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자 부활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등에서 한자 사용의 부활과 관련된 논의를 다룬다. 대한민국은 1948년 한글 전용법 제정 이후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이후 한자 교육 강화 주장이 제기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자 교육을 폐지했으나, 남한 출판물 이해를 위해 한자를 학습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지 시대 로마자 표기법 보급 이후 한자 사용이 감소했으며, 일부 학자들은 한자 교육 의무화를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어 - 베트남 문학
베트남 문학은 베트남의 역사, 문화, 사회상을 반영하는 문학 작품들을 통칭하며, 한문 문학, 쯔놈 문학, 쯔꾸옥응 문학으로 구분되고, 격동의 역사를 거치면서 다양한 주제와 기법으로 발전해 왔다. - 베트남어 - 베트남어 점자
베트남어 점자는 프랑스어 점자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고, 특히 베트남어의 성조를 나타내는 별도의 기호를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이 베트남어를 정확하게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체계이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문학
한문학은 한자를 사용하여 쓰여진 한국 문학으로, 고려 시대 이후 한국적 문학 양식과 정서를 담아 사회상을 반영하며 한국 사회와 문화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자 부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제목 | 한자 부활론 |
언어 | 한국어 |
주제 | 한자 부활 주장 |
성격 | 운동 |
주장 | |
내용 | 한자를 국어에 부활시켜 국어의 효율성을 높이고, 언어 생활을 풍부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 |
주요 내용 | '우리말 속에는 한자어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자 교육이 없으면 우리말 어휘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한글은 한자 지식 없이 쓰기 어렵다' '한자는 문자 체계로서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한자 문화권으로서 전통과 정체성을 지키는 데 필요하다' |
배경 | |
역사적 배경 | 일제강점기 한자 말살 정책 해방 후 한글 전용 정책 |
사회적 배경 | 국어 어휘력 부족 문제 문해력 저하 우려 교육 효과 저하 우려 |
한자 부활 운동 | |
추진 단체 |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한국어문회 |
추진 내용 | 한자 교육 의무화 주장 한자 능력 시험 확대 요구 한자 교육 강화 운동 전개 |
주요 주장 | 한자 교육 필요성 강조 한자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 강조 |
반론 | |
반대 측 주장 | 한글 전용 정책이 옳다 한자 교육은 시대에 뒤떨어진다 한자 교육은 학습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자 교육은 국어 교육의 발전을 저해한다 |
반박 논리 | 한글은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문자이다 한자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한자는 학습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한자 교육은 한국어의 순수성을 해친다 |
관련 정보 | |
관련 문서 | 한글 전용 국한문혼용 한자 교육 |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 한글 전용법을 제정하여 공문서에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한자를 병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 그러나 한자 교육과 사용을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한자 존속 주장이 다시 제기되면서,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도로 표지판과 지명 표기에 한자를 병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식 한자 및 일본식 한자를 사용하여 한글·한자 병기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는 구 교육청 주도로 관내 초등학교에 한자 교육을 의무화했다. 어린이들은 동음이의어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며 호평했지만, 한글 학회는 한글이 세계적으로 과학적인 문자이며, 한자는 특권층의 반민주적 문자이고, 한글 전용으로 불편을 느끼는 한국인은 없다는 이유로 한자 교육 강화에 반대했다.
정부는 한자 교육에 대해 가르치거나 가르치지 말라는 입장을 취하지 않고, 한자 부활 문제는 정치 문제가 아닌 국민 개인의 문제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2. 1. 한글 전용과 한자 병기 논쟁
대한민국에서는 정부 수립 직후 1948년에 한글 전용법을 제정하여 공문서에 한글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한자를 병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1] 이로 인해 공문서나 교과서에서는 한글과 한자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제3공화국 (1968년~1972년) 박정희 정부는 한자 교육을 축소하고 한글 전용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자 존속을 주장하던 대학교수가 강제 퇴직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학계와 언론계의 반발로 중등 교육에서의 한문 교육은 유지되었으나, 한자 교육에 대한 관심은 전반적으로 낮아졌다.[2]
1990년대 후반, 일부에서는 한자 존속 주장이 다시 제기되었다. 1998년에는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가 결성되어 한자 교육 의무화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 단체는 한자가 동양의 공통어이며, 한국어도 일본어처럼 한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
2005년에는 국어기본법이 제정되어 공문서에서 한자 병기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로 제한되었다.
박근혜 정부는 2018년부터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병기하는 정책을 추진하려 하였으나,[3][4] 한글 단체 등의 반발로 무산되었다.[5][6][7]
2020년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 등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를 위한 법안을 발의하여 한자 병기 논쟁이 다시 불거졌다.[8]
2. 2. 한자 교육 현황
대한민국은 정부수립 직후 1948년에 한글 전용법을 제정하여 공문서에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한자를 괄호 안에 병기하는 방식으로 제한하였다.[1] 1990년대 후반 이후,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등에서 한자 교육 의무화를 주장하였으나, 2005년 국어기본법 제정으로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은 더욱 제한되었다.현재 대한민국에서 한자 혼용은 고전 한문 관계 서적을 제외하면 법학 서적 정도에 그치며, 일상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도로 표지판의 지명 표기 등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초등학교에서는 교장 재량에 따라 한자를 가르치기도 하지만, 학교별로 한자 능력에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교육 현장의 최일선에 있는 세대가 한자 교육을 가장 덜 받은 세대라는 점과도 관련이 있다.
