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랄알타이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랄알타이어족은 18세기부터 제기된 언어 가설로,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을 묶어 같은 조상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19세기 후반에는 우랄어족(핀우그르어족, 사모예드어족)과 알타이어족(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의 유사성이 주목받았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알타이어족의 계통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은 지지 기반을 잃었다. 현재는 언어 유형론적 특징의 유사성을 언어 지대로 설명하거나, 더 넓은 대어족 가설의 일부로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우랄알타이어족 언어들은 SOV 어순, 모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문법적 성의 부재 등과 같은 유형론적 특징을 공유하며, 유전자 연구를 통해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연관성을 추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 제어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 알타이 제어 - 몽골어족
몽골어족은 몽골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아우르는 어족으로, 알타이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몽골 제국 시대 이후 언어 분화가 이루어졌고, 튀르크어족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 우랄어족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우랄어족 - 핀어군
핀어군은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을 포함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는 우랄어족 언어의 한 갈래이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우랄알타이어족 | |
---|---|
개요 | |
명칭 | 우랄-알타이어족 |
다른 명칭 | 투란어족 |
언어 계통 | 수렴 지역 |
제안 상태 | 폐기된 어족 가설 |
관련 언어 |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2–4 = 알타이어족) 유카기르어족 |
분포 지역 | 유라시아 |
![]() |
2. 역사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1710년 저서에서 모든 인간 언어가 하나의 공통 조상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언어가 야페트어족과 아람어족으로 나뉘었다고 주장했다. 야페트어족은 다시 스키타이어파와 켈트어파로 나뉘었고, 스키타이어족에는 그리스어, 사르마토-슬라브어족, 튀르크어족, 핀우그르어족 등이 속한다고 보았다.[16] 그의 이론은 완벽하지 않았지만, 독일어권 국가에서 언어학 연구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730년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는 핀우그르어족, 튀르크어족, 사모예드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코카서스어족이 언어적, 문화적 공통점을 공유한다고 기술했다.[17] 그러나 그는 이 여섯 그룹 간의 언어적 친족 관계를 명확히 주장하지는 않았다.[18][19]
1834년 라스무스 크리스티안 라스크는 핀우그르어족, 튀르크어족, 사모예드어족, 에스키모어족, 코카서스어족, 바스크어족 등을 포함하는 "스키타이" 언어를 설명했다.
우랄알타이 가설은 1836년 W. Schott[20], 1838년 F. J. 비데만[21]에 의해 제시되었다. 1844년 마티아스 카스트렌[22][23]은 "알타이" 가설을 언급하며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을 포함시켰다. 19세기 후반,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은 알타이어족으로,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은 우랄어족으로 불리게 되었고, 두 어족의 유사성 때문에 우랄-알타이라는 공통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1855년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는 아리아어족과 셈어족이 아닌 아시아 언어를 "투라니어족"으로 분류하고, 이를 남부와 북부로 나누었다.[24] 그의 이론[25]은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북부 분류는 "우랄-알타이어족"으로 재분류되었다.
1850년대와 1870년대에 프레드릭 로에리그는 일부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를 "투라니어족" 또는 "우랄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키려 했고, 1870년대와 1890년대에는 바스크어와의 연관성이 추측되기도 했다.[26]
1980년대에 러시아 언어학자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 Андреев, 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ru )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후기 논문에서는 한국어도 포함)을 연결하는 "보레알어족( Бореальный языкru )" 가설을 제안했다.[30][31]
안젤라 마르칸토니오(2002)는 핀페르미어파와 우그르어파를 연결하는 핀우그르어족 또는 우랄어족 그룹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이들이 튀르크어와 마찬가지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다고 제안하여, 우랄-알타이 또는 카스트렌의 원래 알타이 제안과 매우 유사한 그룹을 가정했다. 이 논문은 주류 우랄어학자들에게 비판받았다.[32][33][34]
1990년대부터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성이 유라시아 대어족의 관점에서 다시 주목받게 되어,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인도유럽어족 사이에서 관련성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48]
2. 1. 헝가리와 우랄-알타이어족 가설
헝가리에서는 국어인 헝가리어가 우랄어족에 속하지만, 역사적으로 튀르크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사실 때문에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중반까지 우랄-알타이 관계에 대한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졌다.[27] 그러나 이는 언어학적 근거보다는 민족주의적인 이유 때문이었고, 상세한 연구는 부족했다.2. 2. 가설의 쇠퇴와 비판
20세기 중반 이후, 알타이어족 가설 자체가 학계에서 의심받기 시작하면서 우랄-알타이어족 가설도 힘을 잃었다. 1960년대 이후,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의 학자들은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을 "완전히 폐기된 아이디어"라고 비판했다.[28] 니콜라이 포페는 공통적인 교착어적 특징이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수 있음을 지적하며 마티아스 카스트렌의 견해를 반박했다.[27]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교착어이며, SOV 어순(예외도 있음), 모음조화, 인칭대명사의 유사성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우랄-알타이어족'이라는 묶음이 설정되고, 투란 민족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러나 우랄어족 내의 공통 어휘를 제외하고는 공통되는 기본 어휘가 거의 없으며, 언어유형론적 특징은 지역적 특성(언어연합)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동계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현재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별도로 취급되고 있다.
