳의 물도 이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모래 언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통보리사초도 지상부는 금세 말라죽을 듯 보이지만, 뿌리를 깊이 내려 물을 잘 빨아들여 생존한다.

식물은 토양에서 물을 흡수하고 잎과 싹에서 증발시키는데, 이 과정을 증산작용이라 한다. 일반적인 중생 식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물 흡수 속도보다 증발 속도가 빨라 시듦 현상이 일어나거나 죽을 수 있다.

건생 식물은 수분 제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적응을 보인다. 자체 저장된 물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조직 성장 부위에 물을 할당하거나, 대기 중으로 물을 덜 손실시켜 광합성 및 성장에 더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식물 종은 물 공급을 관리하는 특성과 메커니즘을 통해 생존한다.

선인장과 다른 다육 식물은 강수량이 적은 사막에서 흔히 발견된다. 파인애플과와 같은 일부 건생 식물은 매우 습하고 건조한 기간 모두에서 생존하며, 열대 우림과 같이 계절적으로 습한 서식지에서 중생 식물이 생존하기 어려운 틈새를 활용한다. 가시 관목 식물은 젖은 겨울과 건조한 여름을 가진 지중해성 기후에 적응한다.

북극 조건에서 사는 식물 또한 건생 식물 적응이 필요한데, 땅이 얼면 물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럽의 부활 식물인 ''하베를레아 로도펜시스''와 ''라몬다 세르비카''가 그 예이다.[2]

맹그로브 늪 및 반사막과 같이 염도가 매우 높은 환경에서 식물의 물 흡수는 높은 염분 이온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환경은 과도한 이온 축적으로 해로울 수 있다.[3] 염생 식물과 건생 식물은 이러한 환경에서 생존하도록 진화했다. 일부 건생 식물은 염생 식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염생 식물이 반드시 건생 식물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육 건생 식물인 ''자이고필룸 잔토시럼''은 세포 내 특수 단백질 수송체를 통해 과도한 이온을 액포에 저장하여 정상적인 세포질 pH와 이온 조성을 유지한다.[4][5]

물 이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불규칙한 강우, 강렬한 햇빛, 더운 날씨로 인한 빠른 증발, 극단적인 환경 pH, 높은 염분 함량 등이 있으며, 이는 종자 발아, 묘목 생존 및 식물 성장의 주요 제한 요소이다.

잎 내부의 수분 포텐셜이 외부보다 높으면 수증기는 이 구배를 따라 잎 밖으로 확산된다. 잎에서 수증기가 손실되는 현상을 증산이라 하며, 수증기는 열린 기공을 통해 확산된다. 증산은 식물에게 자연스럽고 불가피하며, 상당량의 물이 손실된다. 건조한 환경의 식물은 열린 기공의 크기를 줄이고, 증산 속도를 낮춰 물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충분한 물이 없으면 식물 세포는 팽압을 잃는 원형질 분리가 일어나고, 영구 위조점을 지나면 죽게 된다.[7]

증산 속도는 기공의 수, 기공 개구부(기공 크기), 잎 면적, 온도 차이, 상대 습도, 바람, 빛의 강도, 왁스질 큐티클 존재 등에 의해 결정된다. 기공을 닫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호흡과 광합성을 위한 기체 교환을 위해서는 기공을 열어야 한다.

건생식물은 수렴 진화 과정을 통해 모양, 형태, 구조가 비슷해져 근연관계가 깊지 않아도 매우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메리카 대륙에서만 진화한 일부 선인장 종은 전 세계 대극속 식물과 유사하며, 물을 저장하는 부풀어 오른 기저부를 가진 관련 없는 괴경 식물 종도 유사점을 보인다.

