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응이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응이 황제는 1884년 응우옌 왕조의 제8대 황제로 즉위했으나, 같은 해 제2차 후에 조약으로 베트남이 프랑스에 의해 분할 통치되면서 중부 지역만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는 1885년 프랑스에 대항하는 봉기를 주도했으나 실패하고 라오스로 피신했다. 이후 게릴라전을 지휘하며 저항했으나 1888년 체포되어 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프랑스 여성과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1944년 사망했으며, 베트남에서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우옌 왕조의 장군 - 류융푸
    류융푸는 중국에서 태어나 흑기군을 조직하여 베트남에서 프랑스군과 싸웠고, 청일 전쟁 이후에는 타이완에서 일본에 저항했으며, 타이난 지명과 초등학교에 이름이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는 군인이다.
  • 응우옌 왕조의 장군 - 레반주옛
    레반주옛은 응우옌 왕조의 장군이자 만다린으로, 떠이선 왕조에 대항하고 북부 베트남 정벌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코친차이나 총독으로 캄보디아를 통치하며 남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함응이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함응이 황제
함응이 황제
응우옌푹민 (Nguyễn Phúc Minh)
휘 (원래 이름)응우옌푹응력 (Nguyễn Phúc Ưng Lịch)
묘호없음
시호없음
연호함의 (咸宜)
통치
정치 체제대남 황제
재위 기간1884년 8월 2일 – 1885년 9월 19일
전임자끼엔푹제
후임자동카인제
섭정똔텃 thuyết & 응우옌반뜨엉
생애
출생일1871년 8월 3일
출생지후에 황궁, 대남
사망일1944년 1월 14일
사망지알제, 프랑스령 알제리, 프랑스
매장지토나크, 도르도뉴, 프랑스
가계
아버지응우옌푹홍까이(테우찌제의 아들)
어머니첩 판티냔
배우자마르셀 랄로에
자녀공주 응우옌푹느마이
공주 응우옌푹느리
왕자 응우옌푹민득
왕조응우옌푹
기타 정보
종교유교, 불교

2. 생애

1884년, 응우옌 반 뜨엉과 톤 텃 튀엣에 의해 제8대 황제로 즉위했으나,[8] 같은 해 (파토노트르 조약)으로 베트남 전역이 프랑스의 직할령, 보호령 등으로 3분할 통치 되면서, 응우옌 왕조는 중부 지역만을 간신히 지배할 수 있었다.[8] 1885년 7월 4일, 응우옌 반 뜨엉과 톤 텃 튀엣의 지도 아래 프랑스에 대항하는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났다.[3] 프랑스군은 궁궐을 습격했고, 톤 텃 튀엣은 함응이 황제와 세 명의 황후를 숨겼다. 함응이는 톤 텃 튀엣의 군대와 함께 라오스 주변의 언덕과 정글로 들어갔다.[3] 함응이 황제는 이듬해 7월 5일, 왕도 후에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군을 톤 텃 튀엣과 함께 갑자기 공격하여 후에를 탈출, 안남 산맥의 깊숙한 곳으로 잠복하여 지방의 재지 지식인). 한자 표기는 문신(文紳). 전근대 베트남에서의 촌락 내 지식인층으로, 중앙 정부와 지위적·인적으로 연결되어 실질적인 행정의 권능을 쥐고 있었으나, 제2차 후에 조약에서 프랑스가 베트남의 주권을 빼앗은 것으로 촌내 권력의 기반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했다.[9]}}에게 항불 근황 대봉기의 격문을 발하고, 프랑스에 대한 철저 항전을 호소했다.[8]

