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밭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토지를 의미하며, 밭농사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업 방식 중 하나이다. 아시아 지역은 벼농사 외에도 밭농사가 발달했으며, 특히 중국, 인도, 서남아시아에서 다양한 작물이 재배된다. 밭은 산화형 토양으로 질소 성분이 유출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밭은 전문 분야나 특정 행위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본의 여러 지역에 지명으로 존재한다. 화전 농업은 산림을 태워 경작지를 만드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윤작의 형태이나, 무계획적인 화전은 산림 파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지 -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농경지를 의미하며, 벼농사는 아시아 각 지역으로 확산되어 문화와 연관되고, 다양한 농업 기술과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며 메탄 배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농지 - 계단식 농업
    계단식 농업은 경사진 지형에 계단 모양 밭을 만들어 농작물을 경작하는 방식으로,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토양 유실을 방지하며, 동아시아와 안데스 산맥 등지에서 식량 생산 기반으로 기능하고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농업 목적으로 사용되는 땅
활용식량 및 기타 작물 생산
관리 및 개선
방법경작
비옥하게 하기
수자원 관리


2. 밭 농사

아시아의 농업에서 벼농사가 탁월하지만, 세계적으로 볼 때 밭농사도 플랜테이션 작물 외에 밀·보리·면화·담배 등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 등의 생산액도 많으며 양잠, 채종, 깨 등은 독자적 생산을 하고 있다. 밭농사 지역은 주로 중국의 화베이·만저우, 인도 서부 및 서남아시아에 분포한다.

밭에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밭농사'''라고 한다. 밭은 물을 대지 않는 경작지이며, 이 없는 논이라는 뜻으로 '''육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밭에서 우물을 이용하여 수도를 재배하는 육도도 보급되고 있다.

밭은 수전과는 달리 산화형 토양이다. 따라서 질소 성분이 산화되어 질산태 질소가 된다. 토양은 마이너스 전하를 띠고 있어 질산태 질소를 흡착할 수 없고, 빗물에 의해 유출되기 쉬워진다.

2. 1. 아시아의 밭 농사

아시아는 벼농사뿐만 아니라 밭농사도 활발하며, 특히 중국, 인도,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밭 농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에서는 밀·보리·조·고량·콩·면화 등이 주요 밭작물이다. 인도에서는 펀자브 지방에서 데칸고원 서부에 걸쳐 겨울의 낮은 기온을 이용하여 밀을 재배하고, 데칸고원 서부에서 인더스강 유역에 걸쳐 면화가 재배된다. 그 밖에 인도 밭농사 지대에서는 농민의 주식으로 수수 종류가 재배되고, 채종·깨는 자급 채유용 작물로서, 낙화생·피마자는 상품작물로서 널리 재배된다.

서남아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밀·보리가 재배되며,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는 쌀이, 지중해 연안 지방에서는 과일·담배의 생산량이 많다. 또 사막 내의 오아시스에서도 관개농업을 하고 있다.

2. 1. 1. 한국의 밭 농사

한국 속담에 '내 논에 물 대기'라는 말이 있다. 이를 한자로 표현하면 '나 아(我)', '논 답(畓)', '당길 인(引)', '물 수(水)' 자를 써서 '아답인수(我畓引水)'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통 아전인수(我田引水)라고 하는데, 이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표현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한국과 달리 을 '논'을 뜻하는 글자로 사용한다.[1]

2. 2. 기타 지역의 밭 농사

오스트레일리아 영어뉴질랜드 영어에서 농업용 들판은, 특히 양이나 소를 기르는 경우, "패독"(paddock)이라고 불릴 수 있다. 가축이 방목되는 경우, 그 공간은 "런"(run)이라고 불릴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양 런"(sheep run), "소 런"(cattle run)과 같다.[3] "패독"이라는 용어는 특히 축산에서 방목지를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가축이 각 구획을 짧은 기간 동안 차례로 방목하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러한 패독 방목 시스템은 6개 또는 11개의 패독을 교대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4]

로토루아 호를 배경으로 한 뉴질랜드의 패독에 있는 검은 양


패독은 일반적으로 철사 울타리로 경계를 짓거나, 자연적인 경계로 구획되기도 한다. "백 패독"(back paddock)은 농가에서 멀리 떨어진 작은 들판을 의미하며, 토지의 품질이 낮을 수 있다.[5] 북아메리카와 영국에서는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목초지가 있다.