물 부족 조건에서 다양한 건생식물 씨앗은 다르게 행동하며, 발아율이 다르다. 이는 각 종의 씨앗과 식물이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하면서 자연 선택과 생태 적응 때문이다.[8]

건생식물은 일반적으로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낮아 증산과 증발에 의한 물 손실을 최소화한다. 잎이 적고 작거나 가지가 적을 수 있다. 잎 표면 감소의 예로는 선인장의 가시가 있으며, 압축 및 가지 감소는 배럴 선인장에서 볼 수 있다. 다른 건생식물은 잎이 기저 로제트처럼 기저부에 압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식물의 꽃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아가베''(Agave) 와 ''에리오고눔''(Eriogonum) 종에서 나타나며, 데스 밸리 근처에서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부 건생식물은 표면에 작은 털을 가지고 있어 바람을 막고 기류를 줄여 증발률을 감소시킨다. 식물 표면이 작은 털로 덮여 있을 때 이를 솜털이라고 한다. 기공은 이러한 털 속에 있거나, 바람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오목한 곳에 위치한다. 이는 식물이 주변에 습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이 없는 환경에서, 증산 작용이 일어나는 잎이나 가시 아래 부분은 수증기로 더 포화된 작은 국소 환경을 형성한다. 이 수증기 농도가 유지되면, 기공 근처의 외부 수증기 포텐셜 기울기가 감소하여 증산 작용이 줄어든다. 바람이 많이 부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국소화가 날아가 외부 수증기 기울기가 낮게 유지되어 식물 기공에서 수증기 손실이 더 쉬워진다. 가시와 털은 수분 층을 가두어 조직 위로의 공기 흐름을 늦춘다.

''Dudleya brittonii''의 다육 잎은 표면에 에피큐티큘러 왁스가 코팅되어 있어 흰색 '가루'처럼 보인다.


식물의 색상, 또는 표면의 왁스나 털은 햇빛을 반사하고 증산 작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시로, 자연에서 발견되는 생물학적 물질 중 가장 높은 자외선 (UV) 반사율을 보이는 ''Dudleya brittonii''의 흰색 분필 같은 에피큐티큘러 왁스 코팅이 있다.[9]

다수의 건생 식물 종은 두꺼운 큐티클을 가지고 있다. 사람의 피부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큐티클은 공중 부분의 첫 번째 방어선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큐티클에는 생물적 및 비생물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왁스가 포함되어 있다. 큐티클의 초미세구조는 종에 따라 다르다. 예시로는 나마퀄란드 지역의 건생 식물인 ''안티조마 미에르시아나''(Antizoma miersiana), ''[https://www.ispotnature.org/communities/southern-africa/species-dictionary/26483/hermannia-disermifolia 헤르만니아 디세르미폴리아]''(Hermannia disermifolia), ''갈레니아 아프리카나''(Galenia africana)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큐티클 초미세구조를 가지고 있다.

''A. 미에르시아나''는 건생 식물에서 발견되는 것처럼 두꺼운 큐티클을 가지고 있지만, ''H. 디세르미폴리아''와 ''G. 아프리카나''는 얇은 큐티클을 가지고 있다. 건조 지역에서는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큐티클 구성에 필요한 영양 및 에너지 비용을 제한하기 위해 얇고 효율적인 큐티클을 가진 식물을 선택한다.

심각한 물 스트레스와 기공 폐쇄 기간 동안 큐티클의 낮은 수분 투과성은 식물의 생존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 건생 식물의 큐티클 증산율은 기공 증산율보다 25배 낮다. 중생 식물의 큐티클 증산율은 기공 증산율보다 단지 2~5배 낮다.[10]

메커니즘적응예시
물 흡수광범위한 뿌리 시스템아카시아, 프로소피스
물 저장다육질칼랑코에, 대극
육질의 괴경라피오나크메
수분 손실 감소표면적 감소배럴 선인장, 기부 로제트, 에리오고눔 콤포지툼
함몰된 기공 및 털소나무, Nassauvia falklandica, 브로멜리아드
왁스 잎 표면손바닥 선인장, 말로스마 로리나, 두들레야 풀베룰렌타
야행성 기공차나무, 알팔파, 브라키키톤 디스컬러, 퀘르쿠스 트로자나
CAM 광합성선인장, 파인애플, 아가베 아메리카나, 에오니움 하워티, 산세비에리아 트리파시아타
말린 잎에스파르토 풀
휴면 및 감소된 광합성부활 식물라몬다 나탈리에, 라몬다 미코니, 하벨레아 로도펜시스, 아나스타티카, 크라테로스티그마 푸밀룸
휴면 종자캘리포니아 양귀비
잎의 탈리해안 세이지 덤불, 윌리윌리, 제오프레아 데코티칸스


