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테나이의 무사이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테나이의 무사이오스는 고대 그리스의 반신화적 인물로, 시인이자 예언자로 여겨진다. 그는 올렌, 오르페우스 등과 함께 분류되며, 엘레우시스에서 데메테르 신성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무사이오스는 다양한 시적 작품의 저자로 추정되며, 그의 작품으로는 신탁, 데메테르 찬가, 테오고니아 등이 있다. 고대 작가들은 그를 오르페우스의 제자 또는 스승으로 묘사하며,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많은 철학자들이 그의 작품을 언급하며 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그를 유대교의 모세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전시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구전시인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르페우스 - 오르페우스교
    오르페우스교는 영혼 불멸과 윤회 사상을 중심으로 오르페우스, 페르세포네,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며 금욕 생활과 신비 의례를 강조한 고대 그리스 종교로, 그 기원과 발전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의 중이다.
  • 오르페우스 - 시인의 피
    《시인의 피》는 예술가의 무의식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담아 폭력, 죽음, 운명 등을 다루는 초현실주의 영화이다.
  • 아테나이의 시인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아테나이의 시인 - 아리스토파네스
    아리스토파네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희극 작가로, 평화론적 입장에서 당대 유명 인사와 사회를 풍자하는 작품을 썼으며, 그의 희극은 고대 그리스 희극의 전형을 계승하면서도 독창적인 스타일로 현재까지 연극에 영향을 미친다.
아테나이의 무사이오스
기본 정보
그리스어Μουσαῖος
로마자 표기Mousaios
활동 시기기원전 6세기 후반
분야
음악
예언
추가 정보
관련 인물오르페우스 (제자)
에우몰포스 (아들)

2. 생애

반신화적 인물로, 올렌, 오르페우스, 팜푸스와 함께 분류된다.[1] 그는 다양한 시적 작품의 저자로 여겨졌으며, 특히 헤라클레스 시대에 그가 주재했다고 전해지는 엘레우시스에서 데메테르의 신비로운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1]

그는 에우몰포스와 셀레네의 아들인 에우몰피다이 가문에 속한 것으로 여겨졌다.[2] 신화의 다른 변형에서는 그를 덜 명확하게 트라키아인이라고 불렀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무사이오스는 오르페우스의 아들이었고,[3] 타티아누스에 따르면 그는 오르페우스의 제자였다.[3] 다른 사람들은 그를 안티페무스 또는 안티오페무스와 헬레나의 아들로 만들었다.[4]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유세비우스는 그가 오르페우스의 스승이라고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는[5] 그에게 아내 데이오케가 주어진다. 아테나이오스(xiii. p. 597)가 인용한 헤르메시아낙스의 비가 시에서는 안티오페가 그의 아내 또는 정부로 언급된다. 수다 사전은 그에게 아들 에우몰포스를 준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주석가는 팔레루스에 있는 무사이오스의 무덤에 새겨졌다고 하는 비문을 언급한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그는 팔레룸에서 죽어 묻혔으며, 묘비명은 다음과 같다: "무사이오스, 아버지 에우몰포스에게 사랑받은 자, 여기 팔레아토르의 땅에 묻히다."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그는 아크로폴리스 남서쪽의 무세이온 언덕에 묻혔으며,[6] 그곳에는 시리아인에게 헌정된 조각상이 있었다.[19]

2. 1. 가계

2. 2. 아내와 자식

2. 3. 죽음과 무덤

3. 저작

헤로도토스아테나이페이시스트라토스 치세 동안 학자 오노마크리토스가 무사이오스의 신탁을 수집하고 정리하였지만, 거기에 자신이 고안한 위조도 넣었으며, 나중에 헤르미오네의 라소스에게 발견된다고 기록하였다.[25][7] 아티카, 특히 엘레우시스의 밀교적이고 신탁적인 운문과 관습은 무사이오스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 고트프리드 킨켈은 《티타노마키아》와 《신통기》를 그가 썼다고 여겼다.[26][8]

