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역대장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역대장경은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 경전인 대장경의 여러 판본을 통칭한다. 송나라, 거란, 고려,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등 시대와 국가별로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각 판본은 제작 시기와 특징에 따라 구분된다. 주요 판본으로는 최초의 목판 대장경인 촉판대장경, 고려 시대에 제작된 팔만대장경, 명나라의 홍무남장과 영락남장, 청나라의 건륭대장경 등이 있다. 또한 일본에서 제작된 천해장, 황벽장, 다이쇼 신수 대장경 등도 한역대장경에 포함되며, 1964년부터 2000년까지 번역된 동국역경원의 한글대장경도 존재한다.

2. 판본

2. 1. 송나라 대장경

2. 1. 1. 촉판대장경

최초의 목판 대장경으로 972년(개보 4년)에서 983년(태평흥국 8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북송관판(北宋官版), 개보칙판(開寶勅板), 개보장(開寶藏), 촉본(蜀本)이라고도 불린다.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을 사용했다.

2. 1. 2. 숭녕장

1080년에서 1103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2. 1. 3. 비로장

1112~1151년에 제작되었다.

2. 1. 4. 원각장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1. 5. 사계장

자복장. 송본(宋本).

2. 2. 거란대장경

1031년부터 1054년까지 제작되었다. 요나라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요본(遼本)이라고도 불린다.

2. 3. 조성금장

1149~1173년에 제작되었다.

2. 4. 고려대장경

1011~1087년에 제작되었다.

=== 속대장경 ===

1096년(숙종 1년) 완성. 《신편제종교장총록》 사용.

=== 팔만대장경 ===

팔만대장경으로 1236년(고종 23년)부터 1251년(고종 38년)에 걸쳐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완전하게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대장경이다.

2. 4. 1. 초조대장경

1011~1087년에 제작되었다.

2. 4. 2. 속대장경

1096년(숙종 1년) 완성. 《신편제종교장총록》 사용.

2. 4. 3.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으로 1236년(고종 23년)부터 1251년(고종 38년)에 걸쳐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완전하게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대장경이다.

2. 5. 원나라 대장경

2. 5. 1. 적사장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5. 2. 보령장

1277~1290년에 제작되었다.

2. 5. 3. 홍법장

1277년에서 1294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2. 6. 명나라 대장경

2. 6. 1. 홍무남장

홍무 5~31년(1372~1398년)에 제작되었다. 1399~1402년 제작으로 보아 건문남장이라고 하기도 한다.

2. 6. 2. 영락남장

1412~1417년(영락 10~15년) 제작.

2. 6. 3. 영락북장

영락 8년(1410년)에서 정통 5년(144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2. 6. 4. 가흥대장경

1589~1677년 제작. 경산장(徑山藏)이라고도 한다.

2. 7. 청나라 대장경

2. 7. 1. 건륭대장경

청나라 옹정 13년(1735년)부터 건륭 3년(1738년)까지 제작되었다. 용장(龍藏) 또는 청장(淸藏)이라고도 한다.

2. 8. 일본 에도시대

2. 8. 1. 천해장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8. 2. 황벽장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9. 일본 근대

2. 9. 1. 대일본교정대장경축쇄장본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9. 2. 대일본교정훈점대장경

속칭 만자장경(卍字藏經)이다.

2. 9. 3. 대일본속장경

속칭 '''만자속장'''(卍續藏經)이라고도 한다.

2. 9. 4. 대일본불교전서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9. 5. 다이쇼 신수 대장경

다이쇼 신수 대장경은 일본에서 제작된 대장경이다.

2. 10. 한글대장경

동국역경원에서 1964년부터 2000년까지 번역하고 2001년에 출간 완료한 고려대장경 한글 번역판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