2. 2. 생리적 적응

건생 식물은 수분이 제한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생리적 적응을 보인다. 이러한 적응은 크게 물 흡수, 물 저장, 수분 손실 감소, 휴면 및 광합성 감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물 흡수건생 식물은 토양 속 적은 물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뿌리의 흡수력을 높이거나, 뿌리를 깊게 내려 모래 속 깊은 곳의 물을 이용한다. 대한민국의 모래 언덕에서 자라는 통보리사초는 뿌리를 깊이 내려 물을 흡수하여 생존한다.[2]
물 저장선인장과 같은 다육 식물은 식물체에 많은 물을 저장하고, 기공을 체표 깊숙이 위치시켜 물 소비를 최소화한다. 이들은 아침 이슬이나 빗물을 저장하여 조금씩 소비하며 생활한다.
수분 손실 감소식물은 토양에서 물을 흡수하고 잎과 싹에서 증발시키는데, 이 과정을 증산작용이라 한다. 일반적인 중생 식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시들거나 죽을 수 있지만, 건생 식물은 수분 제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적응을 보인다.

  • 기공 조절: 건생 식물은 열린 기공의 크기를 줄여 증산 속도를 낮추고, 환경으로의 물 손실을 줄인다. 충분한 물이 없으면 식물 세포는 원형질 분리를 일으키고, 영구 위조점을 지나면 죽게 된다.[7]
  • 야행성 기공: 일부 건생 식물은 기공 리듬이 반전되어 밤에 더 많은 기공을 열고, 낮에는 기공을 닫아 수분 손실을 줄인다. 이는 선인장과, 돌나물과, 백합과 식물에서 관찰된다.[12]
  • 큐티클층: 많은 건생 식물은 두꺼운 큐티클을 가지고 있어 수분 손실을 줄인다. 건생 식물의 큐티클 증산율은 기공 증산율보다 훨씬 낮다.[10]
  • 수지 및 왁스 분비: 일부 식물은 표면에 수지왁스(표피 왁스)를 분비하여 증산을 줄인다.
  • 광보호: 자외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보호 분자를 생성한다. 플라보노이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식물의 자외선 차단제 역할을 한다.
  • 세포막 구성 변화: 더운 날씨에 막의 온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세포막 구성을 변경하여 더 많은 포화 지질을 갖도록 한다.

휴면 및 광합성 감소

  • 크라술라세아산 대사 (CAM) 광합성: 많은 다육 식물은 CAM 광합성을 통해 밤에 이산화탄소를 수집하고 낮 동안 광합성에 사용하여 수분 손실을 최소화한다. 파인애플, 용설란 등이 대표적이다.[12]
  • 부활 식물: 가뭄 기간 동안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살아있는 식물이다. 물이 다시 공급되면 광합성을 재개한다. 예리코의 장미 등이 대표적이다.[16]
  • 낙엽: 건계 낙엽 식물은 건조한 시기에 잎을 떨어뜨려 수분 손실을 줄인다.

