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피 하드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피 하드코어는 1990년대 초 영국에서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의 하위 장르로 탄생한 전자 음악의 한 종류이다. 피아노 선율과 밝은 분위기의 보컬이 특징이며, 다크코어, 정글과 함께 하위 장르로 분화되었다. 1990년대 중반 영국에서 정글과 함께 인기를 얻었으며, Dream FM과 같은 해적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2000년대에는 BBC 라디오 1에서 특집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으며, 2010년대에는 디지털 레이블의 등장으로 신인 아티스트들이 활동하며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UK 하드코어는 해피 하드코어의 사운드 요소를 통합하여 진화한 형태로, 4/4 비트 드럼을 사용하는 4-beat와 같은 파생 장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드코어 테크노 - 스피드코어
    스피드코어는 하드코어 테크노에서 파생된 음악 장르로, 매우 빠른 템포, 공격적인 전자 타악기, 과도하게 오버드라이브된 킥 드럼을 특징으로 하며, 300 BPM 이상의 속도와 넷레이블을 통한 확산이 주요 특징이다.
  • 잉글랜드의 음악 장르 - 스페이스 록
    스페이스 록은 우주를 주제로 삼거나 몽환적이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는 록 음악의 하위 장르이며,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핑크 플로이드, 호크윈드 등 다양한 밴드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 잉글랜드의 음악 장르 - 펍 록
    펍 록은 1970년대 초 영국에서 시작된 음악 운동으로, 지저분하고 소박한 스타일과 라이브 공연을 중시했으며 펑크 록에 영향을 준 음악 장르이다.
  •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 브레이크비트
    브레이크비트는 1970년대 후반 힙합에서 시작되어 펑크와 재즈 펑크 드럼 브레이크 샘플링을 활용한 음악 장르 및 기법으로, 테이프 및 디지털 기술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전자 음악 장르와 하위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된다.
  •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 정글 (음악)
    정글은 1990년대 초 영국에서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에서 파생되어 레게, 힙합, 테크노 등을 결합한 음악 장르이며, 드럼 앤 베이스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해피 하드코어
음악 스타일
기원1990년대 초, 영국
파생 장르UK 하드코어
드릴 앤 베이스
글리치코어
스피드코어
융합 장르레이브 음악
하위 스타일4비트 하드코어
일반적인 특징
문화적 기원1990년대 초 영국의 레이브 장면
일반적인 악기신시사이저
샘플러
드럼 머신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인기1990년대 중반에 정점
파생 형태UK 하드코어, 글리치코어
다른 스타일과의 연관성개버, 하우스 음악
추가 정보
다른 이름해피 코어
지역적 인기영국, 네덜란드

2. 탄생

1990년대 초, 영국에서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가 여러 하위 장르로 분화되면서 해피 하드코어가 탄생하였다.

2. 1. 하위 장르 분화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는 1992년 후반 영국에서 여러 하위 장르로 나뉜다. 대표적으로 다크코어, 정글, 해피 하드코어가 있다. 다크코어는 어두운 테마의 샘플이 특징이고, 정글은 레게의 드럼 패턴과 영향이 나타나며, 해피 하드코어는 피아노 악기나 밝은 분위기의 보컬이 특징이다.[3][4] Slipmatt, DJ Sy, DJ Seduction, Wishdokta, DJ Dougla, DJ Vibes와 같은 DJ들은 1993년과 1994년이 지나면서도 계속해서 곡을 만들었다. Slipmatt는 SMD 릴리즈를 통해서, Wishdokta는 Naughty Naughty로서, Seduction는 Impact 레이블을 통해서 곡을 발표했다.[3][4] 스코틀랜드에서는 해피 하드코어와 개버를 퓨전시킨 바운시 테크노가 탄생한다.

2. 2. 유럽의 영향

유럽에서 벨기에의 뉴 비트나 하드코어 테크노는 1990년대 초 영국의 레이브 씬뿐만 아니라 독일과 네덜란드에도 영향을 미쳤다. Praga Khan, Human Resource, Frank De Wulf 등이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아티스트들이다.[3][4] 독일의 프로듀서 Marc Trauner, 네덜란드의 Paul Elstak도 초기에 영향을 받았다.

