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베자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베자 해전은 1538년 9월 28일, 오스만 제국 함대와 신성 동맹 함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 해전은 오스만 제국이 지중해 제해권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고, 신성 동맹,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에 큰 타격을 입혔다. 전투 결과, 베네치아는 오스만 제국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영토를 할양했으며, 동지중해에서의 영향력이 감소했다. 안드레아 도리아의 소극적인 태도가 패배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며, 이 해전은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해상 무역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레베자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프레베자 해전 (오하네스 우메드 베자드)
프레베자 해전 (오하네스 우메드 베자드)
시기1538년 9월 28일
장소이오니아해 프레베자 근처
결과오스만 제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신성 동맹:
[[File:Flag of Most Serene Republic of Venice.svg|22px]] 베네치아 공화국
[[File:Flag of New Spain.svg|22px]] 스페인
[[File:Emblem of the Papacy SE.svg|22px]] 교황령
[[File:Flag of Genoa.svg|22px]] 제노바 공화국
[[File:Flag of the Order of St. John (various).svg|22px]] 성 요한 기사단
교전국 2[[File:Naval_Ensign_of_the_Ottoman_Empire_(1453–1793).svg|22px]] 오스만 제국
지휘관 및 지도자
신성 동맹안드레아 도리아, 빈첸초 카펠로(Vincenzo Cappello), 마르코 그리마니(Marco Grimani), 페란테 1세 곤차가(Ferrante I Gonzaga), 조반니 안드레아 도리아(Gianandrea Doria)
오스만 제국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 시난 레이스(Sinan Reis), 드라구트(Dragut), 세이디 알리 레이스(Seydi Ali Reis)
병력 규모
신성 동맹갤리선 112척
갈리오트 50척
바르카스 140척
대포 2,500~2,594문
병력 60,000명
오스만 제국갤리선 및 갈리오트 122척
대포 366문
예니체리 3,000명 및 병력 8,000명
피해 규모
신성 동맹함선 13척 손실
함선 36척 나포
포로 3,000명
오스만 제국함선 손실 없음
전사 400명
부상 800명

2. 배경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은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의 지휘 아래 에게 해와 이오니아 해의 여러 섬들을 점령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1537년,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는 베네치아 공화국 소유의 시로스, 아이기나, 로스, 파로스, 티노스, 카르파토스, 카소스, 낙소스 등을 점령하고 낙소스 공국을 오스만 제국에 합병했다.[7] 그는 베네치아의 요새인 코르푸를 포위 공격하고, 남부 이탈리아의 스페인 거점인 칼라브리아 해안을 약탈했다.[7]

이러한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교황 바오로 3세1538년 신성 동맹을 결성했다.[8] 이 동맹에는 교황령, 스페인, 제노바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몰타 기사단이 참여했다.[8] 신성 동맹 함대의 총사령관은 카를 5세를 섬기던 제노바 출신 제독 안드레아 도리아였다.

3. 군대 규모 및 배치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는 갤리선과 갤리엇선 122척으로 구성되었다. 신성 동맹 함대는 갤리선과 갤리온 162척, 바르퀘스 140척을 포함하여 총 302척으로 구성되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가 갤리선 55척, 스페인 함대가 49척, 교황령몰타 기사단 함대가 27척이었다. 카를 5세 황제를 섬기던 제노바 출신 제독 안드레아 도리아가 총지휘를 맡았다.

신성 동맹 함대는 코르푸 섬 근처에 집결했다. 아퀼레이아 총대주교이자 제독인 마르코 그리마니 휘하의 교황 함대와 빈첸초 카펠로 휘하의 베네치아 함대가 먼저 도착했고, 안드레아 도리아는 1538년 9월 22일 스페인-제노바 함대와 합류했다.[1][4]

도리아가 도착하기 전, 그리마니는 프레베자 요새 근처에 상륙을 시도했지만, 오스만군과의 교전에서 사상자가 발생한 후 코르푸로 퇴각했다. 바르바롯사는 당시 에게 해의 코스 섬에 있었지만, 케팔로니아 섬을 점령한 후 곧바로 프레베자에 도착했다. 그의 부관 시난 레이스는 아르타 만의 악티움에 병력을 상륙시킬 것을 제안했는데, 이는 오스만군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튀르크군은 악티움 요새를 점령하여 함대를 포격으로 지원할 수 있었지만, 도리아는 함선을 해안에서 멀리 떨어뜨려야 했다. 기독교 측은 악티움 점령을 위해 상륙 작전을 펼쳐야 했지만, 도리아는 그리마니의 초기 출격이 격퇴된 후 육상에서의 패배를 우려했다. 성좌 동맹은 9월 25일과 26일에 악티움 맞은편 프레베자 요새 근처에 상륙을 시도했지만, 무라트 레이스의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도리아의 함선은 적대적인 해안으로 바람이 불리하게 불어 해안에서 거리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바르바롯사는 유리한 위치를 점했다. 9월 27~28일 밤, 도리아는 남쪽으로 30마일을 항해하여 바람이 잦아들자 레프카다 섬 근처 세솔라에 정박했다. 그와 지휘관들은 레판토를 공격하여 바르바롯사가 싸우도록 강요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결정했다.

