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군수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안군수 선거는 함안군수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다. 역대 선거에서 조성휘, 진석규, 조영규, 하성식, 차정섭, 조근제가 당선되었다. 선거 결과는 특정 정당의 강세보다는 후보 개인의 인지도와 지역 유권자들의 지지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역대 민선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1995년 첫 선거에서는 무소속 조성휘 후보가 당선되었고, 1998년 한나라당 소속으로 재선되었다. 1999년 재보궐선거와 2002년, 2006년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진석규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2007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 조영규 후보, 2010년에는 무소속 하성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2014년에는 새누리당 차정섭 후보, 2018년과 2022년에는 자유한국당과 국민의힘 소속 조근제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2. 역대 민선 함안군수
2. 1. 역대 군수 목록
선거 | 정당 | 군수 |
---|---|---|
1995년 | 무소속 | 조성휘 |
1998년 | 한나라당 | 조성휘 |
1999년 | 한나라당 | 진석규 |
2002년 | 한나라당 | 진석규 |
2006년 | 무소속 | 진석규 |
2007년 | 무소속 | 조영규 |
2010년 | 무소속 | 하성식 |
2014년 | 새누리당 | 차정섭 |
2018년 | 자유한국당 | 조근제 |
2022년 | 국민의힘 | 조근제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함안군수 선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당선인 정당 득표율(%) 비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성휘 무소속 55.99% 초선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성휘 한나라당 82.64% 재선 199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진석규 한나라당 - 조성휘 군수 사망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석규 한나라당 66.62% 재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석규 무소속 53.86% 3선, 한나라당 공천 탈락 후 무소속 출마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조영규 무소속 38.77% 한나라당 탈당 후 무소속 출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하성식 무소속 49.71% 초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차정섭 새누리당 50.53% 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근제 자유한국당 51.10% 초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근제 국민의힘 67.42% 재선
각 선거별 자세한 득표 결과는 해당 선거의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조성휘 후보가 무소속 진석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조성휘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3. 199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조성휘 군수의 사망으로 199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한나라당 진석규 후보가 이 선거에서 당선되었다.3. 4.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진석규 후보가 66.62%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무소속 조현용 후보는 33.37%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진석규 | 한나라당 | 22,637 | 66.62 |
조현용 | 무소속 | 11,342 | 33.37 |
합계 | 33,979 | 100 |
3. 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진석규 후보가 53.8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했다. 진석규 후보는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되었는데, 이는 함안군 내에서 그의 개인적인 인지도가 높았음을 보여준다. 한나라당 조영규 후보는 46.13%를 득표하여 낙선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진석규 | 무소속 | 18,004 | 53.86% |
조영규 | 한나라당 | 15,420 | 46.13% |
합계 | 33,424 | 100% |
3. 6.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조영규 후보가 38.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영규 후보는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는데, 이는 당시 한나라당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영규 | 무소속 | 14,003 | 38.77% |
진종삼 | 무소속 | 12,176 | 33.71% |
조현룡 | 한나라당 | 9,938 | 27.51% |
합계 | 36,117 | 100% |
3. 7.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하성식 | 무소속 | 18,615 | 49.71% |
조영규 | 한나라당 | 15,959 | 42.61% |
안갑준 | 무소속 | 2,873 | 7.67% |
합계 | 37,447 | 10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하성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3. 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차정섭 후보가 18,457표(50.5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용철 후보는 14,628표(40.04%), 무소속 주점욱 후보는 3,440표(9.41%)를 얻었다. 이는 함안군에서 보수 정당의 지지세가 여전히 강함을 보여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차정섭 | 새누리당 | 18,457 | 50.53% |
김용철 | 무소속 | 14,628 | 40.04% |
주점욱 | 무소속 | 3,440 | 9.41% |
합계 | 36,525 |
3. 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조근제 후보가 51.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용철 후보는 42.11%, 무소속 배한극 후보는 6.77%를 득표했다. 이는 전국적인 정당 지지도와는 다른 지역 민심을 반영하는 결과였다.
3. 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수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조근제 후보가 67.42%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장종하 후보(32.57%)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