그들이 프랑스 점령군에 맞서 게릴라전을 벌이는 동안, 프랑스는 함응이를 그의 형제인 동카인으로 교체했고, 그는 천자로 즉위했다.[3][8] 함응이 황제는 농촌을 전전하며 게릴라 군의 지도에 힘쓰며 저항을 계속했지만,[8] 1888년 10월, 일련의 실패 이후, 함응이는 톤 텃 텹과 몇몇 시종들과 함께 나이 강가의 샘 근처의 외딴 집에 숨어 있었다.[3] 거기서 그는 그의 므엉 경비대장인 쯔엉 꽝 응옥에게 배신당했고, 11월 1일에 체포되었으며, 텹은 살해되었다. 그는 11월 2일에 프랑스 장교들에게 넘겨졌다.[4] 같은 해 11월에 북아프리카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될 것이 결정되어,[8] 1889년 1월에 알제에 도착했다. 알제에서는 현지 총독으로부터 교외에 저택이 주어지고, 연간 25000프랑의 생활비가 지급되었다. 1904년에는 현지에서 프랑스 여성과 결혼하여 3명의 아이를 낳았다. 1944년에 위암으로 알제 근교의 저택에서 사망했다.

2. 1. 즉위 이전

2. 2. 즉위와 근왕 운동

1884년, 응우옌 반 투옹(Nguyễn Văn Tường)과 톤 텃 투엣(Tôn Thất Thuyết)은 응우옌 왕조 제4대 뜨득(뜨득) 황제의 조카[8]인 함응이 황제(응우옌 푸옥 응이엠)를 제8대 황제로 옹립했다.[8] 그러나 이 해는 (파토노트르 조약)으로 베트남 전역이 프랑스에 의해 3분할되어, 응우옌 왕조는 중부 보호국만을 간신히 지배할 수 있게 된 상황이었다.[8]

1885년 7월 4일, 톤 텃 튀엣과 응우옌 반 뜨엉의 주도로 프랑스에 대항하는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났다.[3] 프랑스군이 궁궐을 습격하자, 톤 텃 튀엣은 함응이 황제와 세 명의 황후를 라오스 주변의 언덕과 정글로 피신시켰다.[3] 함응이 황제는 톤 텃 튀엣의 군대와 함께 프랑스 점령군에 맞서 게릴라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프랑스는 함응이 황제의 형인 동카잉을 천자로 즉위시켰다.[3]

함응이 황제는 이듬해 7월 5일 왕도 후에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을 기습 공격하고 후에를 탈출, 안남 산맥 깊숙이 잠복했다. 그는 지방의 재지 지식인(반 탄(Văn Thân))[9])에게 항불 근황 대봉기 격문을 발하고 철저 항전을 호소했다.[8] 프랑스는 즉시 형 동카인(동카인) 황제를 세우고[8], 함응이 황제에게 귀순을 호소했으나, 함응이 황제는 이에 따르지 않고 농촌을 전전하며 게릴라 군을 지휘하며 저항을 계속했다.[8]

1888년 10월, 일련의 실패 이후 함응이는 톤 텃 튀엣의 둘째 아들인 톤 텃 텹과 몇몇 시종들과 함께 나이 강가의 샘 근처 외딴 집에 숨어 있었다.[3] 그러나 11월 1일, 그는 그의 므엉 경비대장인 쯔엉 꽝 응옥에게 배신당해 체포되었고, 텹은 살해되었다. 함응이는 11월 2일 프랑스 장교들에게 넘겨졌다.[4] 결국 같은 해 11월, 함응이 황제는 꽝찌 산중에서 부하의 밀고로 프랑스군에 체포되었다.[8]

2. 3. 체포와 유배

1885년 7월 4일, 두 섭정 응우옌 반 뜨엉과 톤 텃 튀엣의 지도 아래 프랑스에 대항하는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났다.[8] 프랑스군은 궁궐을 습격했고, 톤 텃 튀엣은 함응이 황제와 세 명의 황후를 숨겼다. 함응이는 톤 텃 튀엣의 군대와 함께 라오스 주변의 언덕과 정글로 들어갔다. 그들이 프랑스 점령군에 맞서 게릴라전을 벌이는 동안, 프랑스는 함응이를 그의 형제인 동카잉으로 교체했고, 그는 천자로 즉위했다. 함응이 황제는 이듬해 7월 5일에 왕도 후에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군을 톤 텃 튀엣과 함께 갑자기 공격하여 후에를 탈출, 안남 산맥의 깊숙한 곳으로 잠복하여 지방의 재지 지식인). 한자 표기는 문신(文紳). 전근대 베트남에서의 촌락 내 지식인층으로, 중앙 정부와 지위적·인적으로 연결되어 실질적인 행정의 권능을 쥐고 있었으나, 제2차 후에 조약에서 프랑스가 베트남의 주권을 빼앗은 것으로 촌내 권력의 기반이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했다.[9]}}에게 항불 근황 대봉기의 격문을 발하고, 프랑스에 대한 철저 항전을 호소했다.[8] 프랑스는 즉시 형 동카인 황제를 세우고[8], 함응이 황제에게 귀순을 호소했다. 함응이 황제는 이에 따르지 않고 농촌을 전전하며 게릴라 군의 지도에 힘쓰며 저항을 계속했다.[8]

