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한민국의 경제 정책 연구를 수행하는 국책 연구기관이다. 1971년 설립되어,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며, KDI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를 부설 기관으로 운영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기본연구, 일반 사업, 수탁 용역 사업, 그리고 국제정책대학원 교육 사업 등이 있다. KDI는 정부 정책 수립에 기여하며, 경제 관련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 경제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71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89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저출산·고령화 대책 및 사회보장 제도 개선 등의 연구와 정책 수립 및 평가에 기여하고 있으며, 독립성 및 정책 연구 간섭 문제가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개발연구원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개발연구원 |
로마자 표기 | Hanguk Gaebal Yeonguwon |
영문 표기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약칭 | KDI |
설립일 | 1971년 3월 11일 |
유형 | 정부 운영 |
소속 | 국무총리실 |
상급 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
웹사이트 | 한국개발연구원 웹사이트 |
주소 |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길재길 15 (반곡동, 한국개발연구원) 339-007 |
주요 인물 | |
원장 | 조동철 |
산하 기관 | |
산하 기관 |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기타 | |
![]() | |
![]() |
2. 연혁
- 1970년 12월 31일,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2247호)이 제정 공포되었다.
- 1971년 3월 11일, 한국개발연구원이 설립 등기를 마치고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 1982년, 국제교류협력센터(IDEP)를 설치하였고, 5월 6일에는 미국 워싱턴에 한국경제센터(KEI)를 설립하였다.
- 1990년 11월 15일, 북한경제연구센터를 설치하였다.
- 1991년 12월 27일, 국민경제제도연구원을 흡수·통합하고(법률 제4446호), 부설 국민경제교육연구소를 발족하였다.
- 1994년 3월 9일, 법·경제연구센터를 설치하였다.
- 1995년 12월 5일,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관련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5047호)이 개정되었다.
- 1997년 12월 5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을 개원하였다.
- 1998년 9월 18일, 국민경제교육연구소를 경제정보센터(EIEC)로 명칭을 변경하고 본원으로 이전하였다.
- 1999년 11월 6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을 KDI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2000년 1월 6일, 공공투자관리센터를 설립하였다.
- 2005년 1월 27일,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민간투자지원센터를 흡수하여 법적 부설기관으로 발족하였다.
- 2009년 9월 11일, 국제개발협력센터(CID)를 설립하였다.
- 2013년 12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 2014년 4월 4일, 세종청사 개관식을 가졌다.
- 2014년 6월 1일, 규제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3. 주요 사업
한국개발연구원은 기관고유사업, 일반사업, 수탁용역사업, 그리고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한다.
기관 고유 사업으로는 기본연구사업, 연구관련사업, 연구지원사업이 있다. 1970년대에는 "기업청산에 대한 의견: 첫 번째 연구 보고서", "제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수립 기본계획"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1980년대에는 "정부 투자 기업의 경영 시스템 개선", "관세 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등의 연구를 진행했다. 1990년대에는 "남북 경제 관계 발전을 위한 기본 비전", "실명 금융 거래 제도 시행"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2000년대에는 "비전 2011: 열린 사회, 유연한 경제", "정부 관리 기관 경영 개선에 관한 연구" 등의 연구를 진행했다. 2010년대에는 "포스트 위기 시대 한국 경제 구조조정: 서비스 산업의 현대화", "저소득 국가의 경제 성장: G20가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일반 사업으로는 민간투자지원, 공공기관투자평가, 시장경제 및 글로벌경제 관련 특화 사업,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진행한다. 또한 『한국경제·사회발전 60년』기록 사업의 일환으로 원로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있으며, G20 관련 연구, 부동산정책 연구역량 강화, OECD 한국센터 운영,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응 전략 연구, 서비스경제연구,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검정 관련 연구 등을 수행한다.
수탁 용역 사업으로는 여러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연구 용역을 수탁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을 통해 교육 사업 또한 운영하고 있다.
3. 1. 기관 고유 사업
한국개발연구원은 기본연구사업, 연구관련사업, 연구지원사업을 포함한 기관 고유 사업을 수행한다. 1970년대에는 "기업청산에 대한 의견: 첫 번째 연구 보고서", "제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수립 기본계획"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1980년대에는 "정부 투자 기업의 경영 시스템 개선", "관세 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등의 연구를 진행했다.1990년대에는 "남북 경제 관계 발전을 위한 기본 비전", "실명 금융 거래 제도 시행"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2000년대에는 "비전 2011: 열린 사회, 유연한 경제", "정부 관리 기관 경영 개선에 관한 연구" 등의 연구를 진행했다. 2010년대에는 "포스트 위기 시대 한국 경제 구조조정: 서비스 산업의 현대화", "저소득 국가의 경제 성장: G20가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등의 연구를 수행했다.
이 외에도 민간투자지원사업, 공공기관투자평가사업, 시장경제 및 글로벌경제 관련 특화사업, 국제개발협력사업 등을 진행한다.
