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파포스 기념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아테네의 뮤즈 언덕에 세워진, 2층 구조의 대리석 무덤 기념물이다. 116년에 사망한 콤마게네 왕국의 귀족 필로파포스를 기리기 위해 그의 여동생 율리아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이 건립했다. 기념비는 콤마게네 왕족, 필로파포스, 그리고 로마 황제를 기념하는 조각상과 비문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파우사니아스는 이를 "시리아인을 위해 지어진 기념물"로 묘사했다. 1898년 발굴 및 1899년 보존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1436년에는 온전한 상태였으나 이후 훼손되어 현재는 파사드의 일부만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기념물 - 리시크라테스 기념비
리시크라테스 기념비는 기원전 4세기에 아테네에 세워진 코린트 양식의 원형 구조물로, 리시크라테스가 후원한 합창단의 우승을 기념하기 위해 삼각대를 위한 지지대로 장식되었으며, 고대 삼각대 거리에 위치해 있다. - 2세기 금석문 -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원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 기둥으로, 나선형 부조로 그의 업적을 묘사하며 내부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 2세기 금석문 - 콜리니력
콜리니력은 1897년 프랑스에서 발견된 고대 켈트족의 청동판 달력으로, 음력과 태양력을 조화시키기 위해 윤달을 사용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켈트족의 생활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 위령시설 - 기념비
기념비는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건축물이나 조형물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전쟁 희생자 추모나 역사적 사건 기념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세계 각지에 건립되어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다. - 위령시설 - 봉안당
봉안당은 시신이나 유골을 안치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필로파포스 기념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아테네, 그리스 |
다른 이름 | 필로파포스 언덕 기념비 |
그리스어 | Μνημείο Φιλοπάππου |
로마자 표기 | Mnimío Philopáppou |
완공 | 서기 114년 ~ 116년 사이 |
의뢰인 | 로마의 집정관이자 작가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필로파포스 |
인물 정보 | |
이름 | 가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필로파포스 |
로마자 표기 | Gaios Ioulios Antiochus Epiphanes Philopappos |
출생 | 서기 65년 |
사망 | 서기 116년 |
사망 장소 | 아테네 |
국적 | 고대 그리스, 로마 |
직업 | 왕자, 로마 집정관 |
건축 | |
건축 양식 | 고대 로마 건축 |
재료 | 흰색 펜텔리 대리석 |
높이 | 12 미터 |
보존 상태 | 부분적 파괴 |
기타 | |
유산 등재 | 문화재 |
2. 기원
필로파포스는 116년에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은 여동생 율리아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 그리고 로마 황가에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3][1] 필로파포스를 추모하며,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은 아크로폴리스 근처 뮤즈의 언덕에 무덤 기념물을 세웠다. 그의 대리석 무덤 기념물은 필로파포스 (혹은 필로파푸) 기념비라 알려져 있으며, 무세이온 언덕은 오늘날 '''필로파푸 언덕'''(필로파푸 언덕/Λόφος Φιλοπάππουel)이라 알려져 있다.
그리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필로파포스의 무덤을 '시리아인을 위해 지어진 기념물'이라 묘사했다.[1] 이 기념비는 기원전 6세기의 사제이자 예언가였던 무사이오스가 묻혔다고 전해지는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 아크로폴리스와 아테네의 옛 경계를 마주하는 무덤의 위치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사회에서 높은 지위에 있었음을 나타낸다.
