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의 역사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1818년 바젤에서 태어나 1897년 사망했다. 그는 바젤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레오폴트 폰 랑케의 영향을 받아 객관적인 역사 연구를 추구했다. 부르크하르트는 르네상스 시대를 연구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미술사를 학문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연구는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프리드리히 니체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평론가 - 하인리히 뵐플린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미술사를 양식 발달의 문제로 보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을 대비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특히 《미술사의 기초 개념》에서 다섯 가지 대비되는 표현 방식으로 미술 양식의 변천을 설명하여 미술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 하인리히 뵐플린
스위스의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미술사를 양식 발달의 문제로 보고 르네상스와 바로크 양식을 대비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특히 《미술사의 기초 개념》에서 다섯 가지 대비되는 표현 방식으로 미술 양식의 변천을 설명하여 미술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작가 -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네 단계로 나누고 '스키마', '동화', '조절' 개념을 통해 인지 발달 과정을 분석한 스위스의 심리학자이자 인식론자로서, 발달심리학, 교육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위스의 작가 - 클라우스 슈바프
클라우스 슈바프는 독일계 스위스인 경제학자로서 세계경제포럼의 설립자이자 명예회장이며, 다양한 학위를 취득하고 세계 경제 및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술과 국제적 영향력으로 알려졌으나, 높은 연봉, WEF의 투명성 부족, 비민주적 구조, 성희롱 혐의 등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원어 이름 | Carl Jacob Christoph Burckhardt |
출생일 | 1818년 5월 25일 |
출생지 | 바젤, 스위스 |
사망일 | 1897년 8월 8일 |
사망지 | 바젤, 스위스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본 대학교 |
소속 기관 | 바젤 대학교 연방 공과대학교 |
직업 | 역사가, 대학 교수 |
연구 및 사상 | |
주요 관심사 | 미술사 문화사 |
시대 | 19세기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영향을 준 인물 |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
영향을 받은 인물 | 프리드리히 니체 |
주요 저서 | |
대표작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 1860) |
2. 생애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바젤의 대교회 설교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신학을 공부했지만,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야코프 그림 등의 영향을 받아 역사학으로 전향했다. 프란츠 쿠글러의 강의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미술사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쿠글러와는 평생 동안 친분을 유지했다.
1843년 바젤에서 대학교수 자격 시험에 합격한 후,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역사와 미술사를 가르쳤다. 1858년에는 바젤 대학교로 돌아와 1893년 은퇴할 때까지 교수직을 맡았다. 1886년부터는 오로지 미술사만을 강의하였다.[21]
튀빙겐 대학교와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직 제안을 두 차례나 거절했는데, 특히 1872년 레오폴트 폰 랑케의 후임으로 베를린 대학교 교수직 제안을 받았으나 고향인 바젤에 남기로 결정했다.[21]
2. 1. 유년기와 교육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1818년 바젤에서 프로테스탄트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바젤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처음에는 신학을 공부해 성직자가 되기를 희망했지만, 빌헬름 마르틴 레베레히트 데 베테의 영향으로 성직의 길을 포기했다. 1839년, 부르크하르트는 종교적 신앙심을 잃고 바젤과 뇌샤텔에서 신학 공부를 중단했다.1839년 학위를 마친 후,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역사학, 특히 당시 새로운 분야였던 미술사를 공부했다.[3] 베를린에서 그는 사료와 기록에 근거한 객관적인 학문으로서의 역사를 확립한 레오폴트 폰 랑케의 강의를 들었다.[21] 1840년부터는 베를린에 체류하며 레오폴트 폰 랑케,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야코프 그림 등에게서 배웠다. 또한 미술사가 프란츠 쿠글러의 강의에 깊이 감명을 받아 평생에 걸친 친분을 맺었다.
1841년에는 본 대학교에서 프란츠 쿠글러에게서 수학했으며, 그의 첫 번째 책인 《벨기에 도시들의 미술작품》(Die Kunstwerke der belgischen Städte, 1842)을 쿠글러에게 헌정했다. 1843년 말 바젤에서 대학교수 자격 시험에 합격하여 강사로서 역사와 미술사 강의를 했다.