수사는 인도유럽어족의 수사(원시 인도유럽어 수사 비교)와 달리 세 가지 핵심 알타이어족과 우랄어족 사이에서 특히 다르며, 우랄어족 내에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48]
수사 | 우랄어족 | 투르크어족 | 몽골어족 | 퉁구스어족 | ||
---|---|---|---|---|---|---|
핀란드어 | 헝가리어 | 툰드라 네네츠어 | 구투르크어 | 고몽골어 | 원시 퉁구스어 | |
1 | yksi | egy | ŋob | bir | nigen | *emün |
2 | kaksi | kettő/két | śiďa | eki | qoyar | *džör |
3 | kolme | három | ńax°r | üs | ɣurban | *ilam |
4 | neljä | négy | ťet° | tört | dörben | *dügün |
5 | viisi | öt | səmp°ľaŋk° | baš | tabun | *tuńga |
6 | kuusi | hat | mət°ʔ | eltı | ǰirɣuɣan | *ńöŋün |
7 | seitsemän | hét | śīʔw° | jeti | doluɣan | *nadan |
8 | kahdeksan | nyolc | śid°nťet° | säkiz | naiman | *džapkun |
9 | yhdeksän | kilenc | xasuyu" | toquz | yisün | *xüyägün |
10 | kymmenen | tíz | yūʔ | on | arban | *džuvan |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이 공유하는 유형론적 특징으로는 교착어, SOV어순(예외도 있음), 모음조화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우랄-알타이어족"이라는 묶음이 설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만으로는 유전적 관계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되지 않으며, 언어 간 접촉이나 우연의 일치로 설명될 수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3. 유형론적 특징
1990년대부터는 유라시아 대어족의 관점에서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성이 다시 주목받게 되어,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인도유럽어족 사이에서 관련성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48]
3. 1. 공유되는 특징 (논란 있음)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사이에서 널리 발견되는 몇 가지 유형론적 유사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의견이 일치한다.
이러한 유사성만으로는 유전적 관계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되지 않으며, 다른 설명이 가능하다. 유하 야누넨(Juha Janhunen)은 우랄알타이어족이 계통적 관계로서 거부되어야 하지만, 잘 정의된 언어 지대(language area)라는 개념으로는 여전히 타당성을 유지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이 언어 지대는 4개의 핵심 언어족(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의 역사적 상호 작용과 언어 수렴(language convergence)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35]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교착어이며, SOV어순(예외도 있음), 모음조화, 인칭대명사의 유사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우랄-알타이어족"이라는 묶음이 설정되고, 투란 민족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러나 우랄어족 내의 공통 어휘를 제외하고는 공통되는 기본 어휘가 거의 없으며, 언어유형론적 특징은 지역적 특성(언어연합)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동계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현재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별도로 취급되고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인칭 대명사에 강한 유사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만, 이러한 유사성은 인도유럽어족의 대명사에도 존재한다.
