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2단활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2단 활용은 고어에서 사용되던 동사 활용의 한 종류로, 현대 일본어에서는 구어에서 아행(あ行)으로 통일되어 사용된다. 하2단 활용 동사는 어미가 'え' 단으로 끝나며, 각 행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얻다'의 의미를 가진 '得る(える)'는 어간 '得(え)'에 미연형 'え', 연용형 'え', 종지형 'える', 연체형 'える', 가정형 'えれ', 명령형 'えよ'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2단활용 | |
---|---|
활용 정보 | |
유형 | 일본어 동사 활용 |
활용 종류 | 하2단 활용 |
설명 | 일본어 문법에서 동사의 활용 형태 중 하나이다. 동사의 어미가 '이' 단 또는 '에' 단으로 끝나는 경우에 적용된다. |
활용 형태 | |
미연형 (未然形) | ~ず (~zu) 에 연결됨. 예: 起き (oki) |
연용형 (連用形) | ~ます (~masu) 에 연결됨. 예: 起き (oki) |
종지형 (終止形) | 문장의 끝맺음. 예: 起きる (okiru) |
연체형 (連体形) | 체언 (명사)을 수식. 예: 起きる時 (okiru toki, 일어날 때) |
가정형 (仮定形) | ~ば (~ba) 에 연결됨. 예: 起きれ (okire) |
명령형 (命令形) | 명령을 나타냄. 예: 起きよ (okiyo) |
2. 문어 하2단 활용
문어체(文語體)는 현대 일본어에서 공식적인 문서나 문학 작품 등에서 사용되는 옛스러운 표현 방식이다. 문어 하2단 활용은 동사의 어미가 '-u'로 끝나는 2단 동사 활용 형태이다.
행 | 기본형 | 활용형 | |||||||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이연형 | 명령형 | |||
ア행 | 得(う) | (得) | え | え | う | うる | うれ | えよ | |
カ행 | 受(う)く | 受 | -け | -け | -く | -くる | -くれ | -けよ | |
ガ행 | 告(つ)ぐ | 告 | -げ | -げ | -ぐ | -ぐる | -ぐれ | -げよ | |
サ행 | 失(う)す | 失 | -せ | -せ | -す | -する | -すれ | -せよ | |
ザ행 | 混(ま)ず | 混 | -ぜ | -ぜ | -ず | -ずる | -ずれ | -ぜよ | |
タ행 | 捨(す)つ | 捨 | -て | -て | -つ | -つる | -つれ | -てよ | |
ダ행 | 出(い)づ | 出 | -で | -で | -づ | -づる | -づれ | -でよ | |
ナ행 | 尋(たづ)ぬ | 尋 | -ね | -ね | -ぬ | -ぬる | -ぬれ | -ねよ | |
寝(ぬ) | (寝) | ね | ね | ぬ | ぬる | ぬれ | ねよ | ||
ハ행 | 答(こた)ふ | 答 | -へ | -へ | -ふ | -ふる | -ふれ | -へよ | |
経(ふ) | (経) | へ | へ | ふ | ふる | ふれ | へよ | ||
バ행 | 並(なら)ぶ | 並 | -べ | -べ | -ぶ | -ぶる | -ぶれ | -べよ | |
マ행 | 求(もと)む | 求 | -め | -め | -む | -むる | -むれ | -めよ | |
ヤ행 | 見(み)ゆ | 見 | -え | -え | -ゆ | -ゆる | -ゆれ | -えよ | |
ラ행 | 入(い)る | 入 | -れ | -れ | -る | -るる | -るれ | -れよ | |
ワ행 | 植(う)う | 植 | -ゑ | -ゑ | -う | -うる | -うれ | -ゑよ |
각 행(行)별 대표적인 하2단 활용 동사와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ア행: 得る(う) (얻다)
- カ행: 受ける(うける) (받다)
- ガ행: 告げる(つげる) (알리다)
- サ행: 失せる(うせる) (잃다)
- ザ행: 混ぜる(まぜる) (섞다)
- タ행: 捨てる(すてる) (버리다)
- ダ행: 出づ(いづ) (나오다)
- ナ행: 尋ねる(たずねる) (찾다), 寝る(ねる) (자다)
- ハ행: 答える(こたえる) (대답하다), 経る(へる) (지나다)
- バ행: 並べる(ならべる) (늘어놓다)
- マ행: 求める(もとめる) (구하다)
- ヤ행: 見える(みえる) (보이다)
- ラ행: 入る(いる) (들어가다)
- ワ행: 植える(うえる) (심다)
2. 1. ア행(あ행) 하2단 활용
ア행(あ행)은 일본어 오십음도에서 'あ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
'얻다'라는 뜻을 가진 得る(う)는 어간이 '得(え)'이며, 활용은 위의 표와 같다.[1]
2. 1. 1. 得る(얻다)
'얻다'라는 뜻의 동사 '得る(う)'는 어간이 '得(え)'이며,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이연형, 명령형이 모두 'え'로 활용된다.[1]2. 2. カ행(か행) 하2단 활용
카행(カ행)은 카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2. 1. 受ける(받다)
'받다'라는 뜻의 동사 '受ける(うける)'는 하2단활용을 하는 동사이다. 어간은 '受(うけ)'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うけ', 종지형은 'うく', 연체형은 'うくる', 이연형은 'うくれ', 명령형은 'うけよ'로 활용된다.[1]2. 3. ガ행(が行) 하2단 활용
が行일본어(が行)은 が일본어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3. 1. 告げる(알리다)
'告げる(つげる)'는 '알리다'라는 뜻의 하2단활용 동사이다. 어간은 '告(つげ)'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つげ', 종지형은 'つぐ', 연체형은 'つぐる', 이연형은 'つぐれ', 명령형은 'つげよ'로 활용된다.[1]2. 4. サ행(さ행) 하2단 활용
サ행(さ행)은 'さ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4. 1. 失せる(잃다)
'失せる(うせる)'는 '잃다'라는 뜻으로, 하2단활용을 하는 동사이다. 어간은 '失(うせ)'이며, 활용형은 다음과 같다.2. 5. ザ행(ざ행) 하2단 활용
ザ행(ざ행)은 'ざ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5. 1. 混ぜる(섞다)
'섞다'라는 뜻을 가진 일본어 동사 '混ぜる'는 하2단활용을 한다.[1] '混ぜる'는 어간이 '混(まぜ)'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まぜ', 종지형은 'まず', 연체형은 'まずる', 이연형은 'まずれ', 명령형은 'まぜよ'로 활용된다.