2. 1. 콤마게네 왕국과 필로파포스
필로파포스는 116년에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은 여동생 율리아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에게 큰 슬픔을 주었고, 로마 황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3][1] 필로파포스를 추도하며,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은 아크로폴리스 근처에 있는 뮤즈의 언덕에 무덤 기념물을 세웠다. 그의 대리석 무덤 기념물은 여전히 필로파포스 (혹은 필로파푸) 기념비라 알려져 있으며, 무세이온 언덕은 오늘날 '''필로파푸 언덕'''(필로파푸 언덕/Λόφος Φιλοπάππουel)이라 알려져 있다.그리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필로파포스의 장엄한 무덤을 '시리아인을 위해 지어진 기념물'이라 묘사한바 있다.[3][1] 이 기념비는 기원전 6세기의 사제 시인이자 예언가였던 무사이오스가 묻혔다라고 전해지는,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 아크로폴리스와 아테네의 옛 경계를 마주하는 이 무덤의 위치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사회에서 지녔던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
2. 2. 로마 제국에서의 필로파포스
필로파포스는 116년에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은 여동생 율리아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 그리고 로마 황가에 큰 슬픔을 주었다.[3][1] 필로파포스를 추모하며,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근처 뮤즈의 언덕에 무덤 기념물을 세웠다. 그의 대리석 무덤 기념물은 필로파포스 (혹은 필로파푸) 기념비라 알려져 있으며, 무세이온 언덕은 오늘날 '''필로파푸 언덕'''(필로파푸 언덕/Λόφος Φιλοπάππουel)이라 알려져 있다.[3]그리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필로파포스의 무덤을 '시리아인을 위해 지어진 기념물'이라 묘사했다.[3][1] 이 기념비는 기원전 6세기의 사제이자 예언가였던 무사이오스가 묻혔다고 전해지는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3][1] 아크로폴리스와 아테네의 옛 경계를 마주하는 무덤의 위치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사회에서 높은 지위에 있었음을 나타낸다.[3][1]
2. 3. 기념비 건립
필로파포스는 116년에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은 여동생 율리아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에게 큰 슬픔을 주었고, 로마 황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3] 필로파포스를 추도하며, 발빌라와 아테네 시민들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근처에 있는 뮤즈의 언덕에 무덤 기념물을 세웠다.[3] 그의 대리석 무덤 기념물은 여전히 필로파포스 (혹은 필로파푸) 기념비라 알려져 있으며, 무세이온 언덕은 오늘날 '''필로파푸 언덕'''(필로파푸 언덕/Λόφος Φιλοπάππουel)이라 알려져 있다.[3][1]그리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필로파포스의 장엄한 무덤을 '시리아인을 위해 지어진 기념물'이라 묘사하였다.[3] 이 기념비는 기원전 6세기의 사제 시인이자 예언가였던 무사이오스가 묻혔다라고 전해지는, 같은 장소에 지어졌다.[3][1] 아크로폴리스와 아테네의 옛 경계를 마주하는 이 무덤의 위치는 필로파포스가 아티네 사회에서 지녔던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3][1]
3. 묘사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기부(基部)가 떠받치고 있는, 2층으로 된 구조물이다. 아래층에는 릭토르들이 이끌고, 전차를 타고 있는 집정관으로서 필로파포스를 나타내는 프리즈가 존재한다. 위층에는 세 명의 조각상들이 나타나 있으며, 왼쪽은 안티오코스 4세, 가운데에는 필로파포스, 오른쪽에는 현재 소실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있었다.
필로파포스 아래의 벽감(壁龕)에는 Φιλόπαππος Επιφάνους Βησαιεύςel ["베사(Besa)" 데메의 에피파네스의 아들, 필로파포스]이라 쓰여있는 비문이 존재한다. 이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시민으로서 지녔던 명칭이다. 필로파포스 왼쪽의 벽감에 있는 라틴어 비문은 "파비아 씨족의 카이우스의 아들, 카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필로파포스가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옵티무스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다키쿠스 로마 황제의 허가로 집정관, 신관 친위대에 들어갔다" 라며, 필로파포스의 작위, 서훈, 로마 정무관으로서 경력 등이 적혀 있다. 필로파포스의 오른쪽 벽감에는 한때 Βασιλεύς Αντίοχος Φιλόπαππος Βασιλέως Επιφανούς Αντιόχουel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의 아들, 왕 안티오코스 필로파포스")라 쓰였던 그리스어 비문이 있었다 (현재는 기부만이 남아있다).
필로파포스의 친할아버지 안티오코스 4세의 석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 왕의 아들, 안티오코스 왕"이라 쓰인 비문이 존재한다. 이 비문은 안티오코스 4세 및 그의 아버지이자 콤마게네 왕국의 최후의 독립 통치자 안티오코스 3세 에피파네스를 기념한 것이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시조이자, 콤마게네 국왕들이 같은 혈통이라 주장했던,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 아래에는 현재는 소실되었지만 또다른 명각이 있었다. 여행가 안코나의 키라아쿠스는 회고록에 아래에 "안티오코스의 아들, 셀레우코스 니카토르 왕"이라 쓰인 명각에 대해 기록했다.
기념비 크기는 9.30에서 9.80 미터이며, 필로파포스의 묘실을 포함한다. 기념비의 구조물은 3.8 미터 높이의 받침돌 위에 흰색 펜텔리코스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다공성의 대리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히메투스 대리석 평판 (平板)으로 장식되어 있다.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북쪽은 정교한 건축 장식들을 담고 있다.
