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디자인대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건축, 조경 건축, 도시 계획 및 디자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는 하버드 대학교의 대학원이다. 1874년 건축 강좌 개설을 시작으로, 1936년 건축, 조경, 도시 계획을 통합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GSD는 건축학 석사, 조경 건축 석사, 도시 계획 석사 등 다양한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CAD, CG 모델링, GIS 등 디지털 기술 교육에 중점을 둔다. 저명한 교수진과 동문을 배출했으며, 한국인 동문으로는 미진 윤, 위 콩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축학교 - 카우나스 공과대학교
카우나스 공과대학교는 1922년 리투아니아 대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며, 리투아니아어와 정체성을 지키며 서구 표준을 도입,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국제 협력을 통해 교육 및 연구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리투아니아의 공과대학교이다. - 건축학교 - 아키텍처럴 인스티튜트 인 프라하
아키텍처럴 인스티튜트 인 프라하는 2005년 마틴 루비크와 레지나 루코토바에 의해 설립된 체코 프라하의 건축 학교이며, 영어로 진행되는 학사 및 석사 과정을 제공하고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1874년 개교 - 리즈 대학교
리즈 대학교는 1904년 영국 왕실 칙허로 설립된 연구 중심 공립 대학교로, 리즈 의학교와 요크셔 과학대학이 통합되어 잉글랜드 리즈에 위치하며, 러셀 그룹 등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이자 인문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 1874년 개교 - 릿쿄 대학
릿쿄 대학은 1874년 미국 성공회 선교사가 설립한 릿쿄학교를 기원으로 하는 일본의 사립 종합대학으로, 성서와 영어 교육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국제적인 학풍과 리더십 교육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진 이케부쿠로와 니자 두 캠퍼스를 운영하는 대학이다. - 하버드 대학교 - 하버드-옌칭 연구소
하버드-옌칭 연구소는 1928년 옌칭대학교 총장에 의해 설립되어 하버드 대학교와 동아시아 연구를 지원하고, 하버드-옌칭 도서관 운영 및 학술 교류를 진행한다. - 하버드 대학교 - 하버드 케네디 스쿨
하버드 케네디 스쿨은 1936년 하버드 대학교 정부대학원으로 설립되어 공공정책, 국제관계, 공공행정 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공공 부문 리더십 양성에 중점을 둔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이다.
| 하버드 디자인대학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 |
| 원어 이름 |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
| 설립 | 1874년 (첫 강의) |
| 설립 | 1936년 (GSD 설립) |
| 유형 | 사립 디자인 대학원 |
| 모기관 | 하버드 대학교 |
| 위치 |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
| 국가 | 미국 |
| 캠퍼스 | 도시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 행정 | |
| 학장 | 사라 위팅 |
| 통계 | |
| 학생 수 | 878명 |
| 학생 구성 | 362명 (건축학) |
| 학생 구성 | 161명 (도시 계획 및 디자인) |
| 학생 구성 | 182명 (조경 건축학) |
| 학생 구성 | 173명 (박사/디자인 연구) |
| 교수진 | 206명 |
| 기부금 | 3억 9600만 미국 달러 |
| 추가 정보 | |
| 건물 | 1972년에 건축가 존 앤드루스가 설계한 건 홀은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의 본거지이다. |
2. 역사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의 역사는 187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총장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사촌이었던 찰스 엘리엇 노턴 교수가 예술론 강의에서 건축사를 다루면서 건축 교육의 씨앗을 뿌렸다. 이후 1893년 허버트 랭퍼드 워렌 교수에 의해 하버드 최초의 건축 전문 수업이 시작되었고, 1895년에는 자연과학부 내에 건축학사 과정이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조경(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 분야는 1900년에 미국 최초의 전문 과정으로 학부에 개설되었다. 이는 보스턴 파크 시스템인 "에메랄드 목걸이" 조성에 기여했던 찰스 엘리엇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기리고 그의 전문 분야를 교육 과정으로 만들고자 했던 아버지 엘리엇 총장의 바람과,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아들인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 및 아서 샤클리프 등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1906년에는 학부 교육의 인문학적 목표를 강화하기 위해 건축과 조경 과정을 대학원 수준으로 이전하였다. 도시 계획학 분야는 1909년 조경 전공 강의의 일부로 James Sturgis Pray|제임스 스터지스 프레이eng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1914년에는 대학원으로서의 지위를 공식적으로 획득했다.