3. 2. 일반 사업
한국개발연구원은 민간투자지원, 공공기관투자평가, 시장경제 및 글로벌경제 관련 특화 사업,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진행한다. 또한 『한국경제·사회발전 60년』기록 사업의 일환으로 원로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있으며, G20 관련 연구, 부동산정책 연구역량 강화, OECD 한국센터 운영,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응 전략 연구, 서비스경제연구,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검정 관련 연구 등을 수행한다.3. 3. 수탁 용역 사업
한국개발연구원은 여러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연구 용역을 수탁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 4.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 사업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연구 사업과 더불어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을 통해 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4. 조직
4. 1. 원장
wikitext국제정책대학원은 한국개발연구원 산하 기관이다.
4. 2. 연구부원장
wikitext경제전략연구부, 지식경제연구부, 시장정책연구부, 공공경제연구부, 규제연구센터, 경제전망실, 북방경제실을 산하에 두고 있다.
4. 3. 경영부원장
경영지원실, 대외협력실이 있다. 경제정보센터,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글로벌지식협력센터도 운영하고 있다.5. 부설 기관
KDI 국제정책대학원은 한국개발연구원의 부설 기관이다. 경제정보센터,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규제연구센터, 종합교육연수원, KDI 중앙도서실 등이 있다.
6. 주요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은 설립 이후 한국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해왔다. 1970년대에는 경제 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된 보고서들이 주를 이루었다. '제4차 경제발전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전략', '5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수정과제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The Economic and Social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를 비롯한 영문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경제 성장 모델을 국제 사회에 알리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정부투자기관 관리, 관세 정책, 산업 정책, 국민연금 등 보다 구체적인 정책 현안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1990년대에는 남북한 경제 관계, 금융실명제, 경제 위기 극복 등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특히,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와 '한국경제 반세기: 역사적 평가와 21세기 비전'은 한국 경제의 발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한 주요 보고서로 평가받는다.
2000년대에는 '2011 비전과 과제: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를 비롯하여, 정부 산하기관 관리, 중기 재정 관리, 인구 고령화, 노후 소득 보장, 서비스 산업 발전, 비정규직 문제, 주택 시장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다. 2010년대에는 G20 정상회의 관련 연구와 더불어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주택 정책,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등 거시 경제 വിഷയ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7. 평가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TTCSP(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가 발표한 2014년 글로벌 싱크탱크 경쟁력 순위에서 아시아 내 순위에서 일본 국제문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고 보도되었다.[1]
같은 2019년 글로벌 싱크탱크 경쟁력 순위에서 미국을 제외하고 6위, 미국을 포함하면 19위를 차지했다. 국제 개발 부문에서는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2]
7. 1. 비판
1997년 11월, 대한민국에서는 아시아 금융 위기가 국내로 파급되어 IMF 구제 금융을 받는 국가적 비상 사태에 직면했다. 그러나 한국개발연구원과 한국은행은 구제 금융을 받기 한 달 전까지도 "올해 경제 성장률이 6%를 넘을 것"이라고 평가했으며, "성장률 0%대의 위기에 처한 일본"을 걱정할 여유까지 보였다.[3]8. 역대 원장
- 제1대 김만제 원장(1971.03.11∼1982.01.19)
- 제2대 김기환 원장(1982.01.19~1983.10.15)
- 제3대 안승철 원장(1983.11.07~1986.10.17)
- 제4대 박영철 원장(1986.10.17~1987.05.29)
- 제5대 구본호 원장(1987.06.03~1992.03.10)
- 제6대 송희연 원장(1992.03.11~1993.05.17)
- 제7대 황인정 원장(1993.05.18~1995.03.10)
- 제8대 차동세 원장(1995.03.11~1998.03.10)
- 제9대 이진순 원장(1998.03.11~2001.03.10)
- 제10대 강봉균 원장(2001.03.11~2002.06.10)
- 제11대 김중수 원장(2002.08.06~2005.08.07)
- 제12대 현정택 원장(2005.11.24~2009.03.20)
- 제13대 현오석 원장(2009.03.24~2013.03.21)
- 제14대 김준경 원장(2013.03.22~2017.12.26)
- 제15대 최정표 원장(2018.03.29~2021.05.28)
- 제16대 홍장표 원장(2021.05.29~2022.07.15)
- 직무대리 고영선 (2022.07.16~2022.12.03)
- 제17대 조동철 원장 (2022.12.05~)
참조
[1]
웹사이트
韓国開発研究院、初めて「世界10大シンクタンク」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6-28
[2]
웹사이트
2019 Global Go To Think Tank Index Report
https://repository.u[...]
ペンシルバニア大学
2020-03-05
[3]
웹사이트
【コラム】民心は熱く、国民は善良だ=韓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6-28
[4]
웹사이트
KDI 홈페이지
http://www.kdi.re.kr
[5]
뉴스
'[G20서울국제심포지엄]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6]
웹인용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 KDI, 글로벌 싱크탱크 5위 선정
http://www.kdi.re.kr[...]
2019-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