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프로축구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프로축구연맹은 K리그 운영 및 한국 축구 발전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1983년 프로축구 출범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1994년 대한축구협회로부터 독립하여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재출범했다. 현재 K리그1과 K리그2를 주최하고, 축구 저변 확대, 인적 자원 개발, 국제 교류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총회, 이사회, 사무국, 위원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대 총재로는 정몽준, 유상부, 곽정환, 정몽규, 권오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 시즌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 K리그에 관한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에 관한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기본 정보

2. 역사

1983년 수퍼리그 출범 당시 프로축구 리그 운영은 대한축구협회 내 여러 회의체에서 결정되었다.[2] 이후, 프로축구단들은 별도 조직 구성을 추진, 1984년 대한축구협회 내부의 프로축구관리위원회가 출범했다.[4][5] 1987년에는 축구협회와 별도 조직인 한국프로축구위원회가 출범했지만,[7][8] 1989년 축구협회에 흡수 통합되었다.[9][10][11]

1994년 7월 30일, 대한축구협회와 별도 조직인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재독립하였고,[13][14] 2010년 1월 13일 사단법인으로 전환을 완료하였다.[15]

2. 1. 설립 초기 (1983년 ~ 1994년)

1983년 5월, 대한민국 프로축구 수퍼리그가 출범하면서 프로축구 리그 운영은 대한축구협회 내의 구단주회의(구단주 5명, 협회 회장단 2명), 수퍼리그위원회(구단장 및 KBS 실무대표 1명, 협회 운영위원 4명), 실무자회의(감독 5명, 협회 2명)에서 협의하여 결정하였다.[2]

1983년 12월, 프로축구단들은 축구협회 내부 단체가 아닌 프로축구만을 관장하는 별도의 프로축구위원회 창설을 추진하였다.[3]

1984년 1월, 대한축구협회 내부 프로축구관리위원회가 출범하였고[4][5], 기존의 수퍼리그 위원회는 단순한 친목단체로 인정되었다.[6]

1987년 3월, 대한축구협회와 별도의 조직인 한국프로축구위원회가 출범하였다.[7][8]

1989년 1월, 축구협회는 한국프로축구위원회를 흡수 통합하려 하였다.[9][10]

1989년 3월, 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위원회는 흡수 통합에 합의하였다.[11]

1989년 3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축구협회의 일개 분과위원회로서 구단주들의 모임에 불과했던 프로축구위원회와 프로구단 사무국장들의 부정기적인 회의 등으로 운영되었다.[12]

2. 2. 독립 및 발전 (1994년 ~ 현재)

1994년 7월 30일, 대한축구협회와 별도 조직인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재독립하였다.[13][14] 2010년 1월 13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전환을 완료하였다.[15]

3. 조직

K League영어의 사무국은 총재를 보좌하여 연맹의 제반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이다. 사무총괄, 경기, 마케팅, 경영기획, 홍보, 유소년 등 총 6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K League영어 사무국 조직도
사무총괄경기마케팅경영기획홍보유소년
사무총장
예산편성 및 집행
인사, 조직, 복지, 노무
각종 위원회 운영
규정, 제도 개선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이사회, 총회 운영
경기팀
리그 및 컵대회 운영 및 관리
경기일정 및 경기장 관리
심판 운영 및 관리
선수 등록 및 관리
R리그 운영 및 관리
각급 대표팀 지원
FA컵 운영 지원
외국인선수 관리
각종 매뉴얼 제작
경기 관련 각종 위원회 운영
마케팅팀
K League영어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
스폰서십 유치 및 관리
신규사업 개발 및 추진
해외 마케팅
상품화 사업
방송 중계권 판매
영상 아카이브 구축 및 관리
온라인/뉴미디어 사업
CRM 구축 및 운영
광고 사업
글로벌 마케팅
경영기획팀
예산, 결산, 회계, 세무
자산 및 물품 관리
법무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
전산 장비 관리
사무국 운영 지원
홍보팀
언론 홍보
방송 제작 및 중계방송 지원
월간 매거진 발간
사진 촬영 및 관리
인쇄물 제작
위기 관리 및 대응
홍보 채널 운영
미디어데이 등 홍보 관련 행사 주관
사회공헌활동
유소년팀
유소년 클럽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유소년 리그 운영 및 관리
유소년 저변 확대 사업
유소년 국제 교류
유소년 역량 강화 사업
유소년 마케팅
유소년 관련 제도 개선