도시 계획 분야는 1923년 헨리 빈센트 허바드 교수의 노력으로 조경 전공 내에 도시 계획 코스가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1929년에는 독립적인 도시 계획 디자인 전공으로 개편되었다.
마침내 1936년, 대학원 내의 건축, 조경, 도시 계획 디자인의 세 분야를 하나로 통합하여 현재의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raduate School of Design, GSD)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각 디자인 분야의 전문성을 심화하면서도 학제 간 융합을 추구하는 GSD의 초석이 되었다.
2. 1. 건축

찰스 엘리엇 노턴은 1874년 하버드 대학교에 최초로 건축 강좌를 도입했다.[6]
2. 2. 조경 건축
1893년, 미국 최초의 전문 조경 과정이 하버드 대학교에서 개설되었다. 이는 당시 총장 찰스 윌리엄 엘리엇의 사촌인 찰스 엘리엇 노턴 교수가 1874년 예술론 강의에서 건축사를 다루며 건축 및 디자인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 흐름 속에서 이루어졌다.1900년에는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2세와 아서 A. 슈얼리프(Arthur A. Shurcliff)에 의해 세계 최초의 조경 프로그램이 학부 과정으로 설립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설립 배경에는 엘리엇 총장이 보스턴 파크 시스템인 "에메랄드 목걸이" 조성에 기여했던 아들 찰스 엘리엇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애도하며 그의 전문 분야였던 조경 건축을 교육 과정으로 만들고자 하는 바람이 있었다. 찰스 엘리엇과 함께 파크 시스템 조성에 참여했던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아들인 옴스테드 2세와 슈얼리프가 이 뜻을 이어받아 프로그램을 창설했다.
1906년에는 학부 교육의 인문학적 목표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학부 수준에서 운영되던 건축과 조경 건축 과정을 대학원 수준으로 이전하였다. 1909년에는 조경 건축 전공 강의의 일환으로 James Sturgis Pray|제임스 스터지스 프레이eng 교수에 의해 도시 계획학 강의가 처음 시작되었다.
조경학과는 1913년에 정식으로 설립되었다.[7] 이후 1923년, 조경 건축 전공 교수였던 헨리 빈센트 허바드의 노력으로 도시 계획학이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조경 건축 전공 내에 도시 계획 코스가 개설되었고, 1929년에는 이 코스가 독립적인 도시 계획 디자인 전공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에는 대학원 내의 건축, 조경 건축, 도시 계획 디자인의 세 분야를 통합하여 현재의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raduate School of Design, GSD)의 모태가 되는 대학원 디자인 스쿨이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1942년에 졸업하고 모교에서 교수로 활동한 레스터 콜린스가 학장을 역임하며 조경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8][9]
2. 3. 도시 계획 및 디자인
190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최초의 도시 계획 강좌가 개설된 것을 시작으로, 1909년에는 제임스 스터지스 프레이가 가르치는 도시 계획 강좌가 당시 조경 건축 학교의 일부로서 하버드 디자인 커리큘럼에 포함되었다. 이후 도시 계획 분야는 꾸준히 발전하여 학위 과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도시 계획 및 디자인 분야의 주요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주요 내용 |
|---|---|
| 1900 | 하버드 대학교 최초의 도시 계획 강좌 개설 |
| 1909 | 제임스 스터지스 프레이가 도시 계획 강좌 개설 (조경 건축 학교 커리큘럼 포함) |
| 1923 | 조경 건축 석사 학위 프로그램 내 도시 계획 전공 개설 (헨리 빈센트 허바드 주도) |
| 1929 | 북미 최초의 도시 계획 학위(대학원) 개설 (록펠러 재단 지원). 도시 계획 코스가 도시 계획 디자인 전공으로 개편. |
| 1936 |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 디자인 대학원으로 이전. 건축, 조경, 도시 계획 3개 분야 통합. |
| 1950 | 도시 디자인 및 지역 계획 프로그램 코스 개설 |
