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마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마라어는 페루, 볼리비아, 칠레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아야쿠초어족에 속한다. 스페인 침략 이전에는 페루 남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볼리비아 라파스, 오루로, 포토시 주와 페루 푸노 주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아이마라어는 북방언과 남방언으로 나뉘며, 도시 지역에서는 스페인어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용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아이마라어는 야카루어와 함께 자키어를 형성하며, 방언 간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아이마라어는 3개의 모음과 26개의 자음을 가지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또한 과거를 앞에, 미래를 뒤에 두는 독특한 시간 개념을 나타낸다. 아이마라어를 위한 다양한 표기 체계가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한글을 이용한 표기 체계도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마라어족 - 하카루어
하카루어는 /a i u/ 세 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을 가지며, 네 개의 인칭 체계와 동사 활용, 문장 접미사를 통해 문법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론적으로 복잡한 언어이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볼리비아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 페루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페루의 언어 - 푸키나어
푸키나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나 멸종되었고, 케추아어 등에서 잔재가 발견되며, 언어 분류상 미분류 언어로 아라와칸어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아이마라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아이마라어 |
고유 이름 | Aymar aru |
발음 | /ˈajmaɾ ˈaɾu/ |
사용 지역 | |
국가 | 볼리비아 칠레 페루 아르헨티나 |
민족 | 아이마라 |
언어 정보 | |
화자 수 | 167만 7100명 |
사용 시기 | 2007–2014년 |
어족 | 아이마라어 |
문자 | 로마자 |
공용어 | 볼리비아 페루 |
소수 언어 | 칠레 |
언어 코드 | |
ISO 639-1 | ay |
ISO 639-2 | aym |
ISO 639-3 | aym |
Glottolog | nucl1667 |
Glottolog 이름 | 중앙-남부 아이마라어 |
하위 언어 | |
하위 언어 1 | lc1: ayr ld1: 중앙 아이마라어 |
하위 언어 2 | lc2: ayc ld2: 남부 아이마라어 |
2. 역사와 현재
아이마라어는 원래 페루 중부 리마 주 산악 지대에 기원을 둔 아야쿠초어족(Jaqi)에 속하는 언어이다.[4] 스페인 침략 이전에는 현재의 페루 남부 지역에 걸쳐 아이마라어족 언어가 널리 사용되었다.[4] 16세기 스페인 침략 당시 쿠스코와 아야쿠초에서도 아이마라어 또는 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기록이 있다.[4]
아이마라어는 더 넓은 언어군의 현존하는 두 구성원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야카루어이다.[7]
아이마라어는 지역에 따른 방언차가 있지만 모든 방언은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17]
볼리비아에는 약 200만 명의 아이마라어 화자가 있으며, 페루에는 약 50만 명, 칠레에는 수천 명의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0] 16세기 스페인 정복 당시 아이마라어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지역, 특히 쿠스코 남쪽의 페루 고지대 대부분에서 우세한 언어였다. 수 세기 동안 아이마라어는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화자 수가 점차 감소했으며, 과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던 많은 페루와 볼리비아 지역 사회는 현재 케추아어를 사용하고 있다.[11]
아이마라어에는 /a i u/ 3개의 모음 음소가 있으며, 대부분의 방언은 모음의 길이를 구별한다. 장모음은 모음 글자 위에 트레마를 붙여 ‹ä ï ü›처럼 나타낸다. 고모음은 구개수 자음 앞뒤에 올 때 중모음으로 높이가 낮아진다. ( → , → )
볼리비아에서는 라파스 주, 오루로 주, 포토시 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페루에서는 푸노 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1970년대 초 루시 테리나 브리그스(Lucy Therina Briggs)의 조사에 따르면, 아이마라어는 북방언과 남방언으로 나뉜다.[4]
현재 볼리비아, 페루 등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아이마라어만 사용하는 사람은 최근 들어 줄어들고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스페인어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옛 문화를 재평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아이마라어의 쇠퇴를 막기 위한 활동도 증가하고 있다. 볼리비아에서는 아이마라어 전문 라디오 방송국이 생기거나, 의사에게 아이마라어 학습을 의무화하는 등의 움직임이 있다.
페루와 볼리비아에서는 초등학교부터 스페인어 교육이 철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스페인어에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상업이나 통신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아이마라어를 접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도시 지역에 가까운 곳에서는 젊은이들이 아이마라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고, 아이마라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페루인, 볼리비아인으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이 형성되고 있다.
3. 분류
이 언어군은 플로리다 대학교 언어학 프로그램의 루시 브리그스와 마르타 하드먼 드 바우티스타의 연구로 확립되었다. 이 더 넓은 언어군에 대한 용어는 아직 잘 확립되지 않았다. 하드먼은 '자키'(인간)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다른 저명한 페루 언어학자들은 같은 언어군에 대한 대안적인 이름을 제안했다. 알프레도 토레로는 '아루'(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로돌포 세론팔로미노는 남부(또는 알티플라노) 아이마라어와 중앙 아이마라어(야카루어와 카우키어)로 구분되는 전체 언어군에 '아이마라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영어 사용에서는 일부 언어학자들이 이 언어군에 대해 아이마라어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알티플라노 지방의 언어에 대해서는 '아이마라어'를 사용한다.
4. 방언
아이마라어 연구 대부분은 페루 티티카카호 남쪽 지역 방언이나 라파스 지역 방언에 중점을 두고 있다. 루시 브리그스는 두 지역 방언 모두 볼리비아 라파스와 페루 푸노 지방을 포괄하는 북부 아이마라 방언의 일부라고 본다. 남부 아이마라 방언은 칠레 북부 이키케 주 동쪽 절반과 볼리비아 오루로주 대부분 지역에서 쓰인다. 포토시 북부와 코차밤바 서남부에서도 쓰이지만, 이 지역에서는 서서히 케추아어에 밀려 대체되고 있다.
중부 아이마라 방언은 북부 및 남부 방언 모두와 공통점이 있으며, 페루 남부와 칠레 동북단 타크나 및 모케과 동쪽 절반에서 쓰인다.[18]
5. 지리적 분포
6. 음운론
아이마라어 모음은 /a/, /i/, /u/ 3종류이며, 장단을 구별한다. 음성적으로는 [e], [o], [ʌ] 등도 나타난다. 모음 장단은 음운적으로 구별되지만, 어근 구별에 관여하는 경우는 드물고, 접사 연결 시 형태음운론적 과정과 관련된다. 중국어, 영어와 달리, 성조, 억양은 단어 구별에 관계하지 않는다.
자음은 26종류(일부 방언 27종류)이다. 파열음 조음 위치는 무성음, 유기음, 방출음(성문화음) 3계통이 구별된다.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경구개음, 구개수음 파열음을 음소 상으로 구별한다. 파열음은 유성음과 무성을 구별하지 않지만, 한국어처럼 무기음, 유기음, 성문폐쇄음을 동반하는 것을 구별한다. 그 외, 비음, 측음은 치경음, 연구개음 구별이 있으며, 전동음 /r/, 반모음 /w/와 /j/가 있다.
6. 1. 모음 탈락
아이마라어에서는 모음 탈락이 흔하다. 모음 탈락이 일어나는 이유는 (1) 음소배열론적 이유, (2) 통사론적 이유, (3) 형태음소론적 이유의 세 가지 중 하나이다.[19]6. 2. 자음
치경음후치경음/
경구개음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 파열음 무기 유기 방출 마찰음 () () 접근음 설중 설측 탄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