대학에서는 학과에 따라 졸업 요건으로 한자 시험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 수준은 대학마다 다르며, 대체로 2급(2000~2800자)에서 3급(1000~1800자) 정도의 한자 실력이 요구된다.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한자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중국이나 일본, 남조선에서는 한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를 학습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9]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한자 교육이 폐지되었으나, 1968년부터 고등 중학교 교과 과정에 한문 교육이 포함되었다.
3. 1. 한자 폐지와 제한적 교육
김일성은 1964년 1월 3일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에서 한자를 쓸 필요는 없다고 언급하면서도, 한국과의 통일 문제 등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한자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했다.[10] 김일성은 한자를 폐지하면 당시 한자를 사용하던 한국에서 유통되는 출판물을 읽을 수 없게 되므로, 일정 기간 한자를 배워야 하지만, 국내 출판물에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다.[10]이에 따라 북한에서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공식적으로 한자를 사용하지 않지만, 1968년부터 고등 중학교 교과 과정에 한문 교육이 포함되었다.[9] 북한의 신문은 한글 전용으로 한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인명이나 지명의 한자 표기는 외국어 표기로서 존재한다. 마오쩌둥이 김정일에게 선물한 한시에는 간체자가 사용되었다.
3. 2. 어휘와 표기
1948년 정부 수립 이래 한자 교육이 폐지되었다. 1968년 고등 중학교 교과에 한문 교육이 포함되었다. 1948년 한자 폐지와 동시에 조선어에서 한자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국어 순화 운동이 대대적으로 행해졌으나, 1960년대부터 차츰 사라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어 어휘에는 많은 한자어가 남아 있다.북한에서는 1948년 건국 이후 한자가 폐지되었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한자 교육이 실시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2016년 현재에도 실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9] 김일성은 1964년 1월 3일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에서 “한자를 쓸 필요는 없다”고 하면서 한자 문제는 통일 문제에서만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당시 한자를 사용하던) 한국에서 유통되는 출판물을 읽을 수 없게 되므로 일정 기간 한자를 배워야 하지만, 국내 출판물에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하고 있다.[10]
따라서 북한에서는 일반적으로 한자를 사용하지 않으며, 신문은 한글 전용으로 한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인명이나 지명의 한자 표기는 외국어 표기로 존재한다. 마오쩌둥이 김정일에게 선물한 한시에서는 간체자가 사용되었다.
4. 베트남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 후 북부에서는 공교육에서 한자 교육이 사실상 사라졌지만, 베트남 공화국(남부)에서는 1975년까지 중등 교육에 ‘한문과’가 존속했다.[11] 1960년대 후반 베트남에서는 한자어를 고유 베트남어로 바꾸는 운동이 추진되었다.[11]
현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한자 부활 주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호치민시 국가 대학의 가오 스안 하오 교수(언어학)는 “언어학적으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는 적절하지 않으며 한자와 쯔놈(字喃)을 버린 것은 문화적인 손실”이라며 중고등학교의 한자 교육 의무화를 주장하기도 했다.[11]
4. 1.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로마자 표기 정착
17세기에 프랑스인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가 고안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지화 이후 "쯔꾸옥응으(국어)"라는 이름으로 보급되었다. 1919년 과거제 폐지 이후 한문 사용이 줄어들면서 한자 사용도 차츰 줄어들었다.[11]4. 2. 한자 교육과 한자 부활 주장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 후 북부에서는 공교육에서 한자 교육이 사실상 사라졌지만, 베트남 공화국(남부)에서는 1975년까지 중등 교육에 ‘한문과’가 존속했다.[11] 1960년대 후반 베트남에서는 한자어를 고유 베트남어로 바꾸는 운동이 추진되었다.[11]현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한자 부활 주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호치민시 국가 대학의 가오 스안 하오 교수(언어학)는 “언어학적으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는 적절하지 않으며 한자와 쯔놈(字喃)을 버린 것은 문화적인 손실”이라며 중고등학교의 한자 교육 의무화를 주장하기도 했다.[11]
참조
[1]
뉴스
韓国、漢字撤廃政策のツケ…過去にこだわる民族が歴史を知らないという皮肉
https://www.dailyshi[...]
2020-08-11
[2]
뉴스
「ブウンを祈る」ってどんな意味? 韓国で検索順位が急上昇
http://www.chosunonl[...]
2021-11-21
[3]
웹사이트
韓国にはやっぱり漢字が必要!世論調査で漢字に対する韓国人の考えが明らかに―韓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4-10-11
[4]
웹사이트
韓国の朴槿恵大統領が漢字教育の重要性を強調
http://news.livedoor[...]
2013-07-12
[5]
웹사이트
小学校教科書への漢字併記 ハングル関連団体が反発
http://japanese.yonh[...]
2015-05-01
[6]
웹사이트
韓国教育部、小学教科書の漢字併記撤回
http://japan.hani.co[...]
2015-09-22
[7]
웹사이트
「光復(解放)70年で最も成功した政策はハングル専用」 : 文化 : hankyoreh japan
https://japan.hani.c[...]
[8]
뉴스
韓国の小学校教科書、漢字併用論争が再燃
https://www.chosunon[...]
2020-12-21
[9]
웹사이트
金正恩の新教科書を解剖する(1) 北朝鮮の教科書事情 市場で買わされる教科書
http://www.asiapress[...]
2020-04-28
[10]
웹사이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における漢字教育 ―1990年代を中心に―
http://www.gsid.nago[...]
2012-07-30
[11]
웹사이트
Cần khôi phục việc dạy chữ Hán trong nhà trường
http://tuoitre.vn/ti[...]
Báo Tuổi Trẻ
2010-06-26
[12]
웹인용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 우리의 주장
http://www.hanja-edu[...]
2015-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