건생 식물의 생리적 적응 예시

메커니즘적응예시
물 흡수광범위한 뿌리 시스템아카시아속, 프로소피스속
물 저장다육질칼랑코에속, 대극속
육질의 괴경라피오나크메속
수분 손실 감소표면적 감소배럴 선인장, 기부 로제트, 에리오고눔 콤포지툼
함몰된 기공 및 털소나무, Nassauvia falklandica, 브로멜리아드
왁스 잎 표면손바닥 선인장, 말로스마 로리나, 두들레야 풀베룰렌타
야행성 기공차나무, 알팔파, 브라키키톤 디스컬러, 퀘르쿠스 트로자나
CAM 광합성선인장, 파인애플, 아가베 아메리카나, 에오니움 하워티, 산세비에리아 트리파시아타
말린 잎에스파르토 풀
휴면 및 감소된 광합성부활 식물라몬다 나탈리에, 라몬다 미코니, 하벨레아 로도펜시스, 아나스타티카, 크라테로스티그마 푸밀룸
휴면 종자캘리포니아 양귀비
잎의 탈리해안 세이지 덤불, 윌리윌리, 제오프레아 데코티칸스


3. 종류

건생식물은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낮아 증산과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최소화한다. 잎이 적고 작거나 가지가 적을 수 있으며, 선인장의 가시가 잎 표면 감소의 예시이다. 배럴 선인장에서는 압축 및 가지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일부 건생식물은 잎이 기저 로제트처럼 기저부에 압축되어 꽃보다 작을 수 있는데, 데스 밸리 근처에서 자라는 ''아가베''(Agave) 와 ''에리오고눔''(Eriogonum) 종에서 이러한 적응을 볼 수 있다.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자 수준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열 충격을 받으면 단백질 구조가 불안정해져 효율성이 떨어지고, 색소체 막 안정성이 감소하여 광합성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11] 이러한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건생식물은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 덕분에 가뭄 조건에서 생존하고 번성할 수 있다.

''Dudleya pulverulenta''는 '분필 상추'라고 불리며, 다육질 잎에 분필 같은 왁스가 덮여 있다.

3. 1. 다육 식물

다육 식물은 줄기나 잎에 을 저장한다. 여기에는 둥근 줄기를 가지고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선인장과 식물이 포함된다. 선인장의 경우 잎은 종종 퇴화하여 가시로 축소되거나 잎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는 중국 북서부 원산지인 C4 다년생 목본 식물인 ''Haloxylon ammodendron''이 포함된다.[6]

3. 2. 비다육 다년생 식물

비다육 다년생 식물은 토양에 물이 오랫동안 부족해도 견딜 수 있는 식물로, '진정한 건생식물'이라고도 불린다. 물이 부족하면 식물 무게의 60~70% 정도가 줄어들고, 세포가 자라는 과정이 방해받아 식물 전체의 성장이 멈춘다. 그래서 가뭄을 견디는 식물은 보통 작고 약하다.

''Cistus albidus''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유럽 국가와 모로코와 같은 북아프리카 국가에서 자라는 건생식물이다.


건조하거나 반건조 지역에서 자라는 관목(키 작은 나무) 또한 건생식물이다. 예를 들어, ''Caragana korshinskii'', ''Artemisia sphaerocephala'', ''Hedysarum scoparium''은 중국 북서부 사막의 반건조 지역에서 자라는 튼튼한 관목이다. 이러한 사구 식물 관목은 이 지역의 초식 동물에게 먹이가 될 뿐만 아니라, 사막 모래 언덕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

관목은 반관목이라고도 하며, 주로 모래 언덕 가장자리의 깊은 모래 토양에서 자란다. 예를 들어, ''Reaumuria soongorica''라는 여러해살이 식물이 있다. ''R. soongorica''는 물 부족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서 초건생식물로 여겨진다.[6]

3. 3. 단명 식물 (가뭄 회피형)

단명 식물은 '가뭄 회피형'이며, 진정한 건생식물이 아니다. 이들은 실제로 가뭄을 견디는 것이 아니라 단지 피할 뿐이다. 강우가 시작되면 식물 씨앗이 발아하여 빠르게 성숙하고,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는다. 즉, 전체 생활 주기가 토양이 다시 마르기 전에 완료된다. 이러한 식물 대부분은 콩과 식물 종, 일부 눈에 띄지 않는 국화과, 소수의 남가새과 및 일부 풀에 의해 대표되는 작고 둥글고 밀집된 관목이다. 물은 일부 식물의 구근에 저장되거나 지하에 저장된다. 이들은 가뭄 조건에서 휴면 상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가뭄 회피자로 알려져 있다.[6]

