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안단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안단구는 지각 변동이나 침식 기준면 변동으로 인해 형성되는 계단 모양의 지형이다. 침식력을 잃은 하천이 융기 또는 해수면 하강으로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기존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형성되면서 하안단구가 만들어진다. 하안단구는 충적단구와 기반암단구로 구분되며, 충적단구는 퇴적층으로, 기반암단구는 기반암을 하방 침식하여 형성된다. 하안단구는 하천의 침식 속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남한강 상류, 압록강, 두만강, 어랑천 유역 등에서 관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안지대 - 논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농경지를 의미하며, 벼농사는 아시아 각 지역으로 확산되어 문화와 연관되고, 다양한 농업 기술과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며 메탄 배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하안지대 - 제방
제방은 홍수 방지와 수로 안정화를 목적으로 해안, 강가 등에 건설되는 구조물로, 홍수 방지 외에 항로 제공, 강의 흐름 제한 등의 기능도 수행하지만, 환경 문제도 야기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지형 - 땅
땅은 지구의 단단한 표면을 의미하며 천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피복, 수계, 지하수, 대기의 일부, 인간 활동의 결과 등을 포함하여 지구과학, 생명과학, 인문학적으로 연구되고, 지형 형성, 생태계, 토지 이용, 환경 문제와 관련되며, 문화권에 따라 의미와 중요성이 다양하게 해석된다. - 지형 - 구릉
구릉은 평야와 산지의 중간 형태를 띠며 다양한 침식 형태를 보이고 농업, 혼합림, 초원 등으로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국토지리원 기준에 따라 정의되고 수도권 집중 완화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안단구 | |
---|---|
개요 | |
정의 | 하안단구(河岸段丘)는 강의 양쪽 측면을 따라 발달하는 계단 모양의 지형이다. |
형성 과정 | 하천의 침식 작용과 퇴적 작용, 그리고 지반의 융기 또는 해수면의 하강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된다. |
특징 | 평탄한 표면과 급경사의 경사면을 가지며, 과거 하천의 범람원이었던 지역이 융기하여 형성된다. |
형태 및 종류 | |
단구면 | 하안단구의 평탄한 표면으로, 과거 하천의 범람원이었던 지역이다. |
단구애 | 단구면과 단구면 사이의 급경사면이다. |
하안단구의 종류 | 매몰 단구 계단식 단구 암석 단구 |
형성과정 | |
1단계 | 기후변화 또는 지각 변동으로 하천의 침식 기준면이 낮아진다. |
2단계 | 하천은 새로운 기준면에 맞춰 하방 침식을 하면서 깊은 곡을 형성한다. |
3단계 | 하천의 퇴적 작용으로 자갈, 모래 등이 퇴적되어 평탄한 범람원을 형성한다. |
4단계 | 지반의 융기 또는 해수면의 하강으로 하천의 침식 기준면이 다시 낮아진다. |
5단계 | 하천은 다시 하방 침식을 하면서 이전의 범람원을 깎아 내고 새로운 범람원을 형성한다. |
6단계 |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계단 모양의 하안단구가 형성된다. |
분포 | |
한국 | 임진강 유역 한강 유역 낙동강 유역 영산강 유역 등 |
세계 | 미국 콜로라도 강 유역 프랑스 센 강 유역 일본 기타카미 강 유역 등 |
활용 | |
농경지 | 평탄한 지형으로 인해 논, 밭 등으로 이용된다. |
주거지 | 홍수의 위험이 적고, 하천에 가까워 물을 이용하기 편리하여 마을이 발달한다. |
교통로 | 평탄한 지형은 도로나 철도 등의 교통로로 이용된다. |
관광 자원 |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
기타 | |
관련 용어 | 하천 침식 퇴적 융기 범람원 |
2. 형성 원인
지각변동이나 침식기준면의 변동이 하안단구 형성의 원인이 된다. 침식력을 잃은 하천이 융기나 해면 하강 등에 의해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기존의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형성된다. 이때 곡저평야는 계단상의 지형으로 남게 되어 하안단구가 형성된다. 산지로부터의 토사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퇴적단구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침식이 진행되어 하천 사면이 침식 기준면에 가까워져 침식력이 약해지면, 단구 아래에 새로운 곡저평야가 형성된다. 이후 융기 등으로 인해 다시 침식력이 강해지면 새로운 단구애가 형성되어 여러 단으로 이루어진 하안단구가 만들어진다. 주로 하안단구는 안쪽으로 갈수록 새롭게 형성된다.