3. 1990년대 성장

1995년, 영국에서 해피 하드코어는 정글과 함께 인기를 얻기 시작했으며, 종종 Sanctuary 뮤직 아레나에서 열린 Dreamscape, Helter Skelter와 같은 주요 레이브의 두 번째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런던에서는 해적 라디오 방송국 Dream FM이 해피 하드코어의 메카가 되었다. 사운드도 바뀌어 베이스 라인은 4/4 킥 드럼 패턴으로 굳어지면서 브레이크 비트가 점점 없어졌고 사운드는 더 소란스러워지고(신나게) 보컬 주도의 장르가 되었다. Hixxy, Breeze, Force & Styles, DJ Sharkey, DJ DNA 등 DJ 및 프로듀서들이 장르를 정의하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인 트랙으로는 Heart of Gold나 Above the Clouds가 있다.[5][6] 1990년대 중반에는 컴필레이션 시리즈 ''Bonkers''가 상업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신선한 하드코어 음악을 선보였다.

3. 1. 레이브 씬에서의 인기

영국에서 해피 하드코어는 1995년 정글과 함께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종종 Sanctuary 뮤직 아레나에서 열린 Dreamscape, Helter Skelter와 같은 주요 레이브의 두 번째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5][6] 런던에서는 해적 라디오 방송국 Dream FM이 해피 하드코어의 메카가 되었다.

3. 2. 사운드 변화

영국에서 해피 하드코어는 1995년 정글과 함께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종종 Sanctuary 뮤직 아레나에서 열린 Dreamscape, Helter Skelter와 같은 주요 레이브의 두 번째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런던에서는 해적 라디오 방송국 Dream FM이 해피 하드코어의 메카가 되었다. 사운드도 바뀌어 베이스 라인은 4/4 킥 드럼 패턴으로 굳어지면서 브레이크 비트가 점점 없어졌고 사운드는 더 소란스러워지고(신나게) 보컬 주도의 장르가 되었다. Hixxy, Breeze, Force & Styles, DJ Sharkey, DJ DNA 등 DJ 및 프로듀서들이 장르를 정의하기 시작했으며, 대표적인 트랙으로는 Heart of Gold나 Above the Clouds가 있다.[5][6] 1990년대 중반에는 컴필레이션 시리즈 ''Bonkers''가 상업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신선한 하드코어 음악을 선보였다.

3. 3. 상업적 성공

영국에서 해피 하드코어는 1995년 정글과 함께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종종 Sanctuary 뮤직 아레나에서 열린 Dreamscape, Helter Skelter와 같은 주요 레이브의 두 번째 아레나에서 개최되었다. 런던에서는 해적 라디오 방송국 Dream FM이 해피 하드코어의 메카가 되었다. 사운드도 바뀌고 베이스 라인은 4/4 킥 드럼 패턴으로 굳어지면서 브레이크 비트가 점점 없어져갔고 사운드는 더 소란스러워지고(신나게) 보컬 주도의 장르가 되었다. Hixxy, Breeze, Force & Styles, DJ Sharkey, DJ DNA를 통해 시작된 DJ 및 프로듀서가 포함되었으며 장르를 정의하기 시작한 트랙은 Heart of Gold나 Above the Clouds이다.[5][6] 1990년대 중반에는 컴필레이션 시리즈 ''Bonkers''가 상업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신선한 하드코어 음악을 선보였다.

4. 2000년대

2004년, 영국 BBC 라디오 1에서 ''John Peel Is Not Enough''라는 자체 특별 방송을 받았다.[7] ''Clubland X-Treme Hardcore''와 같은 컴필레이션과 젊은 층의 팬들과 함께 해피 하드코어 무대는 계속 확장되었다. 2009년, DJ Kutski는 BBC 라디오 1에서 하드댄스와 하드코어를 갖춘 쇼를 개최했다.

4. 1. 해외 팬층 확장

이 시기에 해피 하드코어는 호주, 캐나다, 일본, 미국 등지에서 많은 팬을 양산하게 되었다.[7]

5. 2010년대

2010년대 영국에서는 Freeform, Nu Energy Collective와 같은 레이블이 폐쇄되고 Kevin Energy나 Sharkey와 같은 DJ가 은퇴하면서 해피 하드코어가 잠시 쇠퇴했다.[1] 그러나 디지털 레이블이 등장하면서 신인 아티스트나 Fracus & Darwin을 포함한 신흥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올드 해피 하드코어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데 공헌했다.[1]