| 1959 | MIT와 공동으로 도시 연구소 설립 (포드 재단 지원) |
| 1960 | 호세 루이스 세르트가 미국 최초의 도시 설계 프로그램 및 1년 과정의 어번 디자인 전공 개설 |
| 1970 | GSD 내 도시 계획 학위 프로그램 일시 종료 |
| 1981 | 도시 및 지역 계획 프로그램이 케네디 행정대학원과 문리대학으로 분산 |
| 1984 | 제럴드 M. 맥큐 학장 주도로 도시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도시 계획 및 디자인 학부 설립 및 GSD로 복귀 |
| 1994 |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 앨버트 카네세일과 피터 G. 로위 후원으로 디자인 대학원에 공식 복귀 (물리적 계획 프로그램으로 구상). 1994–1995학년도에 첫 학생들을 받음. |
| 2021 | 도시 계획 및 디자인 학부가 부동산학 석사(MRE) 학위 과정 담당[10] |
1960년 호세 루이스 세르트 학장은 미국 최초의 도시 설계 프로그램을 설립하였으며, 이는 여러 디자인 분야 졸업생들이 함께 배우는 통합적인 교육 방식을 채택했다. 잠시 케네디 행정대학원 등으로 분산되었던 도시 계획 프로그램은 1984년 제럴드 M. 맥큐 학장의 노력으로 도시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학부로 재편되어 디자인 대학원으로 돌아왔고, 1994년 공식적으로 복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1년부터는 부동산학 석사(MRE) 과정도 담당하게 되었다.[10]
2. 4. 통합 및 발전
1936년, 건축, 조경, 도시 계획의 세 가지 주요 디자인 분야가 공식적으로 통합되어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GSD)이 설립되었다.[6][7] 초대 학장은 미국의 건축 학자이자 교수였던 조셉 F. 허드넛(Joseph F. Hudnut, 1886–1968)이 맡았다. 이 통합 이전에 도시 계획 분야는 1929년 북미 최초의 도시 계획 학위(대학원 과정)가 록펠러 재단의 지원으로 개설되었으며, 1936년 GSD 설립과 함께 대학원으로 이전되었다.[10]1937년, 독일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가 건축학과 학과장으로 GSD 교수진에 합류했다. 그는 마르셀 브로이어를 비롯한 유럽의 주요 현대 디자이너들을 영입하여 GSD의 교육 과정을 혁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GSD가 현대 건축 및 디자인 교육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0년, 당시 학장이었던 호세 루이스 세르트는 미국 최초의 도시 설계(Urban Design) 전문 프로그램을 GSD 내에 창설했다. 이 프로그램은 건축, 조경, 도시 계획 분야 졸업생들이 함께 배우며 도시 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하는 선구적인 시도였다.
GSD의 상징적인 건물인 조지 건드 홀(George Gund Hall)은 1972년에 문을 열었으며, 호주 출신 건축가이자 GSD 졸업생인 존 앤드루스가 설계했다. 한편,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활동했던 컴퓨터 그래픽 및 공간 분석 연구소(LCGSA)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기술의 초기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한 연구 환경으로 평가받는다.[11][5] 최근에는 건축 설계 및 건설 분야에서 새로운 재료 시스템과 제작 기술을 연구하는 디자인 로보틱스 그룹(Design Robotics Group)과 같은 연구 이니셔티브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1][5]
도시 계획 프로그램은 GSD 내에서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81년에는 케네디 행정대학원과 문리과대학으로 분산되었으나, 1984년 제럴드 M. 맥큐 학장의 주도로 도시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도시 계획 및 디자인 학부가 다시 설립되었다. 1994년에는 피터 G. 로위 학장과 앨버트 카네세일 케네디 스쿨 학장의 협력 하에 도시 계획 프로그램이 다시 GSD로 공식 복귀하여 물리적 계획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으로 재편되었다.[10] 2021년에는 도시 계획 및 디자인 학부 산하에 부동산학 석사(Master in Real Estate, MRE) 과정이 신설되었다.[10]
2. 5. 역대 학장
wikitext| 학장 | 재임 기간 | 경력 |
|---|---|---|