2. 2. 학문 활동
부르크하르트는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1839년까지 바젤과 뇌샤텔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나, 종교적 신앙심을 잃고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역사학, 특히 미술사를 공부하였다.[21] 베를린에서는 사료와 기록에 의거한 학문적인 훈련으로서의 역사를 제창한 레오폴트 폰 랑케의 강의를 들었다.[21] 1841년 본 대학교에서 미술사학자 프란츠 쿠글러에게서 공부하였고, 자신의 첫 저서인 《벨기에 도시들의 미술작품》을 쿠글러에게 헌정하였다.[21]1843년부터 1855년까지 바젤 대학교에서, 이후에는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21] 1858년 바젤 대학교로 돌아와 1893년 은퇴할 때까지 교수직을 맡았으며, 1886년부터는 미술사만을 가르쳤다.[21] 1867년 튀빙겐 대학교와 1872년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직 제안을 두 차례 거절하였다.[21]
바젤 대학교에서 고전 문헌학을 담당했던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와도 친분이 깊었다. 니체는 부르크하르트를 존경하며 그의 우정에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저술 활동을 중단하고 교육 활동에 전념했으며, 1893년 공직에서 은퇴한 후 4년 뒤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2. 3. 니체와의 관계
프리드리히 니체는 1869년 24세의 나이에 바젤 대학교 고전어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부르크하르트를 존경했으며 그의 강의를 몇 번 들었다.[21] 두 사람 모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열렬한 추종자였다. 니체는 부르크하르트가 자신의 저서 ''비극의 탄생''에서 그리스 문화가 상반되는 "아폴로적"과 "디오니소스적" 경향으로 정의된다는 논제에 동의한다고 믿었다. 니체와 부르크하르트는 서로 지적인 교류를 즐겼지만,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이 발전하면서 거리를 두었다. 이들 사이에 수년에 걸쳐 오간 광범위한 서신은 출판되었다.부르크하르트는 바젤 대학교에서 고전 문헌학을 담당했던 철학자 니체와 친분이 깊었다. 니체가 세계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부르크하르트의 영향 때문이었으며, 니체는 다른 사람에게 보낸 서한에서도 “이 은둔자처럼 사람들과 떨어져 생활하는 사상가”에 대해 존경심을 표하며 부르크하르트의 우정에 감사하고 있다.
2. 4. 만년과 죽음
1872년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에서 레오폴트 폰 랑케의 후임으로 초빙되었지만, "토박이 바젤 사람으로서" 고향에 뼈를 묻을 생각이었기에 이 제안을 정중하게 거절했다. 말년 30년은 “인세를 위해 쓰거나 출판사의 하인이 되어 사는” 것을 싫어하여 저술 활동을 그만두고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21] 1893년에 공무를 완전히 은퇴하고, 4년 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Bene vixit, qui latuit”(잘 숨어서 산 자야말로 잘 산 자다)가 부르크하르트의 모토였다고 한다.그의 사후, 1898년 스위스 판화가 한스 프라이(Hans Frei, 1868-1947)가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한 메달을 제작했다.[11]

스위스 프랑 지폐의 최고액면 1000프랑 지폐에는 부르크하르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
3. 주요 저서 및 연구 업적
부르크하르트의 역사 저술은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미술사를 학문으로 정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하여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하는 혁신적인 역사 연구 방식을 제시했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헤겔주의, 실증주의, 경제주의 역사 해석에 대한 반대였다.[4]
그는 프란츠 쿠글러에게 헌정한 《Der Cicerone: Eine Anleitung zum Genuss der Kunstwerke Italiensde》(이탈리아 예술을 즐기기 위한 안내서, 1855)를 통해 조각, 건축, 회화를 다루었으며, 이 책은 이탈리아 예술 여행자들에게 필수적인 안내서가 되었다.[22]
《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de》(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1860)는 19세기에 쓰인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으로 꼽히며, 게오르크 포이크트와 함께 르네상스 역사 연구를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르크하르트는 르네상스 사회의 모든 측면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포이크트와 차이를 보인다.
그는 고대사 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그리스 문명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고(1872-1885), 이는 사후 《Griechische Kulturgeschichtede》(그리스 문화사)로 출판되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부르크하르트를 존경하여 그의 강의를 수강하기도 했다. 두 사람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공감했지만,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과는 거리를 두었다. 그의 제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바젤 대학교 교수직을 물려받았다.
