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프타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프타임은 스포츠 경기에서 전반전과 후반전 사이에 주어지는 휴식 시간이다. 초기에는 서로 다른 규칙을 적용하는 팀들이 각자 익숙한 규칙으로 전후반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1870년 축구협회 규정에 하프타임 휴식이 명시되면서 공식화되었다. 하프타임은 선수들의 체력 회복, 전술 재정비, 관람객의 편의를 제공하며, 텔레비전 중계 시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농구, 축구, 미식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하프타임의 길이와 운영 방식이 다르며, 야구와 소프트볼에는 하프타임이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용어 - 무관중 경기
    무관중 경기는 질서 유지, 선수 보호, 징계, 안전 확보, 감염병 확산 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중 없이 치르는 스포츠 경기를 의미하며, 특히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었고, 선수 경기력에 영향과 구단 수입 감소를 야기하지만 공공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되기도 한다.
  • 스포츠 용어 - 퇴장
    퇴장은 스포츠 경기에서 심각한 반칙 등으로 인해 선수나 코칭 스태프가 경기에서 제외되는 징계이며, 종목별로 레드카드, 옐로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출전 정지 등의 추가 징계가 부과될 수 있다.
하프타임
경기 시간
스포츠다양한 스포츠
시간정규 시간의 절반
목적휴식, 전략 조정
기타공연, 이벤트

2. 역사

하프타임은 초기 영국 공립학교 축구 경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서로 다른 규칙에 익숙했던 두 팀은 전반전과 후반전에 각각 다른 규칙을 적용했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하프타임 도입으로 이어졌다.[1] 1870년 축구협회(FA) 규정에 하프타임 휴식이 명시되면서 공식화되었고, 이후 대부분의 팀 스포츠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2. 1. 초기 영국 축구

영국 공립학교 축구 경기에서 하프타임에 엔드를 바꾸는 관행이 시작되었다. 애드리안 하비는 《축구, 최초의 100년: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에서 ''고정된'' 하프타임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경기하는 두 팀이 전반전에는 자기 팀 규칙으로, 후반전에는 상대 팀 규칙으로 경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언급했다.[1] 이는 특히 이튼 규칙 축구(현대 축구와 유사)와 럭비 규칙 축구(현대 럭비 유니온과 유사)를 따르는 팀 간 경기에서 주로 행해졌다.[1]

축구 규칙이 표준화되면서(1863년 최초의 FA 규정에는 하프타임 휴식이 없었다) 이러한 방식은 불필요해 보였지만, 서로 다른 축구 규칙을 사용하는 팀 간 경기에서는 드물게 여전히 사용된다.[1] 1870년 FA 규정에 하프타임 휴식 조항이 도입된 후, 지속적으로 해당 규정(이후 IFAB 규정)의 일부가 되었다 (경기 규칙 참조).[1]

득점이 없는 경우, 브라이튼, 이튼, 로설, 셰필드, 윈체스터 학교 규칙에는 하프타임에 엔드를 바꾸는 것이 포함되었다.[1] 첼트넘, FA, 해로, 말보로, 럭비, 슈루즈베리, 업핑엄 학교에서는 득점이 있을 때마다 엔드를 바꿨다.[1] 1863년 케임브리지 규칙에는 "경기 시간이 합의된 시간의 절반이 지났을 때, 공이 다음으로 플레이 중단되었을 때 양 팀은 골대를 바꾼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

2. 2. 축구 규칙의 표준화

1863년 축구협회(FA)가 창설되고 축구 규칙이 표준화되면서, 서로 다른 규칙을 적용할 필요성은 사라졌다. 하지만 하프타임에 엔드를 바꾸는 관행은 공정한 경기 운영을 위해 유지되었고, 1870년 FA 규정에 하프타임 휴식이 명시되면서 공식화되었다.[1]

3. 목적 및 기능

하프타임은 경기에서 양 팀이 햇빛이나 바람의 방향과 같은 자연 조건의 영향을 공정하게 받도록 경기장 위치를 바꾸는 기능을 한다. 크리켓처럼 일부 스포츠에서는 하프타임 없이 선수들의 수비 위치를 변경하여 이를 달성하기도 하고, 야구처럼 선수 교체가 잦은 스포츠에서는 이러한 조항이 필요하지 않다.