3. 4. 염생 식물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건생식물"에 대한 설명만 있고, "염생식물"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염생식물"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내용은 이전과 동일합니다.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4. 분포

건생식물은 수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된 식물군이다. 건생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건조한 기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한다.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모래 언덕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통보리사초는 지상부는 금세 말라죽을 듯이 보이지만, 뿌리를 깊이 내려 물을 잘 빨아들이므로 살아남는 데는 지장이 없다.

5. 생태적 중요성

대부분의 식물은 수분 스트레스가 시작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공을 닫아 증산률을 제한할 수 있다.[12] 뿌리에서 올라와 증산류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나 호르몬을 사용한다. 뿌리는 물을 찾고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건조한 토양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데, 전달되는 신호는 조기 경보 시스템과 같다. 즉, 수분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지기 전에 식물은 물 절약 모드로 전환된다.[11]

다른 식물에 비해 건생식물은 기공 리듬이 반전되어 있다. 낮 동안, 특히 해가 가장 강한 한낮에는 대부분의 건생식물의 기공이 닫혀 있다. 안개나 이슬이 있을 때 밤에 더 많은 기공이 열릴 뿐만 아니라, 기공의 열림이나 구경의 크기는 낮보다 밤에 더 크다. 이러한 현상은 선인장과, 돌나물과, 백합과의 건조형 식물에서 관찰되었다.

식물의 표피리그닌과 왁스 큐티클과 같은 방수 장벽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건생식물의 기공이 밤에 열리는 것은 건조한 환경에서 물 이동의 주요 통로가 된다.[12] 물이 부족하지 않더라도 건생식물인 ''A. Americana''와 파인애플은 중생식물보다 물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지면의 낙엽은 증발 장벽을 제공하여 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식물의 뿌리 덩어리 자체도 애로우위드(''Pluchea sericea'')의 경우처럼 물을 유지하는 유기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6. 활용

건생식물은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Agave americana(용설란)는 다재다능한 건생 식물이다. 이 식물의 모든 부분은 미적인 용도, 소비 또는 전통 의학에 사용될 수 있다.


토지 황폐화는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많은 국가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주요 영향으로는 토양 생산성과 안정성의 손실, 그리고 동물이 소비하는 식생 감소로 인한 생물 다양성 손실 등이 있다.[20] 건생 식물은 사막화를 방지하고 모래 언덕을 고정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는 ''Caragana korshinskii, Artemisia sphaerocephala,'' 및 ''Hedysarum scoparium'' 세 종류의 관목 종자를 흩뿌려 모래 언덕을 고정하고, 양과 낙타와 같은 가축의 먹이로 활용한다. ''H. scoparium''은 중국에서 주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다.[6] ''Haloxylon ammodendron''과 ''Zygophyllum xanthoxylum'' 역시 고정된 모래 언덕을 형성하는 식물이다.[21]

Agave americana(용설란)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용 식물이다. 용설란 꿀은 설탕이나 꿀의 대체재로, 수액은 멕시코에서 알코올 음료 생산에 사용된다.

많은 건생 식물은 화려한 꽃을 피워 정원과 가정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 적응했지만, 물을 충분히 주고 열대 온도에서 잘 자란다. ''Phlox sibirica''(수염풀)는 햇빛에 오래 노출되지 않는 지역에서 잘 자란다.

