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톨레마이오스 성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톨레마이오스 성단은 전갈자리 꼬리에 위치한 산개 성단으로, 맨눈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130년경 프톨레마이오스가 처음 기록했으며, 17세기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가 30개의 별을 관측했다.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와 존 허셜 또한 이 성단을 관측하고 기록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온자리 팔 - 플레이아데스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M45)은 황소자리에 위치한 밝은 산개성단으로, 10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억 년 정도의 나이를 가지고 있고, 주변에는 반사성운이 존재하며, 약 44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명칭과 신화를 가지고 있다.
  • 오리온자리 팔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산개성단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산개성단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성단
기본 정보
Messier 7 성단
별칭프톨레미 성단
M7
NGC 6475
Cr 354
겉보기 등급3.3
시직경80.0'
위치 이미지Scorpius constellation map.png
형태산개 성단
관측 정보
별자리전갈자리
반경25 ly
나이200 Myr
물리적 특성
질량 (태양 질량 기준)735
분류I,3,m

2. 관측 역사

130년경, 프톨레마이오스는 "전갈자리 꼬리에 이어지는 성운"이라고 기술했다. 17세기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는 1654년 이전에 이 성단을 관측하여 30개의 별을 세었다.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M7을 관측하고 "정사각형 안에 모인 15개에서 20개의 별 무리"라고 기록했다. 존 허셜1864년 그의 목록에 "매우 밝고, 별의 수가 매우 많으며, 헐거운 집합, 7등급에서 12등급의 별들"이라고 기록했다.

2. 1. 초기 관측

130년경, 프톨레마이오스는 "전갈자리 꼬리에 이어지는 성운"이라고 기술했다. 17세기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는 1654년 이전에 이 성단을 관측하여 30개의 별을 세었다.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M7을 관측하고 "정사각형 안에 모인 15개에서 20개의 별 무리"라고 기록했다. 존 허셜1864년 그의 목록에 "매우 밝고, 별의 수가 매우 많으며, 헐거운 집합, 7등급에서 12등급의 별들"이라고 기록했다.

2. 2. 17세기 이후 관측

130년경, 프톨레마이오스는 "전갈자리 꼬리에 이어지는 성운"이라고 기술했다. 17세기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오디에르나는 1654년 이전에 이 성단을 관측하여 30개의 별을 세었다.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M7을 관측하고 "정사각형 안에 모인 15개에서 20개의 별 무리"라고 기록했다. 존 허셜1864년 그의 목록에 "매우 밝고, 별의 수가 매우 많으며, 헐거운 집합, 7등급에서 12등급의 별들"이라고 기록했다.

3. 특징

M7은 밝은 산개성단 중 하나로, 태양계에서 약 800광년 거리에 있으며, 18~20광년 정도의 범위에 10등급보다 밝은 별이 약 80개 있다. 정남쪽에는 암흑 성운인 버나드 287이 있어 쌍안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 은하수 안에서 별이 매우 밀집된 부분에 위치한다.

M7은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

3. 1. 육안 관측

M7은 밝고 육안으로도 보이는 산개성단 중 하나이다. 육안으로는 성운처럼 보이지만, 시력이 좋은 사람은 몇 개의 별을 분리해서 볼 수 있다. 반달 정도의 밝기일 때 육안으로 분리 관측이 가능하다는 사람도 있다.

3. 2. 망원경 관측

M7은 밝고 육안으로도 보이는 산개성단 중 하나이다. 쌍안경으로 M6과 같은 시야에서 관측할 수 있다.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 배율을 너무 높이면 성단이 시야에서 벗어난다. M6와 비교하면, M6의 주변은 어둡고 푸르스름한 별이 많지만, M7의 주변은 밝고 노란색으로 보인다. 또한, M7이 M6보다 더 밀집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LORRI's First Light1 http://pluto.jhuapl.[...] pluto.jhuapl.edu 2018-10-24
[2] 웹사이트 Explore - the Night Sky | Hubble's Messier Catalog https://www.nasa.gov[...] 2017-08-28
[3] 웹사이트 Hubble's High-Definition Panoramic View of the Andromeda Galaxy https://www.nasa.gov[...] 2015-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