| 조지프 허드넛 | 1936년 - 1953년 | 건축가 |
| 호세 루이스 세르트 | 1953년 - 1969년 | 건축가 및 도시 계획가 |
| 모리스 D. 킬브리지 | 1969년 - 1980년 | 도시 계획가 |
| 제럴드 맥큐 | 1980년 - 1992년 | 건축가 |
| 피터 로우 | 1992년 - 2005년 | 건축가 |
| 앨런 알트슐러 | 2005년 - 2008년 | 도시 계획가 |
| 모센 모스타파비 | 2008년 - 2019년 | 건축가 |
| 사라 와이팅 | 2019년 - 현재 | 건축가 |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건축, 조경 건축, 도시 계획, 도시 디자인, 디자인 연구 등 폭넓은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2]
3. 교육 과정
GSD의 교육 프로그램은 높은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디자인 교육 평가 기관인 ''DesignIntelligence''가 전미 건축 인증 위원회(NAAB) 인증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한 순위에서 GSD는 지난 10년간 평균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3. 1. 학위 과정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석사 및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석사 학위'''
석사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학위를 수여한다:[12]
MArch I과 MLA I 과정은 디자인 교육이나 실무 경험이 없는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3년 과정이다. 관련 분야 학위 소지자나 경력자는 2학년으로 편입(Advanced Placement, AP)하여 2년 과정으로 이수할 수 있다. MArch II, MLA II, MAUD, MLAUD는 관련 분야 학위 소지자 및 경력자를 대상으로 하는 1년 과정의 전문대학원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학기당 약 20학점을 이수하며, 필수 스튜디오 1개와 세미나 및 강의 3개 외에 선택 과목을 수강한다. 다른 하버드 대학원이나 MIT의 수업 수강도 가능하다. 교육 과정에서는 CAD, CG 모델링, GIS와 같은 디지털 기술 습득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박사 학위'''
박사 과정에서는 다음 학위를 제공한다:
3. 2. 특징
각 전공 분야에서는 CAD, CG 모델링, GIS와 같은 디지털 기술 교육을 중요하게 다룬다.[5] 과거 GSD의 컴퓨터 그래픽 및 공간 분석 연구소(LCGSA)는 상용화된 GIS 기술 개발에 기여한 바 있으며,[11] 최근에는 디자인 로보틱스 그룹을 통해 새로운 재료 시스템과 제작 기술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11][5]
석사 과정은 지원자의 배경에 따라 구분하여 운영한다. 디자인 교육이나 실무 경험이 없는 학생을 위한 과정(Master I, 3년)과 디자인 교육을 이수했거나 관련 경험이 있는 학생이 2학년으로 편입하는 과정(Master I AP, 2년), 그리고 이미 디자인 교육을 마치고 심화 학습을 원하는 전문가를 위한 과정(Master II, 1년)이 있다. 각 과정은 학기당 20학점을 기준으로 하며, 필수 스튜디오 1개와 세미나 및 강의 3개 등을 수강하게 된다.
학생들은 GSD 내 과정 외에도 하버드 대학교의 다른 대학원 과정이나 MIT의 수업을 수강할 수 있다.
4. 캠퍼스
GSD 캠퍼스는 하버드 야드 북동쪽, 메모리얼 홀 맞은편에 자리 잡고 있다. GSD의 핵심 건물인 군드 홀(Gund Hall) 외에도, 인근 건물에는 학교의 디자인 연구소, 교수 사무실, 로브 펠로우십 프로그램 사무실,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연구 공간 등이 마련되어 있다.
4. 1. 군드 홀
GSD 캠퍼스는 하버드 야드 북동쪽에 위치하며, 메모리얼 홀 맞은편에 있다. 군드 홀(Gund Hall)은 GSD의 핵심 건물이자 본관으로, 1972년에 개관했으며 대부분의 학생 공간과 교수진 사무실을 포함하고 있다. 인근 건물에는 학교의 디자인 연구소, 교수 사무실, 롭 펠로우십 프로그램 사무실, 그리고 MDes 및 DDes 프로그램을 포함한 학생들을 위한 연구 공간이 있다.군드 홀에는 약 800명의 학생과 100명 이상의 교수진 및 직원을 위한 작업실(스튜디오)과 사무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강의실, 세미나실, 워크숍, 암실, 컴퓨터 시설, 시청각 센터, 프란시스 로브 도서관, 차우하우스(Chauhaus), 구내식당, 프로젝트 룸, 파이퍼 강당 등이 있다.


