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 코즐로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롤 코즐로프는 소련의 정치인으로, 레닌그라드주 CPSU 위원회의 제1 서기를 역임했으며,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활동했다. 1960년부터 1963년까지는 사실상 CPSU의 제2 비서로서 흐루쇼프의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알코올 중독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제2서기 자리를 넘겨주었다. 1964년 흐루쇼프 실각 이후 해임되었으며, 1992년에는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알렉세이 코시긴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은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스탈린 시대에 급속 승진하여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5년 경제 개혁을 통해 소비재 생산 확대와 경제 효율성 증대를 시도했다.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드미트리 폴랸스키
드미트리 폴랸스키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소련 공산당의 주요 인사로 활동하며 여러 요직을 거쳤으나, 이후 농업부 장관으로 강등되고 주일 소련 대사를 지내는 등 외교적 논란을 빚기도 했다. - 2급 조국전쟁 훈장 수훈자 - 발터 울브리히트
발터 울브리히트는 동독의 초대 국가의장이자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제1서기로, 극좌 사회주의 운동 참여, 독일 공산당 활동, 망명 생활, 동독 건국 주도, 베를린 장벽 건설 등 동독 사회주의 체제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냉전 시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2급 조국전쟁 훈장 수훈자 - 바실리 이바노비치 페트로프
바실리 이바노비치 페트로프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소련 원수까지 오른 군인으로, 오데사 방어, 세바스토폴 방어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1982년 소련 영웅 칭호를 받고 육군 총사령관을 역임한 후 군사 고문으로 활동하다가 2014년에 사망했다.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프롤 코즐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표도르 로마노비치 코즐로프 |
출생일 | 1908년 8월 18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랴잔 현 카시모프스키 군 로쉬치니노 |
사망일 | 1965년 1월 30일 |
사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국적 | 소비에트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26년–1964년) |
안장 장소 | 붉은 광장 묘지, 모스크바 |
정치 경력 |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2서기 | 임기 시작: 1960년 4월 5일 임기 종료: 1963년 6월 21일 이전: 알렉세이 키리첸코 (사실상) 이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각료 평의회 의장 | 임기 시작: 1957년 12월 19일 임기 종료: 1958년 3월 31일 이전: 미하일 야스노프 이후: 드미트리 폴리얀스키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간부 선임 서기 | 임기 시작: 1960년 4월 5일 임기 종료: 1963년 6월 21일 이전: 알렉세이 키리첸코 이후: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
레닌그라드 시 공산당 제1서기 | 1950년–1952년 |
레닌그라드 주 공산당 제1서기 | 1953년–1957년 |
소비에트 연방 각료 평의회 제1부의장 | 1958년–1960년 |
소속 기관 회원 |
2. 생애
프롤 코즐로프는 소련의 정치가로, 랴잔 현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콤소몰 활동을 시작으로 정치 경력을 쌓았다. 레닌그라드주 당 위원회 제1서기로서 레닌그라드 사건 이후 혼란에 빠진 지역 당 조직을 재건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를 발판으로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했다.[1] 1957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간부회(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0년에는 니키타 흐루쇼프에 이어 당의 제2서기 자리에 오르며 유력한 후계자로 떠올랐다.[3][4] 그러나 알코올 의존증으로 인한 건강 악화와 1963년 뇌졸중 발병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급격히 상실했으며,[5] 결국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제2서기 자리를 내주었다. 1964년 흐루쇼프 실각 이후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고, 이듬해인 1965년 사망하여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에 대한 책임이 일부 거론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랴잔 현 카시모프 우예즈드의 로쉬치니노(Лощининоru) 마을에서 태어났다. 1921년 그는 초등학교를 졸업했다. 1923년 카시모프 지구 방적 공장에서 노동자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동시에 Школа фабрично-заводского ученичества|공장 견습 학교ru에서 공부했다. 1923년 11월 그는 콤소몰의 회원이 되었고, 1925년에는 콤소몰 공장 팀의 집행 서기로 선출되었다.2. 2. 정치 경력
콤소몰 활동을 시작으로 정치 경력을 쌓았다. 1953년부터 1957년까지 레닌그라드주 소련 공산당 위원회의 제1서기를 맡아 레닌그라드 사건으로 숙청된 당 조직을 재건하는 역할을 담당했다.[1] 1957년 2월 14일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간부회(당시 정치국의 명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6월 29일에는 정식 위원으로 승격되었다.1959년 7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에 있는 비밀스러운 보헤미안 그로브 야영지를 방문하기도 했다.[2]
1960년 4월 5일, 당 중앙위원회 서기로 선출되어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사실상 소련 공산당의 제2서기 역할을 수행했다. 1961년에는 사회주의 노동 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 시기 그는 니키타 흐루쇼프의 유력한 후계자로 간주되었다.[3][4] 그러나 알코올 의존증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면서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기 시작했다.[5] 훗날 1962년 6월에 발생한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결국 1963년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그의 제2서기 자리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넘어갔다.
흐루쇼프가 실각한 이후인 1964년 11월 16일에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해임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65년 1월 30일에 5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진 뒤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2. 3. 몰락과 죽음
한때 니키타 흐루쇼프의 유력한 후계자로 여겨졌으나[3][4], 알코올 의존증의 영향으로 건강이 나빠지고 정치적 입지도 약화되었다.[5] 1963년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이로 인해 소련 공산당 제2서기의 자리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넘겨주게 되었다.1964년 11월 16일, 그의 정치적 후원자였던 흐루쇼프가 실각한 이후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해임 당시 코즐로프는 이미 뇌졸중을 앓고 있었으며, 해임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65년 1월 30일에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후인 1992년, 1962년 6월에 발생한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3. 평가
프롤 코즐로프는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 소련 정치의 주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는 1953년부터 레닌그라드주 공산당 위원회의 제1서기를 맡아, 레닌그라드 사건으로 큰 타격을 입었던 지역 당 조직을 재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이러한 공로와 흐루쇼프의 신임을 바탕으로 1960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제2서기에 올라 한때 흐루쇼프의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기도 했다.[3][4]
그러나 그의 정치적 경력은 알코올 의존증으로 인한 건강 문제로 인해 점차 내리막길을 걸었다.[5] 1963년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제2서기 자리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게 넘겨주게 되었고, 결국 흐루쇼프가 실각한 이후인 1964년 11월 16일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또한, 코즐로프는 1962년 발생한 노보체르카스크 학살 사건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노동자들의 시위를 군대가 무력으로 진압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낸 비극적인 일로, 그의 정치적 평가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4. 수상 내역
wikitext
훈장 이미지 | 훈장명 및 수훈 내역 |
---|---|
![]() | 사회주의 노동 영웅 (1961년) |
레닌 훈장, 4회 수훈 (1955년, 1957년, 1958년, 1961년) | |
조국 전쟁 훈장, 2급 (1945년) | |
노동 적기 훈장, 2회 수훈 (1943년, 1948년) | |
적성 훈장 (1942년) |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knowbysig[...]
knowbysight.info
2014-08-15
[2]
웹사이트
May - June 1959: Visit to the Soviet Union of W. Averell Harriman
http://dosfan.lib.ui[...]
U.S. Department of State
1959-06-26
[3]
뉴스
Periscope
Newsweek
1958-01-06
[4]
뉴스
Khrushchev's Successor?
https://web.archive.[...]
Time
1959-07-13
[5]
서적
To Agree or Not to Agree: Leadership, Bargaining, and Arms Control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8-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