2. 1. 지각 변동
지각변동이나 침식기준면의 변동이 하안단구 형성의 원인이 된다. 침식력을 잃은 하천이 융기나 해면 하강 등에 의해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기존의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형성된다. 이때 곡저평야는 계단상의 지형으로 남게 되어 하안단구가 형성된다. 산지로부터의 토사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퇴적단구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침식이 진행되어 하천 사면이 침식 기준면에 가까워져 침식력이 약해지면, 단구 아래에 새로운 곡저평야가 형성된다. 이후 융기 등으로 인해 다시 침식력이 강해지면 새로운 단구애가 형성되어 여러 단으로 이루어진 하안단구가 만들어진다.
2. 2. 침식 기준면의 변동
하안단구는 지각변동이나 침식기준면의 변동으로 인해 형성된다. 침식력을 잃었던 하천이 융기나 해면 하강 등으로 인해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이전의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형성되면서 계단상의 지형인 하안단구가 만들어진다. 이와 반대로, 산지로부터의 토사 공급으로 형성되는 퇴적단구도 있다.침식이 진행되어 하천 경사가 침식 기준면에 가까워져 침식력이 약해지면, 단구애 아래에 새로운 곡저평야가 형성된다. 이후 융기 등으로 다시 침식력이 강해지면 새로운 단구애가 형성되어 여러 단으로 이루어진 하안단구가 된다. 하안단구는 주로 안쪽으로 갈수록 새롭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2. 3. 기후 변화
지각변동이나 침식기준면의 변동이 하안단구 형성의 원인이 된다. 침식력을 잃은 하천이 융기나 해면 하강 등에 의해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지금까지의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형성된다. 곡저평야는 계단상의 지형으로서 남겨져 하안단구가 형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산지로부터의 토사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퇴적단구도 있다.침식이 진행되어 하천 사면이 침식 기준면에 가까워져 침식력이 약해지면, 단구 아래에 새로운 곡저평야가 형성된다. 그 후 융기 등에 의해 다시 침식력이 강해지면 새로운 단구애가 형성되어 여러 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하안단구가 된다. 주로 하안단구는 안쪽으로 갈수록 새롭게 형성된다.