고대인들 사이에서 그의 것으로 여겨지는 시적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신탁(크레스모이/Χρησμοίgrc)[9] – 오노마크리토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왕조 시대에 무사이오스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신탁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그의 일로 삼았으며, 자신의 창작 신탁을 수집에 삽입한 혐의로 히파르코스에 의해 추방되었다.[10]
  • 아들 에우몰포스에게 보내는 훈계(히포테카이/Ὑποθῆκαιagrc), 4000행에 달함[11]
  • 데메테르 찬가 – 이 작품은 파우사니아스에 의해 그의 시대에 현존하는 무사이오스의 유일한 진정한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12]
  • 질병 치료법(엑사케세이스 노손/Ἐξακέσεις νόσωνgrc)[13]
  • 신통기(테오고니아/Θεογονίαgrc)[14] – 신들의 기원에 관한 것
  • 티타노마키아(티타노그라피아/Τιτανογραφίαgrc)[15] – 티탄신족과 올림포스 신들 간의 전투인 티타노마키아에 관한 것
  • 스파이라(스파이라/Σφαῖραgrc)[16] – 아마도 천문학적 시[17]
  • 마비(파랄리세이스/Παραλύσειςgrc), 입문(텔레타이/Τελεταὶgrc), 또는 정화(카타르모이/Καθαρμοίgrc)[18] – 종교적 입문 의식을 언급하는 시의 한 유형[17]


아리스토텔레스 또한 그의 ''정치학'' 제8권에서 무사이오스의 몇 구절을 인용한다. "노래는 모든 것 중에서 인간에게 가장 달콤하다." 그러나 어떤 작품이나 모음집에서 인용했는지는 명시하지 않았다.

윌리엄 스미스는 테오고니와 스파이라의 저자로 언급된 무사이오스가 같은 이름의 전설적인 음유 시인과는 다른 인물이라는 이론을 언급했지만, 그는 그러한 견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없다고 시사한다. 헤로와 레안드로스의 사랑에 관한 시는 훨씬 후대의 작가인 무사이오스 그라마티쿠스의 작품이다.[19]

3. 1. 주요 저작

헤로도토스아테나이페이시스트라토스 치세 동안 학자 오노마크리토스가 무사이오스의 신탁을 수집하고 정리하였지만, 거기에 자신이 고안한 위조도 넣었으며, 나중에 헤르미오네의 라소스에게 발견된다고 기록하였다.[25][7] 특히 엘레우시스의 밀교적이고 신탁적인 운문과 관습은 무사이오스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 고트프리드 킨켈은 《티타노마키아》와 《신통기》를 그가 썼다고 여겼다.[26][8]

고대인들 사이에서 그의 것으로 여겨지는 시적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신탁(크레스모이/Χρησμοίgrc)[9] – 오노마크리토스는 페이시스트라토스 왕조 시대에 무사이오스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신탁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그의 일로 삼았으며, 자신의 창작 신탁을 수집에 삽입한 혐의로 히파르코스에 의해 추방되었다.[10]
  • 아들 에우몰포스에게 보내는 훈계(히포테카이/Ὑποθῆκαιagrc), 4000행에 달함[11]
  • 데메테르 찬가 – 이 작품은 파우사니아스에 의해 그의 시대에 현존하는 무사이오스의 유일한 진정한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12]
  • 질병 치료법(엑사케세이스 노손/Ἐξακέσεις νόσωνgrc)[13]
  • 신통기(테오고니아/Θεογονίαgrc)[14] – 신들의 기원에 관한 것
  • 티타노마키아( 티타노그라피아/Τιτανογραφίαgrc)[15] – 티탄신족과 올림포스 신들 간의 전투인 티타노마키아에 관한 것
  • 스파이라(스파이라/Σφαῖραgrc)[16] – 아마도 천문학적 시[17]
  • 마비(파랄리세이스/Παραλύσειςgrc), 입문(텔레타이/Τελεταὶgrc), 또는 정화(카타르모이/Καθαρμοίgrc)[18] – 종교적 입문 의식을 언급하는 시의 한 유형[17]


아리스토텔레스 또한 그의 ''정치학'' 제8권에서 무사이오스의 몇 구절을 인용한다. "노래는 모든 것 중에서 인간에게 가장 달콤하다." 그러나 어떤 작품이나 모음집에서 인용했는지는 명시하지 않았다.

윌리엄 스미스는 테오고니와 스파이라의 저자로 언급된 무사이오스가 같은 이름의 전설적인 음유 시인과는 다른 인물이라는 이론을 언급했지만, 그는 그러한 견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없다고 시사한다. 헤로와 레안드로스의 사랑에 관한 시는 훨씬 후대의 작가인 무사이오스 그라마티쿠스의 작품이다.[19]

3.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용

헤로도토스아테나이페이시스트라토스 치세 동안 학자 오노마크리토스가 무사이오스의 신탁을 수집하고 정리하였지만, 거기에 자신이 고안한 위조도 넣었으며, 나중에 헤르미오네의 라소스에게 발견된다고 기록하였다.[25] 아티카, 특히 엘레우시스의 밀교적이고 신탁적인 운문과 관습은 무사이오스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 고트프리드 킨켈은 《티타노마키아》와 《신통기》를 그가 썼다고 여겼다.[26]

