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르빈 파노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빈 파노프스키는 독일 출신의 미술사학자이자 문화 이론가로, 도상학 연구의 선구자이다. 그는 함부르크 대학교, 뉴욕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르네상스 미술, 특히 상징과 도상학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파노프스키는 미술 작품의 세 가지 해석 수준(자연적, 관습적, 본질적 의미)을 제시하며, 얀 판 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과 같은 작품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내놓았다. 그의 저서로는 《이데아: 고대 예술 이론의 개념적 역사에 대한 기여》, 《도상학 연구》, 《알브레히트 뒤러의 생애와 예술》 등이 있으며, 피에르 부르디외를 비롯한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미술사학자 - 아비 바르부르크
    아비 바르부르크는 독일의 미술사학자이자 문화 이론가로서, 형식주의 미술사에 반대하며 이미지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개척하여 이미지학과 시각문화연구 발전에 기여했고, 그가 설립한 바르부르크 문화학 도서관은 르네상스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 독일의 미술사학자 - 올리버 그라우
    올리버 그라우는 크렘스 도나우 대학교의 이미지학 교수이자 학과장으로, 미디어 아트, 몰입형 가상 현실, 인공지능 등을 연구하며, 《가상 예술: 환영에서 몰입으로》 등의 저서를 출판하고, 국제 컨퍼런스 Refresh!를 창설하여 미디어 아트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 벨기에 왕립 아카데미의 회원 - 스반테 아레니우스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이온 해리 이론을 정립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고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연구, 활성화 에너지 개념 제시, 아레니우스 방정식 개발, 지구 온난화 예측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기여했으나, 우생학 운동 참여 논란도 있는 스웨덴의 물리화학자이다.
  • 벨기에 왕립 아카데미의 회원 - 제임스 채드윅
    제임스 채드윅은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1932년 중성자를 발견하여 193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하고 학장으로 재직하며 대학 발전에 기여했다.
  • 하노버주 출신 - 니클라스 루만
    니클라스 루만은 독일의 사회학자로, 자기생산 개념을 도입한 사회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사회를 의사소통 네트워크로 규정하고 기능적 분화와 복잡성 감소를 통해 사회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추상성과 인간 소외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하노버주 출신 -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성을 그린 소설 《서부 전선 이상 없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독일의 소설가이다.
에르빈 파노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지독일 하노버
사망지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독일어Erwin Panofsky

2. 생애

에르빈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de, 1892년 3월 30일 ~ 1968년 3월 14일)는 20세기 미술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독일 출신의 유대인 학자이다.[1][2][3] 그는 독일에서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으나,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등에서 활동하며 도상학 연구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생애는 크게 독일에서 활동한 유럽 시기와 미국으로 이주하여 활동한 미국 시기로 나눌 수 있다.

2. 1. 유럽 시기 (1892-1933)

파노프스키는 하노버에서 부유한 유대인 실레지아 광산 가문에서 태어났다. 베를린에서 성장하여 1910년 요아힘스탈 김나지움에서 아비투어를 취득했다. 1910년부터 1914년까지 프라이부르크, 뮌헨, 베를린에서 법학, 철학, 문헌학, 미술사를 공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게오르크 뢰슈케를 대신하여 강의하던 미술사학자 마르가레테 비버의 강의를 들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재학 중, 동료 학생이었던 쿠르트 바트의 소개로 미술사학과 창립자인 빌헬름 푀게의 강의를 접하게 되었다. 파노프스키는 푀게의 지도를 받아 1914년 박사 논문을 완성했다. 그의 논문 주제는 뒤러의 예술 이론이었으며, 《뒤러의 예술 이론: 이탈리아 예술 이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Dürers Kunsttheorie: vornehmlich in ihrem Verhältnis zur Kunsttheorie der Italiener)라는 제목이었다. 이 논문은 이듬해 베를린에서 《알브레히트 뒤러의 이론 예술 교육》(Die Theoretische Kunstlehre Albrecht Dürers)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파노프스키는 승마 사고로 인해 제1차 세계 대전 군 복무에서 면제되었고, 이 시기를 활용해 베를린에서 중세학자 아돌프 골드슈미트의 세미나에 참여했다.