건물 중앙의 작업실 공간은 '쟁반'(Trays)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5개 층에 걸쳐 계단식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이 공간은 클리어스팬 공법[34]으로 지어진 거대한 계단식 유리 지붕 아래에 있어 풍부한 자연 채광을 받는다.[23]
군드 홀은 호주 출신의 건축가이자 GSD 동문인 존 앤드류스(John Andrews)가 설계했으며, 구조 공학자인 윌리엄 르메수리에(William LeMessurier)가 감리를 맡았다. 르메수리에 역시 GSD 동문이다.[35][24] 건물 외부에는 농구 코트가 있는 마당(정원)이 있으며, 이곳은 종종 행사, 수업 프로젝트 전시 공간, 그리고 졸업식 장소로 활용된다.
4. 2. 프랜시스 로브 도서관
프랜시스 로브 도서관(eng)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의 주요 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은 30만 권이 넘는 장서와 학술 저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재료 및 시각 자료 부서와 GSD의 희귀 도서 및 필사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는 특별 컬렉션 부서도 갖추고 있다.4. 3. 제작 연구소 (Fabrication Lab)
제작 연구소는 교직원 연구 및 학생 수업을 위한 모델 제작과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전통적인 도구와 최첨단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이곳에는 목공 작업실, 금속 작업실, 인쇄 실험실, 3D 프린팅, CNC 공구, 로봇 기계, 레이저 절단기 등이 있다.[25]5. 연구 및 출판
학위 과정 외에도 GSD는 뢰브 펠로우십(Loeb Fellowship)을 관리하며, 다이앤 E. 데이비스와 릴리 송이 이끄는 지속 가능한 인프라를 위한 조프나스 프로그램(Zofnass Program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 도시 교통의 변혁에 관한 연구(TUT-POL: The Urban Transect Project - The Role of Political Leadership) 등 다양한 연구 계획을 주최한다. 또한, 디자인 관련 서적과 학술지를 출판하고 있다. 1935년부터는 국제 건축 여행 펠로우십인 휠라이트 상을 수여해 왔다.
5. 1. 디자인 연구소
GSD 디자인 연구소는 디자인이 사회 변화를 이끄는 힘이 될 수 있도록, 연구를 통해 이론적 지식과 실제 응용 지식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다음과 같은 7개의 연구소가 운영되고 있다.- 재료 공정 및 시스템 그룹 (Materials Processes and Systems Group)
- 에너지, 환경 및 디자인 (Energy, Environments and Design)
- 뉴 지오그래피 연구소 (New Geographies Lab)
- 반응형 환경 및 아티팩트 연구소 (Responsive Environments and Artifacts Lab)
- 사회적 에이전시 연구소 (Social Agency Lab)
- 도시 이론 연구소 (Urban Theory Lab)
- 기하학 연구소 (Geometry Lab)
5. 2. 주요 출판물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다음과 같은 주요 출판물을 발행한다.- 하버드 디자인 매거진(Harvard Design Magazine): 격년으로 발행된다.
- Platform
- 기타 디자인 서적 및 스튜디오 작품.
6. 교수진 및 동문
2013년 기준으로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96개국 출신의 13,0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36] 같은 해 기준으로 GSD에는 77명의 정규 교수진과 129명의 방문 교수 및 강사가 있었으며, 정규 교수진의 45%는 미국 외 다른 국가 출신으로 국제적인 교수진 구성을 보여준다.[36]
GSD를 거쳐간 학장들은 다음과 같다.
