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는 고대 아일랜드의 시인이자 예언자 계급을 지칭하는 단어로, 어원은 "보다"를 의미하는 프로토켈트어에서 유래했다. 필리는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올람(Ollam)과 같은 여러 계급으로 나뉘어졌다. 이들은 역사, 법률, 정치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했으며, 풍자시를 통해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필리는 구전 전통을 통해 신화와 서사 문학을 보존했으며, 기독교화 이후에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필리가 남긴 문학적 유산은 현대 아일랜드 문학과 예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시인을 뜻하는 단어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시 - 다크 로크나가르
    다크 로크나가르는 바이런이 스코틀랜드 로크나가르 산에 대한 향수와 민족주의를 담아 쓴 시로, 비숍 경의 곡조로 편곡되어 스코틀랜드 민요로 불리며 여러 음악가들이 불렀고, 베토벤도 곡을 붙였으나 실제로는 모리스 그린의 작품이었다.
  • 아일랜드의 시 - 오이진의 방랑
    오이진의 방랑은 악마에게 사로잡힌 여성을 구출하고 요정 공주와 불멸의 삶을 살며 세상의 종말을 기다리는 거인들을 만나는 등 방랑하는 오이진의 삶과 고뇌, 그리고 아일랜드 귀환 후 사회 부적응으로 겪는 비극적인 결말을 통해 고독과 방랑, 사회 부적응을 다루는 작품이다.
  • 아일랜드의 시 - 민스트럴 보이
    민스트럴 보이는 토머스 무어가 1813년 발표한 《아일랜드 멜로디》 연작 중 하나로, 아일랜드 독립과 자유 투쟁을 상징하는 가사와 멜로디로 인해 발표 당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중세의 공연자 - 스칼드
    스칼드는 고대 북유럽 궁정 시인으로서 왕과 귀족의 업적을 찬양하는 시를 복잡한 운율과 특수한 어휘로 표현하여 높은 시적 기교를 보여주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지만 14세기 이후 쇠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대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중세의 공연자 - 트루바두르
    트루바두르는 12세기에서 13세기 남프랑스에서 오크어로 서정시를 짓고 노래한 음유 시인으로,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궁정 연애를 노래했으며, 그 작품은 샹소니에라는 노래책에 보존되어 전해진다.
필리
기본 정보
언어고대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설명초기 아일랜드의 특권적이고 강력한 시인 계급. 바드 및 브레혼과는 구별됨.
제임스 매킬롭
제임스 매킬롭의 설명
특징
역할시인, 점쟁이, 예언가
지위높은 지위의 특권 계급
언어난해한 언어 사용
기술필리데히트 (시짓기, 점술)
유사 역할세나하이 (역사가)
지식250개의 주요 이야기와 350개의 작은 이야기 암기 (올람 등급의 시인 기준)
청중족장과 왕
활동여러 왕국을 돌아다니며 이야기 전달
역사적 맥락
구분바드 (Bard), 브레혼 (Brehon)과 구분되는 시인 계급
추가 정보
학자역사가들은 현대 아일랜드어 'file' (파일)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고대 아일랜드어 'fili'를 선호함.
관련 항목올람
세나하이
필리데히트

2. 어원

''fili''라는 단어는 아일랜드 원시어(Primitive Irish) ᚃᚓᚂᚔᚈᚐᚄ[VELITA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프로토켈트어 *weleti("보다") 및 프로토인도유럽어 *wel-("보다, 인지하다")에서 기원한다.[1] "fili"는 "예언자, 보는 자"를 의미하는 프로토켈트어 ''*widlui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라르작의 고대 갈리아어 비문에서 "uidluias"로 증명됨. 이는 여성 단수 소유격 형태임). 궁극적으로는 "보다"라는 의미의 동사 ''*widlu-''에서 유래한다.

3. 계급

필리(filiga)는 여러 계급으로 나뉘었는데, 가장 높은 계급은 올람(ollam)이었다.[1] 올람은 최소 12년 동안 훈련을 받아야 했으며, 250개의 주요 이야기와 350개의 소규모 이야기를 암기해야 했다.[1]

필리는 단순한 시인이 아니라 역사가, 족보학자, 정치 고문 역할도 수행했으며, 세안카이(seanchaí)라고 불렸다. 필리는 예언 능력이 있다고 여겨져 중요한 사건을 예견하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왕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큰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다. 필리는 지도자가 자신들을 제대로 존중하지 않으면 풍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일종의 협박으로 이웃 지도자들 앞에서 그들을 조롱할 수 있었다.

