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뵐플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뵐플린은 스위스 출신의 미술사학자이다. 그는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빌헬름 딜타이 등에게 수학했으며, 뮌헨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뵐플린은 이탈리아 유학 후 저서 《르네상스와 바로크》를 통해 16세기 미술을 바로크 미학의 일부로 보았다. 그의 주저 《미술사의 기초 개념》에서는 르네상스(고전주의)와 바로크 양식의 대비를 다섯 가지 표현 방식으로 설명하며, 미술 양식의 변천을 인간 정신의 발전으로 파악했다. 뵐플린은 미술사 연구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서는 한국에도 번역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평론가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의 역사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르네상스 시대를 연구하고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를 저술하여 미술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했다. -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의 역사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르네상스 시대를 연구하고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를 저술하여 미술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했다. - 스위스의 역사가 - 필립 샤프
스위스 태생 미국 개혁교회 신학자이자 교회사학자인 필립 샤프는 머서스버그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기독교 교회사》와 《크리스트교 신조》 등의 저서를 통해 교회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큐메니즘 운동 참여와 미국 표준 성경 번역 위원회 위원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다. - 스위스의 역사가 - 에밀 슈타이거
에밀 슈타이거는 스위스 출신의 독일 문학 연구가로,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 텍스트 자체에 집중하는 비평 스타일로 독일 문학에 기여했고, 고대 및 현대 언어 번역가로 활동하며 여러 저서와 상을 수상했다.
| 하인리히 뵐플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하인리히 뵐플린 |
| 출생 | 1864년 6월 21일 |
| 출생지 | 빈터투어, 스위스 |
| 사망 | 1945년 7월 19일 (81세) |
| 사망지 | 취리히, 스위스 |
| 매장지 | 바젤, 스위스 |
| 국적 | 스위스 |
| 직업 | 미술사학자 |
| 분야 | 미술사 |
| 모교 | 뮌헨 대학교 |
| 부모 | 에두아르트 뵐플린 |
| 학문적 경력 | |
| 제자 | 쿠르트 에르트만 한스 티츠 에드윈 레디에슬로 |
| 주요 저서 | |
2. 생애와 경력
뵐플린은 스위스 빈터투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에두아르트 뵐플린은 뮌헨 대학교에서 가르치고 ''Thesaurus Linguae Latinae''를 창립하고 조직하는 데 기여한 고전 문헌학 교수였다. 젊은 뵐플린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에게 바젤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역사를, 빌헬름 딜타이에게 베를린 대학교에서 철학을, 뮌헨에서 미술사와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1886년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이미 새롭게 만들어진 미술사 분야를 공부하는 과정에 있었다.
1915년에 출간된 『미술사의 기초 개념(Kunstgeschichtliche Grundbegriffe)』은 하인리히 뵐플린의 대표작이다. 이 책에서 뵐플린은 16세기 르네상스 미술과 17세기 바로크 미술을 비교하면서 양식의 변화를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나 시대적 배경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정신의 발전 과정으로 설명하였다.[6][7][8][9][10]
뵐플린이 박사 학위를 받은 뮌헨 대학교에서 그의 주요 철학 멘토는 저명한 고고학 교수인 하인리히 브룬이었다.[4] 특히 신칸트주의자 요하네스 폴켈트(''Der Symbolbegriff'')와 브룬의 영향을 크게 받은 뵐플린의 박사 학위 논문인 "건축 심리학 입문" (1886)은 그가 나중에 발전시키고 완성할 접근 방식을 이미 보여주었다. 즉, 창의적 과정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기반으로 한 형식 분석이었다. 이 논문은 출판 당시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제 막 떠오르는 미술사 분야의 창립 텍스트 중 하나로 여겨진다.