| 학장 | 재임 기간 | 경력 |
|---|---|---|
| 조셉 허드넛 | 1936–1953 | 건축가 |
| 호세 루이스 세르트 | 1953–1969 | 건축가 및 도시 계획가 |
| 모리스 D. 킬브리지 | 1969–1980 | 도시 계획가 |
| 제럴드 M. 맥큐 | 1980–1992 | 건축가 |
| 피터 G. 로위 | 1992–2004 | 건축가 |
| 앨런 A. 알트슐러 | 2005–2008 | 도시 계획가 |
| 모흐센 모스타파비 | 2008–2019 | 건축가 |
| 사라 M. 와이팅 | 2019–현재 | 건축가 |
2012-2013학년도 기준으로 GSD에는 총 878명의 학생이 등록했으며, 이 중 건축학 전공이 362명(42%), 조경학 전공이 182명(21%), 도시 계획 전공이 161명(18%), 박사 과정 또는 디자인 연구 프로그램에 173명(20%)이 속해 있었다. 전체 학생의 약 65%는 미국인이었고, 학생들의 평균 연령은 27세였다.[17] GSD 학생들은 대학 전체 학생 자치 기구인 하버드 대학원 평의회(HGC)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GSD 내부에도 다양한 학생 클럽이 운영되고 있다.[18]
6. 1. 저명한 교수진 (일부)
2013년까지 GSD는 96개국 출신 13,000여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해냈다. 당시 77명의 정규 교수진과 129명의 방문 교수 및 강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교수진의 45%는 미국 외 다른 국가 출신이었다.[36] GSD는 역사적으로 세계적인 건축가, 조경가, 도시 계획가들을 교수진으로 초빙해왔다.


GSD 초기 발전에 기여한 주요 교수진으로는 바우하우스의 창립자인 발터 그로피우스가 있다. 그는 1937년 건축학과 학과장으로 합류하여 마르셀 브로이어와 같은 모더니즘 디자이너들을 영입하고 교육 과정을 개편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호세 루이스 세르트는 1953년부터 1969년까지 학장을 역임하며 미국 최초의 도시 설계 프로그램을 설립했고, 미국에 현대 건축을 도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조경학 분야에서는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와 그의 아들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주니어가 과정 창설에 기여했고[7], 레스터 콜린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수로 활동하며 학과 발전에 이바지했다.[8][9] 영향력 있는 건축사학자 지크프리트 기디온 역시 GSD에서 강의했다.
현재 GSD의 주요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 게리 R. 힐더브랜드
- 마틴 베흐톨트
- 아니타 베리즈베이티아
- 이브 블라우
- 숀 캔티
- 제니퍼 보너
- 하니프 카라
- 호르헤 실베티
- 앙투안 피콩
- 파르시드 무사비
- 잔 강
- 피터 G. 로
- 존 R. 스틸고
- K. 마이클 헤이스
- 크시슈토프 보디츠코
- 모흐센 모스타파비 (전 학장)
- 프레스턴 스콧 코헨
- 라훌 메흐로트라
- 렘 콜하스
- 그레이스 라
- 라파엘 모네오
- 사라 M. 와이팅 (현 학장)
- 모리 토시코
- 마크 리
- 샤론 존스턴
과거에 활동했거나 객원 교수로 참여한 다른 저명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프랭크 게리: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 GSD에서 도시 계획을 공부했으나 마치지 못했고, 2000년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자하 하디드: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
- 필립 존슨: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 GSD 졸업생이기도 하다.
- 앨런 A. 알트슐러: 전 학장, 도시 계획가.
- 마사 슈워츠: 조경가.
- 리처드 T.T. 포먼: 조경 생태학자.
- 마이클 반 발켄버그: 조경가.
- 바바라 베스터[31]
- 타티아나 빌바오: 건축가.
- 피에르 드 뫼롱: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
- 비야케 잉엘스: 건축가, 객원 교수.[32]
- 크리스토퍼 터너드: 조경가.
- 에두아르트 세클러: 건축사학자.
- 조지 하그리브스: 조경가.
- 자크 헤르조그: 프리츠커상 수상 건축가.
- 게르하르트 칼만: 건축가, 보스턴 시청 공동 설계자.
- 헨리 N. 코브: 건축가, 보스턴의 존 핸콕 타워 설계자.
- 휴 스터빈스: 건축가, 시티그룹 센터 설계자.
- J. B. 잭슨: 미국 민속 조경 작가.
- 재클린 타이어위트: 도시 계획가, 1955–1969 재직.
- 리처드 M. 소머: 건축가, 1998–2009 재직.
- 예르지 솔탄: 건축가, 1959-1979 재직.
- 존 윌슨: 조각가.
- 케네스 존 코난트: 건축사학자.
