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로크는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유행한 예술 양식으로, 포르투갈어 'barroco'에서 유래된 용어는 '일그러진 진주'를 의미한다.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미켈란젤로의 작품에서 그 싹을 찾아볼 수 있다. 회화에서는 카라바조, 루벤스, 렘브란트 등이, 조각에서는 베르니니가 대표적이며, 건축에서는 성 베드로 대성당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음악에서는 오페라가 탄생하고, 바흐와 헨델 등이 활동했으며, 문학에서는 과장된 표현과 기교를 중시했다. 바로크 연극은 화려한 무대 장치와 극적인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정원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힘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후 로코코 양식으로 이어졌으며, 19세기에는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미술 - 낭만주의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 유럽을 중심으로 계몽주의와 신고전주의에 반발하여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감정, 상상력, 개인주의, 자연 숭배,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강조하며 정치, 사회 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바로크 | |
|---|---|
| 개요 | |
![]() | |
![]() | |
![]() | |
| 기본 정보 | |
| 활동 시기 | 17세기–18세기 |
| 지역 | 유럽 및 아메리카 |
| 명칭 | |
| 이탈리아어 | barocco |
| 프랑스어 | baroque |
| 영어 | Baroque |
| 독일어 | Barock |
| 포르투갈어 | pérola barroca |
| 특징 | |
| 주요 특징 | 역동성, 과장, 명암 대비 |
| 역사 | |
| 발전 시기 |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반 |
| 기원 | 로마 |
| 영향 | |
| 영향 | 르네상스 매너리즘 |
| 영향을 준 미술 사조 | 로코코 고전주의 |
| 미술 | |
| 건축 | 바로크 건축 |
| 조각 | 바로크 조각 |
| 회화 | 바로크 회화 |
| 음악 | |
| 음악 | 바로크 음악 |
| 기타 | |
| 관련 용어 | 바로크 진주 |
2. 바로크라는 개념의 탄생과 발전
'바로크'라는 용어는 진주나 보석의 불규칙한 형태를 가리키는 포르투갈어 ''barroco''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128] 이 단어는 불규칙하고 과장된 형태를 암시한다. 혹은 중세 학자들이 복잡하고 난해한 논법을 가리킬 때 사용한 라틴어 baroco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129]
바로크 회화는 역동적인 형태를 포착하고, 빛과 어둠의 대비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흔히 바로크 미술의 시작은 로마로, 최초의 바로크 미술가는 카라바조로 여겨진다. 미술사에서 바로크는 미술의 모든 장르와 하나의 시대를 한꺼번에 포함하는 마지막 양식이다. 바로크 이후로는 미술사에서 동시대에 여러 미술 사조가 등장하며, 각각의 장르에 따라 서로 다른 양식을 보이기도 한다.
18세기 프랑스에서 '바로크'는 불규칙하고 기묘한 것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130] 1694년 프랑스 아카데미 사전에는 '극히 불완전한 둥글기를 가진 진주'라고 정의되었고,[131] 1762년에는 '불규칙, 기묘, 불균형'을 뜻하는 비유적 의미가 추가되었다.[132]
19세기에 스위스 미술사학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저서 『치체로네: 이탈리아 미술품 감상의 안내』[133]에서 '바로크'를 르네상스 이후의 예술 양식으로 정의했다.
하인리히 뵐플린은 바로크를 르네상스 예술에 대한 반작용으로, '질량에 도입된 운동'으로 규정했다.[135] 그는 바로크 시대에 원 대신 타원이 구성의 중심이 되고, 전체적인 균형보다는 축을 중심으로 한 구성, 색채와 회화적인 효과가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3. 배경

바로크 양식은 종교개혁으로 약화된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회복하고, 신앙심을 고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는 반종교개혁 운동의 일환이었다.[21][22] 트렌토 공의회는 예술이 직접적이고 감정적으로 종교적 주제를 전달해야 한다고 선언하여,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했다.[21][22] 바로크 양식의 교회는 넓은 중앙 공간과 돔, 그리고 콰드라투라와 같은 트롱프뢰유 기법을 활용하여 신도들에게 천상의 경험을 선사하고자 했다.[24]
한편, 수공업과 상업으로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 계급이 성장하면서, 이들은 절대 군주를 지지하기 시작했다. 부르주아 계급은 화려하고 장식적인 바로크 예술을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4. 회화
회화에서 "바로크"의 의미를 정의하는 것 중 하나는 피터 폴 루벤스가 마리 드 메디시스를 위해 파리의 룩셈부르크 궁전에서 제작한 일련의 그림(현재는 루브르 박물관 소장)이다.[137] 여기서는 가톨릭 화가가 가톨릭 수호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바로크 시대의 군주제, 도상학, 회화 기법, 구도, 그리고 공간과 움직임의 묘사 등의 개념을 보여준다. 카라바조에서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까지, 이탈리아 바로크 회화에는 크게 다른 흐름이 있지만, 모두 다른 양식으로 감정적인 역동성을 추구하고 있다.
후기 바로크 양식은 점차 더 장식적인 로코코로 바뀌어 가며, 바로크의 정의는 이 로코코와의 대비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프랑스에서는 군주제를 섬기는 예술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 고전주의 미술도 바로크와 대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바로크 시기 주요 화가들은 다음과 같다.4. 1. 주요 화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5. 조각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바로크 조각을 대표하는 이탈리아 조각가이다. 그는 역동적이고 환상적인 표현을 통해 '테레사의 환희'와 산 피에트로 대성당 내부 장식 및 광장의 콜로네이드를 완성하여 바로크 최대의 조각가로 평가받았다.[29] 베르니니는 조각뿐만 아니라 건축, 회화,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미켈란젤로에 비견될 만큼 다재다능한 예술가였다.
