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 하이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버 하이웨이는 일본 효고현 고베시에 위치한 고속도로이다. 1970년 고베 대교 하부 4차선 개통을 시작으로 1993년 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1996년 복구되었다. 주요 구조물로는 롯코 대교, 나다 대교, 제2마야 대교 등이 있으며, 한신 고속도로 3호 고베선 및 5호 완간선과 연결된다. 2024년 4월 1일, ETC가 도입되었고, 마야 대교는 무료로 개방되었으며, 125cc 초과 자동 이륜차는 유료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료 도로 - 통행료
통행료는 도로, 다리, 터널과 같은 시설 이용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요금으로, 도로 유지 보수 및 건설 자금 확보, 교통량 조절 등의 목적으로 징수되지만 사회적 형평성 및 투명성 관련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유료 도로 - 유료도로
유료도로는 도로 건설 및 유지 관리 비용 충당, 교통 혼잡 완화 등을 목적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도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교통 정체, 역진세 논란 등 문제점과 함께 효율성, 형평성에 대한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고베항 - 고베 포트 타워
고베 포트 타워는 일본 북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외관의 8층 철탑으로, 고베항의 상징이자 주요 관광 명소이며, 전망대, 레스토랑 등의 시설을 갖추고 오사카만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 고베항 - 고베 외국인 거류지
고베 외국인 거류지는 1868년 개항된 외국인 거주지로, 합리적인 도시계획에 따라 정비되어 외국인 자치로 운영되었으나 불평등 조약 개정으로 일본에 반환, 고베 대공습 피해 이후 문화 관광 자산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효고현의 도로 - 산요도
산요도는 킨키 지방과 규슈 지방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도로로, 고대 간선도로에서 해상 운송 발달, 몽골 침략 시기 교통로, 에도 시대 숙장 설치, 현대 국도 2호선 계승, 교통 및 경제 중심축 기능까지 시대에 따라 그 역할과 경로가 변화해 왔다. - 효고현의 도로 - 국도 제2호선 (일본)
국도 제2호선은 오사카에서 기타큐슈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75km의 일본 국도로,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고대 산요도로의 역사를 잇고, 고속도로와 병행하는 구간이 있으며, 혼슈와 규슈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버 하이웨이 | |
---|---|
개요 | |
종류 | 수도고속도로의 노선 |
기점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가나자와구 |
종점 |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미도리구 |
총 연장 | 27.4 km |
노선 정보 | |
노선 번호 | 수도고속도로 B 노선 |
개통일 | 1989년 3월 27일 (1기) |
공용 개시일 | 1997년 4월 21일 (전선) |
경유하는 자치체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자와구 - 이소고구 - 나카구 - 니시구 (요코하마시)|니시구 - 고호쿠구 - 미도리구 (요코하마시)|미도리구) |
시설 | |
접속하는 도로 | 수도 고속도로 완간선 수도 고속도로 가나가와 1호 요코하네 선 수도 고속도로 가나가와 3호 가리바 선 국도 16호선 국도 357호선 가나가와 현도 23호선 가나가와 현도 83호선 |
인터체인지 | 신야마시타 (완간선 접속) 미나토미라이 요코하마역 동쪽 출구 다카시마초 하나초 이리야마치 요코하마 공원 이시카와초 한다마치 가와시마 미도리 |
2. 연혁