파노프스키의 교수 자격 논문(두 번째 박사 논문)인 《미켈란젤로의 구성 원리, 특히 라파엘로의 구성 원리와의 관계》(Die Gestaltungsprinzipien Michelangelos, besonders in ihrem Verhältnis zu denen Raffaels)의 1920년 원고는 오랫동안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1943년 혹은 1944년 함부르크에서 분실되었다고 추정되었고, 파노프스키의 미망인도 원고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2년 8월, 미술사학자 슈테판 클링겐이 뮌헨 중앙미술사연구소의 오래된 나치 금고에서 이 원고를 발견했다.[4][5][6] 이 중요한 연구는 결국 출판되지 못했다.

원고의 행방에 대해서는 파노프스키의 제자였던 미술사학자 루트비히 하인리히 하이덴라이히가 1946년부터 1970년까지 소지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쥐트도이체 차이퉁》에 기고한 빌리발트 자우어랜더는 하이덴라이히가 원고 발견 사실을 알리지 않은 이유에 대해 몇 가지 추측을 제시했다. 자우어랜더에 따르면, 파노프스키는 미켈란젤로 연구에서 점차 거리를 두었는데, 이는 해당 주제에 싫증을 느꼈기 때문이기도 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 미술사학자 요헌네시 빌데와의 전문적인 갈등 때문이기도 했다. 빌데는 파노프스키가 미켈란젤로 드로잉에 관한 대화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자신의 공로로 인정하지 않고 사용했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이유로 파노프스키는 분실된 원고의 행방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을 수 있으며, 하이덴라이히 역시 악의 없이 원고 소지 사실을 비밀로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우어랜더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고 덧붙였다.[7]

파노프스키의 학문적 경력은 베를린 대학교, 뮌헨 대학교, 그리고 1920년부터 1933년까지 재직한 함부르크 대학교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 그는 미술사에 관한 중요한 초기 저작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초기 작품으로는 에른스트 카시러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이데아: 고대 예술 이론의 개념적 역사에 대한 기여》(Idea: Ein Beitrag zur Begriffsgeschichte der älteren Kunstheorie, 1924)가 있다.

2. 2. 미국 시기 (1931-1968)

파노프스키는 1931년 뉴욕 대학교에서 강의하기 위해 처음 미국 땅을 밟았다. 초기에는 독일 함부르크와 뉴욕을 오가며 강의했지만, 나치가 독일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그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함부르크 대학교 교수직을 박탈당하자, 1916년부터 함께한 아내이자 미술사학자인 도로테아 "도라" 모세(1885-1965)와 함께 미국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들 부부는 칼러-크라이스(Kahler-Kreis)라는 지식인 모임의 일원이 되었다. 파노프스키는 1934년까지 뉴욕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동시에 강의했으며, 1935년에는 새로 설립된 뉴저지주 프린스턴프린스턴 고등연구소 교수진으로 초빙되어 남은 생애 동안 그곳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8]

그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9] 미국철학학회,[10] 영국 학사원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학술원 회원이었으며, 1954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1] 1962년에는 미국중세학회로부터 해스킨스 메달을 수상했다. 1947년부터 1948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찰스 엘리엇 노턴 교수직을 맡았는데, 이때의 강의 내용은 훗날 그의 저서 《초기 네덜란드 회화》의 기초가 되었다.

파노프스키는 특히 예술 작품 속 상징과 도상학 연구로 널리 알려졌다. 1934년 발표한 논문을 발전시킨 《초기 네덜란드 회화》(1953년)에서 그는 얀 판 에이크의 유명한 작품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1434년)을 단순한 결혼식 장면 묘사가 아니라, 결혼이라는 행위 자체를 증명하는 시각적 계약서로 해석한 최초의 학자였다. 그는 그림 속에 숨겨진 수많은 상징들이 모두 결혼의 성립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비록 최근에는 그의 해석에 대한 반론도 제기되고 있지만, 파노프스키가 "숨겨진" 혹은 "위장된" 상징이라고 명명한 것에 대한 그의 연구는 북방 르네상스 미술 연구와 이해에 여전히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뒤러에 관한 저서에서는 뒤러의 판화 《기사, 죽음, 악마》와 《멜랑콜리아 I》에 대해 심도 깊은 "상징적" 분석을 제시했는데, 특히 《기사, 죽음, 악마》는 에라스뮈스의 《그리스도인 기사의 핸드북》에 기초하여 해석했다.