바로크 조각은 고대 로마 조각, 특히 1506년에 발굴된 '라오콘과 그의 아들들'에서 영감을 받았다. 베르니니는 1665년 파리 방문 당시 학생들에게 자연뿐만 아니라 고전 모델을 참고할 것을 권장하며, 자신의 초기 조각에 어려움을 겪었을 때 '안티노우스'(오늘날 피오-클레멘티노 박물관의 헤르메스)를 참고했다고 말했다.[86]
베르니니의 건축, 조각, 분수는 바로크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는 성인과 인물들의 웅장한 조각상을 제작하여 얼굴과 몸짓으로 감정을 생생하게 표현했으며, 뛰어난 사실주의를 보여주는 초상 흉상과 성 베드로 대성당의 성 베드로의 의자와 같은 매우 장식적인 작품도 제작했다. 또한 로마의 주요 광장을 장식하기 위해 웅장한 조각 군상이 있는 분수들을 디자인했다.[29]
로마의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교회에 있는 베르니니의 '테레사의 환희'(1645-1652)는 바로크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코르나로 가문을 위해 설계된 이 예배당은 건축, 조각, 연극을 융합한 종합 예술 작품이다. 베르니니는 흰색 대리석으로 테레사의 황홀경을 표현하고, 다채로운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건축적인 틀로 둘러쌌으며, 창문을 통해 조각상을 위에서 비추었다. 예배당 양쪽 벽면에는 코르나로 가문 사람들의 얼굴이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어, 관객은 성녀의 신비로운 황홀경을 목격하는 동시에 코르나로 가문의 일원이 된다.
아빌라의 테레사는 자신의 신비로운 경험을 기록했고, 베르니니는 이를 조각으로 구현했다. 테레사는 신의 사랑을 심장을 꿰뚫는 불타는 화살로 표현했는데, 베르니니는 큐피드와 같은 천사를 배치하여 이를 문자 그대로 표현했다. 천사는 화살을 쏘는 대신 잡아당기고 있으며, 성녀의 얼굴은 황홀경이 아닌 만족감을 반영한다.
베르니니는 종교적 경험에서 비롯되는 복잡한 진실을 대리석 속에 구현하려 했으며, 신앙과 에로티시즘의 혼합은 바로크 정신의 특징 중 하나이다. 코르나로 가문은 예배당 측면에 새겨진 자신들의 모습을 통해 겸손하게 자신들을 알리고 있으며, 관객에게는 성녀와 가장 가까운 특별한 위치를 제공한다.
후기 프랑스 바로크 조각가로는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와 장 바티스트 피갈이 있다. 피갈은 프리드리히 2세의 의뢰를 받아 포츠담의 산수시에 조각상을 제작했고, 팔코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피터 대제의 ''청동 기마상''을 제작했다.
스페인에서는 조각가 프란시스코 살시요가 폴리크롬 목재를 사용하여 종교적인 주제를 다루었다. 신세계 스페인 식민지 교회의 금박 스투코 제단에는 최고의 바로크 조각 기술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현지 장인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예로는 (멕시코) 로사리오 예배당, 푸에블라(1724–1731)가 있다.
바로크 조각은 인물 집합체에 새로운 중요성을 부여하고, 역동적인 움직임과 에너지를 통해 인간의 형태를 표현했다. 인물들은 중심에서 소용돌이치거나 바깥으로 나아가며, 여러 개의 이상적인 시점을 획득했다. 숨겨진 광원이나 분수와 같은 요소를 추가하는 것도 바로크 조각의 특징이다.
6. 건축
바로크 건축은 1545년부터 1563년까지 열린 트렌토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대응하여 채택한 교리의 결과로 나타났다. 반종교개혁 초기에는 종교 건축에 엄격한 양식을 적용했지만, 일반 신자들에게는 호소력이 없었다. 트렌토 공의회는 더 많은 대중에게 호소하기 위해 예술이 직접적이고 감정적으로 종교적 주제를 전달해야 한다고 선언했다.[21][22]
바로크 양식 교회는 넓은 중앙 공간과 돔이나 큐폴라를 두어 신도들이 제단에 가까이 다가가고 위에서 빛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돔은 하늘과 땅의 결합을 보여주는 바로크 건축의 중심적인 상징이었다. 큐폴라 내부는 천사와 성인 그림, 천사 스투코 조각상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아래에서 보면 마치 하늘을 보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24]
바로크 교회 내부는 고 바로크 시대에 더욱 화려해졌고, 돔 아래 제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대표적인 장식 작품으로는 로마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는 베르니니의 성 베드로의 의자(1647-1653)와 성 베드로의 발다키노(1623-1634)가 있다. 성 베드로의 발다키노는 거대한 비례와 캐노피의 가벼움, 꼬인 기둥, 청동, 금, 대리석의 견고함과 천사의 흐르는 드레이프가 대조를 이루는 등 바로크 예술에서 상반된 요소들의 균형을 보여준다.[25]
교회 내부의 꼬인 기둥은 운동감을 주고 빛을 반사하는 극적인 방식을 제공하는 바로크 양식의 특징 중 하나이다. 카르투슈는 금박 글씨로 이미지나 텍스트를 담은 대리석이나 돌 조각 명판으로, 바로크 장식의 또 다른 특징이다.[26]
바로크 건축가들은 강제 원근법을 사용해 환영을 만들기도 했다. 로마 스파다 궁전에서 프란체스코 보로미니는 크기가 줄어드는 기둥, 좁아지는 바닥, 정원의 미니어처 조각상을 사용하여 실제 7미터 통로를 30미터처럼 보이게 했다.
바로크 건축은 독일(루트비히스부르크 궁전, 츠빙거 궁전), 오스트리아, 폴란드(빌라누프 궁전, 비야위스토크 궁전), 러시아(페테르호프 궁전) 등에서도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영국에서는 크리스토퍼 렌, 존 밴브루, 니콜라스 혹스무어 등에 의해 1660년에서 1725년경에 절정을 이루었다.