3. 1. 오스만 제국 함대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함대는 122척의 갤리선과 갤리엇선이 주력이었다. 투르게 레이스는 6척의 푸스타스를 이끌고 선봉에 섰으며, 세이디 알리 레이스는 좌익, 살리 레이스는 우익을 지휘했다. 시난 레이스, 카페르 레이스, 사반 레이스, 그리고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의 아들 하산 레이스가 중앙에 위치했다. 무라드 레이스, 쿠젤스 마호메트 레이스, 사딕 레이스는 투르게트 레이스와 함께 후방을 맡았다. 시난 레이스는 암브라키코스 만에 있는 악티움에 병력을 상륙시킬 것을 제안했고, 이는 오스만군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2. 신성 동맹 함대

신성 동맹 함대는 302척의 함선(162척의 갤리선과 갤리온, 140척의 바르퀘스)으로 구성되었다. 주력 함선은 베네치아 함대 55척, 스페인 함대 49척, 교황령몰타 기사단 함대 27척이었다. 아퀼레이아의 대주교 마르코 그리마니가 지휘하는 교황청 함대와 빈센초 카펠로 휘하의 베네치아 함대가 먼저 도착했고,[1][4] 안드레아 도리아는 1538년 9월 22일 스페인-제노바 함대와 합류했다.[1][4]

4. 전투

1538년 9월 28일, 프레베자 근교 암브라키코스 만에서 오스만 제국 함대와 신성 동맹 함대가 격돌했다. 당시 바람이 없어 갤리온을 주력으로 하는 신성 동맹 함대는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9] 특히 베네치아의 기함 '갈레온 디 베네치아'는 오스만 함대에 포위되어 격전을 벌였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10]

안드레아 도리아는 오스만 함대를 유인하려 했으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바르바로스 하이렛딘 파샤는 Y자 형태로 함대를 배치하여 신성 동맹 함대를 공격했다. 투르구트 레지가 6척의 대형 갤리선을 이끌고 선봉에 섰고, 좌익은 해안에 근접해 있었다.[9]

프레베자 해전 양측 함대 배치
오스만 제국 (Y자 형태)신성 동맹



해질녘까지 오스만군은 10척을 침몰시키고 3척을 불태웠으며, 36척을 나포하고 3,000명의 포로를 잡았다. 오스만군은 한 척도 잃지 않았고, 400명의 전사자와 800명의 부상자만 발생했다.[10] 그러나 베네치아 기함 '갈레온 디 베네치아'의 포격으로 많은 오스만 함선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다음날 아침, 순풍에도 불구하고 도리아는 전장을 떠나 코르푸로 향했다.

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1540년 10월,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오스만 제국은 모레아달마티아에 있는 베네치아 영토와 에게해, 이오니아해, 동 아드리아해의 베네치아령 섬들에 대한 지배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13] 베네치아는 오스만 제국에 30만 두카트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11][13]

프레베자 해전에서 승리하고, 1560년 제르바 섬 해전에서도 승리하면서 오스만 제국은 지중해의 강대국인 베네치아와 스페인의 노력을 물리칠 수 있었다.[13] 오스만 제국의 해상 우위는 1571년 레판토 해전까지 이어졌다.[13]

안드레아 도리아가 전투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자신의 함선을 잃고 싶지 않았고, 고향 제노바 공화국의 경쟁 상대이자 당시 오스만 제국의 주요 공격 대상이었던 베네치아에 대한 오랜 적대감 때문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11]

니콜로 첸 더 영거는 『베네치아와 터키 간의 전쟁 역사』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요구했던 사람들을 비난하고, 그들이 전쟁에서 불명예스러운 행동을 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원고는 출판되지 않고 그의 가문에서 보관되다가 현재 마르치아나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12]

베네치아는 1503년 오스만과의 전쟁에서 이미 패배하여 동지중해에 대한 독점적인 지배권을 상실했기 때문에, 프레베자 해전은 이러한 지배를 더욱 확실하게 했을 뿐이라는 평가도 있다.

프레베자 해전으로 베네치아의 해상력이 약화되면서, 당시 동아시아-유럽 무역을 주도하던 베네치아의 영향력 감소는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해상 무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ürk Denizcileri/ Türk Denizcilik Tarihi: Preveze Deniz Savaşı (1538) http://korsan.uskuda[...] 2010-11-23
[2] 웹사이트 Corsari nel Mediterraneo: Hayreddin Barbarossa (italyanca) http://www.corsaride[...] 2011-01-15
[3] 웹사이트 Türk Denizcileri/Türk Denizcilik Tarihi: Preveze Deniz Savaşı (1538) http://korsan.uskuda[...] 2010-11-23
[4] 서적 Warfare on the Mediterranean in the Age of Sail, A History, 1571–1866 https://books.google[...] 2002
[5] 간행물 2013
[6] 간행물 2013
[7] 간행물 2008
[8] 서적 Art of Renaissance Venice, 1400–1600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5
[9] 웹사이트 Preveze Deniz Zaferi nasıl kazanıldı? – Galeri – Fikriyat Gazetesi https://www.fikriyat[...] 2019-09-27
[10] 웹사이트 Denizcilerin piri: Barbaros Hayrettin Paşa https://www.aa.com.t[...] 2020-10-22
[11] 간행물 2008
[12] 서적 Venetian Navigators: The Voyages of the Zen Brothers to the Far North 2011
[13] 간행물 de la Mare, Richard Herbert Ingpen, (4 June 1901–22 March 1986), President, Faber & Faber (Publishers) Ltd, since 1971 (Chairman, Faber & Faber Ltd, 1960–71); Chairman, Faber Music Ltd, 1966–71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14] 웹사이트 Türk Tarihi: Battle of Preveza http://www.dallog.co[...]
[15] 웹사이트 Corsari nel Mediterraneo: Hayreddin Barbarossa http://www.corsaride[...] 2007-09-28
[1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8
[17] 문서 돛대가 3개 있는 범선
[18] 웹인용 Türk Tarihi: Battle of Preveza http://www.dallog.co[...] 2008-09-19
[19] 웹인용 Corsari nel Mediterraneo: Hayreddin Barbarossa http://www.corsaride[...] 2008-09-19
[20] 문서 소형 쾌속 갤리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