개인적으로 파노프스키는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친분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두 아들 역시 학계에서 명성을 얻었는데, 장남 한스 A. 파노프스키는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30년간 재직하며 대기과학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였고,[12] 차남 볼프강 K. H. 파노프스키는 입자 가속기를 전문으로 연구한 저명한 물리학자가 되었다. 볼프강 파노프스키의 회고에 따르면, 아버지는 두 아들을 애정을 담아 "나의 두 배관공(my two plumbers)"이라고 부르곤 했다고 한다. 파노프스키의 제자이자 그와 마찬가지로 망명자였던 윌리엄 S. 헥셔는 그의 가까운 친구이기도 했다. 1973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그의 후임으로는 어빙 라빈이 임명되었다. 제프리 칩스는 파노프스키의 전기를 통해 그를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사학자"로 평가했다.[13] 1999년에는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의 교수 주택 단지 내에 새로 생긴 길에 '파노프스키 레인(Panofsky Lane)'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그를 기리고 있다.[14]

3.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파노프스키는 함부르크의 바르부르크 연구소에서 아비 바르부르크와 그의 제자들, 특히 프리츠 작슬이 창안한 미술사 연구 방법론인 도상학의 가장 저명한 대표자였다. 그는 프리츠 작슬과 개인적, 전문적 우정을 나누었으며, 그와의 협력을 통해 많은 저작을 남겼다. 파노프스키는 1939년에 발표한 논문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에서 자신의 방법론에 대해 간결하고 정확한 설명을 제시했다.

3. 1. 주제 또는 의미의 세 가지 층위

파노프스키는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여기에는 얀 판 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1434년)에 대한 그의 해석이 포함된다.


《도상학 연구》에서 파노프스키는 미술사적 이해의 세 가지 수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상세히 설명한다.[15]

  • 일차적 또는 자연적 주제: 가장 기본적인 이해 수준으로, 작품의 순수한 형태를 지각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최후의 만찬을 그린 그림이 있다면, 이 첫 번째 수준에서는 단지 13명의 남자가 식탁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만 인식될 수 있다. 이는 어떤 문화적 지식 없이 작품을 가장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단계이다.
  • 이차적 또는 관습적 주제 (도상학): 이 수준은 한 단계 더 나아가 문화적, 도상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작품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서양 문화권의 관람자는 13명의 남자가 식탁에 둘러앉은 그림이 최후의 만찬을 묘사한 것임을 알아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광배를 두른 남자와 사자가 함께 그려진 모습은 성 마르코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삼차적 또는 본질적 의미 혹은 내용 (도상해석학): 이 수준에서는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적, 기술적, 문화적 역사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미술 작품을 단순히 독립된 사건이 아니라 역사적 환경 속에서 탄생한 산물로 바라본다. 이 단계에서 미술사학자는 "왜 예술가는 《최후의 만찬》을 이런 방식으로 표현했을까?" 또는 "왜 성 마르코가 이 작품의 후원자에게 그토록 중요한 성인이었을까?"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본질적으로 이 마지막 수준은 종합적인 해석 단계로, 미술사학자가 "이 모든 것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라고 묻는 과정이다.


파노프스키는 르네상스 미술을 연구할 때 이 세 가지 수준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어빙 라빈은 "의미에 대한 이러한 고집과 탐구 - 특히 아무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부분에서조차 - 파노프스키로 하여금 이전의 어떤 역사가도 해내지 못했던 방식으로, 전통적인 자유 교양 과목과 동등한 지적 활동으로서 미술을 이해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16]

에르빈 파노프스키가 발전시킨 도상해석학적 방법은 1950년대 중반 이후 비판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오토 페히트나 스베틀라나 알퍼스 등 일부 학자들은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비평가 중 누구도 파노프스키의 해석 모델을 완전히 대체할 만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지는 못했다.[17]

파노프스키가 평생 연구했던 기독교 미술의 해석과 관련하여, 가능한 출처로서 텍스트에 대한 도상학적 관심은 여전히 중요하다. 기독교 도상과 건축물의 의미는 대부분의 후원자, 예술가, 관람자들이 권위 있다고 여겼던 성서, 전례, 신학 텍스트의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18]