6. 1. 주요 건축물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성 베드로 대성당은 한국 가톨릭 교회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명동성당 설계에 영감을 주었다.7. 음악
바로크 음악은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유행했던 음악 양식이다. 이 시기는 대략 오페라의 탄생부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사망까지를 포함한다.
'바로크'라는 용어는 원래 18세기 중반에 음악 비평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다.[15] 장 자크 루소는 바로크 음악을 "화성이 혼란스럽고 변조와 불협화음으로 가득 차 있는 음악"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바로크 음악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1919년 쿠르트 삭스가 처음으로 바로크 음악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40년대 이후 영어권에서도 이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95]
바로크 시대는 음악적 실험과 혁신의 시대였다. 협주곡과 심포니를 포함한 새로운 형식이 발명되었고, 오페라가 탄생하여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또한, 피아노를 포함한 여러 가지 새로운 악기가 이 시기에 소개되었다. 피아노는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발명했다.[96][97]
바로크 음악은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 지역 | 주요 음악가 |
|---|---|
| 이탈리아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안토니오 비발디, 아르칸젤로 코렐리 |
| 독일 |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 프랑스 | 장바티스트 륄리, 프랑수아 쿠프랭, 장필리프 라모 |
| 동유럽 | 얀 디스마스 젤렌카, 그제고시 게르바지 고르치츠키 |
| 영국 | 헨리 퍼셀 |
7. 1. 주요 음악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바흐의 음악은 한국 교회 음악과 클래식 음악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95] 그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은 피아노 교육의 중요한 교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의 오르간 작품들은 한국의 많은 교회에서 연주되고 있다.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는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바로크 음악 중 하나이다.[95] 특히 '할렐루야' 코러스는 연말이면 교회나 합창단에서 자주 연주되며,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곡이다.
8. 문학
바로크 문학은 과장된 표현, 화려한 수사, 복잡한 구조, 비극적인 주제를 특징으로 한다.[98] 은유와 풍유를 널리 사용하고, 마니에리스모에서처럼 '마라비야'(Maraviglia, 불가사의, 놀라움)를 추구하며 기교를 사용했다. 마니에리스모가 르네상스에 최초의 균열을 일으켰다면, 바로크는 르네상스에 정반대의 반응을 보였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마르틴 루터가 일으킨 혁명 이후, 확고한 기반을 찾지 못하고 버려진 주제인 "인간의 궁극적인 힘"에 대한 증거와 인간의 심리적 고뇌가 바로크 시대의 예술과 건축에서 다시 발견된다. 로마 가톨릭 교회가 주요 "고객"이었기 때문에 작품의 주제는 종교적인 것이 많았다.[99]
예술가들은 세부에 신경 쓴 사실주의(전형적인 "복잡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를 수반하는 비르투오지테(명인기교)를 추구했다. 외형에 주어진 특권은 바로크 작품의 많은 부분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의 부족을 메우고 균형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잔바티스타 마리노의 마라비야는 소박한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관객, 독자, 청중 등에게 환상과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모든 것은 개인으로서의 인간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저자 또는 작품 그 자체와 그 수용자, 고객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예술과 그 수용자 간의 거리가 줄어들고, 양자를 갈라놓았던 문화적 간극이 마라비야에 의해 해소되고 있다. 개인에 대한 주목은 이러한 도식에 의해 소설 등과 같은 중요한 장르를 만들어내고, 그 이전의 통속적이거나 지역적인 예술 형식, 특히 교양 문학을 밀어냈다. 이탈리아에서는 개인으로 향하는 이러한 운동이 라틴어에서 이탈리아어로의 결정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영국 문학에서는 형이상학파 시인들이 이 운동과 가깝다. 그들의 시는 비일반적인 은유를 종종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사용했다. 역설과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비일상적인 표현에 대한 선호가 나타났다.
프랑스 문학사에서는 플레야드 말기부터 17세기 중엽까지의 시대를 ‘전(前)고전주의 시대’라 불렀다. 그러나 근년 문학사가들 사이에서는 이 시대에 고전주의로 향하는 경향을 이탈한 문학을 오히려 이 시대를 대표하는 것으로 보아, 이것을 ‘바로크 문학’이라 하여 고전주의에 대치시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문학에 있어서 바로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안정보다 움직임 중시
- 단념보다 격한 감각 존중
- 장식성 우월
- 기발한 비유·대조·과장과 파격적 구문 사용
시에서는 도비네, 장 드 스퐁드(1557-1597), 초기의 말레르브, 극에서는 로베르 가르네(1544-1590)와 로트루(1609-1650), 초기의 코르네유 등에 이 경향이 있다고 한다.
하인리히 뵐플린은 바로크를 원 대신 타원이 구성의 중심에 자리 잡고, 전체적인 균형이 축을 중심으로 한 구성으로 대체되며, 색채와 회화적인 효과가 더욱 중요해지기 시작한 시대라고 정의했다.
이 유추를 음악에 적용하면 “바로크 음악”이라는 표현은 유용해진다. 대조적인 프레이즈의 길이, 화음, 대위법은 폴리포니를 구식으로 만들고, 오케스트라적인 색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의 표현은 단순하고, 강력하며, 극적인 것이 되고, 명쾌하고 느긋한 싱코페이션 리듬이 존 던과 같은 마니에리스모 시인이 사용하는 세련되고 복잡한 형이상학적인 직유를 대체했다. 바로크의 서사시인 존 밀턴의 『실낙원』에서는 시각 표현의 발달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상상력이 느껴진다.