3. 1. 구조 및 건축 양식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기단 위에 세워진 2층 구조물이다. 아래층에는 릭토르의 호위를 받으며 전차를 타고 있는 집정관 필로파포스를 묘사한 프리즈가 있다. 위층에는 세 명의 조각상이 있는데, 왼쪽에는 안티오코스 4세, 중앙에는 필로파포스, 오른쪽에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조각상이 있다.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은 현재 소실되었다.필로파포스 아래 벽감에는 "베사(Besa) 데메의 에피파네스의 아들, 필로파포스"라는 뜻의 Φιλόπαππος Επιφάνους Βησαιεύςel 비문이 있다. 이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시민으로서 지녔던 명칭이다. 필로파포스 왼쪽 벽감의 라틴어 비문에는 필로파포스의 작위, 서훈, 로마 정무관으로서 경력 등이 기록되어 있다. 오른쪽 벽감에는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의 아들, 왕 안티오코스 필로파포스"라는 뜻의 Βασιλεύς Αντίοχος Φιλόπαππος Βασιλέως Επιφανούς Αντιόχουel 비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기부만 남아있다.
안티오코스 4세의 석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 왕의 아들, 안티오코스 왕"이라는 비문이 있어, 안티오코스 4세와 안티오코스 3세 에피파네스를 기념한다.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의 아들, 셀레우코스 니카토르 왕"이라는 명각이 있었다고 안코나의 키라아쿠스가 기록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다.
기념비는 9.30에서 9.80 미터 크기이며, 필로파포스의 묘실을 포함한다. 구조물은 흰색 펜텔리코스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다공성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3.8 미터 높이의 받침돌 위에 히메투스 대리석 평판으로 장식되어 있다. 기념비 북쪽은 정교한 건축 장식들을 담고 있다.
3. 2. 조각상
필로파포스 기념비 상층에는 세 개의 조각상이 배치되어 있다. 왼쪽에는 안티오코스 4세, 가운데에는 필로파포스, 오른쪽에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의 조각상이 있었다.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은 현재 소실된 상태이다.필로파포스 조각상 아래 벽감에는 "베사(Besa) 데메의 에피파네스의 아들, 필로파포스"라는 뜻의 Φιλόπαππος Επιφάνους Βησαιεύςel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시민으로서 지녔던 명칭이다. 필로파포스 조각상 왼쪽 벽감에는 그의 작위, 서훈, 로마 정무관 경력 등이 적힌 라틴어 비문이 있다. "파비아 씨족의 카이우스의 아들, 카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필로파포스가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옵티무스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다키쿠스 로마 황제의 허가로 집정관, 신관 친위대에 들어갔다"라는 내용이다. 필로파포스 조각상 오른쪽 벽감에는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의 아들, 왕 안티오코스 필로파포스"라고 쓰였던 Βασιλεύς Αντίοχος Φιλόπαππος Βασιλέως Επιφανούς Αντιόχουel라는 그리스어 비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기부만 남아있다.
안티오코스 4세의 석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 왕의 아들, 안티오코스 왕"이라 쓰인 비문이 있다. 이는 안티오코스 4세 및 그의 아버지이자 콤마게네 왕국의 마지막 독립 통치자인 안티오코스 3세 에피파네스를 기념한 것이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시조이자, 콤마게네 국왕들이 같은 혈통이라 주장했던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의 아들, 셀레우코스 니카토르 왕"이라 쓰인 명각이 있었다고 안코나의 키라아쿠스가 기록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다.
3. 3. 비문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2층 구조물로, 기부(基部)가 이를 떠받치고 있다. 아래층에는 릭토르들이 이끌고 전차를 타고 있는 집정관으로서의 필로파포스를 나타내는 프리즈가 있다. 위층에는 세 명의 조각상이 있는데, 왼쪽은 안티오코스 4세, 가운데는 필로파포스, 오른쪽에는 현재 소실된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있었다.필로파포스 아래의 벽감에는 "베사(Besa)" 데메의 에피파네스의 아들, 필로파포스]이라 쓰여있는 비문(Φιλόπαππος Επιφάνους Βησαιεύςel)이 있는데, 이는 필로파포스가 아테네 시민으로서 지녔던 명칭이다. 필로파포스 왼쪽 벽감의 라틴어 비문에는 "파비아 씨족의 카이우스의 아들, 카이우스 율리우스 안티오쿠스 필로파포스가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옵티무스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다키쿠스 로마 황제의 허가로 집정관, 신관 친위대에 들어갔다"라고 적혀 있어 필로파포스의 작위, 서훈, 로마 정무관으로서 경력 등을 알 수 있다. 필로파포스의 오른쪽 벽감에는 한때 "안티오코스 에피파네스의 아들, 왕 안티오코스 필로파포스"(Βασιλεύς Αντίοχος Φιλόπαππος Βασιλέως Επιφανούς Αντιόχουel)라 쓰였던 그리스어 비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기부만이 남아있다.