부르크하르트는 독일 민족주의와 문화적 우월성에 비판적이었으며, 산업 혁명, 민족주의, 군국주의 등 유럽의 변화에 주목했다. 그는 20세기 격변을 예견했지만, 민주주의, 개인주의, 사회주의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의 사후, 친구들은 《Erinnerungen aus Rubensde》(루벤스의 그림과 생애, 1898)와 《Beiträge zur Kunstgeschichte von Italiende》(이탈리아 예술사에 대하여, 1898)를 편집·출판했다.[22]
부르크하르트는 "역사는 과거의 정치이고 정치는 현재의 역사다"라는 19세기 개념을 극복한 선구적인 역사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4]
'''주요 저서 목록'''
출판 연도 | 제목 | 번역 | 비고 |
---|---|---|---|
1838 | Bemerkungen über schweizerische Kathedralende | 스위스 성당에 대한 고찰 | |
1853 | Die Zeit Konstantins des Grossende |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 | |
1855 | Der Cicerone: Eine Anleitung zum Genuss der Kunstwerke Italiensde | 이탈리아 예술을 즐기기 위한 안내서 | 프란츠 쿠글러에게 헌정, 조각, 건축, 회화를 다룸[22] |
1860 | 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de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 19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 |
1867 | Geschichte der Renaissance in Italiende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역사 | |
사후 출판 | Griechische Kulturgeschichtede | 그리스 문화사 | 1872년~1885년 강의 내용 |
1898 | Erinnerungen aus Rubensde | 루벤스의 그림과 생애 | |
1898 | Beiträge zur Kunstgeschichte von Italiende | 이탈리아 예술사에 대하여 |
'''영어 번역본'''
- The Cicerone: or, Art-guide to Painting in Italy. For the Use of Travellers영어 (이탈리아 회화 예술 안내서: 여행자를 위한 지침서, 1873년)
-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영어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명, 1878년)
- The Greeks and Greek Civilization영어 (그리스인과 그리스 문명, 1999년)
- Judgements on History and Historians영어 (역사가들에 대한 판단, 1929년)
- The Letters of Jacob Burckhardt영어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편지)
- Reflections on History영어 (역사에 대한 성찰, 1943년)
'''일본어 번역본'''
3. 1. 초기 저술 활동
부르크하르트의 역사 저술은 그 자체로 문학적 가치가 있으며, 미술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22] 그는 역사 연구에서 특정한 역사적 사건의 바탕이 되는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할 때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당시 지배적이었던 헤겔주의와 실증주의, 그리고 역사 해석으로서의 경제지상주의에 반대했다.1838년, 부르크하르트는 처음으로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스위스 성당에 대한 고찰》(Bemerkungen über schweizerische Kathedralen)을 출판했다. 1847년에는 쿠글러의 저작인 《회화의 역사》(Geschichte der Malerei)와 《미술사》(Kunstgeschichte)를 접했으며, 1853년에는 자신의 저서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Die Zeit Konstantins des Grossen)를 출판했다. 1853년에서 1854년 사이, 그는 이탈리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자료를 수집했고, 이를 바탕으로 1855년에 쿠글러에게 헌정한 《Der Cicerone: Eine Anleitung zum Genuss der Kunstwerke Italiens》(이탈리아 예술을 즐기기 위한 안내서)를 썼다. 이 책은 조각, 건축, 회화를 다루었으며, 당시까지 쓰인 여행서 중 가장 자세한 것으로[22] 이탈리아 예술 여행자들에게 필수적인 안내서가 되었다.
《Der Cicerone》 초판의 절반 가량은 르네상스 예술에 할애되었다. 이는 자연스럽게 부르크하르트가 1860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를, 1867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역사》(Geschichte der Renaissance in Italien)를 저술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는 19세기에 쓰인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으로 평가받으며, 현재까지도 널리 읽히고 있다.
3. 2. 주요 저서
Bemerkungen über schweizerische Kathedralende (스위스 성당에 대한 고찰, 1838년)Die Zeit Konstantins des Grossende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 1853년)
Der Cicerone: Eine Anleitung zum Genuss der Kunstwerke Italiensde (이탈리아 예술을 즐기기 위한 안내서, 1855년) - 프란츠 쿠글러에게 헌정한 책으로, 조각, 건축, 회화를 다루었으며, 이탈리아로 예술 여행을 떠나는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될 안내서가 되었다.[22]
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de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1860년) - 19세기에 쓰인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으로 평가받는다.