관람객에게 하프타임은 휴식을 취하고, 하프타임 쇼를 즐길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미식축구슈퍼볼 하프타임 쇼가 유명하다.[2]

텔레비전으로 중계되는 스포츠에서 하프타임은 광고를 할 수 있는 기회이며, 이는 텔레비전 회사의 중요한 수익원이다.[2] 또한, 전문가의 경기 분석 및 시청자가 놓친 경기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3. 1. 경기 진행

하프타임에 엔드를 교체하는 관행은 초기 영국 공립학교 축구 경기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서로 다른 규칙으로 경기를 하는 두 팀이 전반전에는 각자 익숙한 규칙으로, 후반전에는 상대방 규칙으로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 특히 이튼 규칙 축구(현대 축구에 가까움)와 럭비 규칙 축구(현대 럭비 유니온에 가까움)를 따르는 팀 간의 경기에서 행해졌다.

하프타임에 엔드를 바꾸는 것은 (득점이 없는 경우) 브라이튼, 이튼, 로설, 셰필드, 윈체스터 학교의 규칙에 포함되었다.[1] 1863년 케임브리지 규칙에는 "경기 시간이 합의된 시간의 절반이 지났을 때, 공이 다음으로 플레이 중단되었을 때 양 팀은 골대를 바꾼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경기에서 하프타임의 이점은 양 팀이 햇빛이나 바람의 방향과 같은 자연 조건의 영향을 공정하게 받을 수 있도록 경기장 위치를 바꾸는 것이다.

J리그에서는 2014년 시즌부터 NHK(지상파·BS1) 중계나 민방지상파 중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반 종료 후 약 15분의 하프타임을 갖는 '''하프타임 15분 확보'''가 도입되었다.[8]

3. 2. 선수

하프타임은 선수들에게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우선, 선수들은 하프타임을 통해 체력을 회복하고, 전술을 재정비하며, 부상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감독은 하프타임 동안 선수들에게 새로운 지시를 내리거나, 전술 변화를 시도할 수 있다.[2]

3. 3. 관중

관람객에게 하프타임은 경기를 놓칠 염려 없이 화장실을 방문하거나, 음식이나 음료를 사거나, 굳어진 근육 경련이 일어난 사지를 움직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하프타임 쇼가 열릴 수 있으며, 특히 미식축구슈퍼볼이 유명하다.[2] 경기장의 많은 관람객이 경기장 시설을 이용하느라 다른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하프타임 엔터테인먼트의 규모와 볼거리가 잠재적인 텔레비전 시청자 규모와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2]

3. 4. 방송

텔레비전으로 중계되는 많은 스포츠에서 하프타임은 광고를 할 수 있는 기회이며, 이는 텔레비전 회사의 중요한 수익원이다.[2] 또한, 전문가들은 하프타임 동안 전반전 경기를 분석하고, 논란이 되는 장면이나 주요 장면을 다시 보여준다.[2] 시청자는 하프타임을 통해 놓친 경기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4. 스포츠별 하프타임

스포츠 종목마다 하프타임의 길이와 운영 방식은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축구의 경우 대회 규정에 따라 하프타임이 정해지는데, J리그에서는 2014년 시즌부터 NHK(지상파·BS1) 중계나 민방지상파 중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반 종료 후 약 15분의 하프타임을 갖는 '하프타임 15분 확보'가 도입되었다[8]。 2013년 시즌 이전에는 모든 경기에 대해 후반 시작 시각이 전반 시작 60분 후로 규정되어 있었고, 추가 시간이 5분을 초과할 경우 그 초과분만큼 후반 시작 시각을 늦출 수 있었다. 2014년 시즌 이후에도 앞서 언급한 중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 규정이 적용된다.

농구는 국제 규칙(FIBA)과 NBA 규칙 모두 15분을 채택하고 있으며, B리그에서는 15분 또는 20분 중 하나를 채택한다. 미식축구는 15분, 컬링은 7분 등 기타 다른 종목에서는 대략 10분 정도의 하프타임을 가진다.

미식축구에서는 하프타임 외에도 1-2쿼터, 그리고 3-4쿼터 사이에 사이드를 교체하기 위해 5분 정도의 쿼터 타임을 가진다.

