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D. 미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터 D. 미첼은 1920년 영국에서 태어난 생화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자연과학을 전공하고, 1951년 페니실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생화학 부서를 설립하고 연구하다가 건강 악화로 사임한 후, 글린 하우스를 개조하여 글린 리서치를 설립하여 화학삼투 반응 연구를 수행했다. 미첼은 미토콘드리아에서 ATP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화학삼투 가설을 제시했으며, 이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이 가설은 ATP 생성효소의 발견으로 확증되었으며, 1978년 화학삼투 이론으로 생물학적 에너지 전달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팀 헌트
영국의 생화학자 팀 헌트는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사이클린을 발견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나, 2015년 성차별적 발언 논란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 교수직을 사임했다. - 잉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존 E. 워커
존 E. 워커는 ATP 합성 효소의 기구를 밝혀 199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미토콘드리아 연구를 진행하여 결합 변화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구조를 밝혀냈다. - 잉글랜드의 생화학자 - 프레더릭 생어
프레더릭 생어는 단백질과 DNA의 염기 서열 분석법을 개발하고 인슐린 아미노산 서열 규명과 DNA 염기 서열 분석법 개발에 기여하여 노벨 화학상을 두 번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이다. - 잉글랜드의 생화학자 - 로드니 로버트 포터
영국의 생화학자 로드니 로버트 포터는 항체의 화학적 구조를 밝힌 공로로 197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제럴드 에델만과 공동 수상하였으며, 파파인 효소를 사용하여 면역글로불린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하고 혈액 속 면역글로불린이 세포 표면과 반응하는 방식을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 영국의 생화학자 - 프레더릭 생어
프레더릭 생어는 단백질과 DNA의 염기 서열 분석법을 개발하고 인슐린 아미노산 서열 규명과 DNA 염기 서열 분석법 개발에 기여하여 노벨 화학상을 두 번 수상한 영국의 생화학자이다. - 영국의 생화학자 - 조지프 니덤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과학사가인 조지프 니덤은 발생생화학 분야의 권위자로서 중국 과학 발전사에 관심을 갖고 《중국 과학 문명사》를 통해 중국 과학 기술사를 연구하여 동서양의 과학 기술 교류에 기여했으며 유네스코 창립에 기여하고 곤빌 앤드 키스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다.
피터 D. 미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Peter Dennis Mitchell |
출생일 | 1920년 9월 29일 |
출생지 | 잉글랜드 서리주 미첨 |
사망일 | 1992년 4월 10일 (향년 71세) |
사망지 | 잉글랜드 콘월주 보드민 |
국적 | 영국 |
분야 | 생화학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BA, MA, PhD)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The rates of synthesis and proportions by weight of the nucleic acid components of a Micrococcus during growth in normal and in penicillin containing media with reference to the bactericidal action of penicillin |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50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박사 학위 논문 |
직장 | 에든버러 대학교 Glynn Research Ltd. |
업적 | |
주요 업적 | ATP 합성 메커니즘 (화학삼투) 발견 |
수상 | |
수상 내역 | 로젠스틸 상 (1976년) 노벨 화학상 (1978년) 한스 크레브스 메달 (1978년) 코플리 메달 (1981년) |
왕립 학회 회원 | 1974년 |
가족 관계 | |
친척 | 고드프리 웨이 미첼 (삼촌) |
![]() |
2. 교육과 초기 생애
피터 미첼은 1920년 9월 29일 영국 서리주 미참에서 태어났다.[16] 그의 부모는 공무원인 크리스토퍼 깁스 미첼(Christopher Gibbs Mitchell)과 케이트 비어트리스 도로시 탈핀(Kate Beatrice Dorothy Taplin)이었다. 그의 삼촌은 조지 윔피의 회장인 고드프리 웨이 미첼 경이었다.[15] 피터 미첼은 퀸스 칼리지, 톤턴과 지저스 칼리지, 케임브리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15] 생화학을 전문으로 하는 자연과학 트리포스를 이수했다.
피터 미첼은 194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생화학과 연구직을 거쳐 1951년 페니실린 작용 방식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8] 1955년 마이클 스완 교수의 초청으로 에든버러 대학교 동물학과에 화학생물학부를 설립, 1961년 조교수, 1962년 부교수로 임명되었으나 연구에 대한 제도적 반대와 건강 악화로 1963년 사임했다.
