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스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덥스텝은 1990년대 후반 런던 남부의 UK 개러지에서 파생된 전자 음악 장르이다. 투스텝 리듬에 덥 음악의 공간감을 더한 실험적인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오리스 제이, 엘-B, 스티브 거리 등이 덥스텝 사운드를 만들었다. 2000년대 초반 런던의 나이트클럽 Forward>>와 빅 애플 레코드 상점은 덥스텝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0년대 중반 DJ 존 필이 BBC 라디오 1에서 덥스텝을 소개하며 인지도를 높였고, Digital Mystikz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덥 음악의 요소를 장르에 도입했다. 2000년대 후반 스크릴렉스의 등장과 함께 덥스텝은 브로스텝 스타일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주류 음악 시장에서의 인기는 감소했다. 하지만 리듬, 컬러 베이스 등 다양한 하위 장르들이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발전하고 있다. 덥스텝은 넓은 공간감과 90Hz 이하의 서브 베이스, 와블 베이스, 싱코페이션 리듬, 132~142 BPM의 템포가 특징이며, 주요 아티스트로는 스크릴렉스, 버리얼, 말라, 코드9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덥스텝 - 리딤 (EDM)
리딤은 덥스텝의 하위 장르로, 덥, 레게, 댄스홀 음악에 기원을 두고 반복적인 레이어와 셋잇단음표 타악기 배열, 140~150 BPM의 템포를 특징으로 하며, Jakes, Subfiltronik 등이 음악을 확립했고 Virtual Riot, Marshmello 등이 최근 활동하며 브리듬, 멜로딕/퓨처 리듬과 같은 파생 장르도 생겨났다. - UK 개러지 - 그라임
그라임은 2000년대 초 런던 해적 라디오에서 시작되어 UK 개러지에서 발전한 빠른 템포, 극저음 베이스, 빠른 랩이 특징인 음악 장르로, 미디어와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부흥과 쇠퇴를 거듭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UK 개러지 - 퓨처 베이스
퓨처 베이스는 베리얼의 음악 영향을 받아 2000년대 후반에 등장한 전자 음악 장르로, 자동화, 저주파 발진 등의 사운드 디자인을 활용하며 카와이 퓨처 베이스와 같은 하위 장르로 확장되었다. - 런던의 음악 - 애비 로드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는 1931년 런던에 설립된 녹음 스튜디오로, 비틀즈, 핑크 플로이드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앨범 제작에 기여했으며, 1969년 비틀즈 앨범 커버 촬영지로 유명해졌고, 현재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 런던의 음악 - 런던 교향악단
1904년 퀸즈홀 관현악단 단원들이 설립한 런던 교향악단은 영국 최초의 독립채산 자주 운영 오케스트라로서, 저명한 지휘자들과 협력하며 활발한 연주, 음반 제작, 교육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영화 음악 녹음에도 참여하여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이다.
덥스텝 | |
---|---|
장르 개요 | |
이름 | 덥스텝 |
스타일 기원 | 투스텝 UK 개러지 덥 브레이크비트 그라임 레게 정글 드럼 앤 베이스 |
문화적 기원 | 2000년대 초, 남런던, 영국 |
파생 장르 | 브로스텝 퓨처 개러지 포스트 덥스텝 리딤 트랩 (EDM) |
기술적 특징 | |
악기 | 시퀀서 턴테이블 샘플러 드럼 머신 신시사이저 키보드 PC 보컬 |
역사 및 발전 | |
기원 |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 |
주요 장면 | 런던 |
스타일 | |
다른 이름 | 덥 |
파생 장르 및 융합 장르 | |
파생 장르 | 트랩 퓨처 베이스 |
하위 장르 | UK 덥스텝 칩스텝 브로스텝 칠스텝 리퀴드 덥스텝 오케스트럴 덥스텝 레게 덥스텝 트랩스텝 데스스텝 |
2. 역사
덥스텝은 1990년대 후반 런던 남부에서 시작된 전자 댄스 음악 장르이다. 저음역 주파수와 브레이크비트가 특징이며, UK 개러지에서 파생되어 투스텝과 더빙 레게, 정글, 브레이크 비트 스타일을 계승했다. 1980년대 초 자메이카 사운드 시스템 파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998년, 투스텝 개러지 싱글 릴리스의 B면에 수록된 어둡고 실험적인 리믹스들이 덥스텝의 시초였다. 초기 트랙은 투스텝 개러지에서 보컬을 줄이고 브레이크 비트와 드럼 앤 베이스의 요소를 통합한 형태였다. 2001년 런던의 나이트 클럽 "Forward>>" (FWD)에서 이러한 사운드와 기타 개러지 음악이 전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
초기 덥스텝은 우블베이스가 주가 아닌, 투스텝 리듬에 덥 음악의 공간감을 더한 실험적인 장르였다. 스크릴렉스(Skrillex)는 우블베이스와 일렉트로 사운드, 글리치와 디스토션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덥스텝의 정체성을 변화시켰다.