Geschichte der Renaissance in Italiende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역사, 1867년)
Griechische Kulturgeschichtede (그리스 문화사, 사후 출판) - 1872년부터 1885년까지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영어 번역본'''
- The Cicerone: or, Art-guide to Painting in Italy. For the Use of Travellers영어 (이탈리아 회화 예술 안내서: 여행자를 위한 지침서, 1873년) - A. H. 클라우(A. H. Clough) 번역.
-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영어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명, 1878년) - 1860년 독일어 원본(Die C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de)의 미들모어(Middlemore) 번역.
- The Greeks and Greek Civilization영어 (그리스인과 그리스 문명, 1999년) - Griechische Kulturgeschichtede(1898–1902) 번역.
- Judgements on History and Historians영어 (역사가들에 대한 판단, 1929년)
- The Letters of Jacob Burckhardt영어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편지)
- Reflections on History영어 (역사에 대한 성찰, 1943년) - Weltgeschichtliche Betrachtungende 번역.
'''일본어 번역본'''
- 『벨기에 여러 도시의 예술 작품』(1842년)
- 『쾰른 대주교 콘라트 폰 호호슈타덴』(1843년)
- 『콘스탄티누스 대제(콘스탄티누스 1세)의 시대 Die Zeit Constantins des Grossen』(1853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筑摩書房, 2003년)
- 『치체로네 이탈리아의 미술품 감상 안내서 Der Cicerone』(1855년)
- 다키우치 마키오 역 (中央公論美術出版, 〈건축편〉 2004년/〈회화편〉 2011년/〈조각편〉 미간행)
- 다카기 마사후미 편역 「아름다움의 치체로네」(青土社, 2005년) - 회화편 발췌역
- 가몬 야스오 역 (筑摩書房 「저작집」, 1948년) - 초역・고대편만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Die K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 ein Versuch』(1860년)
- 시바타 지사부로 역 (中公文庫 상・하, 1974년 / 中公クラシックス[17] I・II, 2002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筑摩書房, 2007년/ ちくま学芸文庫 상・하, 2019년)
- 르네상스의 문화, 마자키 마리 역, 國民圖書(전2권), 1925년
- 문예부흥사, 야마기시 미츠노부 역, 세계대사상전집 10〈제2기〉 春秋社, 1930년
- 이탈리아 문예부흥기의 문화, 무라마츠 코이치로(역사학자), 후지타 켄지 역 (이와나미 문고(상하), 1931-39년).
- 『고대 그리스 문화사 Griechische Kulturgeschichte』(1897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筑摩書房 전5권, 1991-93년 / ちくま学芸文庫 전8권(개정판), 1998년)
- 신세키료조 역 「그리스 문화사」(東京堂 출판 전6권, 1948-50년, 개정판 1957년), 편역판
- 『강의록 성집 Gesamtausgabe Vorträge』(1929-34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부르크하르트 문화사 강연집」(筑摩書房, 2000년)
- 타니 토모유키 역 「북방의 화가들」(세계문학사, 1949년), 발췌역
- 『피터 폴 루벤스(ピーテル・パウル・ルーベンス)의 회상 Erinnerungen aus Rubens』(1898년)
- 아사이 마오(浅井眞男) 역 (二見書房, 1942년/角川書店, 1950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루벤스 회상」(ちくま学芸文庫, 2012년)
- 『이탈리아 예술사에의 기여』(1898년)
- 『세계사적 제고찰 Weltgeschichtliche Betrachtungen』(1905년)
- 오쿠즈 히코시게 역 「세계사적 고찰」(櫻井書店, 1948년)
- 카바 토시오 역 (筑摩書房 「저작집」, 1949년/潮出版社 「조 문고」, 1972년).
- 후지타 켄지 역 (岩波文庫, 1972년 / 二玄社(개역판), 1981년).