17세기 초에는 유럽 전역에서 극도로 격렬한 종교 전쟁 등 온갖 투쟁이 발생하여 국가와 사회가 분열되었다. 그 불안한 시대에, 연속적인 운동과 영속적인 질서 사이에 적절한 관계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거기에서 독특한 심정적 표현이 탄생했다. 이것이 “바로크”이다. 강하고 격렬한 인상을 주는 변화와 대비 등, 이것들 모두는 역동적이고 변화에 풍부한 자연과 인간의 감정에서 찾아낸 새로운 표현이었다.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르네상스 양식에 대해 극적인 유동성, 과도한 장식성을 특징으로 한다. “영원한 모습 아래에”가 르네상스의 이상이었다면, “변해가는 모습 아래에”가 바로크의 이상이다. 모든 것이 허무라는 “바니타스”, 그 속에서 항상 죽음을 생각하는 “메멘토 모리”, 그렇기 때문에 현재를 살아야 한다는 “카르페 디엠”이라는, 파괴와 변용의 시대가 가져온 세 가지 주제가 널리 발견된다.
9. 연극
바로크 시대는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극장의 황금기였다. 프랑스에서는 코르네유, 라신, 몰리에르(Molière) 등의 극작가가 있었고, 스페인에서는 로페 데 베가(Lope de Vega)와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Pedro Calderón de la Barca) 등이 활동했다.[100]
바로크 시대 동안 극장의 예술과 양식은 오페라와 발레의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했다. 새롭고 더 큰 극장의 설계, 보다 정교한 기계 장치의 발명과 사용, 무대를 꾸미고 기계 장치를 관객으로부터 가리는 프로시니엄 아치(proscenium arch)의 광범위한 사용은 더욱 장엄한 무대 효과와 볼거리를 가능하게 했다.[100] 순식간에 로맨틱한 정원에서 궁전으로 바뀌는 무대 장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식 플랏에서 처음 고안되었다. 이러한 무대 장치로 연극에서는 이 세상 모든 것을 다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브로드웨이 연극 등 상업적 연극에서 보이는 드라마틱한 무대 장치는 바로크 시대의 연극에서 기원하였다.

스페인에서는 바로크 양식이 가톨릭적이고 보수적인 성격을 지녔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문학 모델을 따랐다. 스페인 바로크 극장은 이상적인 현실을 담은 대중적인 내용을 목표로 했는데, 이는 가톨릭 종교, 군주제와 국민적 자부심, 기사도 세계에서 유래한 명예라는 세 가지 기본적인 감정을 보여준다.
바로크 시대 스페인 극장은 1630년을 기점으로 두 시기로 나뉜다.
| 시기 | 주요 극작가 |
|---|---|
| 첫 번째 시기 (주로 로페 데 베가(Lope de Vega) 중심) | 티르소 데 몰리나(Tirso de Molina), 가스파르 아길라르(Gaspar Aguilar), 기옌 데 카스트로(Guillén de Castro), 안토니오 미라 데 아메스쿠아(Antonio Mira de Amescua), 루이스 베레스 데 게바라(Luis Vélez de Guevara), 후안 루이스 데 알라르콘(Juan Ruiz de Alarcón), 디에고 히메네스 데 엔시소(Diego Jiménez de Enciso), 루이스 벨몬테 베르무데스(Luis Belmonte Bermúdez), 펠리페 고디네스(Felipe Godínez), 루이스 키뇨네스 데 베나벤테(Luis Quiñones de Benavente), 후안 페레스 데 몬탈반(Juan Pérez de Montalbán) |
| 두 번째 시기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Pedro Calderón de la Barca) 중심) | 안토니오 우르타도 데 멘도사(Antonio Hurtado de Mendoza), 알바로 쿠빌로 데 아라곤(Álvaro Cubillo de Aragón), 헤로니모 데 칸세르(Jerónimo de Cáncer), 프란시스코 데 로하스 소릴라(Francisco de Rojas Zorrilla), 후안 데 마토스 프라고소(Juan de Matos Fragoso), 안토니오 코엘로 이 오초아(Antonio Coello y Ochoa), 아구스틴 모레토(Agustín Moreto), 프란시스코 반세스 칸다모(Francisco Bances Candamo) |
이러한 분류는 각 작가마다 자신만의 방식이 있었고 때때로 로페가 확립한 공식을 따랐기 때문에 느슨하다. 로페의 "방식"이 칼데론의 방식보다 더 자유롭고 구조적이었을 수도 있다.
로페 데 베가는 그의 ''이 시대 코미디를 만드는 새로운 예술(Arte nuevo de hacer comedias en este tiempo)''(1609)을 통해 ''새로운 코미디''를 소개했다. 그는 이탈리아 시학파의 세 가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통일성(행위, 시간, 장소)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네 번째 통일성(양식, 비극적 요소와 희극적 요소의 혼합, 다양한 유형의 구절과 연대기 표현)을 깨는 새로운 극적 공식을 확립했다.[101]
티르소 데 몰리나, 로페 데 베가, 칼데론은 스페인 황금시대의 가장 중요한 극작가였다. 티르소 데 몰리나는 ''유죄 판결을 받은 의심''과 돈 후안(Don Juan) 신화의 초기 버전 중 하나인 ''세비야의 사기꾼(The Trickster of Seville)''이라는 두 작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02]
코시모 로티(Cosimo Lotti)는 마드리드에 도착하여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연극 기법을 스페인 궁정에 가져왔다. 그의 기법과 기계적 지식은 "피에스타(Fiestas)"라고 불리는 궁전 전시회와 "나우마키아(Naumaquias)"라고 불리는 호화로운 강이나 인공 분수 전시회에 적용되었다. 그는 부엔 레티로 공원(Buen Retiro), 사르수엘라, 아란후에스 정원의 스타일링과 부엔 레티로 콜로세오(Coliseo del Buen Retiro) 극장 건물 건설을 담당했다. 칼데론의 작품은 형식적으로 완벽하며 매우 서정적이고 상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로페의 자유, 활력, 개방성은 칼데론의 지적인 성찰과 형식적 정밀성으로 이어졌다. 그의 코미디는 열정과 행동 이상으로 그의 이념적이고 교리적인 의도를 반영했으며, 성사극(Autos sacramentales) 작품은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103]
가장 잘 알려진 독일 극작가는 안드레아스 그리피우스(Andreas Gryphius)였는데, 그는 예수회 모델인 네덜란드의 요스트 반 덴 본델(Joost van den Vondel)과 코르네유를 사용했다. 또한 요하네스 벨텐(Johannes Velten)은 잉글랜드 코미디언의 전통과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를 코르네유와 몰리에르(Molière)의 고전 극장과 결합했다.