3. 1. 올람 (Ollam)

올람(Ollam)은 필리 중 가장 높은 계급으로, 최소 12년의 훈련이 필요했다.[1] 올람은 주요 이야기 250개와 소규모 이야기 350개를 암기해야 했다.

올람 에렌과 올람 리그 알반에 대해서는 각각 해당 항목과 해당 항목을 참조하라.

3. 1. 1. 올람 에렌 (Ollamh Érenn)

아일랜드 전역의 최고 시인을 올람 에렌(Ollamh Érenn)이라고 불렀다. 최고 시인들 사이에는 계급이 존재했다.[1]

  • 각 투아스(부족 영토)에는 자체 올람이 있었다.
  • 각 주에는 투아스 올람들 위에 수장 올람이 있었다.
  • 올람 에렌은 모든 다른 올람들 위에 있는 수장 올람이었다.


1249년 알렉산더 3세의 스코틀랜드 국왕(King of Scots) 대관식에서의 올람 리(An Ollaimh Righ).

3. 1. 2. 올람 리그 알반 (Ollamh rig Alban)

중세 스코틀랜드에서 ''Ollamh rig Alban''(올람 리그 알반) 즉, '스코틀랜드의 뛰어난 시인'은 왕실의 중요한 일원이었다. 새로운 왕이 즉위할 때마다, 올람 리그는 미래 왕의 족보를 낭송하여 그의 합법적인 계승권을 확인해야 했다.[1]

구절영어스코틀랜드 게일어
Ollamh rig Alban스코틀랜드의 뛰어난 시인 스코틀랜드
An Ollaimh Righ왕의 뛰어난 시인
Do gairm rig왕의 선포 선포



왕위 계승 의식에 사용된 발자국, 듀나드

3. 2. 세안카이 (Seanchaí)

필리는 단순한 시인이 아니라 역사가, 족보학자, 정치 고문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들은 세안카이(seanchaí)라고 불렸으며, 족장과 왕에게 정치적 조언을 제공했다. 필리는 예언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져 중요한 사건을 예견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

필리는 왕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큰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다. 지도자들은 시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필리를 존중하고 후하게 보상했다. 필리는 후원자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이웃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었다.

지도자가 필리를 제대로 존중하지 않으면 풍자의 대상이 될 위험이 있었다. 필리는 일종의 협박으로 이웃 지도자들 앞에서 그들을 조롱할 수 있었다.

필리는 점술 능력이 있어 중요한 사건을 예견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믿어졌다. 또한 그들이 미래 사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두려움도 있었다.

3. 3. 풍자의 두려움 (Fear of satire)

필리는 왕이나 지도자를 풍자하여 조롱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도자들은 필리를 함부로 대할 수 없었다. 만약 지도자들이 필리들을 제대로 존중하지 않으면, 필리들은 이웃 지도자들 앞에서 그들을 조롱할 수 있었기에, 이는 일종의 협박과 같았다. 이러한 풍자의 힘은 필리가 사회적으로 강력한 권력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필리들은 점술 능력을 통해 미래를 예견하고, 심지어 미래의 사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어졌기 때문에 더욱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4. 분류

필리는 고대 아일랜드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았으며, 그들의 지위와 전문 분야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뉘었다. 이들은 지식과 기술을 구전으로 전승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1. 아일랜드 이야기 (Irish storytelling)

필리들이 전승하던 이야기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1]

고대 아일랜드어한국어 번역
togla파괴
tana가축 약탈
tochmarca구혼
catha전투
uatha공포
immrama항해
aite죽음
fessa잔치
forbassa포위 공격
echtrae모험 여정
aitheda가출
airgne약탈


4. 2. 아일랜드 시 (Irish poetry)

필리는 베를라 나 필레드(Bérla na filed)라는 특별한 언어를 사용했다. 이는 아일랜드어, 라틴어, 히브리어 등이 혼합된 난해한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

5. 역사

초기 필리는 마술사, 입법자, 판사, 족장 고문, 시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역할이 분담되어, 브레혼(brehons)은 법률 전문가로서 법률 연구와 판결을 담당했고, 드루이드(druids)는 사제로서 초자연적인 힘을 다루고 종교 의식을 맡았다. 필리 자신들은 주로 시인과 철학자로 활동했다. 이러한 역할 분담은 성 파트리치오(St Patrick) 시대에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며, 성 파트리치오는 드루이드들과 자주 대립했다.