2. 6. タ행(た행) 하2단 활용
타행(た행)은 'た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6. 1. 捨てる(버리다)
'버리다'라는 뜻의 동사 '捨てる(すてる)'는 タ행에 속하며, 어간은 '捨(すて)'이다. 활용은 다음과 같다.
2. 7. ダ행(だ행) 하2단 활용
이 섹션에서는 'だ단'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다룬다. '出づ'(いづ)는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이연형, 명령형에서 각각 いで, いで, いづ, いづる, いづれ, いでよ 형태로 활용된다.[1]2. 7. 1. 出づ(나오다)
'出づ'(いづ)는 '나오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이다. 어간은 '出'(い-で)이며,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1]
2. 8. ナ행(な행) 하2단 활용
나행(な행)은 'な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동사로는 '찾다'라는 뜻의 尋ねる|たずねる일본어와 '자다'라는 뜻의 寝る|ねる일본어가 있다.2. 8. 1. 尋ねる(찾다)
尋ねる|たずねる일본어는 '찾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간은 尋|たずね일본어이며,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1]
2. 8. 2. 寝る(자다)
'자다'라는 뜻의 동사 '寝る(ねる)'는 어간이 '寝(ね)'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ね', 종지형은 'ぬ', 연체형은 'ぬる', 이연형은 'ぬれ', 명령형은 'ねよ'로 활용된다.[1]2. 9. ハ행(は행) 하2단 활용
ハ행(は행)은 'は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9. 1. 答える(대답하다)
'答える(こたえる)'는 하2단활용을 하는 동사이다. 어간은 '答(こたえ)'이다. 활용형은 다음과 같다.2. 9. 2. 経る(지나다)
'지나다'라는 뜻의 동사 '経る(へる)'는 어간이 '経(へ)'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へ', 종지형은 'ふ', 연체형은 'ふる', 이연형은 'ふれ', 명령형은 'へよ'로 활용된다.[1]2. 10. バ행(ば행) 하2단 활용
바행(ば행)은 'ば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10. 1. 並べる(늘어놓다)
並べる|나라베루일본어는 '늘어놓다'라는 뜻의 하2단활용 동사이다.[1] 어간은 '並(ならべ)'이며, 활용형은 다음과 같다.
2. 11. マ행(ま행) 하2단 활용
마행(ま행)은 'ま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11. 1. 求める(구하다)
'구하다'라는 뜻의 동사 '求める(もとめる)'는 마행에 속하며, 어간은 '求(もと)'이다. 미연형과 연용형은 'もとめ', 종지형은 'もとむ', 연체형은 'もとむる', 이연형은 'もとむれ', 명령형은 'もとめよ'로 활용된다.[1]기본형 | 어간 | 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이연형 | 명령형 |
---|---|---|---|---|---|---|---|
求める(もとめる) | 求(もと) | もとめ | もとめ | もとむ | もとむる | もとむれ | もとめよ |
2. 12. ヤ행(や행) 하2단 활용
야행(や행)은 'や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가리킨다.2. 12. 1. 見える(보이다)
'보이다'라는 뜻의 동사 '見える(見える|みえる일본어)'는 어간이 '見(みえ)'이며, 미연형과 연용형은 'みえ', 종지형은 'みゆ', 연체형은 'みゆる', 이연형은 'みゆれ', 명령형은 'みえよ'로 활용된다.[1]2. 13. ラ행(ら행) 하2단 활용
라행(ら행)은 ら단으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13. 1. 入る(들어가다)
入る|이루일본어는 '들어가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어간은 入|이레일본어이며, 활용형은 다음과 같다.미연형 | 연용형 | 종지형 | 연체형 | 이연형 | 명령형 |
---|---|---|---|---|---|
いれ|이레일본어 | いれ|이레일본어 | いる|이루일본어 | いるる|이루루일본어 | いるれ|이루레일본어 | いれよ|이레요일본어 |
2. 14. ワ행(わ행) 하2단 활용
ワ행일본어(わ행)은 'わ단'의 글자로 시작하는 동사들을 의미한다.2. 14. 1. 植える(심다)
'심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 '植える(うえる)'는 어간이 '植(うえ)'이다.[1]
현대 일본어의 구어체에서는 하2단 활용이 규칙적으로 변형되어, 대부분의 동사가 ア행(あ행)으로 통일되었다.
3. 구어 하2단 활용
3. 1. ア행(あ행) 하2단 활용
현대 구어에서는 과거 문어에서 다양한 행으로 활용되던 하2단 동사들이 ア행(あ행)으로 통일되어 활용된다.
ア행 하2단 활용의 예로는 '얻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 '得る(える)'가 있다.
3. 1. 1. 得る(얻다)
'얻다'라는 뜻의 동사 '得る(える)'는 어간이 '得(え)'이며, 미연형은 'え', 연용형은 'え', 종지형과 연체형은 'える', 가정형은 'えれ', 명령형은 'えよ'로 활용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