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폰 레발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폰 레발트는 프로이센 군인이자 야전원수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대북방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및 7년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1699년 군 복무를 시작하여 블레넘 전투, 그로스예게르스도르프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1751년 야전원수로 진급했다. 7년 전쟁 중에는 동프로이센 방어를 지휘하고, 건강 악화로 베를린 총독으로 전출되었으며, 1768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크리스티안 골트바흐
    크리스티안 골트바흐는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출신의 수학자로, 당대 수학자들과 교류하며 수학 연구에 기여했고, 특히 골드바흐 추측으로 유명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러시아 정부에서 공헌했다.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1세는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군사 지원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프로이센 왕국을 건국하고 초대 국왕이 되었으며, 예술과 학문을 후원하여 프로이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프로이센의 야전원수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프로이센의 야전원수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 1685년 출생 - 조지 버클리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아일랜드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인 조지 버클리는 극단적인 경험주의와 관념론을 주장하며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고 정신, 관념, 신만이 실재한다고 보았다.
  • 1685년 출생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뛰어난 대위법 기법과 독창적인 화성으로 서양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10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긴 거장이다.
한스 폰 레발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요한 폰 레발트
출생일1685년 6월 24일
출생지프로이센 라비아우
사망일1768년 11월 16일
사망지베를린
안장지유디텐 교회
군사 경력
소속육군
복무 기간1700년–1765년
최종 계급원수
주요 참전
전투/전쟁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블레넘 전투
대북방 전쟁
제1차 실레시아 전쟁
제2차 실레시아 전쟁
7년 전쟁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슈트랄준트 봉쇄
훈장
훈장푸르 르 메리트 (1742년)
흑수리 훈장 (1744년)
기념물프리드리히 대왕 기마상 (1851년)

2. 생애

한스 폰 레발트는 프로이센 공국의 라비아우 근교 레기텐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마리 에스더는 프로이센의 유서 깊은 프라이헤어 폰 데르 트랑크 가문 출신이었다.[6]

레발트는 1699년에 척탄병 대대(Nr.18)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대북방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여했다.

2. 1. 초기 군 경력

레발트는 프로이센 공국의 라비아우 근교 레기텐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마리 에스더는 프로이센의 유서 깊은 프라이헤어 폰 데르 트랑크 가문 출신이었다.[6]

1699년, 레발트는 척탄병 대대(Nr.18)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다. 1702년부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했으며, 9월 벤로 포위전에서 첫 실전을 경험했다. 1704년 봄, 그의 대대는 블레넘 전투에 참전했고, 9월 16일에 장교중사로 진급했다. 9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하게나우 포위전에 참여했다.[1]

이후 대북방 전쟁 중 1715년 스웨덴에 대항하여 포메라니아 원정에 참여했다.[1]

3. 주요 군사 활동

한스 폰 레발트는 1699년 "바이세 그레나디어-가르데" (Nr. 18) 대대에 입대하며 군 복무를 시작했다. 1702년부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했으며, 9월 벤로 포위전에서 첫 실전을 경험했다. 1704년 봄, 그의 대대는 블레넘 전투에 참전했고, 레발트는 9월 16일에 ''판넨리히''로 진급했다. 9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하게나우 포위전에 참여했다.[1]

이후 대북방 전쟁 중 1715년 스웨덴에 맞선 포메라니아 원정에 참여했다.[1]

1751년 1월 22일, 레발트는 원수로 승진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그에게 청색 띠에 다이아몬드로 장식된 자신의 초상화 메달을 수여하기도 했다. 빌헬름 디트리히 폰 부덴브로크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도소우만이 이 메달을 받은 다른 인물이었다.[7]

건강이 악화되자 레발트는 베를린으로 전근을 갔고, 1759년에 베를린 총독이 되었다. 1760년 10월, 레발트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자이들리츠는 병약한 탓에 15,000명의 오스트리아군과 23,600명의 러시아군 연합군의 베를린 약탈을 막지 못했다.[10] 레발트는 1768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으며, 유디텐 교회에 매장되었다.[6]

3. 1.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1748)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와 전쟁을 시작했을 때, 레발트는 브란덴부르크에 있는 레오폴트 폰 안할트 군대에 주둔하고 있었다. 1742년 레오폴트 폰 안할트와 프리드리히 2세와 함께 실레지아로 행진했다. 그곳에서 그는 5월 17일 코투지츠 전투에 참가했다. 이 전투에서 프로이센의 성공은 브레슬라우 조약으로 이어졌다.[6]

제2차 실레지아 전쟁에서 그는 상부 실레지아에서 마르비츠 장군과 함께 있었고, 1745년 2월 14일에 할베르슈베르트에서 오스트리아에 대항하여 특수부대를 지휘했다. 그곳에서의 그의 작전은 프리드리히의 신임을 얻기에 충분했다.[6] 프리드리히는 제1차 실레지아 전쟁이 끝난 후 1742년에 레발트에게 푸르 르 메리트를 수여했다. 그리고 1744년 2월 4일에는 흑수리 훈장을 수여했다.[6]

3. 2. 7년 전쟁 (1756-1763)

1756년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자 프리드리히 대왕은 동프로이센의 군대를 지휘하던 레발트에게 100명의 장교 임명권을 주어 그곳의 군대를 강화하고자 했다. 러시아 육군 원수 스테판 표도로비치 아프락신은 약 55,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1756년 동프로이센에 진입하여 메멜을 점령하고, 이곳을 프로이센의 다른 지역을 침공하기 위한 기지로 삼았다. 아프락신은 대군으로 프로이센군을 포위하려 했지만, 레발트는 이를 피했다. 대신 레발트의 25,000명의 병력은 그로스예게르스도르프에서 바실리 루푸킨이 지휘하는 러시아 군단을 요격했다. 루푸킨은 전사했고, 아프락신의 나머지 군대가 러시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왔다. 레발트는 4,600명의 사상자를 냈고, 아프락신은 7,000명의 사상자를 냈다.[3] 아프락신은 쾨니히스베르크로 진군했지만, 보급품이 부족한 그의 병력은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4] 레발트가 전투에서 그의 군단을 철수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은 승리를 이어가지 못했다. 아프락신은 러시아의 엘리자베스 여제가 죽었다는 거짓 보고를 듣고 이 지역에서 철수했다. 이후 레발트는 슈트랄준트 봉쇄를 감독하며 스웨덴군을 발트해에 묶어두었다.[1]

4. 말년

1759년 건강이 악화된 레발트는 베를린으로 전출되어 도시의 총독이 되었다. 레발트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자이들리츠는 당시 모두 병약한 상태였으며, 1760년 10월 15,000명의 오스트리아군과 23,600명의 러시아군에 의한 비교적 무방비 상태였던 베를린과 포츠담의 점령과 약탈에 저항할 수 없었다.[5] 레발트는 1768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하여 유디텐 교회에 묻혔다.[1]

참조

[1] 서적 Lehwaldt, Hans von https://de.wikisourc[...]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herausgegeben von der Historischen Kommission bei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883
[2] 서적 MacDonogh
[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4] 서적 MacDonogh
[5] 서적 MacDonogh
[6] 서적 Lehwaldt, Hans von https://de.wikisourc[...]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herausgegeben von der Historischen Kommission bei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883
[7] 서적 MacDonogh
[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9] 서적 MacDonogh
[10] 서적 MacDonog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