1886년 졸업 후, 뵐플린은 이탈리아에서 1년간의 여행과 연구 결과를 담은 ''르네상스와 바로크'' (1888)를 출판했고, 이 책은 그가 나중에 발전시키고 완성할 접근 방식을 이미 보여주었다. 그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대한 책에서 자신의 방법을 추구했다. 뵐플린에게 16세기 미술은 현재 "매너리즘"으로 묘사되지만, 바로크 미학의 일부였으며, 그 이전의 부르크하르트뿐만 아니라 그 이후 한 세대 동안 대부분의 프랑스 및 영어권 학자들이 퇴폐적이라고 일축했다. 1897년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사망하자 뵐플린은 그의 자리를 이어받아 바젤의 미술사 교수가 되었다. 그는 매직 랜턴이 덜 위험해지면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미술사 강의에 쌍둥이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교육 방법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니스트 곰브리치 경은 그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회상했으며, 에르빈 파노프스키도 마찬가지였다.
뵐플린의 주목할 만한 제자로는 프리데리크 안탈, 파울 프랑클, 카롤라 기디온-벨커, 리하르트 크라프트하이머, 쿠르트 마르틴, 야코프 로젠베르크, 프리츠 작슬, 클라라 슈타인베크 등이 있다.[5]
3. 미술사의 기초 개념
뵐플린은 고전주의와 바로크 양식을 5가지 대립되는 개념 쌍을 통해 비교했다.
뵐플린에 따르면, 고전주의는 명확한 형태를 띠고 각 부분이 독립적이면서 전체적인 질서를 이룬다. 반면 바로크에서는 변화와 운동이 두드러지며, 각 부분은 전체 주제에 종속되어 통일성을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표현 방식의 변천을 16~17세기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문화사에서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3. 1.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의 비교
뵐플린은 1915년 자신의 주저 『미술사의 기초 개념』을 출간하여 16세기 르네상스 미술과 17세기 바로크 미술을 비교하며, 양식의 변천을 인간 정신의 발전으로 파악했다. 그는 두 양식의 대비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개념 쌍으로 설명했다.[6][7][8][9][10]
| 르네상스 (고전주의) | 바로크 |
|---|---|
| 선적 (대상의 윤곽 강조) | 회화적 (명암과 색채로 형태 표현) |
| 평면 (평행면에 층을 정돈) | 후퇴 (전후 관계를 강조, 깊이감 표현) |
| 폐쇄된 형식 (자체 완결적) | 열린 형식 (외부로 뻗어나가는 듯한 역동성) |
| 다원성 (각 부분의 독립성) | 통일성 (각 부분의 전체 주제 종속) |
| 절대적 명료성 (대상의 형태를 철저히 드러냄) | 상대적 명료성 (회화적 수단으로 정보 전달) |
뵐플린에 따르면, 르네상스 미술은 명료한 형태를 가지며 각 부분이 독립적이면서도 전체적인 질서를 이룬다. 반면 바로크 미술에서는 변화와 운동을 볼 수 있으며, 각 부분은 전체 주제에 종속되어 통일성을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표현 방식의 변천이 16~17세기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문화사에서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보았다.
3. 2. 양식 변화의 원인
하인리히 뵐플린은 1915년에 출간한 자신의 주저 『미술사의 기초 개념』(Kunstgeschichtliche Grundbegriffe)에서 16세기에서 17세기 미술사를 르네상스(고전주의) 양식과 바로크 양식의 대비를 통해 설명하였다. 뵐플린은 양식 변화를 단순히 개인의 지향이나 시대적 배경으로 설명하지 않고, 인간 정신의 발전으로 파악하였다. 고전주의와 바로크의 대비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표현 방식에 기반하여 설명하였다.[6][7][8][9][10]- 선적인 것 – 회화적인 것
- 평면 - 심원
- 닫힌 형식 – 열린 형식
- 다수성 - 통일성
- 명료성 – 불명료성
고전주의는 명료한 형태를 가지며 각 부분이 독립하면서 전체에 질서를 부여한다. 반면 바로크에서는 변화와 운동을 볼 수 있으며, 각 부분은 전체 주제에 종속된다. 뵐플린은 이러한 표현 방식의 변천을 16세기에서 17세기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문화 사상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뵐플린은 《미술사의 기본 원리》에서 16세기와 17세기 미술의 형식과 양식에서 두 시기 사이의 예술적 시각 변화를 보여주는 다섯 쌍의 대립되거나 상반되는 원칙을 제시했다. 그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 '''선적''' (선묘, 조형적, 대상의 투사된 관념에서 윤곽과 관련)에서 '''회화적''' (''malerisch'': 촉각적, 명암 내에서 상대적인 빛과 국소적이지 않은 색의 패치나 시스템을 관찰, 그림자와 빛을 통합하고, 고정된 경계로서 윤곽의 지배를 대체하거나 대체하도록 허용함)으로[6]