1888년 10월, 일련의 실패 이후, 함응이는 톤 텃 튀엣의 둘째 아들인 톤 텃 텹과 몇몇 시종들과 함께 나이 강가의 샘 근처의 외딴 집에 숨어 있었다.[3] 거기서 그는 그의 므엉 경비대장인 쯔엉 꽝 응옥에게 배신당했고, 11월 1일에 체포되었으며, 텹은 살해되었다. 그는 11월 2일에 프랑스 장교들에게 넘겨졌다.[4] 1888년 11월에 꽝찌 산중에서 부하의 밀고로 프랑스군에 체포되었다.[8]

그 후 같은 해 11월에 북아프리카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될 것이 결정되어, 1889년 1월에 알제에 도착했다. 알제에서는 현지 총독으로부터 교외에 저택이 주어지고, 연간 25000프랑의 생활비가 지급되었다. 1904년에는 현지에서 프랑스 여성과 결혼하여 3명의 아이를 낳았다. 1944년에 위암으로 알제 근교의 저택에서 사망했다. 1888년 12월 12일, 그는 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1904년 11월 4일 마르셀 라로에라는 프랑스령 알제리 여성과 결혼했다. 그들은 세 자녀, 민득 공자, 여미 공주, 여리 공주를 두었다.

함응이 황제의 프랑스령 알제리에서의 결혼식


2. 4. 사망

함응이는 1944년 1월 14일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알제에 묻혔다.[8] 망명 기간 동안 그는 프랑스 남서부의 도르도뉴주, 토나크에 있는 로스 성을 구입했다. 1965년, 샤를 드 골은 그의 딸인 라 베스 백작부인에게 그의 유해를 토나크로 이장할 것을 제안했고, 그는 현재 그곳의 소박한 묘에 안치되어 있다. 2002년, 베트남은 프랑스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공주 르 리(라 베스는 2005년 97세의 나이로 사망)에게 아버지의 유해를 옛 황실 수도인 후에로 이장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으나, 그의 가족은 현재까지 이를 거부했다.

함응이 황제는 1888년 11월 꽝찌 성 산중에서 부하의 밀고로 프랑스군에 체포된 후[8] 같은 해 11월에 북아프리카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되었으며, 1889년 1월에 알제에 도착했다. 알제에서는 현지 총독으로부터 교외에 저택이 주어지고, 연간 25000프랑의 생활비가 지급되었다. 1904년에는 현지에서 프랑스 여성과 결혼하여 3명의 아이를 낳았다. 1944년에 위암으로 알제 근교의 저택에서 사망했다.[8]

3. 유산과 평가

베트남의 일부 도시에는 함응이 황제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6]

3. 1. 베트남 독립운동에 끼친 영향

베트남의 일부 도시에는 함응이 황제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6]

3. 2. 한국 독립운동과의 비교

4. 가족 관계

함응이 황제는 1888년 12월 12일 프랑스령 알제리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1904년 11월 4일 마르셀 라로에(Marcelle Laloë)라는 프랑스령 알제리 여성과 결혼했다. 그들은 민득 공자, 여미 공주, 여리 공주를 두었다.

5. 기타

5. 1. 칭호

6. 같이 보기

참조

[1] 인용구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Vietnam 2006
[3] 서적 Vietnam 1999
[4] 간행물
[5] 웹사이트 Un empereur aimé: Hàm Nghi http://chimviet.free[...] 2007
[6]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2002-03
[7] 문서
[8]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https://kotobank.jp/[...] 平凡社 2000
[9]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https://kotobank.jp/[...] 平凡社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