최근 CAM 대사를 사용하는 건생 식물이 습한 국가의 건물 미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Sansevieria trifasciata''(산세베리아)와 같은 식물은 CAM 광합성 경로를 통해 습도를 흡수하여 실내 천연 습도 흡수제 역할을 한다. 이는 환기를 돕고 주변 습도를 낮춰 쾌적성을 높인다.[22]

최근 부활 식물은 극심한 건조를 견디는 능력과 더불어 의약품 및 생명 공학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부활 식물 내 수크로스, 라피노스, 갈락티놀 등의 당은 활성 산소(ROS)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한다. 부활 식물 추출 화합물은 항산화, 항진균제, 항생제 특성을 보인다. ''Haberlea rhodopensis''(로도페 산의 하버레아)의 배당체인 미코노사이드는 항산화제 및 피부 탄력성 증가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다.[23]

6. 1. 조경 및 원예



토지 황폐화는 중국과 우즈베키스탄과 같은 많은 국가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주요 영향으로는 토양 생산성과 안정성의 손실, 그리고 동물이 소비하는 식생 감소로 인한 생물 다양성 손실 등이 있다.[20] 물이 부족하고 온도가 높은 건조 지역에서는 중생 식물이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존할 수 없다. 건생 식물은 사막화를 방지하고 모래 언덕을 고정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실제로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는 ''Caragana korshinskii, Artemisia sphaerocephala,'' 및 ''Hedysarum scoparium'' 세 종류의 관목 종자를 이 지역 전체에 흩뿌린다. 이 관목들은 양과 낙타와 같은 가축에게 먹을 수 있다는 부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H. scoparium''은 중국에서 주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다.[6]

더 잘 알려진 건생 식물은 다육 식물인 ''Agave americana''(용설란)이다. 이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용 식물로 재배된다. 용설란 꿀은 이 식물에서 얻어지며 설탕이나 꿀의 대체재로 소비된다. 멕시코에서는 이 식물의 수액을 발효시켜 알코올 음료를 생산한다.

많은 건생 식물은 화려하고 생생한 꽃을 피우며 정원과 가정에서 장식 및 관상용으로 사용된다. 스트레스가 많은 날씨와 조건에서 생존하기 위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 식물들은 물을 잘 주고 열대 온도에서 번성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CAM 대사를 사용하는 건생 식물은 습한 국가의 건물에서 미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AM 광합성 경로는 작은 공간의 습도를 흡수하여 ''Sansevieria trifasciata''(산세베리아)와 같은 식물을 실내 천연 습도 흡수제로 만든다. 이는 환기를 돕을 뿐만 아니라 주변 습도를 낮추어 실내 사람들의 열적 쾌적성을 높인다. 특히 습도와 온도가 모두 높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중요하다.[22]

최근 몇 년 동안 부활 식물은 극심한 건조를 견디는 능력 외에도 관심을 받고 있다. 부활 식물에 존재하는 대사 산물, 당 알코올 및 당산은 의약품 및 생명 공학 분야에서 천연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Haberlea rhodopensis''(로도페 산의 하버레아)에서 발견되는 배당체인 미코노사이드는 추출되어 항산화제 및 인간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원료로 화장품 크림에 사용된다.[23]

6. 2. 식량 및 사료

토지 황폐화는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많은 국가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주요 영향으로는 토양 생산성과 안정성의 손실, 그리고 동물이 소비하는 식생 감소로 인한 생물 다양성 손실 등이 있다.[20] 물이 부족하고 온도가 높은 건조 지역에서는 중생 식물이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존할 수 없다. 건생 식물은 사막화를 방지하고 모래 언덕을 고정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실제로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는 ''Caragana korshinskii, Artemisia sphaerocephala,'' 및 ''Hedysarum scoparium'' 세 종류의 관목 종자를 이 지역 전체에 흩뿌린다. 이 관목들은 양과 낙타와 같은 가축에게 먹일 수 있다는 부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H. scoparium''은 중국에서 주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다.[6]

더 잘 알려진 건생 식물은 다육 식물인 ''Agave americana''(용설란)이다. 용설란 꿀은 이 식물에서 얻어지며 설탕이나 꿀의 대체재로 소비된다. 멕시코에서는 이 식물의 수액을 발효시켜 알코올 음료를 생산한다.