4. 역대 총재

대수이름재임 기간주요 경력
초대 ~ 4대정몽준1994년 ~ 1998년 8월국회의원, 현대중공업그룹 회장
5대 ~ 6대유상부1998년 8월 ~ 2004년포스코 회장
7대 ~ 8대곽정환2005년 ~ 2010년통일그룹 회장
9대정몽규2011년 ~ 2012년현대산업개발 회장
10대 ~ 현재권오갑2013년 ~ 현재현대오일뱅크, 현대중공업 부회장


4. 1. 초대 ~ 4대 총재: 정몽준

정몽준 현대중공업그룹 회장은 1994년부터 1998년 8월까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초대 ~ 4대 총재를 역임했다. 정몽준 총재는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4. 2. 5대 ~ 6대 총재: 유상부

유상부 전 포스코 회장이 1998년 8월부터 2004년까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5대 ~ 6대 총재를 역임하였다.

4. 3. 7대 ~ 8대 총재: 곽정환

통일그룹 회장 곽정환이 2005년부터 2010년까지 7대, 8대 총재를 역임하였다.

4. 4. 9대 총재: 정몽규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프로축구연맹 제9대 총재를 역임하였다.

4. 5. 10대 ~ 현재 총재: 권오갑

권오갑 현대오일뱅크, 현대중공업 부회장은 2013년부터 현재까지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를 맡고 있다.

5. 주요 사업

한국프로축구연맹은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진행한다.[1]

주요 사업
K리그1, K리그2 대회 주최 및 운영
프로축구 저변 확대 및 홍보
선수, 지도자, 심판 등 인적 자원 개발
프로축구 관련 행정 및 지원 업무
프로축구 국제 교류 및 관련 사업


5. 1. 리그 운영

K리그1(1부리그) 및 K리그2(2부리그) 대회를 주최하고 운영한다.[1]

역할
K리그1, K리그2 대회 주최 및 운영
프로축구 저변 확대 및 홍보
선수, 지도자, 심판 등 인적 자원 개발
프로축구 관련 행정 및 지원 업무
프로축구 국제 교류 및 관련 사업


5. 2. 저변 확대 및 홍보

프로축구 저변 확대 및 홍보와 관련한 사업을 진행한다.[1]

5. 3. 인적 자원 개발

K리그 클래식K리그 챌린지 대회의 주최, 운영과 더불어 선수, 지도자, 심판 등 인적 자원 개발을 담당한다.

5. 4. 행정 및 지원


  • 프로축구 1부리그 (K리그1), 2부리그 (K리그2) 대회 주최 및 운영 관련 사업
  • 프로축구 저변 확대 및 홍보 관련 사업
  • 선수, 지도자, 심판 등 인적 자원 개발
  • 프로축구 관련 국제 교류 및 관련 사업

5. 5. 국제 교류

한국프로축구연맹은 프로축구와 관련하여 국제적인 교류와 그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한다.[1]

참조

[1] 간행물 K리그 정관 https://kleague-admi[...]
[2] 뉴스 蹴球(축구)중흥 死活(사활)건「새出帆(출범) http://newslibrary.n[...] 1983-05-03
[3] 뉴스 프로축구運營(운영) "協會(협회)에 맡길수 없다" http://newslibrary.n[...] 1983-12-08
[4] 뉴스 프로축구管理委(관리위) 구성 http://newslibrary.n[...] 1984-01-04
[5] 뉴스 프로축구관리위 정식發足(발족) 各球團長(각구단장)등 8명으로 구성 http://newslibrary.n[...] 1984-01-11
[6] 뉴스 프로축구…운영은아직도"아마" 定款(정관)도 규약도 없이「주먹구구」로 http://newslibrary.n[...] 1984-01-25
[7] 뉴스 프로축구聯(연) 25일 발족 http://newslibrary.n[...] 1987-02-17
[8] 뉴스 프로축구委(위) 정식 발족 http://newslibrary.n[...] 1987-03-06
[9] 뉴스 축그協(협),프로축구委(위) 흡수키로 http://newslibrary.n[...] 1989-01-12
[10] 뉴스 프로위원회 흡수 강행키로 http://newslibrary.n[...] 1989-01-20
[11] 뉴스 축구協(협)-프로축구委(위) 통합 합의 http://newslibrary.n[...] 1989-03-04
[12] 뉴스 한국축구'도약 슛'날린다 http://newslibrary.n[...] 1994-07-30
[13] 뉴스 프로축구聯,30일 출범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1994-07-30
[14] 뉴스 한국축구'도약 슛'날린다 http://newslibrary.n[...] 1994-07-30
[15] 뉴스 프로축구연맹, 사단법인화 완료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0-01-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