필리들은 아일랜드기독교화 이전부터 내려오던 구전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 전통에서 시와 음악적인 형태는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기억술적인 가치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졌다. 특히 창의적인 과장법과 재치 있는 케닝을 통해 즉흥 연주와 개인적인 표현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문화는 필리들이 장식이 아닌 사실로 간주되는 요소들을 바꾸지 않고 여러 세대에 걸쳐 이야기와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독교 이전의 상당한 양의 신화 및 서사 문학이 기독교 시대에도 여러 세기 동안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다. 이 유산의 대부분은 학문적인 기독교 수도사들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풍부하고 오래된 토착 구전 문학 전통과 고전 전통의 만남은 전쟁 서사시, 사랑 이야기, 자연시, 성인 이야기 등을 포함하는 수도원 문학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비라틴어 문학 유산을 만들어냈다.

기독교를 받아들이면서 아일랜드 게일 사회의 족장들은 필리와 주교 모두에게 토지와 작위를 주어야 했기 때문에 부담이 커졌다. 그 결과, 6세기에 필리의 수는 존경받고 타고난 시인으로 여겨지는 특정 가문으로 제한되었다. 주요 가문은 다음과 같다.

가문설명
오달리(Ó Dálaigh)여러 명이 아일랜드 전역의 수석 올람(ollamh) 시인 지위를 받았다.
오히긴(Ó hUiginn)오코너 슬리깃, 맥더멋, 맥도나, 오도허티 등 여러 게일 가문의 세습 필리였다.
오코브타이(Ó Cobhthaigh)우이스니히(Uisneach)의 필리로 알려졌다.
오몰 콘네어(Ó Maol Chonaire)주로 실 무레아다이(Síol Muireadaigh)의 올람이었으며, 오콘쿠바이 돈(Ó Conchubhair Donn)과 맥더멋(MacDermot) 가문의 모일러그(Moylurg)와 관련 있었다. 울스터와도 관련이 있었고 콘노트에서 먼스터와 레인스터의 궁정으로 퍼져나갔다.
오클레리히(Ó Cléirigh)티르 코넬(Tír Connell)의 오도넬(O'Donnel) 족장들을 섬겼다.



중세 아일랜드 궁정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세습 시인들은 예술가, 고문, 족보학자로서 기독교 이전 필리와 비슷한 지위를 누렸다. 그러나 12세기부터 앵글로-노르만 세력이 아일랜드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게일 문화가 쇠퇴하면서 이들은 서면 문학과 문장학 같은 외래 전통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게일 사회에서 지방의 수석 필리 또는 올람(Ollamh)은 아드리(Ard-rí) 또는 고왕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엘리자베스 시대까지도 이 높은 사회적 지위는 존재했는데, 당시 영국 귀족들은 게일 족장들이 시인들과 같은 식탁에서, 심지어 같은 그릇에서 식사하는 것을 보고 경악했다. 결국 고전 문학과 랑그도크(langue d'oc)의 트루바두르 전통에서 유래한 낭만주의 문학이 고대 필리에게 익숙했던 자료를 대체했다.

5. 1. 엘리트 학자 (Elite scholars)

초기 필리는 마술사, 입법자, 판사, 족장 고문, 시인 등 다양한 역할을 겸했다. 후대에 역할이 분담되어 브레혼(brehons, 법률 전문가)은 법률 연구와 법적 결정을, 드루이드(druids, 사제)는 초자연적 기능과 일부 사제 직무를 맡았고, 필리 자신들은 주로 시인과 철학자로서 활동했다. 이러한 분업은 성 패트릭(St Patrick) 시대 아일랜드에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설교는 드루이드들과 끊임없는 대립을 불러왔다.