4. 영화 이론

1936년 논문 "영화의 스타일과 매체"(온라인 원문)에서 파노프스키는 영화 매체에 "고유한 시각적 증상"을 설명하고자 했다.[19]

5. 유산

2016년 뮌헨의 중앙미술사연구소는 파노프스키 교수직을 설립했다. 첫 파노프스키 교수들은 빅터 스토이치타(2016년), 고빈 알렉산더 베일리(2017년), 캐롤라인 반 에크(2018년), 올리비에 본페이(2019년)였다.[20] 그의 작업은 《예술의 규칙》과 《구별짓기》와 같은 저서에서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발전시킨 취향 이론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르디외는 그의 아비투스 개념을 처음에는 파노프스키의 《고딕 건축과 스콜라 철학》에서 차용했으며,[3][21] 이전에 이 작품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바 있다.

6. 주요 저작


  • 《이데아: 고대 예술 이론의 개념적 역사에 대한 기여》(''Idea: A Concept in Art Theory'', 1924년)[22]
  • 《상징 형식으로서의 원근법》(''Perspective as Symbolic Form'', 1927년)[23] 1924-25년 함부르크 바르부르크 연구소에서 행한 강의.
  • 《도상학 연구》(''Studies in Iconology'', 1939년)[24]
  • 《알브레히트 뒤러의 생애와 예술》(''The Life and Art of Albrecht Dürer'', 1943년)[25]
  • 《슈제 수도원장의 생 드니 수도원 교회와 그 미술품에 관하여》(''Abbot Suger on the Abbey Church of St.-Denis and Its Art Treasures'', 1946년). 게르다 파노프스키-죄르겔과 함께 편집, 번역, 주석.[26] 1938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진행한 노먼 웨이트 해리스 강의를 바탕으로 함.
  • 《고딕 건축과 스콜라 철학》(''Gothic Architecture and Scholasticism'', 1951년)[27]
  • 《초기 네덜란드 회화: 그 기원과 성격》(''Early Netherlandish Painting: Its Origins and Character'', 1953년)[28] 1947~48년 찰스 엘리엇 노턴 강의를 바탕으로 함.
  • 《시각 예술의 의미. 미술사에 관한 논문들》(''Meaning in the Visual Arts. Papers in and on Art History'', 1955년)[29]
  • 《판도라의 상자: 신화적 상징의 변화하는 양상》(''Pandora's Box: the Changing Aspects of a Mythical Symbol'', 1956년), 도라 파노프스키와 공저[30]
  • 《서양 미술의 르네상스와 재생》(''Renaissance and Renascences in Western Art'', 1960년)[31]
  • 《무덤 조각: 고대 이집트에서 베르니니까지 그 변화하는 양상에 대한 네 강의》(''Tomb Sculpture: Four Lectures on Its Changing Aspects from Ancient Egypt to Bernini'', 1964년), H. W. 잰슨과 공저[32]
  • 《토성과 우울: 자연 철학, 종교, 예술의 역사에 관한 연구》(''Saturn and Melancholy: Studies in the History of Natural Philosophy, Religion, and Art'', 1964년), 레이몬드 클리반스키, 프리츠 작슬과 공저[33]
  • 《티치아노에 관한 문제들, 주로 도상학적인》(''Problems in Titian, Mostly Iconographic'', 1969년)[34]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행한 뉴욕 대학교 미술연구소의 라이츠만 강의.


'''사후 출판'''

  • 《스타일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Three Essays on Style,'' 1995년):[35] "바로크란 무엇인가?"(''What Is Baroque?'', 이전 미발표), "영화의 스타일과 매체"(''Style and Medium in the Motion Pictures'', 1936년 "영화에 대하여"로 발표, 1947년 개정), "롤스로이스 라디에이터의 이념적 선행 요소들"(''The Ideological Antecedents of the Rolls-Royce Radiator'', 1963년). 어빙 라빈이 편집 및 서문을 쓰고, 윌리엄 S. 헥셔의 회고록 포함.
  • "미켈란젤로가 조각하지 못한 쥐" (''The Mouse That Michelangelo Failed to Carve'', 1964년)[36]
  • "라틴어 시" (''Carmina Latina'', 2018년), 게레온 베히트-요르덴스가 편집, 서문 및 간략한 주석 작성[37]