1942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생화학과의 연구직으로 임명되었고, 1951년에 페니실린의 작용 방식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8]
3. 경력 및 연구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콘월주 보드민 근처 카디넘의 글린 하우스 복원 작업을 감독, 이 건물의 대부분을 연구 실험실로 개조했다. 미첼과 그의 전 연구 동료 제니퍼 모일은 글린 하우스에서 기초 생물학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글린 리서치(Glynn Research Ltd.)를 설립, 화학삼투 반응과 반응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19][20][21][22][23]
3. 1. 화학삼투 가설
1960년대에는 ATP가 생명의 에너지 화폐로 기능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미토콘드리아에서 ATP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은 기질수준 인산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첼의 화학삼투 가설은 산화적 인산화의 실제 과정을 이해하는 기초가 되었다. 당시에는 산화적 인산화에 의한 ATP 합성의 생화학적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미첼은 전기화학적 퍼텐셜을 통한 이온의 이동이 ATP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의 가설은 1960년대에 잘 알려진 정보로부터 도출되었다. 그는 살아 있는 세포가 막 전위(환경에 대해 세포 안쪽이 음성)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따라서 막을 통과하는 하전된 이온의 이동은 전기력(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의 인력)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의 움직임은 또한 물질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되는 경향인 열역학적 힘의 영향을 받는다. 그는 계속해서 ATP 합성이 이러한 전기화학적 기울기와 짝지어져 있음을 보여주었다.[24]
그의 가설은 ATP를 만들기 위해 전기화학적 기울기의 위치 에너지를 사용하는 막 결합 단백질인 ATP 생성효소의 발견으로 확증되었다. 그리고 앙드레 야겐도르프가 엽록체의 틸라코이드 막을 경계로 생성되는 pH 차이에 의한 ATP 합성을 발견하여 그의 가설이 확증되었다.[25]
3. 1. 1. 양성자 구동 Q 회로
피터 미첼은 전자전달계의 복잡한 세부 사항 중 일부에 대한 가설도 세웠다. 그는 양성자 구동력과 그에 따른 ATP 합성에 기여하는 퀴논 기반 전자 분기와 양성자 펌핑의 짝지음을 생각했다.[26][12]
4. 수상 및 영예
1974년 왕립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다.[15][28] 1978년 "화학삼투 이론의 공식화를 통해 생물학적 에너지 전달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7] 1981년 코플리 메달을 수상했다.[14]
참조
[1]
논문
Peter Dennis Mitchell. 29 September 1920 – 10 April 1992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3]
웹사이트
Peter Mitchell (1920–1992)
http://www.life.uiuc[...]
[4]
학위논문
The rates of synthesis and proportions by weight of the nucleic acid components of a Micrococcus during growth in normal and in penicillin containing media with reference to the bactericidal action of penicillin
http://hooke.lib.cam[...]
University of Cambridge
1950
[5]
논문
Chemiosmotic Coupling in Oxidative and Photosynthetic Phosphorylation
[6]
논문
Chemiosmotic coupling in energy transduction: A logical development of biochemical knowledge
[7]
논문
A scrutiny of Mitchell's chemiosmotic hypothesis of respiratory chain and photosynthetic phosphorylation
[8]
논문
Aspects of the chemiosmotic hypothesis
[9]
논문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protonmotive function of cytochrome systems
[10]
논문
Coupling of Phosphorylation to Electron and Hydrogen Transfer by a Chemi-Osmotic type of Mechanism
http://www1.ci.uc.pt[...]
[11]
논문
ATP formation caused by acid-base transition of spinach chloroplasts.
1966
[12]
논문
The protonmotive Q cycle: A general formulation
1975-11-15
[13]
기타
2020-10-11
[14]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https://docs.google.[...]
Royal Society
[15]
논문
Peter Dennis Mitchell. 29 September 1920 – 10 April 1992
[1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7]
웹인용
Peter Mitchell (1920–1992)
http://www.life.uiuc[...]
2024-03-20
[18]
학위논문
The rates of synthesis and proportions by weight of the nucleic acid components of a Micrococcus during growth in normal and in penicillin containing media with reference to the bactericidal action of penicillin
http://hooke.lib.cam[...]
University of Cambridge
1950
[19]
논문
Chemiosmotic Coupling in Oxidative and Photosynthetic Phosphorylation
[20]
논문
Chemiosmotic coupling in energy transduction: A logical development of biochemical knowledge
[21]
논문
A scrutiny of Mitchell's chemiosmotic hypothesis of respiratory chain and photosynthetic phosphorylation
[22]
논문
Aspects of the chemiosmotic hypothesis
[23]
논문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protonmotive function of cytochrome systems
[24]
논문
Coupling of Phosphorylation to Electron and Hydrogen Transfer by a Chemi-Osmotic type of Mechanism
http://www1.ci.uc.pt[...]
[25]
논문
ATP formation caused by acid-base transition of spinach chloroplasts.
1966
[26]
논문
The protonmotive Q cycle: A general formulation
1975-11-15
[27]
기타
2020-10-11
[28]
웹인용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https://docs.google.[...]
Royal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