가장 중요한 이탈리아 바로크 비극 작가는 페데리코 델라 발레(Federico Della Valle)였다. 델라 발레는 바로크 취향과 예수회의 교훈적 목표를 결합한 많은 모방자와 추종자를 두었다(프란체스코 스포르차 팔라비치노(Francesco Sforza Pallavicino), 지롤라모 그라치아니(Girolamo Graziani) 등).
러시아 차르국(Tsardom of Russia)에서 러시아식 바로크의 발전은 17세기 후반에야, 주로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Alexis of Russia)의 주도로 1672년 궁정 극장을 열고자 했기 때문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 극장의 감독이자 극작가는 독일계 러시아인 루터교 목사인 요한 고트프리트 그레고리우스(Johann Gottfried Gregorii)였는데, 그는 특히 10시간짜리 희곡 ''아르타크세르크세스의 행위(The Action of Artaxerxes)''를 썼다. 폴로츠크의 시메온(Symeon of Polotsk)과 로스토프의 디미트리(Demetrius of Rostov)의 극작술은 러시아 바로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04]
뉴스페인(New Spain) 부왕령[106]에서 태어났지만 후에 스페인에 정착한 후안 루이스 데 알라르콘(Juan Ruiz de Alarcón)은 뉴스페인 바로크 극장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작품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인물들의 희극으로 그의 끊임없는 도덕적 목적을 반영한 ''의심스러운 진실(La verdad sospechosa)''이다.[105] 수녀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Juana Inés de la Cruz)의 극작품은 그녀를 스페인-아메리카 바로크 극장의 두 번째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프랑스에서는 피에르 코르네유(『무대는 꿈이다』), 몰리에르(『돈 주앙 또는 돌상의 잔치』), 스페인에서는 틸소 데 몰리나(희극 『경건한 마르타』(Marta la piadosa), 역사극 『세비야의 바람둥이와 돌의 초대』), 로페 데 베가(희극 ''La estrella de Sevilla''),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인생은 꿈이다』) 등 바로크 시대에는 많은 작가들이 극작품을 썼다.
바로크는 지적인 분석보다는 감정과 감각을 선호하고, 사실성보다는 환상을 추구하며, 조화의 통일성보다는 변화무쌍함과 모순에 무게를 두고, 단순함보다는 복잡성을 선택했다.
많은 작품은 중첩극(극중극)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코르네유의 『무대는 꿈이다』에서는 아버지가 아들이 세상을 돌아다니는 것을 보는 연극을 관객이 보게 되지만, 그 자체가 또 다른 연극임이 드러난다. 이를 통해 작가는 그 연극을 옹호하는 힘을 얻고, 관객을 매료시켜 그 시각에 따르게 한다. 등장인물들도 관객과 마찬가지로 때때로 환영의 희생자가 된다.
바로크 미학은 움직임, 변화무쌍함, 모순, 반어법 등에 의존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은 어떤 감정의 색채에서 다른 것으로 변화한다. 그들은 과잉과 열정의 한가운데 있다. 고전주의 미학이 통일성을 추구하는 데 반해, 바로크는 다원성에서 기쁨을 발견하고, 열거법의 취향을 가지고 있다. 바로크는 하나의 메달의 양면을 보여준다. 진실은 거짓과, 현실은 꿈과, 삶은 죽음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극장에서는 인물의 움직임을 두드러지게 하는 특정 연출(조명, 연기, 의상, 장식 등) 또한 바로크 표현에 한몫을 하고 있다.