수사는 인도유럽어족의 수사(원시 인도유럽어 수사 비교)와 달리 세 가지 핵심 알타이어족과 우랄어족 사이에서 특히 다르며, 우랄어족 내에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
수사 | 우랄어족 | 튀르크어족 | 몽골어족 | 퉁구스어족 | ||
---|---|---|---|---|---|---|
핀란드어 | 헝가리어 | 툰드라 네네츠어 | 구투르크어 | 고몽골어 | 원시 퉁구스어 | |
1 | yksi | egy | ŋob | bir | nigen | *emün |
2 | kaksi | kettő/két | śiďa | eki | qoyar | *džör |
3 | kolme | három | ńax°r | üs | ɣurban | *ilam |
4 | neljä | négy | ťet° | tört | dörben | *dügün |
5 | viisi | öt | səmp°ľaŋk° | baš | tabun | *tuńga |
6 | kuusi | hat | mət°ʔ | eltı | ǰirɣuɣan | *ńöŋün |
7 | seitsemän | hét | śīʔw° | jeti | doluɣan | *nadan |
8 | kahdeksan | nyolc | śid°nťet° | säkiz | naiman | *džapkun |
9 | yhdeksän | kilenc | xasuyu" | toquz | yisün | *xüyägün |
10 | kymmenen | tíz | yūʔ | on | arban | *džuvan |
3. 2. 언어 동조 현상
유하 야누넨(Juha Janhunen)은 우랄알타이어족이 계통적 관계는 아니지만, 언어 동조 현상으로 인해 유형론적 유사성을 보인다고 주장했다.[35] 그는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의 역사적 상호 작용과 언어 수렴을 통해 언어 지대가 형성되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35]4.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언어를 통해 민족의 기원을 연구하며 모든 언어가 하나의 공통 조상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그의 이론은 19세기 독일어권 국가에서 언어학 연구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16] 18세기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는 핀우그르어족, 튀르크어족, 사모예드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코카서스어족이 언어적, 문화적 공통점을 가진다고 기술했지만, 이들 간의 언어적 친족 관계를 주장하지는 않았다.[18][19] 19세기 라스무스 크리스티안 라스크는 "스키타이" 언어라는 개념을 제시했고, F. J. 비데만은 우랄알타이 가설을 제시했다.[21]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1844년 "알타이" 가설을 통해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을 포함시켰다. 19세기 후반,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은 알타이어족으로,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은 우랄어족으로 불렸고, 두 어족의 유사성으로 인해 우랄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었다.
프리드리히 막스 뮬러는 1855년 아시아 언어를 "투라니어족"으로 분류하고 남부와 북부로 나누었으나, 그의 이론은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북부 분류는 "우랄알타이어족"으로 재분류되었다.[24]
헝가리에서는 헝가리어가 우랄어족이지만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 때문에 우랄알타이 관계에 대한 믿음이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민족주의적 이유가 컸고 자세한 연구는 부족했다. 마르티 래새넨과 같은 학자들은 소수였고, 오렐리앵 쏘바주와 데니스 시노르는 가설을 조사했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니콜라이 포페는 공통 교착어적 특징이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수 있음을 보여주며 카스트렌의 견해를 반박했다.[27]
1960년대부터 알타이어족 자체가 보편적 수용을 받지 못하면서 가설은 논란이 되었다. 현재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이 다른 어족보다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가설은 거의 지지받지 못한다.[28]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우랄알타이 가설을 "완전히 폐기된 아이디어"라고 평가했다.[28] 그러나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및 기타 어족을 포함하는 대어족 가설은 존재하지만, 널리 지지받지 않는다. 스타로스틴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을 약 9,000년 전 조상 언어의 자매 언어로 보았고, 이 언어가 유라시아어족을 거쳐 노스트라틱어족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했다.[29]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안드레예프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후에 한국어도 포함)을 연결하는 Бореальный языкru 가설을 제안했다.[30][31] 안젤라 마르칸토니오(2002)는 핀우그르어족 또는 우랄어족 그룹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이들이 튀르크어와 마찬가지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다고 제안했지만, 주류 우랄어학자들에게 비판받았다.[32][33][34]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해야 한다.
#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입증 가능한 계통적 관계를 가지는가?
# 만약 그렇다면, 유효한 언어학적 분류군을 형성하는가?
계통적 관계만으로는 어족을 확립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제안된 어족 외부에 더 가까운 관계를 갖는 언어가 존재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일부 학자들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이 유라시아어족이나 노스트라트어족과 같은 더 큰 어족을 통해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39]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교착어, SOV어순(예외 있음), 모음조화, 인칭대명사의 유사성 등의 공통 특징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우랄알타이어족"과 투란 민족 개념이 생겨났다.
그러나 우랄어족 내 공통 어휘를 제외하고는 공통 기본 어휘가 거의 없으며, 언어유형론적 특징은 지역적 특성(언어연합)일 가능성이 높아, 현재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별도로 취급된다.