6. 3. 의약품 및 산업 소재



''Agave americana''(용설란)는 잘 알려진 다육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관상용 식물로 재배된다. 용설란 꿀은 이 식물에서 얻어지며 설탕이나 꿀의 대체재로 소비된다. 멕시코에서는 이 식물의 수액을 발효시켜 알코올 음료를 생산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부활 식물은 극심한 건조를 견디는 능력 외에도 의약품 및 생명 공학 분야에서 천연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건조 과정에서 부활 식물 내 수크로스, 라피노스, 갈락티놀 등의 당 수치가 증가하는데, 이는 활성 산소(ROS)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부활 식물에서 추출한 다른 화합물은 항산화 특성 외에도 항진균제항생제 특성을 보인다. ''Haberlea rhodopensis''(로도페 산의 하버레아)에서 발견되는 배당체인 미코노사이드는 추출되어 항산화제 및 인간 피부 탄력성을 증가시키는 화장품 크림의 원료로 사용된다.[23] 이 식물에는 유익할 수 있는 다른 분자가 있지만, 위에 언급된 제1차 대사 산물에 비해 연구가 훨씬 덜 이루어졌다.[24]

7. 한국의 건생식물 연구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출력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Xeromorph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논문 Natural products from resurrection plants: Potential for medical applications 2014-11-01
[3] 논문 Transgenic salt-tolerant sugar beet (Beta vulgaris L.) constitutively expressing an Arabidopsis thaliana vacuolar Na/H antiporter gene, AtNHX3, accumulates more soluble sugar but less salt in storage roots 2008
[4] 논문 Amiloride Reduces Sodium Transport and Accumulation in the Succulent Xerophyte Zygophyllum xanthoxylum Under Salt Conditions 2011-03-01
[5] 논문 Hydrophytes, xerophytes and halophytes and the production of alkaloids, cyanogenetic and organic sulphur compounds
[6] 논문 Is reduced seed germination due to water limitation a special survival strategy used by xerophytes in arid dunes? 2010-04
[7] 웹사이트 3.1.4 - Turgor loss, cytorrhysis, and plasmolysis {{!}} Plants in Action http://plantsinactio[...] 2018-03-21
[8] 논문 Factors affecting the germination of albaida (Anthyllis cytisoidesL.), a forage legume of the Mediterranean coast 1997-02
[9] 논문 Spectral properties of heavily glaucous and non-glaucous leaves of a succulent rosette-plant 1979
[10] 논문 Notes on the cuticular ultrastructure of six xerophytes from southern Africa 1998-02
[11] 문서 LS1-OB.34 - Plant stress 2017
[12] 논문 The Nocturnal Behaviour of Xerophytes Grown Under Arid Conditions 1970-04
[13] 논문 Loss,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Plasma Membrane Integrity 1997-04-07
[14] 논문 Ecophysiological aspects in 105 plants species of saline and arid environments in Tunisia 2014-12-01
[15] 웹사이트 Plant Adaptatio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New Mexico 2014-12-02
[16] 논문 Response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resurrection plants to desiccation and rehydration 1989-02-01
[17] 논문 Desiccation increases sucrose levels in Ramonda and Haberlea, two genera of resurrection plants in the Gesneriaceae
[18] 논문 Protec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against dehydration stress in the resurrection plant 2016-09
[19] 웹사이트 Craterostigma pumilum - Alpine Garden Society - Plant Encyclopaedia http://encyclopaedia[...]
[20] 서적 Combating Desertification in As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Springer, Dordrecht 2013
[21] 논문 Na compound fertilizer promotes growth and enhances drought resistance of the succulent xerophyte Haloxylon ammodendron
[22] 논문 Sansevieria trifasciatas, xerophyte as indoor humidity absorber of small type residences 1 https://www.research[...] 2016-03-01
[23] 논문 Skin benefits of a myconoside-rich extract from resurrection plant Haberlea rhodopensis 2012-04
[24] 논문 Natural products from resurrection plants: Potential for medical applications 2014-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