10. 정원
바로크 정원은 프랑스식 정형식 정원(jardin à la française)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6세기 로마에서 처음 등장하여 17세기 프랑스의 보르 르 비콩트 성(Vaux le Victe)과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에서 가장 유명해졌다. 바로크 정원은 18세기 중반까지 독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스페인, 폴란드, 이탈리아, 러시아의 국왕과 왕족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더 자연스러운 영국식 자연 정원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바로크 정원의 목적은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힘과 건설자의 영광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바로크 정원은 집의 방처럼 기하학적 패턴으로 조성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샤토(château)나 테라스에서 바깥쪽을 내려다보는 것이 가장 좋은 감상 방법이었다. 바로크 정원의 요소에는 화려한 바로크 디자인으로 다듬어진 화단이나 낮은 울타리의 파르테르(parterres), 그리고 정원을 나누고 가로지르는 직선의 자갈길과 오솔길이 포함되었다. 고저차가 있는 곳에는 테라스, 경사로, 계단, 폭포가 설치되어 감상 지점을 제공했다. 원형이나 직사각형의 연못이나 분수대는 분수와 조각상을 위한 배경이 되었다. 꼼꼼하게 다듬어진 숲이나 동일한 나무들이 줄지어 있는 보스케(bosquets)는 녹색 벽처럼 보였고, 조각상을 위한 배경이 되었다. 가장자리에는 일반적으로 방문객들이 햇빛이나 비를 피할 수 있는 파빌리온, 오랑주리(orangerie), 기타 구조물들이 있었다.[107]
바로크 정원은 수많은 정원사와 지속적인 가지치기, 그리고 풍부한 물을 필요로 했다. 바로크 시대 후반에는 정형적인 요소들이 구불구불한 길, 다양한 나무들이 자연스럽게 자란 숲, 소박한 건축 양식과 그림 같은 구조물(로마 신전이나 중국식 파고다 등), 그리고 방문객들이 독서를 하거나 조용히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녹지로 가득 찬 주 정원 가장자리의 "비밀 정원" 등 더 자연스러운 요소들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18세기 중반까지 대부분의 바로크 정원은 영국식 자연 정원의 변형으로 부분적 또는 완전히 변형되었다.[107]
베르사유와 보르 르 비콩트 성 외에도 원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유명한 바로크 정원으로는 나폴리 근처의 카세르타 왕궁(Royal Palace of Caserta), 독일의 님펜부르크 궁전(Nymphenburg Palace)과 브륀의 아우구스투스부르크와 팔켄루스트 궁전(Augustusburg and Falkenlust Palaces, Brühl), 네덜란드의 헤트로 궁전(Het Loo Palace), 빈(Vienna)의 벨베데레 궁전(Belvedere Palace), 스페인의 라 그랑하 데 산 일데폰소 왕궁(Royal Palace of La Granja de San Ildefonso),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페테르호프 궁전(Peterhof Palace) 등이 있다.[107]
이 시대의 도시 계획은 교차로에 작은 공원이 있는 방사형 대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바로크 정원의 설계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
이탈리아식 정원에서 바로크 양식의 정원은 르네상스 시대인 16세기에도 볼 수 있으며, 에스테 궁전, 란테 궁전의 정원 등에도 바로크 양식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탈리아에서 이러한 형식의 정원 조성의 중심은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있으며, 대규모 폭포나 연못의 테라스화 등 르네상스식보다 사면을 과감하게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벽면, 분수, 조각, 정자, 계단 및 난간, 수상극장(야외극장), 그로토(정원 동굴), 벽면, 화분(화분, 장식 화분) 등 석조물도 테라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일성과 입체성을 도모하고, 폭포와 수상극장에 의한 역동성을 부여하여 놀라게 하는 기상천외함, 유희성과 스펙터클(장관)성, 이벤트성이 강조되었으며, 르네상스의 기본 정신인 고대 문명·문화의 부흥·재현이라는 사상과 자연 모방이라는 예술관은 후퇴하고 희박해져 갔다. 르네상스의 대칭, 조화, 비례 대신 창조적인 기발한 재능의 발휘와 정원의 학예성, 다양성, 종합성에서 일면성으로 향했다.
이탈리아식 정원의 경우, 로마에서 남동쪽 20km에 있는 프라스카티에 많다. 프라스카티는 로마 시대의 대규모 별장지, 온천지이며, 구릉지대에서 르네상스 시대에 별장지·휴양지로 재평가되었다. 이탈리아 바로크의 대표적인 예로는 알도브란디니 궁전(1598-1603)이 있으며, 그 외에도 토를로니아 궁전, 몬드라고네 궁전, 무티 궁전, 팔코니에리 궁전, 루피넬라 궁전, 파르네세 궁전, 이졸라 벨라(마조레 호, 벨라 섬 계단식 바로크 정원, 이탈리아식 정원) 등이 있다.
평면 기하학식 정원·프랑스 바로크의 예로는 현재도 남아 있거나 당시 모습으로 재건된 것도 많으며, 랑겐부르크 성 바로크 정원(건축은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성), 보르 르 비콩트 성(프랑스 바로크 정원의 초기 걸작), 프로이시슈 올덴도르프의 쿠아파크 바트 홀츠하우젠(19세기에 풍경 정원이 증설됨), 뉘른베르크 노인호프 성의 바로크 정원, 뤼베크의 슈토크하우젠 관저 정원(단, 과거의 바로크 정원은 거의 남아 있지 않음), 카셀의 베르크파르크 빌헬름스호에(일부는 풍경식으로 개조됨), 하이델베르크 성(1719년에 정원 일부를 바로크 정원으로 손질함), 안스바흐의 오랑주리와 궁정 정원( 1723년부터 1730년까지 바로크 정원으로 확장됨), 코부르크 호프가르텐(Hofgarten, 왕궁 정원), 키르히브라크의 베스터브라크 기사관 바로크 정원, 바이커스하임 성(프랑켄 지방에서 가장 초기의 바로크 정원 중 하나로 여겨짐), 호프가르텐 (뮌헨), 슈타트하겐의 슈타트가르텐, 님펜부르크 궁전 바로크식 정원, 슈베칭겐 성 바로크식 정원, 슈템베데 할데르므 성 공원(아마도 바로크 정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등이 있다.
영국의 컨트리 하우스에서도 18세기에 널리 퍼진 풍경식 정원의 전 세대인 17세기 시점에서는 바로크 정원의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진 것이 선호되어 채택되고 있다. 현대에도 구이도 하거 등이 소규모이지만, 때때로 바로크 정원을 만들고 있다.