4. 유산 및 평가

극작가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희곡 ''레소스''에서 "무사이오스도, 너의 거룩한 시민, 모든 사람 중 학문에서 가장 진보했다."라고 묘사한다.[20] 플라톤은 그의 ''이온''에서 시인들은 오르페우스와 무사이오스에게 영감을 받지만, 더 위대한 자들은 호메로스에게 영감을 받는다고 말한다.[21] ''프로타고라스''에서 플라톤은 무사이오스가 신성한 사제이자 예언자였다고 말한다.[22]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오르페우스, 무사이오스, 헤시오도스, 호메로스와 대화할 수 있다면, 사람이 무엇을 주지 않겠는가? 아니, 이것이 사실이라면, 나로 하여금 거듭 죽게 하라."라고 말한다.[23] 알렉산드리아의 아르타파누스,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 아파메아의 누메니우스, 유세비우스는 무사이오스를 유대교의 율법학자인 모세와 동일시한다.[24]

4. 1. 문학적 유산

극작가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희곡 ''레소스''에서 "무사이오스도, 너의 거룩한 시민, 모든 사람 중 학문에서 가장 진보했다."라고 묘사한다.[20] 플라톤은 그의 ''이온''에서 시인들은 오르페우스와 무사이오스에게 영감을 받지만, 더 위대한 자들은 호메로스에게 영감을 받는다고 말한다.[21] ''프로타고라스''에서 플라톤은 무사이오스가 신성한 사제이자 예언자였다고 말한다.[22]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오르페우스, 무사이오스, 헤시오도스, 호메로스와 대화할 수 있다면, 사람이 무엇을 주지 않겠는가? 아니, 이것이 사실이라면, 나로 하여금 거듭 죽게 하라."라고 말한다.[23] 알렉산드리아의 아르타파누스,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 아파메아의 누메니우스, 유세비우스는 무사이오스를 유대교의 율법학자인 모세와 동일시한다.[24]

4. 2. 종교적 유산

극작가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희곡 ''레소스''에서 무사이오스를 "모든 사람 중 학문에서 가장 진보했다"라고 묘사했다.[20] 플라톤은 그의 ''이온''에서 시인들이 오르페우스와 무사이오스에게 영감을 받지만, 더 위대한 자들은 호메로스에게 영감을 받는다고 말했다.[21] ''프로타고라스''에서 플라톤은 무사이오스가 신성한 사제이자 예언자였다고 말한다.[22]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오르페우스, 무사이오스, 헤시오도스, 호메로스와 대화할 수 있다면 어떤 대가라도 치를 것이며, 이것이 사실이라면 거듭 죽어도 좋다고 말했다.[23] 알렉산드리아의 아르타파누스, 알렉산더 폴리히스토르, 아파메아의 누메니우스, 유세비우스는 무사이오스를 유대교의 율법학자인 모세와 동일시한다.[24]

4. 3. 역사적 실존 논쟁

4. 4. 무사이오스와 모세

참조

[1] 인용 Diod
[2] 인용 Philochor
[3]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4] 인용 Schol. ad Soph. Oed. Col
[5] 인용 Mirab
[6] 인용 Pausanias
[7] 인용 Herodotus
[8] 서적 Epicorum graecorum fragmenta 1878
[9] 인용 Aristoph. Frogs
[10] 인용 Hdt
[11] 인용 Suid. l.c
[12] 인용
[13] 인용 Aristoph. Frogs
[14] 인용 Diog. Laert
[15] 인용 Schol. ad Apoll. Rhod
[16] 인용 Diog. Laert. l.c
[17] 서적 Manual of Classical Literature Key and Biddle
[18] 인용 Schol. ad Arist. l.c
[19] 웹사이트 Musaeus https://www.perseus.[...]
[20] 웹사이트 Euripides, Rhesus http://classics.mit.[...]
[21] 웹사이트 Plato, Ion http://classics.mit.[...]
[22] 웹사이트 Plato, Protagoras http://classics.mit.[...]
[23] 웹사이트 Plato, Apology http://classics.mit.[...]
[24] 웹사이트 Eusebius, Praeparatio Evangelica IX http://www.tertullia[...]
[25] 인용 헤로도토스
[26] 서적 Epicorum graecorum fragmenta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