- 신아이 야스이치 역 「세계사적 고찰」(ちくま学芸文庫, 2009년)
3. 3. 사후 출판된 저서
부르크하르트는 미술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키는데 기여했다. 그의 사후, 친구들은 《루벤스의 그림과 생애 (Erinnerungen aus Rubensde)》 (1898)와 《이탈리아 예술사에 대하여 (Beiträge zur Kunstgeschichte von Italiende)》(1898)를 편집·출판했다.[22]3. 4. 연구 방법론 및 역사관
부르크하르트는 당시 유행하던 헤겔주의 역사 해석, 경제주의, 실증주의에 반대하며,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는 역사 연구에서 예술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미술사를 학문으로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문화사'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4]1838년 이탈리아 여행 후 첫 저술인 《스위스 성당에 대한 고찰》을 출판했고, 1847년에는 쿠글러의 저작들을 접했다. 1853년에는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를 출판했으며, 1855년에는 이탈리아 예술 여행 안내서인 《Der Cicerone》를 출판하여 조각, 건축, 회화를 다루었다. 이 책은 당시까지 쓰인 가장 자세한 여행서로 평가받는다.[22]
이후 부르크하르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1860)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역사》(1867)를 저술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는 19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해석으로 평가받으며, 게오르크 포이크트와 함께 르네상스 역사 연구를 확립했다. 부르크하르트는 포이크트와 달리 르네상스 사회의 모든 측면을 다루었다.
부르크하르트는 고대사 연구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그리스 문명에 대한 강의를 1872년부터 1885년까지 진행했고, 사후에는 《그리스 문화사》로 출판되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부르크하르트를 칭찬하고 그의 강의에 참석했으며, 두 사람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공유했다. 니체는 부르크하르트가 자신의 《비극의 탄생》에 동의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과는 거리를 두었다. 부르크하르트의 제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그의 뒤를 이어 바젤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인으로서 독일 민족주의와 문화적 우월성에 냉담했으며, 당시 유럽의 정치적, 경제적 변화, 산업 혁명, 민족주의와 군국주의에 대해 논평했다. 그는 20세기의 격변을 예견했지만, 민주주의, 개인주의, 사회주의 등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는 "역사는 과거의 정치이고 정치는 현재의 역사다"라는 19세기 개념을 극복한 최초의 역사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4]
4. 영향 및 유산
그가 사망한 후, 1898년 스위스 판화가 한스 프라이(Hans Frei, 1868-1947)가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한 메달을 제작했다.[11]
1869년 24세의 나이에 바젤 대학교 고전어학 교수로 임명된 프리드리히 니체는 부르크하르트를 존경했으며 그의 강의를 몇 번 들었다. 두 사람 모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를 존경했다. 니체는 부르크하르트가 자신의 저서 ''비극의 탄생''에서 그리스 문화가 "아폴론적"과 "디오니소스적" 경향으로 정의된다는 주장에 동의한다고 믿었다. 니체와 부르크하르트는 서로의 지적 교류를 즐겼지만,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과는 거리를 두었다. 수년에 걸친 그들의 서신이 출판되었다.
부르크하르트의 제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28세의 나이에 바젤 대학교에서 그의 뒤를 이었다. 뵐플린의 후계자 베르너 케기는 네덜란드 문화사학자 요한 하위징아의 작품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것 외에도, 6권으로 구성된 부르크하르트의 지적 전기를 완성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고스만(Gossman)은 "케기와 하위징아 사이의 서신은 하위징아가 부르크하르트의 계보를 이어받았다고 느낀 사람 사이의 긴밀한 지적 및 개인적 관계를 보여준다."라고 주장했다.[12]
2018년 영국 학사원은 부르크하르트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 학술회의는 르네상스 연구 학자들과 부르크하르트 자신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스위스 역사가의 의제와 '이탈리아 르네상스'라는 용어의 현대적 타당성과 유용성을 모두 조사하도록 했다.[13]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 천 프랑 지폐에 등장했다.
5. 평가
부르크하르트는 역사 저술을 통해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미술사를 학문으로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혁신적인 역사 연구는 특정 사건의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할 때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당시 유행하던 헤겔주의 역사 해석, 즉 경제지상주의와 실증주의에 반대하며 인간의 예술, 문화, 미적/사회적 존재를 중시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바젤 대학교 교수로 재직 시 부르크하르트를 칭찬하고 그의 강의에 참석했다. 이들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공유하며, 니체는 부르크하르트가 자신의 《비극의 탄생》에 동의할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과 거리를 두었다. 부르크하르트의 제자 하인리히 뵐플린은 28세에 바젤 대학교 교수직을 물려받았다.
