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유주는 대한민국의 소설가, 번역가, 그리고 대학교 강사이다.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독일어독문학과,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2003년 단편소설 '달로'로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등단했고, 2009년 '얼음의 책'으로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다. 소설집 '달로', '얼음의 책', '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 '불가능한 동화' 등을 출간했으며, 줄리언 반스의 '용감한 친구들'을 번역했다. 작품은 실험적인 문체와 독특한 서사 방식으로 평가받으며, 21세기 한국 문학의 언어적 실험을 선도한다는 평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대전고등학교 동문 - 서경석 (희극인)
    서경석은 1993년 MBC 개그 콘테스트에서 데뷔하여 이윤석과 함께 인기를 얻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방송인으로, '오늘은 좋은 날'의 '울엄마' 코너,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육군 병장 만기 전역, 다수의 예능 및 드라마 출연, 그리고 사회적 책임 활동 등으로 알려져 있다.
  • 동대전고등학교 동문 - 정애연
    정애연은 2002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2003년 드라마를 통해 방송 데뷔 후, 여러 드라마와 영화,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며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배수아
    배수아는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재직하다 1993년 소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파격적인 문체와 독특한 세계관으로 한국문학계에서 주목받으며 한국일보문학상, 동서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등을 수상하고 국제적으로도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 홍익대학교 동문 - 최영미 (시인)
    최영미는 1992년 등단하여 《서른, 잔치는 끝났다》 등의 시집을 출간하고 이수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번역가로, '괴물'이라는 시로 대한민국 미투 운동의 시발점이 되어 서울시 성평등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시는 사회 풍자가 특징이다.
  • 홍익대학교 동문 - 윤형근
    윤형근은 격변의 시대를 거치며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한 한국의 추상화가이자 단색화 운동의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어두운 기둥 형태와 여백을 활용한 독특한 기법으로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은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유주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한유주는 1982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대전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홍익대학교에서 독일어독문학과를 전공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미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최대한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러시아 문학을 포함한 여러 학부 과정에 지원했다. 독일어독문학과를 선택했고,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창작 수업 중 최종 과제로 단편 소설 〈달로〉를 썼다.[1] 20대 중반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 기간 동안 약 5개월 동안 파리에 머물렀다.[2]

성기완, 황병승과 함께 밴드 '더 춉'의 멤버로 잠시 활동했다. 2016년 서울국제작가축제 인터뷰에서 밴드 활동은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거의 나지 않으며, 단 두 번의 공연에 참여했다고 밝혔다.[3][4]

2. 1. 작가 데뷔

2003년 단편소설 〈달로〉로 제3회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소설부문에 당선되어 등단했다.[1] 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개설한 창작 수업의 최종 과제로 제출했던 소설을 친구의 권유로 문예 공모전에 보내 등단하며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1]

2. 2. 작가 활동

2003년 단편소설 〈달로〉로 제3회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 소설부문에 당선되어 등단했다.[1]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 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2003년 제3회 문학과 사회 신인문학상을, 2009년 제42회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사창작과,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등에서 강의했다. 텍스트 실험집단 루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도서출판 울리포프레스를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최대한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러시아 문학을 포함한 여러 학부 과정에 지원했다. 결국 독일어독문학 프로그램을 선택했고, 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창작 수업을 듣던 중 최종 과제로 단편 소설 "''달로''"를 썼다. 문학에 관심이 있는 친구의 권유로 이 소설을 문예지 ''문학과사회'' 공모전에 제출하여 당선되면서 공식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1] 20대 중반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 기간 동안 약 5개월 동안 파리에 머물렀다.[2]

현재는 글을 쓰고 번역을 하며,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실험적인 작가 모임인 '루'의 멤버이며, 출판사 '울리포프레스'의 설립자이다. 시인 성기완황병승과 함께 밴드 '더 춉'의 멤버로 잠시 활동했다. 2016년 서울국제작가축제 인터뷰에서 밴드 활동은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거의 나지 않으며, 단 두 번의 공연에 참여했을 뿐이라고 밝혔다.[3][4]

한국문학번역원(LTI Korea)의 지원을 받아 2008년에는 뉴욕, 2012년에는 프로방스에서 한국 작가를 위한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2013년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제공하는 아르띠앙스 레지던시에 참여했다.

2. 3. 해외 레지던시

한유주는 한국문학번역원(LTI Korea)의 지원을 받아 2008년에 뉴욕, 2012년에 프로방스에서 한국 작가를 위한 해외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1] 2013년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제공하는 아르띠앙스 레지던시에 참여했다.