- 마르셀 브로이어: 건축가, 디자이너.
- 마틴 바그너: 독일 건축가, 주택 전문가.
- 마이클 매키넬: 건축가, 보스턴 시청 공동 설계자.
- 모니카 폰세 데 레온: 건축가.
- 모셰 사프디: 건축가, Habitat 67 설계자.
- 피터 워커: 조경가.
- 릭 조이: 건축가, 객원 교수.
- 세르주 체르마예프: 건축가, 1953–1962 재직.[33]
- 테오도라 킴볼 허버드: 도서관 사서, 1911-1924 재직.
- 윌리엄 도벨
- 제럴드 맥
- 칼 스타이닛츠
6. 2. 저명한 동문 (일부)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2013년 기준으로 96개국 출신 13,0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36] 저명한 동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건축 분야'''
- 헨리 N. 콥
- 마키 후미히코: 프리츠커상 수상자
- 필립 존슨: 프리츠커상 수상자
- I. M. 페이: 프리츠커상 수상자
- 존 헤이덕
- 톰 메인: 프리츠커상 수상자
- 폴 루돌프
- 해리 사이들러
- 에드워드 라라비 반스
- 브루노 제비: 건축가, 평론가, 역사가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 건축가, ''패턴 언어'' 공동 저자
- 마이클 그레이브스
- 모셰 사프디: Habitat 67 설계자
- 타니구치 요시오
- 미진 윤: 건축가, 코넬 대학교 건축, 예술 및 계획 대학 학장
- 모니카 폰세 데 레온: 프린스턴 대학교 건축학과 학장
- 나데르 테라니: 쿠퍼 유니언 건축 학교 학장[29]
- 파르시드 무사비
- 제인 갱
- 그레이스 라
- 프리다 에스코베도
- 쉬 티안티안
'''조경 분야'''
- 레스터 콜린스[8][9]
- 사사키 히데오: 전 학과장, 사사키 어소시에이츠 설립자
- 댄 카일리: 모더니스트 조경 건축가
- 로렌스 할프린
- 피터 워커: 전 조경학과 학장
- 이언 맥하그: GIS 개발 기여
- 가렛 에크보: 모더니스트 조경 건축가
- 코르넬리아 오버랜더
- 찰스 젱크스: 조경 건축가 및 건축 이론가
- 에드워드 듀렐 스톤 주니어: EDSA 설립자
- 켄 스미스
- 위 콩젠: 문화 경관 재단 코르넬리아 한 오버랜더 국제 조경 건축상 수상자
- 줄리 바그만: 문화 경관 재단 코르넬리아 한 오버랜더 국제 조경 건축상 초대 수상자
- 미키영 김: 조경 건축가
'''도시 계획 및 디자인 분야'''
- 프랭크 게리: 프리츠커상 수상자, 도시 계획 전공 (수료는 못함)
- 숀 도노반: 전 미국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예산관리국 국장
- 잭 댕거먼드: GIS 개발, ESRI 공동 설립자
- 앤디 필모어: 도시 디자이너, 캐나다 국회의원 (할리팩스)
- 로저 몽고메리: 최초의 HUD 도시 디자이너, UC 버클리 학장
'''기타 분야'''
- 알렉산드라 랭: 평론가
- 윌리엄 J. R. 커티스: 건축 역사가
- 윌리엄 르메시어: 구조 기술자
- 줄리안 우드 글래스 주니어: 사업가, 자선가
- 제리 해리슨: 토킹 헤즈 멤버
하버드 디자인대학원은 프랭크 게리(명예 박사), 필립 존슨, 마키 후미히코, 톰 메인, I. M. 페이 등 다수의 프리츠커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7. 한국과의 관계
하버드 디자인대학원(GSD)은 한국의 건축, 도시계획, 조경 분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한국인들이 GSD에서 수학한 후 한국으로 돌아와 사회의 현대화와 도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GSD에서 선진적인 이론과 실무를 경험한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들은 한국이 직면한 여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도시 모델을 제시하며 한국의 도시 및 건축 환경을 발전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GSD 출신 전문가들의 활동은 한국 건축 및 도시계획 분야가 국제적인 수준으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7. 1. 주요 한국인 동문 및 활동
김수근은 한국 현대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공간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 건축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김종성은 서울건축을 설립하여 한국 건축의 현대화를 이끌었으며, 특히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건축을 추구했다. 윤승중은 원도시건축을 설립하여 도시와 건축의 조화를 추구하며 한국적 도시 경관 형성에 기여했다. 조병수는 BCHO Architects를 설립하여 한국 전통 건축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건축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민현식은 기오헌을 설립하여 한국 건축의 미학을 탐구하고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추구했다. 황두진은 황두진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여 전통 건축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과 도시 한옥 보존 등 한국 건축의 정체성을 고민하며 작업하고 있다.조경 분야에서는 강병기가 한국 최초의 조경회사인 동심원조경을 설립하여 한국 조경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휘영은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조경가로서 전통 조경의 현대적 계승에 힘썼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 REAL ESTATE and the BUILT ENVIRONMENT
http://research.gsd.[...]