11. 영향
바로크 양식은 이후 로코코 양식으로 이어졌으며, 19세기에는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117] 낭만주의는 감정과 개인주의를 강조하고 과거와 자연을 숭배하며 고전주의보다 중세를 선호했다.[117] 19세기는 부흥 양식의 세기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117]
19세기 중후반 제2 프랑스 제국 시기에는 바로크와 로코코의 영향이 다시 인기를 얻었으며,[119] 건축뿐 아니라 가구 디자인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제2 제국 양식(1848–1870)의 많은 디자인에는 다양한 스타일에서 가져온 요소들이 혼합되었으며, 바로크 양식은 절충주의의 주요 영감원 중 하나였다.[120]
벨 에포크 시대(1871년경~1914년)에는 보자르 양식을 통해 절충주의가 절정에 달했다. 이 양식은 루이 14세의 베르사유 궁전을 연상시키는 화려하게 장식된 기념비적인 구조를 통해 바로크풍의 풍성함을 목표로 했다.[121]
20세기에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서 바로크 양식의 일부 요소가 재해석되기도 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현상 유지 상태였던 모더니즘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디자인에 역사적 스타일의 요소를 포함시키고 모더니즘 이전 시대에 대한 재평가를 촉진하는 운동이었다.[122] 예를 들어, 필립 존슨이 설계한 뉴욕의 550 매디슨 애비뉴는 바로크 양식의 하이보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상단이 깨진 페디먼트가 특징이다.[123] 마이클 그레이브스가 설계한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돌핀 호텔(Dolphin Hotel)에는 루이 14세 시대 건물과 가구의 모서리, 상단, 지붕 난간을 장식하는 항아리와 비슷한 항아리 모양의 꼭대기가 있다.[123]
한국에서는 근대화 과정에서 서양 문물이 유입되면서 바로크 양식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종교 건축과 예술 분야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Baroque Period - Music of the Baroque
https://www.baroque.[...]
2022-10-26
[2]
논문
'Better Papist than Calvinist': Art and Identity in Later Lutheran Germany
German History Society
2011-12-01
[3]
서적
Stiluri în arta decorativă
Cerces
1970
[4]
웹사이트
Origem da palavra BARROCO
https://www.dicionar[...]
[5]
웹사이트
BAROQUE : Etymologie de BAROQUE
https://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6]
백과사전
Baroque
[7]
논문
Baroco: The Logic of English Baroque Poetics
https://read.dukeupr[...]
2019-09-01
[8]
웹사이트
BAROQUE : Etymologie de BAROQUE
http://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19-01-04
[9]
서적
French Renaissance and Baroque Drama: Text, Performance, The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
[10]
웹사이트
Le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1694)
https://artflsrv03.u[...]
[11]
웹사이트
Vocabulario Portuguez & Latino
http://dicionarios.b[...]
2019-01-01
[12]
사전
Baroque
https://www.etymonli[...]
2018-12-31
[1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2001
[14]
웹사이트
Le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1762)
https://artflsrv03.u[...]
[15]
서적
Encyclopédie; Lettre sur la Musique Française
[16]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Architecture
[17]
웹사이트
dictionnaires d'autrefois public access collection
https://artflsrv03.u[...]
2019-01-02
[18]
서적
Der Cicerone: eine Anleitung zum Genuss der Kunstwerke Italiens
https://archive.org/[...]
Schweighauser
1855
[19]
서적
Les Styles en Architecture
2014
[20]
서적
Zapping Prin Istoria Artelor
rao
2018
[21]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Italian Mannerism Upon Maltese Architecture
http://melitensiawth[...]
1953
[22]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2005
[23]
웹사이트
The Reformation and Lutheran Baroque
https://blog.oup.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2-20
[24]
서적
[25]
서적
1988
[26]
서적
1988
[27]
서적
1988
[28]
서적
1988
[29]
서적
1988
[30]
서적
1988
[31]
서적
1988
[32]
서적
1000 de Minuni Arhitecturale
Editura Aquila
2009
[33]
서적
1988
[34]
서적
1988
[35]
서적
1988
[36]
서적
1000 de Minuni Arhitecturale
Editura Aquila
2009
[37]
서적
1988
[38]
웹사이트
Kolumna Zygmunta III Wazy w Warszawie
https://culture.pl/p[...]
2019-06-24
[39]
웹사이트
WILANÓW PALACE
http://www.anothertr[...]
2019-06-24
[40]
웹사이트
Tylman z Gameren – architekt Warszawy: Polak z wyboru, Holender z pochodzenia
https://www.codart.n[...]
2019-06-24
[41]
웹사이트
Holy Roman Empire Architecture
https://www.medieval[...]
[42]
서적
1988
[43]
서적
Yves Saint Laurent & Art
Thames & Hudson
2022
[44]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45]
서적
L'Architecture de Paris des Origins à Aujourd'hui
Massin
2015
[46]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47]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48]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49]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50]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51]
서적
1988
[52]
서적
1988
[53]
서적
5000 Years of Tiles
The British Museum Press
2013
[54]
웹사이트
Age of the Baroque in Portugal
https://www.nga.gov/[...]
[55]
웹사이트
Caracterização da arquitetura chã
http://www.resumos.n[...]
2020-02-03
[56]
학술지
Late Baroque and Rococo in North Portugal
1956
[57]
웹사이트
Um Roteiro pelo Barroco bracarense
https://tastebraga.c[...]
2017-08-30
[58]
웹사이트
Notícias – Direção Regional de Cultura do Norte
https://culturanorte[...]
2020-02-03
[59]
웹사이트
Historic Centre of Oporto, Luiz I Bridge and Monastery of Serra do Pilar
https://whc.unesco.o[...]
[60]
웹사이트
Architecture and the Baroque
http://www.torredosc[...]
[61]
웹사이트
Church of S. João Novo
https://www.upt.pt/p[...]
[62]
웹사이트
DGPC | Pesquisa Geral
http://www.patrimoni[...]
[63]
웹사이트
DGPC | Pesquisa Geral
http://www.patrimoni[...]
[64]
서적
A History of Russian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65]
서적
100 Places in Cuba Every Woman Should Go
https://books.google[...]
Travelers' Tales
2018
[66]
웹사이트
Iglesia de Santo Domingo
http://www.santiagoc[...]
2016-01-21
[67]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engage
[68]
서적
The Colonial Andes: Tapestries and Silverwork, 1530–183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69]
서적
El bárroco iberoamericano. Mensaje iconográfico
https://books.google[...]
Ediciones Encuentro
1990
[70]
웹사이트
Painting Beyond the Frame: Religious Murals of Colonial Peru
https://mavcor.yale.[...]