2. 4. 퇴적 작용
지각변동이나 침식기준면의 변동은 하안단구 형성의 주요 원인이다. 침식력을 잃었던 하천이 융기나 해면 하강 등으로 인해 다시 침식을 시작하면, 기존의 곡저평야 내에 좁은 하곡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곡저평야는 계단상의 지형으로 남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하안단구이다. 이와 반대로, 산지로부터의 토사 공급에 의해 형성되는 퇴적단구도 존재한다.침식이 진행되어 하천 경사가 침식 기준면에 가까워지고 침식력이 약해지면, 단구애 아래에 새로운 곡저평야가 형성된다. 이후 융기 등으로 인해 침식력이 다시 강해지면 새로운 단구애가 형성되면서 여러 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하안단구가 만들어진다. 하안단구는 주로 안쪽으로 갈수록 새롭게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3. 하안단구의 유형
하안단구에는 크게 충적단구와 기반암단구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충적단구는 다시 중첩 충적단구와 절단단구로 세분되기도 한다. 충적단구와 기반암단구 모두 단구 표면의 상대 고도에 따라 '쌍을 이룬' 단구 또는 '쌍을 이루지 않은' 단구로 설명되기도 한다.[4]
'''충적단구(Fill terraces):''' 충적단구는 기존 계곡이 충적층(alluvium)으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는 이유는 빙하 작용(glaciation)으로 인한 하상 하중(bed load)의 증가 또는 하천의 유량 변화(stream power)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하천이나 강은 평형 상태에 도달하여 물질을 운반하기보다는 퇴적할 때까지 물질을 계속 퇴적한다. 조건이 다시 변하고 하천이나 강이 계곡에 퇴적된 물질을 침식하기 시작하면 충적단구가 생성된다.[5] 이렇게 되면 계곡 측면에 충적층으로만 구성된 단구가 형성된다. 가장 높은 단구가 충적단구이다. 하천이나 강이 충적층을 계속 침식하면 충적단구는 하천 또는 강의 수로 위에 남게 된다(때로는 100m 이상). 충적단구는 퇴적 과정에서 가장 높은 단구일 뿐이며, 충적단구 아래에 여러 개의 단구가 있다면 이를 "절단단구"라고 한다.[5]
'''절단단구(Cut terraces):''' 절단단구는 "cut-in-fill" 단구라고도 하며, 충적단구와 유사하지만 침식(erosion)에 의해 형성된다. 계곡에 퇴적된 충적층이 침식되기 시작하고 계곡 벽을 따라 충적단구가 형성되면, 충적단구 아래에 절단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천이나 강이 물질을 계속 침식하면 여러 단계의 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높은 것이 충적단구이고, 나머지 아래 단구는 절단단구이다.[5]
'''중첩 충적단구(Nested fill terraces):''' 중첩 충적단구는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고, 충적층이 침식되고, 계곡이 이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다시 물질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두 번째 충전으로 형성된 단구는 원래의 충적층에 "중첩"되어 단구를 생성했기 때문에 중첩 단구이다. 이러한 단구는 퇴적(Deposition (sediment))에 의해 형성되며, 더 고운 입자와 같은 충적층 특성의 급격한 변화로 식별할 수 있다.[5]
'''기반암단구(Strath terraces):''' 기반암단구는 하천이나 강이 기반암을 하방침식(downcut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천이나 강이 계속해서 하방 침식하면 계곡 폭이 넓어지는 시기가 올 수 있다. 이는 융기 속도 감소 또는 일시 중지, 기후 변화, 기반암 유형 변화 등 여러가지 이유로 하천계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하방 침식이 계속되면 기반암으로 구성된 평평한 계곡 바닥(얇은 충적층이 덮여 있을 수 있음)이 하천이나 강 수로 위에 남게 된다. 이러한 기반암 단구가 기반암단구이며, 침식적인 성격을 지닌다.[6]
하천이나 강의 양쪽에서 같은 높이에 있는 단구를 '쌍을 이룬 단구(paired terraces)'라고 한다. 이는 하천이나 강이 양쪽을 고르게 하방 침식할 때 발생하며, 강 한쪽의 단구 높이가 다른 쪽의 단구 높이와 일치한다. 쌍을 이룬 단구는 하천의 활력 증대(Rejuvenation (river))에 의해 발생한다. '쌍을 이루지 않은 단구(unpaired terraces)'는 하천이나 강이 한쪽에서 침식에 저항하는 물질을 만날 때 발생하여, 저항성이 있는 쪽에는 대응하는 단구가 없는 단일 단구를 남긴다.[3]