1998년 처음 등장할 때는 투스텝 개러지의 비트가 뚜렷했지만, 2005년 이후 현재와 같이 절제된 비트가 완성되었다. 2000년대 후반 갑자기 인기를 얻었지만, 우블베이스가 주류가 되는 US 덥스텝이 등장하면서 2010년대 초반에는 다시 일부 애호가들만의 장르로 돌아갔다. 이후 리딤 덥스텝에서 이 스타일이 부활했다.
2000년대 중반부터 덥스텝은 세분화되고 확산되었다. 덥스텝 전문 웹사이트와 블로그가 유행을 뒷받침했고, 음악 잡지에서도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2006년 1월 BBC 라디오 1의 DJ 메리 앤 홉스가 덥스텝 전문 프로그램 "Dubstep Warz"를 시작하면서 더 큰 주목을 받았다.
2010년대에는 스크릴렉스 등 브로스텝의 폭발적인 인기로 일렉트로 하우스를 대체하고, 파생 장르인 트랩과 함께 EDM 페스티벌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주류화를 반대하는 언더그라운드 세력에 의해 Leftfield Bass와 Trapstep 등의 하위 장르도 생겨났다.
2. 1.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탄생과 초기 발전
1990년대 후반, 런던 남부의 클럽 씬에서 UK 개러지의 파생 장르로 덥스텝이 탄생했다. 1998년, 투스텝 개러지 싱글 릴리스의 B면에 수록된 어둡고 실험적인 리믹스들이 덥스텝의 시초로 여겨진다.[17] 2001년, 런던의 나이트클럽 "Forward>>" (FWD)에서 덥스텝 및 기타 개러지 음악이 전시 및 홍보되기 시작했다.[34] 초기 덥스텝은 투스텝 리듬에 덥 음악의 공간감을 더한 실험적인 형태였으며, 우블베이스는 부차적인 요소였다.
오리스 제이(Oris Jay),[17] 엘-B(El-B),[12] 스티브 거리(Steve Gurley)[12] 및 제드 바이어스(Zed Bias)[30][31]와 같은 프로듀서들의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작품에서 덥스텝의 초기 사운드를 찾아볼 수 있다. 템파 레코딩스(Tempa Recordings)의 닐 졸리페(Neil Jolliffe)는 2002년에 "덥스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2] 2002년 ''XLR8R'' 표지 기사에 이 용어가 사용되면서(표지에 호스파워 프로덕션스(Horsepower Productions)가 등장) 장르의 이름으로 굳어졌다.[30][33]
Forward>>는 런던 소호의 벨벳 룸에서 처음 열렸고, 이후 런던 동부 쇼어디치의 플라스틱 피플로 옮겨졌다.[15] 2001년에 설립된 Forward>>는 덥스텝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덥스텝 사운드를 위한 최초의 장소이자 프로듀서들이 새로운 음악을 처음 선보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34] 이 시기 Forward>>는 여러 다른 종류의 다크 개러지 하이브리드를 배양했는데, 클럽 초창기에는 이러한 종류의 음악이 모이는 것을 "Forward>> 사운드"라고 불렀다.[35] Forward>>는 린스 FM(Rinse FM)에서 코드9(Kode9)이 진행하는 라디오 쇼도 운영했다.[37] 초기 라인업에는 해처(Hatcha), 영스타(Youngsta), 코드 9, 제드 바이어스, 오리스 제이,[17] 등이 있었고, 정기적인 게스트도 출연했다.