3. 작품 세계

한유주는 소설의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적 스타일을 추구하는 작가이다. 그녀의 작품은 잘 짜여진 이야기나 인물을 통해 기억에 남을 만한 장면을 만들기보다는, 실험적인 문체를 통해 독자들에게 다가간다. 문학 평론가 황호덕은 이러한 한유주의 스타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5]

하지만 이러한 실험적인 스타일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언어가 불필요하고, 실험은 다른 작품에서 본 듯하며, 작품이 소설보다는 수필에 가깝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한유주는 21세기 한국 문학에서 언어적 실험의 최전선에 서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3. 1. 비평

한유주는 뛰어난 서사나 인물 묘사로 비평적, 대중적 찬사를 받는 일부 작가들과 달리, 의도적으로 소설의 표준적인 관행에서 벗어나 독특한 문학적 목소리를 창조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녀의 작품은 세심하게 구성된 서사를 만들기를 거부하고, 인물이나 사건을 통해 기억에 남는 장면을 연출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독자와 평론가들에게 호소력을 가진다.[5]

문학 평론가 황호덕은 한유주의 실험적인 스타일에 대한 호의적인 평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5]

> 하지만 글을 쓰고 싶어하지 않는 작가가 있을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아마 작가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쓰지 않는 것'에 대해 쓰고 싶어하는 작가는 어떨까?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지금 그런 작가가 적지 않게 있다. 그들은 아무런 행동도 없이 행동에 대해 쓰면서, 심지어 그 글 자체를 지우려고 시도한다. 그들은 자신의 존재(그리고 글쓰기)를 부정한다고 농담을 하며, 아무것도 되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들은 서사, 메시지, 심지어 의미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다. '언어의 무용함을 처음으로 깨달은' 그들이 오늘날 한국 문학에 '파괴적인 광채'를 선사하고 있다.

한유주의 작품은 부정적인 평가도 받았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언어가 불필요하고, 실험은 파생적이며, 작품은 소설보다는 에세이의 잡록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한유주는 21세기 한국 문학이 겪고 있는 언어적 실험의 경계에 서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4. 작품 목록

한유주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출판된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다.

제목영문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달로To the Moon문학과지성사2006
얼음의 책Book of Ice문학과지성사2009
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My Left Hand the King, and My Right the Kings Scribe''문학과지성사2011
불가능한 동화The Impossible Fairy Tale문학과지성사2013


4. 1. 소설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달로문학과지성사2006
얼음의 책문학과지성사2009
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문학과지성사2011
불가능한 동화문학과지성사2013


4. 2. 장편 소설

4. 3. 번역 소설

4. 4. 번역된 작품 (일부)


  • 《불가능한 동화》 (The Impossible Fairy Tale), 홍한별 번역, Graywolf, 2017. 2018년 PEN 번역상 최종 후보.[6]
  • 《불가능한 동화》 (The Impossible Fairy Tale), Tilted Axis, 2017.[6]
  • 〈번역은 불가능한 동화인가〉, 홍한별 번역.[6]
  • 〈같은 이름을 가진 일곱 사람과 그들의 개별적인 순간들〉, 정은혜 번역, 그란타.[6]
  • 〈스피딩 패스트〉, 홍한별 번역.[6]
  • 〈애가〉, 홍한별 번역, ''Words Without Borders''.[6]
  • 〈번역가로부터〉, 홍한별 번역.[6]
  • 〈흑백 사진 작가〉, 홍한별 번역, ''Asia Literary Review''.[6]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작품
2003년문학사상 신인문학상달로
2009년제42회 한국일보 문학상얼음의 책
2015년김현 문학패


참조

[1] 뉴스 플롯의 해독제, 한유주 소설가 –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웹진 http://webzine.munja[...] 2017-08-14
[2] 웹사이트 "[프런트 에세이]소설가 한유주의 파리, 파리, 파리… – 레이디경향 > 문화" http://lady.khan.co.[...] 2017-08-14
[3] 서적 한유주 "아르바이트 여학생이 등단하자 모두 놀라더라"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http://ch.yes24.com/[...]
[4] 웹사이트 참가작가 인터뷰 – 소설가 한유주 http://siwf.klti.or.[...]
[5] 논문 바틀비의 타자기: 한유주 혹은 어떤 '특성 없는 인간'에게 부치는 레터 2010-06-01
[6] 웹사이트 한유주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7-12-09
[7] 웹사이트 네이버 인물정보 http://peopl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