3. 1. 충적 단구
'''충적단구(Fill terraces):''' 충적단구는 기존 계곡이 충적층(alluvium)으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빙하 작용(glaciation)으로 인한 하상 하중(bed load)의 증가 또는 하천의 유량 변화(stream power)로 인해 하천이나 강에 의해 침식된 계곡이 물질로 채워지는 경우 등이 있다.[5] 하천이나 강은 평형 상태에 도달하여 물질을 운반하기보다는 퇴적할 때까지 물질을 계속 퇴적한다. 이러한 평형 상태는 빙하 작용 후와 같이 매우 짧은 기간 지속될 수도 있고, 조건이 변하지 않으면 매우 오랜 시간 지속될 수도 있다. 조건이 다시 변하고 하천이나 강이 계곡에 퇴적된 물질을 침식하기 시작하면 충적단구가 생성된다.[5] 이렇게 되면 계곡 측면에 충적층으로만 구성된 단구가 형성된다. 가장 높은 단구가 충적단구이다. 하천이나 강이 충적층을 계속 침식하면 충적단구는 하천 또는 강의 수로 위에 남게 된다(때로는 100m 이상). 충적단구는 퇴적 과정에서 가장 높은 단구일 뿐이며, 충적단구 아래에 여러 개의 단구가 있다면 이를 "절단단구"라고 한다.[5]'''절단단구(Cut terraces):''' 절단단구는 "cut-in-fill" 단구라고도 하며, 위에서 언급한 충적단구와 유사하지만 침식(erosion)에 의해 형성된다. 계곡에 퇴적된 충적층이 침식되기 시작하고 계곡 벽을 따라 충적단구가 형성되면, 충적단구 아래에 절단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천이나 강이 물질을 계속 침식하면 여러 단계의 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높은 것이 충적단구이고, 나머지 아래 단구는 절단단구이다.[5]
'''중첩 충적단구(Nested fill terraces):''' 중첩 충적단구는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고, 충적층이 침식되고, 계곡이 이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다시 물질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두 번째 충전으로 형성된 단구는 원래의 충적층에 "중첩"되어 단구를 생성했기 때문에 중첩 단구이다. 이러한 단구는 퇴적(Deposition (sediment))에 의해 형성되며, 더 고운 입자와 같은 충적층 특성의 급격한 변화로 식별할 수 있다.[5]
3. 1. 1. 절단 단구
(내용 없음)3. 1. 2. 중첩 충적 단구
(빈칸)3. 2. 기반암 단구
기반암단구는 하천이나 강이 기반암을 하방침식(downcutting)하면서 형성된다.[6] 하천이나 강이 계속해서 하방 침식하는 과정에서 융기 속도의 감소 또는 일시 중지, 기후 변화, 기반암 유형 변화 등의 이유로 하천계가 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계곡의 폭이 넓어지는 시기가 올 수 있다.[6] 하방 침식이 다시 진행되면, 얇은 충적층으로 덮여 있을 수 있는 기반암으로 구성된 평평한 계곡 바닥이 하천이나 강 수로 위에 남게 된다.[6] 이러한 기반암 단구는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6]3. 3. 쌍을 이루는 단구와 쌍을 이루지 않는 단구
하안단구에는 크게 충적단구(fill terrace)와 기반암단구(strath terrace)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충적단구는 다시 중첩 충적단구(nested fill terrace)와 절단단구(cut terrace)로 세분되기도 한다. 충적단구와 기반암단구 모두 단구 표면의 상대 고도에 따라 '쌍을 이룬(paired)' 단구 또는 '쌍을 이루지 않은(unpaired)' 단구로 설명되기도 한다.[4]'''충적단구(Fill terraces):''' 충적단구는 기존 계곡이 충적층(alluvium)으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는 이유는 빙하 작용(glaciation)으로 인한 하상 하중(bed load)의 증가 또는 하천의 유량 변화(stream power)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하천이나 강은 평형 상태에 도달하여 물질을 운반하기보다는 퇴적할 때까지 물질을 계속 퇴적한다. 조건이 다시 변하고 하천이나 강이 계곡에 퇴적된 물질을 침식하기 시작하면 충적단구가 생성된다.[5] 이렇게 되면 계곡 측면에 충적층으로만 구성된 단구가 형성된다. 가장 높은 단구가 충적단구이다. 하천이나 강이 충적층을 계속 침식하면 충적단구는 하천 또는 강의 수로 위에 남게 된다(때로는 100m 이상). 충적단구는 퇴적 과정에서 가장 높은 단구일 뿐이며, 충적단구 아래에 여러 개의 단구가 있다면 이를 "절단단구"라고 한다.[5]