2015-11-17
[2]
웹사이트
The Best US Architecture Schools for 2014 are...
http://www.archdaily[...]
2013-11-04
[3]
웹사이트
2013 United States Best Architecture Schools
http://www.archdaily[...]
2012-11-21
[4]
웹사이트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http://www.gsd.harva[...]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sd.harva[...]
2014-05-12
[6]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The GSD History Collection, Administrative Affairs: An Inventory
http://oasis.lib.har[...]
2017-11-22
[7]
서적
The Struggle for Modernism: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City Planning at Harvard
2002
[8]
뉴스
Landscape Architect Lester A. Collins Dies
https://www.washingt[...]
2021-02-23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arden
https://www.innisfre[...]
Innisfree Garden
2021-02-23
[10]
웹사이트
Master in Real Estate
https://www.gsd.harv[...]
2022-06-24
[11]
문서
http://www.gsd.harva[...]
[12]
웹사이트
Doctoral Programs
http://www.gsd.harva[...]
Harvard University
2013-10-23
[13]
웹사이트
Harvard Master in Design Engineering
https://mde.harvard.[...]
2020-03-05
[14]
웹사이트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 Homepage
http://www.gsd.harva[...]
2016-01-19
[15]
웹사이트
Doctoral Programs
http://www.gsd.harva[...]
Harvard University
2015-09-02
[16]
웹사이트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Executive Education
http://execed.gsd.ha[...]
2020-05-29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sd.harva[...]
2014-05-12
[18]
문서
Student Group Directory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19]
웹사이트
The LOEB Fellowship
https://loebfellowsh[...]
2022-11-08
[20]
웹사이트
Zofnass Programme for Sustainable Infrastructure
https://research.gsd[...]
2024-03-08
[21]
웹사이트
Transforming Urban Transport - the Project
https://research.gsd[...]
2024-03-08
[22]
웹사이트
The Grand Tour: GSD’s Wheelwright Prize reminds architects of the power of global research
https://www.gsd.harv[...]
2024-06-23
[23]
뉴스
Herzog & de Meuron to overhaul Harvard GSD's Gund Hall
https://www.dezeen.c[...]
Dezeen
2018-07-26
[24]
웹사이트
Architectural Forum - December 1972
https://www.usmodern[...]
2019-07-14
[25]
웹사이트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http://www.gsd.harva[...]
[26]
웹사이트
Endowment
http://campaign.gsd.[...]
2017-11-22
[27]
서적
African American Architects: A Biographical Dictionary, 1865-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3
[28]
웹사이트
Michaele Pride, Architect, and Educator
https://aaregistry.o[...]
[29]
웹사이트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 Nader Tehrani
http://www.gsd.harva[...]
2016-07-01
[30]
문서
https://www.gsd.harv[...]
[31]
뉴스
Building a Name for Herself
https://www.latimes.[...]
The Los Angeles Times
2002-03-14
[32]
웹사이트
Judges 2009 Bjarke Ingels
World Architecture Festival
2009-10-20
[33]
간행물
Chermayeff, Serge
[34]
문서
건물의 구조를 이루는 지주와 지주 사이 내부공간에 기둥이 없는 구조를 말한다.
[35]
웹인용
Architectural Forum - December 1972
https://usmodernist.[...]
[36]
웹인용
Endowment
http://www.groundedv[...]
2021-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