부르크하르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연구와 스위스 칼뱅주의 전통을 융합한 인물이다. 그는 스위스인으로서 독일 민족주의와 문화적 우월성에 냉담했으며, 산업 혁명, 유럽의 정치 격변, 민족주의와 군국주의 등 당시 변화를 인식하고 강의와 저술을 통해 의견을 밝혔다. 그는 20세기 격변을 예견하며 민주주의, 개인주의, 사회주의 등 당대 사상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5. 1. 긍정적 평가
부르크하르트의 역사 저술은 그 자체로 문학적 가치가 있으며, 미술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켰다. 그의 역사 연구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은 특정한 역사적 사건의 기초가 되는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할 때 예술과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했다.[4] 그는 당시 유행하던 헤겔주의의 해석, 역사 해석으로서의 경제주의, 그리고 사회과학 담론을 포함한 과학 담론을 지배하게 된 실증주의에 반대했다.[12]라이오넬 고스만은 예술, 문학, 건축의 중요성을 역사 연구의 주요 원천으로 강조하면서 부르크하르트는 (후대 네덜란드 문화사가 요한 하위징아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낭만주의 역사가 쥘 미슐레의 전통에서 일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2]
존 루카치는 부르크하르트가 "역사는 과거의 정치이고 정치는 현재의 역사다"라는 협소한 19세기 개념을 극복한 최초의 역사가 중 한 명이라고 주장했다.[4]
5. 2. 비판적 평가
부르크하르트는 당시 유행하던 헤겔주의 역사 해석, 즉 경제지상주의와 실증주의에 반대하며, 인간의 예술, 문화, 미적/사회적 존재를 강조했다. 그는 사회적, 정치적 경향을 분석할 때 예술과 문화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겼다.[22] 그의 저술은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미술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프리드리히 니체는 부르크하르트를 칭찬하고 그의 강의에 참석했으며,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공유했다. 니체는 부르크하르트가 자신의 《비극의 탄생》에 동의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부르크하르트는 니체의 철학과 거리를 두었다.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인으로서 독일 민족주의와 독일의 문화적 우월성에 냉담했으며, 당시 유럽의 정치, 경제적 변화, 산업 혁명, 민족주의와 군국주의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는 20세기의 격변을 예견하며, 민주주의, 개인주의, 사회주의 등 당시 유행하던 사상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국가는 상인들과 산업가들로부터 신용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국가는 국가가 파산하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모든 사기꾼들 옆에 국가는 이제 최고 사기꾼으로 서 있다."라고 말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Jakob Burckhardt Renaissance Cultural History
http://www.age-of-th[...]
[2]
서적
Space, Time and Architecture
[3]
서적
The Letters of Jacob Burckhardt
Routledge and Kegan Paul
1955
[4]
서적
Remembered Past: John Lukacs on History, Historians, and Historical Knowledge
ISI Books
2004
[5]
서적
(Unspecified title, likely referencing Giedion's work)
[6]
서적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7]
웹사이트
Jacob Burckhardt - Greek cultural history
http://www.zeno.org/[...]
2020-10-11
[8]
웹사이트
Jacob Burckhardt-Gesamtausgabe
https://www.worldcat[...]
2020-10-11
[9]
문서
Burckhardt: Judgments on history and historians
[10]
서적
Judgments on History and Historians
1958
[11]
웹사이트
Gelehrtenbilder. Altertumswissenschaftler auf Medaillen des 19. Jahrhunderts
http://hdl.handle.ne[...]
[12]
뉴스
Before Huizing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5-01
[13]
웹사이트
Burckhardt at 200: The Civilization of the Italian Renaissance reconsidered
https://www.thebriti[...]
2020-07-10
[14]
웹사이트
ネイティヴによる「Jacob Burckhardt」の発音
http://ja.forvo.com/[...]
Forvo
2014-04-01
[15]
서적
イタリアの中世都市
山川出版社
2011
[16]
서적
十九世紀の歴史と歴史家たち
筑摩書房
1985
[17]
문서
[18]
서적
政治哲学へ向けて
文化書房博文社
2010
[19]
웹사이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르네상스 문화사
http://www.age-of-th[...]
[20]
서적
공간, 시간, 건축 (Space, Time and Architecture)
[21]
서적
Life
Basler Jahrbuch
1898
[22]
서적
(Unspecified title, likely referencing Giedion's w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