'''절단단구(Cut terraces):''' 절단단구는 "cut-in-fill" 단구라고도 하며, 충적단구와 유사하지만 침식(erosion)에 의해 형성된다. 계곡에 퇴적된 충적층이 침식되기 시작하고 계곡 벽을 따라 충적단구가 형성되면, 충적단구 아래에 절단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천이나 강이 물질을 계속 침식하면 여러 단계의 단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높은 것이 충적단구이고, 나머지 아래 단구는 절단단구이다.[5]
'''중첩 충적단구(Nested fill terraces):''' 중첩 충적단구는 계곡이 충적층으로 채워지고, 충적층이 침식되고, 계곡이 이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다시 물질로 채워짐으로써 형성된다. 두 번째 충전으로 형성된 단구는 원래의 충적층에 "중첩"되어 단구를 생성했기 때문에 중첩 단구이다. 이러한 단구는 퇴적(Deposition (sediment))에 의해 형성되며, 더 고운 입자와 같은 충적층 특성의 급격한 변화로 식별할 수 있다.[5]
'''기반암단구(Strath terraces):''' 기반암단구는 하천이나 강이 기반암을 하방침식(downcut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천이나 강이 계속해서 하방 침식하면 계곡 폭이 넓어지는 시기가 올 수 있다. 이는 융기 속도 감소 또는 일시 중지, 기후 변화, 기반암 유형 변화 등 여러가지 이유로 하천계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하방 침식이 계속되면 기반암으로 구성된 평평한 계곡 바닥(얇은 충적층이 덮여 있을 수 있음)이 하천이나 강 수로 위에 남게 된다. 이러한 기반암 단구가 기반암단구이며, 침식적인 성격을 지닌다.[6]
하천이나 강의 양쪽에서 같은 높이에 있는 단구를 '쌍을 이룬 단구(paired terraces)'라고 한다. 이는 하천이나 강이 양쪽을 고르게 하방 침식할 때 발생하며, 강 한쪽의 단구 높이가 다른 쪽의 단구 높이와 일치한다. 쌍을 이룬 단구는 하천의 활력 증대(Rejuvenation (river))에 의해 발생한다. '쌍을 이루지 않은 단구(unpaired terraces)'는 하천이나 강이 한쪽에서 침식에 저항하는 물질을 만날 때 발생하여, 저항성이 있는 쪽에는 대응하는 단구가 없는 단일 단구를 남긴다.[3]
3. 3. 1. 쌍을 이루는 단구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3. 3. 2. 쌍을 이루지 않는 단구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이는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한국의 하안단구
남한강 상류, 압록강, 두만강, 어랑천 연안에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다.
4. 1. 주요 분포 지역
남한강 상류, 압록강, 두만강, 어랑천 연안에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다.4. 2. 특징 및 의의
남한강 상류 지방, 압록강과 두만강 연안, 어랑천 연안에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다. 하안단구는 하천 지형의 한 종류이다.5. 하안단구의 활용
하안단구는 하천이 계곡을 얼마나 빠르게 침식하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연대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단구의 퇴적 연대를 결정할 수 있다.[6] 결과적으로 얻은 연대와 현재 수위보다 높은 고도를 이용하여 하방침식의 평균 속도를 어림잡을 수 있다.[6]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Reinhold Book Company
1968
[2]
논문
Fluvial responses to climate and sea-level change, a review and look forward
2000
[3]
서적
Physical Geology
Prentice-Hall
1982
[4]
논문
9.2.3 Fluvial Terraces
http://www.ees.lehig[...]
Elsevier
null
[5]
서적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Prentice Hall
1999
[6]
서적
Tectonic Geomorphology
Blackwell Publishing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