필로파포스의 친할아버지 안티오코스 4세의 석상 아래에는 "안티오코스 왕의 아들, 안티오코스 왕"이라 쓰인 비문이 있다. 이는 안티오코스 4세 및 그의 아버지이자 콤마게네 왕국의 최후의 독립 통치자 안티오코스 3세 에피파네스를 기념한 것이다. 안티오코스 3세가 17년에 사망하자, 콤마게네는 티베리우스 황제 때 흡수되어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셀레우코스 제국의 시조이자, 콤마게네 국왕들이 같은 혈통이라 주장했던, 셀레우코스 1세의 조각상 아래에는 현재는 소실되었지만 또다른 명각이 있었다. 여행가 안코나의 키라아쿠스는 회고록에 아래에 "안티오코스의 아들, 셀레우코스 니카토르 왕"이라 쓰인 명각에 대해 기록했다.
4. 발굴 및 역사
1898년에 필로파포스 기념비에서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고, 1899년에는 보존 작업이 수행되었다.[2] 1940년, 고고학자 H. A. 톰슨과 J. 트라블로스는 소규모 추가 발굴을 실시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건축 부품 일부가 오스만 제국 시대에 파르테논 신전의 첨탑 건설에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현재 파사드의 3분의 2만이 남아 있으며, 파사드 뒤쪽의 묘실은 기초 부분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1436년에 여행가 치리아코 데 피치콜리가 방문하여 기념비가 온전하다고 기록할 정도로 보존 상태가 좋았으나, 이후 훼손이 진행되었다.[2]
4. 1. 초기 발굴 및 연구
1898년에 필로파포스 기념비에서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고, 1899년에는 보존 작업이 수행되었다.[2] 1940년, 고고학자 H. A. 톰슨과 J. 트라블로스는 소규모 추가 발굴을 실시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건축 부품 일부가 오스만 제국 시대에 파르테논 신전의 첨탑 건설에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현재 파사드의 3분의 2만이 남아 있으며, 파사드 뒤쪽의 묘실은 기초 부분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필로파포스 기념비는 1436년에 여행가 치리아코 데 피치콜리가 방문하여 기념비가 온전하다고 기록할 정도로 보존 상태가 좋았으나, 이후 훼손이 진행되었다.[2]
4. 2. 추가 발굴 및 연구
1899년에 필로파포스 기념비에서 발굴 작업과 보존 작업이 실시되었다.[2] 1940년에는 고고학자 H. A. 톰슨(H. A. Thompson)과 J. 트라블로스(J. Travlos)가 소규모 추가 발굴을 진행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구조물 일부가 오스만 제국 시대에 파르테논 신전의 첨탑 건설에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4. 3. 훼손과 보존
1899년에 필로파포스 기념비에서 발굴 작업이 이뤄졌고, 같은 해에 보존 작업이 실시되었다.[2] 1940년에는 고고학자 H. A. 톰슨과 J. 트라블로스가 소규모 추가 발굴을 착수했다.[2] 최근 연구에서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구조물 일부가 오스만 제국 시대에 파르테논 신전의 첨탑 건설에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현재 파사드의 3분의 2만이 남아 있다. 파사드 뒤쪽에 있던 묘실은 기초 부분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치리아코 데 피치콜리가 1436년에 이곳을 방문하여 회고록에 기념비가 원상태였다고 기록한것으로 보아, 기념비의 훼손은 그 이후에 벌어졌음이 확실하다.[2]
5. 현대적 의의
5. 1. 역사적, 문화적 가치
5. 2. 오스만 제국의 파르테논 신전 첨탑 건설
1899년에 필로파포스 기념비에서 발굴 및 보존 작업이 실시되었고, 1940년에는 H. A. Thompson과 J. Travlos가 추가적인 발굴을 진행했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필로파포스 기념비의 구조물 일부가 오스만 제국 시대에 파르테논 신전의 첨탑 건설에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필로파포스 기념비는 1436년에 여행가 치리아코 데 피치콜리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원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으나, 이후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2] 현재 파사드의 3분의 2만 남아 있으며, 묘실은 기초 부분을 제외하고 완전히 파괴된 상태이다.
참조
[1]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theoi.co[...]
Harvard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 Monument of Gaius Julius Antiochus Epiphanes Philopappos: a funerary monument in a visual, comparative, and environmental context in Athens
https://studentthese[...]
2017
[3]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theoi.co[...]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