1990년대부터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성이 유라시아 대어족 관점에서 다시 주목받아,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인도유럽어족 사이의 관련성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48]
4. 1. 공유 어휘 (논란 있음)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모든 어파에 걸쳐 공유되는 어휘는 거의 없으며, 일부 인칭대명사의 유사성은 인도유럽어족에서도 발견된다.[28] 수사는 두 어족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사용하기 어렵다.[48]수사 | 우랄어족 | 투르크어족 | 몽골어족 | 퉁구스어족 | ||
---|---|---|---|---|---|---|
핀란드어 | 헝가리어 | 툰드라 네네츠어 | 구투르크어 | 고몽골어 | 원시 퉁구스어 | |
1 | yksi | egy | ŋob | bir | nigen | *emün |
2 | kaksi | kettő/két | śiďa | eki | qoyar | *džör |
3 | kolme | három | ńax°r | üs | ɣurban | *ilam |
4 | neljä | négy | ťet° | tört | dörben | *dügün |
5 | viisi | öt | səmp°ľaŋk° | baš | tabun | *tuńga |
6 | kuusi | hat | mət°ʔ | eltı | ǰirɣuɣan | *ńöŋün |
7 | seitsemän | hét | śīʔw° | jeti | doluɣan | *nadan |
8 | kahdeksan | nyolc | śid°nťet° | säkiz | naiman | *džapkun |
9 | yhdeksän | kilenc | xasuyu" | toquz | yisün | *xüyägün |
10 | kymmenen | tíz | yūʔ | on | arban | *džuvan |
예를 들어 헝가리어 (''három'')와 몽골어 (''ɣurban'')에서 보이는 '3'에 대한 수사의 유사성은 공통 기원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기에는 여러 보조 가설이 필요하다.[40]
4. 2. 음운 대응 (논란 있음)
팝페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 사이에 다음과 같은 자음 대응을 주장했다.[41]- 단어 앞의 양순 파열음: 우랄어족 *p- = 알타이어족 *p- (> 튀르크어족 및 몽골어족 *h-)
- 치찰음: 우랄어족 *s, *š, *ś = 알타이어족 *s
- 비음: 우랄어족 *n, *ń, *ŋ = 알타이어족 *n, *ń, *ŋ (튀르크어족 단어 앞의 *n-, *ń- > *j-; 몽골어족 *ń(V) > *n(i))
- 유음: 우랄어족 *-l-, *-r- = 알타이어족 *-l-, *-r-[42]
그러나 이러한 대응은 체계적이지 않으며 예외가 많다는 비판을 받는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언어 비교를 통해 민족들의 관계와 기원을 밝히고자 했다. 19세기 중반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그리고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을 포함하는 "알타이" 가설을 제시했다. 이후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은 알타이어족으로, 핀우그르어족과 사모예드어족은 우랄어족으로 불리게 되었고, 두 어족의 유사성으로 인해 우랄-알타이라는 공통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알타이어족 자체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이 다른 어족보다 서로 더 가깝다는 가설은 거의 지지받지 못하게 되었다.[28]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우랄-알타이 가설을 "이제 완전히 폐기된 아이디어"라고 평가했다.[28]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및 기타 어족을 포함하는 더 큰 대어족을 제안하는 여러 가설이 있다. 스타로스틴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을 약 9,000년 전 조상 언어의 자매 언어로 보았으며, 이 언어에서 드라비다어족과 구시베리아어족(에스키모-알류트어족 포함)도 유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조상 언어가 인도유럽어족과 카르트벨어족과 함께 약 12,000년 전 "유라시아어족" 원어에서 유래하고, 이는 다시 노스트라틱어족을 통해 "보레알어족" 원어에서 유래한다고 가정했다.[29]
1990년대부터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관계성이 유라시아 대어족의 관점에서 다시 주목받게 되어,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인도유럽어족 사이에서 관련성을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48]
드라비다어족과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사이에는 문법적으로 뚜렷한 유사성이 있다. 인도유럽어족과 우랄어족, 알타이어족은 일부 형태소가 분명히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모음조화가 있는 교착어라는 점에서는 수메르어와도 유사하지만, 수메르어는 조격 언어이고,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은 대격 언어라는 차이가 있다.
6. 화자 집단과 유전자
우랄어족을 특징짓는 유전자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다. 이 유형은 극북을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의 우랄어족 민족에서 고빈도로 관찰된다. 중국 북부를 기원으로 하며,[49] 요하문명 시대인의 유골에서 약 70%의 고빈도로 관찰되었다는 점[50]에서 우랄어족의 원향은 먼 요하 지역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알타이어족을 특징짓는 유전자는 Y염색체 하플로그룹 C2이며, 카자흐인, 몽골인, 에벤키인 등에서 고빈도로 관찰되지만, 하플로그룹 N도 중빈도로 나타나는 집단이 많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언어적 유사성은 하플로그룹 N 집단에 기인한다는 견해가 있다.[51]
참조
[1]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2]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hicago
[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Cambridge
[4]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5]
서적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Blackwell
[6]
웹사이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2002-01-01
[7]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8]
학술지
The Role of Paradigmatic Morphology in Historical, Areal and Genealogical Linguistics: Thoughts and Observations in the Margin of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 (Robbeets and Bisang, eds.)