교대 방목을 통해 각 구획을 짧은 기간 동안 차례로 방목하는 목초지


북아메리카에서 개발된 새로운 방식의 집약 농업에서는 패독을 전기 울타리로 구획한 작은 (약 1acre) 임시 구역으로 만들어, 하루 동안 집중적으로 방목한 후 약 80일 이상 휴식을 취하게 한다.[12]

3. 화전 농업

산림을 벌채한 후 을 질러 경작지를 만드는 농법을 '''화전 농법'''이라고 한다. 밭을 태움으로써 제초시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1]

3. 1. 전통적 화전 농업

전통적인 화전 농법은 윤작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20년에서 100년 주기로 식생의 순환에 따라 이루어진다.[1] 일본에서는 3 - 5년 정도 경작하고 15 - 20년 정도 지력 회복기를 두는 방식으로 화전 농업을 했다.[1] 주부 지방에서는 경작을 포기할 때 오리나무 등의 수목을 심어 지력 회복 시간을 단축시킨 사례도 있다.[1]

경작 작물로는 조, 피, 기장, 메밀, , , 무 등이 대표적이며, 그 밭이 경작 몇 년째인가에 따라 작물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1] 밭의 경작 연수에 따라 호칭을 바꾸는 지역도 있는데, 야마나시현미나미코마군하야카와정나라다 지구에서는 1년째 밭을 아라쿠, 2년째를 코나시마, 3년째를 쿠나라고 부른다.[1]

3. 2. 현대의 화전 농업 문제점

인구 증가, 이민, 플랜테이션 등으로 인한 무계획적인 화전은 자연적인 회복력을 넘어서게 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산림 파괴가 지구 환경 문제의 하나가 되고 있다.

4. 밭의 토양학적 특징

밭은 산화형 토양이다. 따라서 질소 성분이 산화되어 질산태 질소가 된다. 토양은 마이너스 전하를 띠고 있어 질산태 질소를 흡착할 수 없고, 빗물에 의해 유출되기 쉽다. 이는 환원형인 과 대비되는 특징이다.[13]

5. 비유적 표현

특정 분야나 전문 영역을 '밭'이라고 비유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성행위를 통한 출산과 관련하여 모체를 밭으로 비유하는 표현도 있다.

6. 지명

일본 지바현 가모가와시, 다테야마시후쿠오카현 부젠시에는 '하타'(畑)라는 지명이 있으며, 교토부 교타나베시에는 '하타'(畠)라는 지명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griculture {{!}} Peer reviewed Journal https://www.openacce[...] 2024-02-02
[2] 웹사이트 Field Borders for Agronomic, Economic and Wildlife Benefits http://extension.mis[...]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2015-11-01
[3] 문서 "The Macquarie Dictionary '''run''' n. Def. 113"
[4] 간행물 Beef cattle performance and forage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6-paddock, and 11-paddock grazing systems 1993-06-01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B-1' http://www.artistwd.[...]
[6] 웹사이트 Classified Advertising - The Sydney Gazette and New South Wales Advertiser (NSW : 1803 - 1842) - 12 Apr 1807 http://nla.gov.au/nl[...] 2017-04-13
[7] 웹사이트 "MR. SUTTON'S JOURNAL. (Continued from Number 4.) (New Zealand Colonist and Port Nicholson Advertiser, 1842-08-19)" https://paperspast.n[...] 2017-04-13
[8] 웹사이트 HOT WINDS. - The Sydney Gazette and New South Wales Advertiser (NSW : 1803 - 1842) - 16 Oct 1803 http://nla.gov.au/nl[...] 2017-04-13
[9] 웹사이트 A SUMMER SANS - Woroni (Canberra, ACT : 1950 - 2007) - 1 Feb 2007 http://nla.gov.au/nl[...] 2017-04-13
[10] 웹사이트 NAMBOURG. - The Sydney Gazette and New South Wales Advertiser (NSW : 1803 - 1842) - 26 Mar 1803 http://nla.gov.au/nl[...] 2017-04-13
[11] 웹사이트 TASMANIAN TRIBULATIONS - Woroni (Canberra, ACT : 1950 - 2007) - 16 Feb 2004 http://nla.gov.au/nl[...] 2017-04-13
[12] 웹사이트 SOIL CARBON COWBOYS https://vimeo.com/80[...] 2013-11-27
[13] 서적 図解 日本の文字 삼성당 2011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