5. 1. 다른 장르와의 영향

현대의 해피 하드코어는 덥스텝, 일렉트로, 테크노, 올드스쿨 레이브나 하드스타일의 영향을 받으면서 현대 프로듀서나 EDM 팬들에게서 인기를 끌고 있다.[1] 영국에서는 Freeform, Nu Energy Collective와 같은 레이블이 폐쇄되고 Kevin Energy나 Sharkey와 같은 DJ가 은퇴하면서 잠시 쇠퇴했지만, 디지털 레이블이 등장하면서 신인 아티스트나 Fracus & Darwin을 포함한 신흥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올드 해피 하드코어에도 활력을 불어넣는 데 공헌했다.[1]

6. UK 하드코어

UK 하드코어는 해피 하드코어에서 발전한 형태로, 1990년대 해피 하드코어보다 브레이크 비트가 적고 베이스라인이 더 강렬하다. UK 하드코어는 해피 하드코어의 진화를 뜻하며, 영국 하드코어 전체를 포괄하는 용어는 아니다.

초기 하드코어 프로듀서들은 테크노가 하드해짐에 따라 정글 음악에 쓰일 복잡한 브레이크비트를 도입했다. 1990년대 영국 하드코어 씬은 여러 영국 스타일을 포함했으며, 테크노와 하드코어는 이 시기 북부와 남부에서 각각 지배적이었다.

6. 1. 특징

UK 하드코어는 해피 하드코어의 사운드 요소들을 통합하여 진화시킨 형태다. 1990년대의 해피 하드코어에 비해 브레이크 비트가 더 적게 나오고, 더 두껍고 거친 베이스라인으로 인해 더 하드한 스타일이 특징이다. '''UK 하드코어'''라는 용어는 해피 하드코어의 진화를 의미하며, 영국의 하드코어들을 포괄하는 용어가 아니다.

6. 2. 용어

'''UK 하드코어'''는 해피 하드코어의 진화된 형태를 의미하며, 영국의 모든 하드코어 음악을 포괄하는 용어는 아니다.[1]

6. 3. 발전 과정

초기 UK 하드코어 형태는 영화나 만화 같은 미디어 샘플을 사용한 테크노의 영향이 나타나고 강력한 신시사이저 브레이크 다운이 사용된 형태였다.

컴퓨터나 DAW 시스템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프로듀서가 사용할 수 있는 사운드가 다양해지고 전자 음악은 더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그동안 하드코어, 테크노, 드럼 앤 베이스는 서로 분화되기 시작하여 라가(Ragga)와 다크코어를 낳았다.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하드코어는 1990년대 후반 음악적 방향이 바뀌었다. 이후 그 장르의 기원과 음악적 유사성이 거의 없어졌고 일반적으로 보컬 기반에 때로는 인기 곡을 해피 하드코어로 커버하기도 한다. 이 장르는 영국의 젊은 층을 매료시켰다. 그러면서도 호주, 캐나다, 일본, 미국 등지에서도 세력을 넓혀나갔다.

7. 파생 장르

4-Beat는 정글 음악이나 예전의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와는 달리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브레이크 비트에 4/4 정박자 베이스 드럼을 깔아주는 음악들을 가리킨다.[1] 4-beat라는 말이 브레이크 비트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1] Impact, Techstep Records, United Dance Recordings를 포함한 여러 음반사에서는 "인정된 형태의 4-beat" 슬로건과 함께 앨범 아트워크에 4-beat 로고를 표시했다.[1] 이 로고는 레코드 샵에서 해피 하드코어와 정글 음악을 쉽게 구별하기 위해 사용됐을 수도 있다.[1]

8. 해피 하드코어 컴필레이션


  • Bonkers
  • Dancemania Speed
  • Happy2bHardcore
  • Clubland X-Treme Hardcore

참조

[1]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Picador
[2]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Picador
[3]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Picador
[4] 뉴스 Gone To A Rave: High On A Happy Vibe – The Rise And Fall Of Hardcore https://www.theranso[...] 2015-01-29
[5] 웹인용 White gloves on, whistles out: Photos capturing the thrill of hardcore rave https://www.redbull.[...] 2020-02-21
[6] 웹인용 The 20 best happy hardcore records of all time https://www.factmag.[...] 2014-09-04
[7] 서적 John Peel - A Tribute To The Legendary DJ and Broadcaster Orio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