5. 2. 구전 전통 (Oral tradition)

필리들은 아일랜드기독교화 이전부터 존재했던 구전 전통을 유지했다. 이 전통에서 시와 음악적인 형태는 미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기억술적 가치 때문에 중요했다. 이 전통은 특히 창의적인 과장법과 재치 있는 케닝과 관련하여 즉흥 연주와 개인적인 표현에 많은 여지를 남겼다. 그러나 이 문화는 필리들이 장식이 아닌 사실로 간주되는 요소들을 변경하지 않고 여러 세대에 걸쳐 이야기와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독교 이전의 상당한 양의 신화 및 서사 문학이 기독교 시대에 수 세기 동안 상당 부분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 그 대부분은 학문적인 기독교 수도사들에 의해 최초로 기록되었다. 풍부하고 오래된 토착 구전 문학 전통과 고전 전통 사이의 시너지 효과는 전쟁 서사시, 사랑 이야기, 자연시, 성인 이야기 등을 포함하는 수도원 문학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집합적으로 고대 그리스 이후 유럽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비라틴어 문학 자료를 만들어냈다.

5. 3. 쇠퇴 (Decline)

기독교 수용으로 아일랜드 게일 사회 내 족장들은 필리와 주교 모두에게 토지와 작위를 제공해야 했기에 부담이 커졌다. 그 결과, 6세기에 필리의 수는 존중받고 타고난 시인으로 여겨지는 특정 가문으로 제한되었다. 주요 가문은 다음과 같다.

  • 오달리(Ó Dálaigh)(O'Daly) 가문: 여러 명이 '아일랜드 전역의 수석 올람(ollamh) 시인' 지위를 받았다.
  • 오히긴(Ó hUiginn)(O'Higgins) 가문: 오코너 슬리깃, 맥더멋, 맥도나, 오도허티 등 여러 게일 가문의 세습 필리였다.
  • 오코브타이(Ó Cobhthaigh)(Coffey) 가문: 우이스니히(Uisneach)의 필리로 알려졌다.
  • 오몰 콘네어(Ó Maol Chonaire) 가문: 주로 실 무레아다이(Síol Muireadaigh)의 올람이었으며, 오콘쿠바이 돈(Ó Conchubhair Donn)과 맥더멋(MacDermot) 가문의 모일러그(Moylurg)와 관련 있었다. 울스터와도 관련이 있었고 콘노트에서 먼스터와 레인스터의 궁정으로 퍼져나갔다.
  • 오클레리히(Ó Cléirigh) 가문: 티르 코넬(Tír Connell)의 오도넬(O'Donnel) 족장들을 섬겼다.


중세 아일랜드 궁정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세습 시인들은 예술가, 고문, 족보학자로서 기독교 이전 필리와 유사한 지위를 누렸다. 그러나 12세기부터 앵글로-노르만 세력이 아일랜드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게일 문화가 쇠퇴하면서 이들은 서면 문학과 문장학 같은 외래 전통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게일 사회에서 지방의 수석 필리 또는 올람(Ollamh)은 아드리(Ard-rí) 또는 고왕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엘리자베스 시대까지도 이 높은 사회적 지위는 존재했는데, 당시 영국 귀족들은 게일 족장들이 시인들과 같은 식탁에서, 심지어 같은 그릇에서 식사하는 것을 보고 경악했다. 결국 고전 문학과 랑그도크(langue d'oc)의 트루바두르 전통에서 유래한 낭만주의 문학이 고대 필리에게 익숙했던 자료를 대체했다.

6. 유산 (Legacy)

필리가 남긴 문학 전통은 현대 아일랜드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와 켈트 부흥에 참여한 다른 작가들은 필리의 전통 문학을 재해석하였으며, 제임스 조이스도 이러한 자료에서 영감을 받았다.[3] 현대 판타지 문학과 미술은 쿠훌린, 핀 맥쿨, 투아타 데 다난과 같은 필리의 이야기와 인물들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터럴러 오캐럴런(1738년 사망)과 같은 전통 음악가들과 수많은 무명 동료들을 통해 필리의 음악 전통은 플랭크티, 더 치프틴스, 더 더블리너스와 같은 예술가들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현대 아일랜드어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시인'을 뜻하는 단어는 'fili'에서 유래했다.



켈트 재구성주의 이교 실천자들은 필리가 사용했던 ''임바스 포로스나이''와 ''타르브페이스'' 의식과 같은 트랜스와 환상 기법을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vtionary series ;9 Leiden: Brill 2009
[2] 웹사이트 Three poems in bérla na filed.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4-03-03
[3] 웹사이트 Seanachies: keepers of Ireland's rich folklore heritage http://www.irishcent[...] 2014-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