4. 1. 하프타임이 있는 스포츠

스포츠하프타임 길이한 하프 길이
미식축구13분 (프로)[3] 또는 20분 (대학)[4]15분 쿼터 2개. IFAF에서는 12분 쿼터 2개.
축구15분45분 + 추가 시간
호주식 축구20분20분 2쿼터 + 추가 시간(AFL) 및 15분 + 추가 시간(AFL 여자 리그).
밴디20분 이하[5]45분 + 부상 시간, 교체 시간 등.[5]
농구15분10분 쿼터 2개 (FIBA, WNBA, WNBL, NBL, NCAAW) 또는 12분 (NBA) 쿼터 2개 또는 20분 하프 1개 (NCAAM).
카누 폴로1–3분7–10분
캐나다식 축구15분15분 쿼터 2개(CFL, 캐나다 대학교 풋볼).
제한 오버 크리켓10분[6]ODI 크리켓에서는 약 3.5시간, T20 크리켓에서는 90분 (날씨로 인해 경기가 중단될 수 있고, 팀이 규정을 위반하여 느리게 플레이할 수 있거나, 팀이 아웃되어 하프가 일찍 종료될 수 있으므로 시간이 크게 다를 수 있음).
필드 하키15분15분 2쿼터
게일식 축구12분30분 또는 35분
핸드볼15분30분
헐링12분30분 또는 35분
카바디5분20분
코코6분 (UKK에서는 3분)[7]9분 턴 2개 (얼티메이트 코코에서는 7분)[7]
코프볼 (코프볼 리그)10분25분 (실제 플레이 시간)
라크로스NLL에서만 12분NLL에서 15분 2쿼터
넷볼5분15분 2쿼터
럭비 리그10분40분
럭비 유니온10–15분40분
럭비 세븐스 (유니온)1분7분
수중 하키3분15분


4. 2. 하프타임이 없는 스포츠

4. 3. 기타 인터벌이 있는 스포츠


  • 아이스하키는 20분씩 3개의 피리어드로 진행되며, 정규 피리어드 사이에는 18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1]
  • 수구
  • 테스트 크리켓
  • 박스 라크로스
  • 배구 경기는 일반적으로 1세트와 2세트 사이, 그리고 3세트 이후(경우에 따라) 3분의 휴식 시간을 갖는다. 2세트와 3세트 사이의 휴식 시간은 때때로 더 길거나 같을 수 있다.

5. 한국에서의 하프타임

한국에서 하프타임은 축구 경기에서 전반전과 후반전 사이의 휴식 시간을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5. 1. J리그의 하프타임 15분 확보

J리그에서는 2014년 시즌부터 NHK(지상파·BS1) 및 민방지상파 중계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반 종료 후 약 15분의 하프타임을 갖는 '''하프타임 15분 확보'''가 도입되었다.[8]

2013년 시즌 이전에는 모든 경기의 후반 시작 시각은 전반 시작 60분 후였다. 통상적으로 "60분 - 전반 45분 - 전반 추가 시간"으로 계산된다. 단, 추가 시간이 5분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만큼 후반 시작 시각을 늦출 수 있었다. 2014년 시즌 이후에도, 앞서 언급한 중계가 있는 경우에는 이 규정이 적용된다.

참조

[1] 서적 Football, The First Hundred Years: The Untold Story Routledge 2005
[2] 뉴스 It's a Game of Two Halves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07-12-16
[3] 웹사이트 2022 Official Playing Rules of the National Football League https://operations.n[...] National Football League 2022-12-20
[4] 뉴스 College football gets uniform instant replay system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6-05-05
[5] 웹사이트 Bandy Playing Rules: Rule 4. Playing time http://www.worldband[...] Federation of International Bandy 2011-09-01
[6] 웹사이트 "{% DocumentName %} Law {{!}} MCC" https://www.lords.or[...] 2020-11-24
[7] 웹사이트 Ultimate Kho Kho 2022: Revamped format, changed mat dimensions, tickets; all you need to know https://www.mykhel.c[...]
[8] 웹사이트 ハーフタイム15分確保の導入について Jリーグ公式サイト 2014年2月25日 http://www.j-league.[...]
[9] 웹사이트 2016-17 B1・B2リーグ戦試合実施要項 https://www.bleag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