# '''평면'''에서 '''후퇴'''로 (그림 평행면에 층을 정돈하는 '평면에 대한 의지'에서, 전후 관계를 강조하고 관람자를 후퇴로 끌어들여 평면을 불분명하게 만드는 것으로)[7]
# '''폐쇄된 (구조적인) 형식'''에서 '''열린 (비구조적인) 형식'''으로 (폐쇄적이거나 구조적인 형식은 스스로를 가리키는 자체 완결적인 실체이며, 일반적으로 수직과 수평의 대립에서 법의 계시로서 의례적 양식의 전형적인 형식인 반면, 열린 형식은 에너지를 압축하고 운동의 각도나 선을 압축하여 구성의 외부로 뻗어나가 수평 및 수직 구조를 무시하지만, 자연스럽게 숨겨진 규칙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이 자체적으로 완결될 수 있게 함)[8]
# '''다원성'''에서 '''통일성'''으로 ('고전 예술은 부분을 자유로운 구성 요소로 독립시켜 통일성을 얻고, 바로크는 보다 통일된 전체 동기를 위해 부분의 균일한 독립성을 폐지한다. 전자의 경우, 강조점의 조정; 후자의 경우, 종속.' 전자의 다중 세부 사항은 각각 고유하게 숙고된다. 후자의 다원성은 선의 지배를 감소시키고 다채로운 전체의 통일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9]
# 대상의 '''절대적인 명료성'''에서 '''상대적인 명료성'''으로 (즉, 대상의 형태를 철저하게 드러내는 것에서, 다른 회화적 수단으로 얻은 정보나 회화적 외관을 완벽하게 전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객관적인 명료성을 피하는 그림 표현으로)[10]
4. 영향과 평가
뵐플린은 당대에 유행하던 미학적 순수주의를 수용하여 레미 드 구르몽만큼이나 극단적인 분리 기법을 개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5] 그는 매직 랜턴이 덜 위험해지면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도록 미술사 강의에 쌍둥이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교육 방법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니스트 곰브리치와 에르빈 파노프스키도 그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뵐플린의 주목할 만한 제자로는 프리데리크 안탈, 파울 프랑클, 카롤라 기디온-벨커, 리하르트 크라프트하이머, 쿠르트 마르틴, 야코프 로젠베르크, 프리츠 작슬, 클라라 슈타인베크 등이 있다.[5]
뵐플린의 저서 ''미술사 연구의 기초''는 국제적인 학문과 미술사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15년 시각예술 고등 연구 센터에서 열린 심포지엄의 주제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Architecture, Futurability and the Untimely: On the Unpredictability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Verlag
2022
[2]
서적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
서적
Baroque New Worlds: Representation, Transculturation, Counterconquest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0
[4]
서적
The Psychologizing of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
웹사이트
Steinweg, Klara
https://arthistorian[...]
2018-02-21
[6]
서적
Principles Of Art History
http://archive.org/d[...]
1922
[7]
서적
Principles Of Art History
http://archive.org/d[...]
1922
[8]
서적
Principles Of Art History
http://archive.org/d[...]
1922
[9]
서적
Principles Of Art History
http://archive.org/d[...]
1922
[10]
서적
Principles Of Art History
http://archive.org/d[...]
1922
[11]
웹사이트
JAAC: SPECIAL SYMPOSIA
https://aesthetics-o[...]
American Society for Aesthetics
2021-08-06
[12]
서적
The Global Reception of Heinrich Wölfflin's Principles of Art History
National Gallery of Art, distributed by Yale University Pres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