MAVCOR of the Yale University
2016-05
[71]
서적
The Jesuits: Cultures, Sciences, and the Arts, 1540–1773, Volume 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
[72]
서적
Art on the Jesuit Missions in Asia and Latin America, 1542–177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
[73]
웹사이트
Historia Del Arte
https://www.iberlibr[...]
1983
[74]
서적
Diccionario Enciclopedico Larousse. 12 Tomos.
https://www.iberlibr[...]
Editorial Planeta
1990
[75]
서적
Arta Românească de la Origini până în Prezent
Litera
2016
[76]
서적
Manual de Istoria Artei - Barocu
Editura Meridiane
1985
[77]
서적
Great Women Artists
Phaidon
2019
[78]
서적
Great Women Artists
Phaidon
2019
[79]
서적
Great Women Artists
Phaidon
2019
[80]
서적
La Peinture du baroque
1997
[81]
서적
La Peinture du baroque
1997
[82]
서적
La Peinture du baroque
1997
[83]
서적
Elements of the Baroque Style
Gale
2005
[84]
서적
1988
[85]
서적
1988
[86]
웹사이트
La Renommée à cheval sur Pégase
https://collections.[...]
1698-01-01
[87]
서적
Decorative Art
Parkstone
2012
[88]
웹사이트
Cabinet parisien 17e siècle
https://musees-stras[...]
[89]
웹사이트
Pier Table
https://www.artic.ed[...]
[90]
서적
Decorative Art
Parkstone
2012
[91]
웹사이트
Slant-Front Desk
https://www.artic.ed[...]
[92]
서적
Stiluri în arta decorativă
Cerces
1970
[93]
서적
Stiluri în arta decorativă
Cerces
1970
[94]
서적
Les Styles de l'architecture et du mobilier
2006
[95]
서적
Barockmusik
Edition Peters
1919
[96]
서적
The Piano: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97]
웹사이트
The Piano: The Pianofortes of Bartolomeo Cristofori (1655–1731)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10-01
[98]
서적
Renaissance und Barock
F. Bruckmann
1888
[99]
서적
Pittoresco. Marco Boschini, His Critics, and Their Critiques of Painterly Brushwork in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Ita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00]
백과사전
Baroque theatres and staging
https://www.britanni[...]
[101]
서적
Comedias: El Remedio en la Desdicha. El Mejor Alcalde El Rey
2010
[102]
서적
Historia de la literatura española: Siglo De Oro: Teatro (1492–1700)
Editorial Ariel
1992
[103]
서적
El teatro musical de Calderón de la Barca: Análisis textual
EDITUM
2008
[104]
서적
A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América y el teatro español del Siglo de Oro. II Congreso Iberoamericano del Teatro – Tercera ponencia: Actores y compañías de América durante la época virreinal
https://books.google[...]
Publications Service of the University of Cádiz
1996
[106]
서적
Juan Ruiz de Alarcón y su nuevo arte de entender la comedia
http://www.cervante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ispanists
2008
[107]
서적
L'Art Baroque – Architecture – Sculpture – Peinture
H.F. Ulmann
2015
[108]
서적
Introduction Embodiments of Power: Building Baroque Cities in Austria and Europe
http://dx.doi.org/10[...]
Berghahn Books
2023-12-01
[109]
웹사이트
Baroque Replanning of Rome
https://ohiostate.pr[...]
[110]
간행물
Beyond the Façade: Haussmannization in Paris as a Transformation of ...
trace.tennessee.edu/[...]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016-04
[111]
뉴스
Story of cities #13: Barcelona's unloved planner invents science of 'urbanisation'
https://www.theguard[...]
2023-12-01
[112]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113]
웹사이트
Asisbiz article and photo's of 3 Zhongshan Road Shanghai China
https://www.asisbiz.[...]
2020-01-27
[114]
웹사이트
Grande console à ressaut central
https://collections.[...]
2023-09-20
[115]
서적
The Louvre, a Tale of a Palace
Musée du Louvre Éditions
2008
[116]
웹사이트
Candélabre à onze lumières
https://collections.[...]
2023-09-20
[117]
서적
The Architecture Book – Big Ideas Simply Explained
DK
2023
[118]
서적
Histoire des Styles Décoratifs
Larousse
1966
[119]
서적
French Furniture • From Louis XIII to Art Deco
Little, Brown and Company
2001
[120]
서적
French Furniture • From Louis XIII to Art Deco
Little, Brown and Company
2001
[121]
서적
French Furniture • From Louis XIII to Art Deco
Little, Brown and Company
2001
[122]
서적
Secolul al XVII – lea – Secole de Artâ
rao
2010
[123]
서적
Postmodern Architecture – Less is a Bore
Phaidon
2020
[124]
서적
Postmodern Architecture – Less is a Bore
Phaidon
2020
[125]
웹사이트
Woonhuis, Herengracht 120, 1015 BT te Amsterdam
https://monumentenre[...]
2023-09-22
[126]
웹사이트
Lambris du Cabinet de L'Hôtel Colbert de Villacerf
https://www.carnaval[...]
2023-08-31
[127]
웹사이트
Paire de Cases 'Fuseau'
https://www.amisdulo[...]
2023-05-10
[128]
서적
Dicionário de português-francês
Porto Editora
1996
[129]
서적
Rethinking the Baroque
https://books.google[...]
[130]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Larousse
1989
[131]
웹사이트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1re édition
http://portail.atilf[...]
[132]
웹사이트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4e édition
http://portail.atilf[...]
[133]
서적
Histoire et splendeurs du baroque en France
édition Ouest-France
2003
[134]
웹사이트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aise, 7e édition
http://gallica.bnf.f[...]
F. Didot
1878
[135]
서적
Renaissance und Barock: Eine Untersuchung über Wesen und Entstehung der Barockstils in Italien
1888
[136]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2005
[137]
웹사이트
The Life of Marie de' Medici
http://www.stude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