- 1993년 2월 8일 - 마야 램프 - 타카하 램프 구간 개통, 전 노선 개통.[3][4]
- 1994년 12월 27일 - 마야 램프 동행 사용 개시 (풀 인터체인지화).[2]
- 1995년 1월 17일 - 한신·아와지 대지진 (효고현 남부 지진) 발생, 교각 다수 균열로 통행 불능.[4]
- 1996년 8월 24일 - 지진 피해 복구 완료.[4]
- 1997년 12월 15일 - 스미요시하마 건너편 노선 개통, 한신 고속 5호 완간선과 직결.[5]
- 1998년 2월 1일 - 신항 램프 사용 개시.[2]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0년 4월 10일 - 고베 대교 하부 4차선 개통[2]
- 1977년 11월 19일 - 신항 지구 - 마야 부두 간 상부 동행 (2.2km) 2차선 개통[2]
- 1979년 9월 14일 - 신항 지구 - 마야 부두 간 하부 서행 (2.2km) 2차선 개통[2]
- 1983년 3월 30일 - 롯코 대교 전면 개통[2]
- 1983년 8월 8일 - 롯코 아일랜드 - 타카하 간 동행 개통[2]
- 1984년 6월 27일 - 롯코 아일랜드 - 타카하 간 서행 개통[2]
2. 2. 1990년대 (전 구간 개통 및 지진 피해 복구)
1993년 전 구간이 공용 개시되었다.[4]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효고현 남부 지진)의 여파로 도로가 불통되었으나,[4] 1996년 8월 24일 지진 피해에서 전면 복구되었다.[4]
2. 3. 2000년대 이후
- 2001년 (헤이세이 13년) 11월 1일 - 대형차 통행 요금이 인하되었다.[2]
- 2014년 (헤이세이 26년) 5월 1일 - 소비세율 개정에 따라 1구간 요금과 회수권 요금이 인상되었다. (2구간 요금은 동결)[6]
- 2019년 (레이와 원년) 10월 1일 - 소비세율 개정에 따라 2구간 요금과 회수권 요금이 인상되었다. (1구간 요금은 동결)[7]
- 2021년 (레이와 3년) 3월 29일 - 야간 (20시부터 다음날 8시) 1구간 요금이 무료화되었다.[8]
- 2024년 (레이와 6년) 4월 1일 - ETC가 도입되고, 야간 1구간 무료화가 종료되었으며, 125cc 초과 자동 이륜차가 유료화되었다. 병행하는 마야 대교는 무료로 개방되었다.[9]
3. 구조물
하버 하이웨이는 고베항의 주요 지구인 롯코 아일랜드, 마야 부두, 포트 아일랜드를 여러 교량으로 연결하여 부두 간의 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도로법에 따른 도로가 아니라 항만 시설로서 고베시 항만국(구 미나토 총국)이 관리하는 항만법상의 린코 교통 시설(임항 도로)이다. 고베시 항만 시설 조례에 의거하여 설치되었으며, 조례상의 명칭은 '''항만 간선 도로'''이다.
임항 도로의 본래 목적인 부두 간 교통 원활화 외에도, 한신 고속도로 (5호 만안선, 3호 고베선) 접속, 5호 만안선과 포트 아일랜드・고베 공항(마린 에어)・산노미야 방면을 잇는 역할도 한다.
자동차 전용 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표식은 파란색) 원동기 장치 자전거나 125cc 이하의 이륜 자동차도 주행할 수 있으며, 제한 속도는 60km/h이다.
오사카만 연안 도로 서부 연장 루트 선정 시에 이 도로를 편입하는 안도 검토되었지만, 도로 규격이 낮아 개축에 막대한 비용이 들고 개축 중에는 다른 도로의 정체가 예상되므로, 이 도로와는 별도로 롯코 아일랜드와 포트 아일랜드를 직접 잇는 루트가 선정되었다[1].
3. 1. 주요 교량
- 롯코 대교 - 롯코 아일랜드와 스미요시하마를 연결한다. 1977년 토목 학회 다나카상 수상
- 나다 대교 - 스미요시하마와 나다하마를 연결한다. 1983년 토목 학회 다나카상 수상
- 나다하마 대교 - 나다하마와 마야 부두를 연결한다. 1992년 토목 학회 다나카상 수상
- 제2마야 대교 - 마야 부두와 신코 동쪽 부두를 연결한다. 마야 대교와 평행하다. 1975년 토목 학회 다나카상 수상
- 고베 대교 - 신코 제4돌제와 포트아일랜드를 연결한다. 1970년 토목 학회 다나카상 수상
4. 나들목 및 분기점
(km)
스미요시하마 연결선을 경유하여 접속
연결선 동쪽에는 한신 고속 입구 요금소,
서쪽에는 출구 환승권 발행소
국도 43호 (간접 접속)
효고현도 95호 나다 산다선 (간접 접속)
동쪽은 무료, 서쪽은 유료
본선 요금소
국도 2호 (간접 접속)
국도 43호 (간접 접속)
효고현도 491호 마야 부두선 (직접 접속)
국도 174호 (간접 접속)
국도 2호 (간접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