[9]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Volume 1 Part 10
BRILL
[10]
서적
Nostratic: Examining a Linguistic Macrofamily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University of Cambridge
[11]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Psychology Press
[12]
서적
Transeurasian Verbal Morphology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Genealogy, Contact, Chance
Otto Harrassowitz Verlag
[13]
서적
Non-Finite Relativization. A Typological Study in Accessibility
Ústav orientalistiky SAV
[14]
서적
A Modern Theory of Language Evolution
iUniverse
[15]
서적
Reconstructing Proto-Nostratic: Comparative Phonology, Morphology, and Vocabulary
Brill
[16]
웹사이트
Brevis designatio meditationum de originibus gentium ductis potissimum ex indicio linguarum
https://edoc.bbaw.de[...]
[17]
웹사이트
An historico-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north and east parts of Europe and Asia
http://catalog.hathi[...]
[18]
학술지
The truth about Strahlenberg's class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Northeastern Eurasia
[19]
문서
According to Manaster Ramer & Sidwell, this misconception first dates back to a 1901 article by Otto Donner, later most prominently repeated by Nicholas Poppe, Merritt Ruhlen and G. D. Sanzheev.
[20]
서적
Versuch über die tatarischen Sprachen
[21]
서적
Ueber die früheren Sitze der tschudischen Völker und ihre Sprachverwandschaft mit dem Völkern Mittelhochasiens
[22]
서적
Dissertatio Academica de affinitate declinationum in lingua Fennica, Esthonica et Lapponica
[23]
서적
Nordische Reisen und Forschungen. V
St.-Petersburg
[24]
웹사이트
The languages of the seat of war in the East. With a survey of the three families of language, Semitic, Arian and Turanian
https://archive.org/[...]
Williams and Norgate, London
[25]
웹사이트
Letter to Chevalier Bunse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uran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26]
서적
Native Tongues: Colonialism and Race from Encounter to the Reserv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 Uralo-Altaic Theory in the Light of the Soviet Linguistics
http://feb-web.ru/fe[...]
2010-04-07
[28]
문서
(Starostin et al. 2003:8)
[29]
웹사이트
Borean tree diagram
http://starling.rine[...]
[30]
학술지
N. D. Andreev’s Proto-Boreal Theory and Its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the Central-East and Southeast European Ethnogenesis: Slavic, Baltic and Thracian
[31]
서적
Lexicon Proto-Borealicum et alia lexica etymologica minora
https://www.research[...]
Evenimentul
[32]
웹사이트
Linguistic shadow-boxing
https://homepage.uni[...]
2003-04-23
[33]
웹사이트
review of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www.safarmer.[...]
2016-03-01
[34]
웹사이트
review of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www.safarmer.[...]
2016-03-01
[35]
학술지
Typological Expansion in the Ural-Altaic belt
[36]
서적
Language Relations across Bering Strait: Reappraising the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Evidence
Cassell
[37]
서적
Linguistic Areas. Convergence in Historical and Typolog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38]
문서
Greenberg 2005
[39]
문서
Greenberg 2000:17
[40]
서적
Symposium saeculare societatis Fenno-Ugricae
[41]
서적
Symposium saeculare societatis Fenno-Ugricae
[42]
문서
Treated only word-medially.
[43]
문서
Janhunen 2001 (sit. Häkkinen 2012: 98), Janhunen 2007 (sit. Häkkinen 2012: 98).
[44]
웹사이트
Proto-Uralic—what, where, and when? Juha JANHUNEN (Helsinki) The Quasquicentennial of the Finno-Ugrian Society. Suomalais-Ugrilaisen Seuran Toimituksia = Mémoires de la Société Finno-Ougrienne 258. Helsinki 2009. 61–62.
http://www.sgr.fi/su[...]
[45]
웹사이트
Usein kysyttyä suomalais-ugrilaisista kielistä
https://web.archive.[...]
2021-05-28
[46]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27
[47]
문서
Janhunen 2009: 62.
[48]
서적
Reconstructing Proto-Nostratic: Comparative Phonology, Morphology, and Vocabulary
Brill
[49]
간행물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ric gene flow n Europe
[50]
웹사이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www.biomedcen[...]
[51]
웹사이트
Eupedia
https://www.eupedia.[...]
[52]
저널
Remarks on the Korean language
역락
[53]
저널
The Uralo-Altaic Theory in the Light of the Soviet Linguistics
역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