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어의 계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의 계통은 한국어가 어떤 언어 집단에 속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로, 알타이어족설, 고립어설, 중국티베트어족설, 한일어족설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알타이어족설은 한국어가 알타이어족 언어들과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비롯되었으며,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니콜라스 포페 등이 연구를 진행했다. 고립어설은 한국어를 다른 언어들과 뚜렷한 관련성을 찾기 어려운 고립어로 보는 주장이며, 제주 방언을 한국어와 별개의 언어로 보아 한국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 외 중국티베트어족설과 한일어족설 등도 제시되었으나, 현재까지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한국어의 계통
언어 정보
언어 이름한국어
다른 이름조선말 (문화어)
사용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주로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주로 사할린)
미국
캐나다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기타 해외 교민 사회
총 사용자 수약 7720만 명 (2023년)
언어 계통고립어
(일부 알타이어족)
문자한글 (정자)
한자 (표의 문자, 제한적 사용)
공용어 지정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옌볜 조선족 자치주
관련 학문한국어학
언어 부호 (ISO 639-1)ko
언어 부호 (ISO 639-2/T)kor
언어 부호 (ISO 639-3)kor
음운 정보
음운 체계한국어 음운 체계
방언한국어 방언
문자 체계
표기 체계한글, 한자 (병용)
자모한글 자모
로마자 표기국어의 로마자 표기법(revised romanization)
역사
기원불명
주요 변화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한국어의 계통에 대한 가설
알타이 가설람스테트: 한국어는 동아시아 어족의 한 갈래로, 몽골-튀르크어족보다 먼저 분리되었고, 퉁구스어족과는 더 가깝다.
알타이 제어: 논란이 있음
드라비다어족 가설드라비다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가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가설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가설
일본어족 가설일본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가설
참고 문헌

2. 알타이어족설

알타이어족설은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들과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어족으로 분류한 학설이다. 알타이어족은 19세기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알타이어족설을 지지하는 학자로는 언어학의 대가라고 불리는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예프게니 폴리바노프, 로이 앤드류 밀러가 있다.

언어계통의 중요성에 있어서는 문법적인 요소가 가장 많이 부각되는 것이 사실이며 한국어와 알타이어족의 고대 언어의 유사성에 대해서도 20세기에 언어학자들에 의해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4]

2. 1. 람스테트의 연구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Gustaf John Ramstedt, 1873~1950)는 알타이어족설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언어학자이다. 람스테트는 1928년 논문 〈한국어에 대한 관견〉에서 우랄알타이어족을 폐기하고 알타이어족을 분리해냈으며,[2] 한국어는 동아시아의 여러 언어 가운데 일찍이 분기한 언어라고 주장하였다.[1]

이후 1939년 《한국어의 문법》에서 음운 대응에 주목하여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임을 더욱 강하게 주장하였다. 그는 《한국어 어원연구》(1949), 《알타이어학 개설》(1952/57/66)에서도 한국어와 알타이어족의 동계를 입증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였다.[3]

2. 2. 포페의 견해

니콜라스 포페는 한국어와 알타이제어가 공유하는 특성을 여러 가지 밝혀냈으나, 《알타이 언어학으로의 초대》(1965)에서 “한국어의 위치는 그다지 확실하지 않다”라며 아래의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3]

# 한국어는 알타이제어와 친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 원시 한국어는 알타이 통일체가 만들어지기 전, 매우 이른 시기에 분열하였을 수 있다.

# 한국어는 비알타이어로 고대 알타이어를 기층언어로 흡수하였거나, 기층언어인 알타이어 위에 얹혔을 수 있다.

2. 3. 대한민국 학계의 입장

알타이어족설은 한국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들과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같은 어족으로 분류한 학설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정규 교육과정에서 한국어를 알타이 어족설 위주로 가르쳤기 때문에[5][6]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알고 있다.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이기문은 한국어가 알타이 어족과 공유하는 성질이 많기는 하나,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퉁구스 어군, 몽골 어군, 투르크 어군들이 서로 같은 단어가 많은 한편 한국어에는 차용어로 인해 알타이 어족의 단어가 많이 사라졌다고 주장하였다.[7]

3. 고립어설

한국어를 비교언어학적으로 고립어(language isolate)로 보는 주장도 있다. 맨체스터 대학교의 알렉스 버라타[8],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스테판 게오르크[9], 유타 대학교의 마우리시오 믹스코[10] 등이 고립어설을 지지한다.

3. 1. 고립어설의 근거

맨체스터 대학교의 알렉스 버라타[8],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스테판 게오르크[9], 유타 대학교의 마우리시오 믹스코[10] 등은 한국어를 비교언어학적으로 고립어(language isolate)로 본다.

제주 방언이 한국어와 크게 차이 나는 점에 주목하여 제주 방언을 제주어라는 별도의 언어로 분리하고, 두 언어를 한국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3. 2. 한국어족 가설

제주어가 한국어와 크게 차이나는 점에 주목하여 제주 방언을 별도의 언어로 분리하고, 두 언어를 한국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4. 기타 가설

중국티베트어족설은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11] 스타로스틴은 고대 중국어 일부 어휘가 알타이어적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문법 및 음운 구조와 기초 어휘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중국티베트어족이 아니라는 설이 유력하다.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극히 일부 기초 어휘의 유사성을 근거로 한민족이 한자를 만들었다고 주장하지만,[14] 근거가 부족하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기초어휘와 문법적으로 유사하여 한국어족일본어족과 통합하려는 한일어족설이 있다.

4. 1. 중국티베트어족설

중국티베트어족설은 지지받고 있지 않다.[11] 스타로스틴에 따르면 고대 중국어에서 강은 *kraŋ이라 추측했는데 이는 한국 고유어의 가람과 유사하다는 의견도 있으나, 고대 중국어 발음 자체가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히 알 수 없어 폐기된 설이다. 이 말고도 일부 *prəm과 바람을 포함해서 기초 수사에서는 *ka(고립되다)와 *kajs(각자)가 하나의 고대 한국어인 *katɒna[12][13]와 유사하다고 주장하거나, *səm과 셋이 유사성을 보이는 주장이 있으나 극히 일부 단어가 유사하며 고대 중국어 발음 자체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지지받는 설이 아니다. 스타로스틴은 고대 중국어의 일부 어휘가 알타이어적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특히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법 구조와 음운 구조, 그리고 기초 어휘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중국티베트어족이 아니라는 설이 지지받는다. 이런 극히 일부 기초 어휘의 유사성으로 인해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한민족이 한자를 만들었다고 하지만[14] 이 주장에는 근거가 부족하다.

4. 2. 한일어족설

한국어족일본어족을 통합하여 한국어와 일본어가 기초어휘와 문법적으로 유사하다는 점에 근거한 주장이다.

참조

[1] 서적 알타이 가설과 한국어 역락
[2] 서적 위의 책
[3] 뉴스 한국어연구의 태두 「람스테트」 박사-김방한<서울대 문리대교수>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9-09-23
[4] 문서 eg Vovin 2008: 1
[5] 서적 고등학교 국어(하) 두산동아 2002
[6] 서적 고등학교 국사 (주)교학사 2006-03-02
[7] 서적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8] 뉴스 Is the Korean language really an orphan? http://www.koreahera[...] The Korean Herald 2019-09-22
[9] 저널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https://www.cambridg[...] 1999-03
[10]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우리말과 중국어,뿌리가 같다? |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
[12] 문서 河屯 | 鷄林類事
[13] 문서 河屯 | ɣā-ṭwin | Starling
[14] 웹사이트 한자는 우리글이다 | 경향닷컴 http://news.kha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