참조

[1] 웹인용 Erwin Panofsky – Dictionary of Art Historians https://web.archive.[...] 2016-03-25
[2] 서적 The Books that Shaped Art History Thames & Hudson 2013
[3] 서적 Cultural Histor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4] 간행물 A Fortuitous Discovery: An Early Manuscript by Erwin Panofsky Reappears in Munich http://www.ias.edu/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13
[5] 뉴스 Der Fund im Panzerschrank http://m.faz.net/ak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2-08-31
[6] 뉴스 Die jüngsten Funde haben unser Wissen bereichert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2-08-31
[7] 웹사이트 artforum.com: International News Digest, September 26, 2012 http://artforum.com/[...]
[8] 웹인용 Erwin Panofsky https://www.ias.edu/[...]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17-01-25
[9] 웹인용 Erwin Panofsky https://www.amacad.o[...] 2023-02-09
[10] 웹인용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14
[11] 웹인용 Erwin Panofsky (1892–1968)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6
[12] 웹인용 Hans A. Panofsky, 70, Scientist https://www.nytimes.[...] 1988-03-11
[13] 문서 Introduction in Erwin Panofsky "The Life and Art of Albrecht Dur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4] 웹인용 Streets at the Institute https://www.ias.edu/[...]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2017-01-25
[15] 서적 Studies in Iconology: Humanistic Themes in the Art of the Renaissance Harper & Row 1972
[16] 서적 "Panofsky's History of Art" in Meaning in the Visual Arts: Views from the Outsid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1995
[17] 문서 Erwin Panofsky (1892-1968)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Iconography 2017
[18] 간행물 The invisible divine in the history of art. Is Erwin Panofsky (1892–1968) still relevant for decoding Christian iconography? https://www.tandfonl[...] Church, Communication and Culture 2024
[19] 서적 Three Essays on Style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1995
[20] 웹인용 Panofsky Lecture — Zentralinstitut für Kunstgeschichte https://www.zikg.eu/[...]
[21] 웹사이트 Review of Holsinger, The Premodern Condition, in Bryn Mawr Review of Comparative Literature 6:1 (Winter 2007) http://www.brynmawr.[...] 2009-04-09
[22] 서적 Idea: A Concept in Art Theor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68
[23] 서적 Perspective as Symbolic Form http://tems.umn.edu/[...] Zone Books 1991
[24] 서적 Studies in Icon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39
[25] 서적 The Life and Art of Albrecht Dürer https://monoskop.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5
[26] 서적 Abbot Suger on the Abbey Church of St.-Denis and Its Art Treasur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6
[27] 서적 Gothic Architecture and Scholasticism https://archive.org/[...] Meridian Books 1957
[28] 서적 Early Netherlandish Painting, Its Origins and Character: Tex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58
[29] 서적 Meaning in the Visual Art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55
[30] 서적 Pandora's Box: The Changing Aspects of a Mythical Symbol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1956
[31] 서적 Renaissance and Renascences in Western Art https://archive.org/[...] Almqvist & Wiksell 1965
[32] 서적 Tomb Sculpture: Four Lectures on Its Changing Aspects from Ancient Egypt to Bernini https://archive.org/[...] Abrams 1964
[33] 서적 Saturn and Melancholy: Studies in the History of Natural Philosophy, Religion, and Art https://archive.org/[...] Kraus Reprint 1979
[34] 서적 Problems in Titian, mostly iconographic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1969
[35] 서적 Three Essays on Style https://archive.org/[...] MIT Press 1995
[36] 간행물 The Mouse That Michelangelo Failed to Carve http://www.florentin[...] Institute of Fine Arts, New York University
[37] 서적 Ewig die Liebe allein. Erwin Panofsky, der sich auch Pan nennt. Lateinische Gedichte gesammelt, revidiert, berichtigt und mit einigen knappen Anmerkungen versehen. Mit Einleitung in lateinischer und deutscher Sprache sowie deutschen Versübertragungen Königshausn & Neuma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