크로이든에 있는 빅 애플 레코드(Big Apple Records) 레코드 상점도 덥스텝 초창기 발전에 중요한 요소였다.[8] 해처(Hatcha)와 이후 스크림(Skream)과 같은 주요 아티스트가 이 상점에서 일했고, 디지털 미스틱즈(Digital Mystikz)는 자주 방문했다. 엘-B(El-B), 제드 바이어스, 호스파워 프로덕션스 등도 이 상점을 자주 방문했다.[8]

2003년 DJ 해처(Hatcha)는 Rinse FM과 Forward>>에서의 세트를 통해 덥스텝의 새로운 방향을 개척했다.[8][31] 그는 새로운 사우스 런던 프로듀서들—처음에는 Benga와 Skream,[31] 그리고 이후 Digital Mystikz와 Loefah—의 작품만 사용하여 덥스텝의 어둡고, 짧고, 미니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38]
2003년 말, FWD 나이트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되면서, Plastician이 공동으로 홍보한 Filthy Dub라는 이벤트가 정기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 Skream, Benga 등이 DJ로 데뷔한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 사우스 런던의 콜렉티브 Digital Mystikz(Mala와 Coki)는 더브 가치, 그리고 정글 베이스의 중요성을 덥스텝 씬에 가져오며 명성을 얻었다.[30]

Digital Mystikz는 레게와 더브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멜로디를 포함한 확장된 음향 팔레트와 영향을 장르에 가져왔다.[39] 12인치 싱글을 Big Apple에서 발매한 후 DMZ Records를 설립했으며, 현재까지 14개의 12인치 음반을 발매했다. 그들은 또한 런던의 브릭스턴에서 격월로 열리는 DMZ 나이트를 시작했다.[40]
2. 2. 2000년대 중반: 발전과 확산
DJ Hatcha는 Rinse FM과 Forward>>에서 덥스텝의 새로운 방향을 개척했다.[8][31] 그는 10인치 원 오프 레게 스타일의 더브플레이트로 잘린 세트를 연주하면서, Benga와 Skream 등 새로운 사우스 런던 프로듀서들의 작품을 사용하여 덥스텝의 어둡고, 짧고, 미니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38]사우스 런던의 콜렉티브 Digital Mystikz(Mala와 Coki)는 사운드 시스템, 더브 가치, 정글 베이스의 중요성을 덥스텝 씬에 도입하며 명성을 얻었다.[30] Digital Mystikz는 레게와 더브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멜로디를 포함한 확장된 음향 팔레트와 영향을 장르에 가져왔다.[39] 12인치 싱글을 Big Apple에서 발매한 후 DMZ Records를 설립했으며, 현재까지 14개의 12인치 음반을 발매했다. 그들은 또한 런던 브릭스턴에서 격월로 열리는 DMZ 나이트를 시작했다.[40] DMZ는 Skream, Kode 9, Benga 등 새로운 덥스텝 아티스트들을 선보였다.
2004년, 리처드 제임스의 레이블인 Rephlex는 덥스텝 트랙을 포함하는 ''Grime''과 ''Grime 2'' 컴필레이션을 발매했다. 첫 번째 컴필레이션에는 Plasticman, Mark One, Slaughter Mob이 포함되었고,[44] 두 번째 컴필레이션에는 Kode9, Loefah, Digital Mystikz가 참여했다.[45] 이 컴필레이션들은 덥스텝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30]

2003년부터 덥스텝을 BBC 라디오 1의 프로그램에서 계속 소개한 DJ인 존 필은 덥스텝 초창기 지지자이다. 그의 프로그램의 2004년 연간 히트 차트에서는 Distance, Digital Mystikz, Plastician의 곡이 50위 안에 랭크되었다.[148]
2006년 1월 BBC 라디오 1의 DJ인 메리 앤 홉스가 덥스텝 전문 프로그램 「Dubstep Warz영어」를 시작한 것은 덥스텝에 대한 주목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151][152]
2. 3.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초반: 대중화와 분화
스크릴렉스의 등장과 함께 덥스텝은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었으며, 특히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UK 덥스텝은 언더그라운드 클럽 씬에서 발전한 투스텝 개러지 리듬을 기반으로 하는 반면, US 덥스텝 (브로스텝)은 우블베이스를 강조하고 일렉트로 하우스와 유사한 신디사이저 음색을 사용한다.[114]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브로스텝의 폭발적인 인기로 인해, 일렉트로 하우스를 대체하며 EDM 페스티벌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2008년, 브리스톨에서는 퍼플 사운드가 등장하여 웡키, 신스 펑크, G-펑크, 그라임, 8비트 음악 등을 덥스텝에 통합했다.2. 4. 201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하위 장르의 발전
2010년대 초반, 영국 아티스트들은 초기 영국 덥스텝 스타일을 재현하거나 유지하려는 시도를 했다. 2012년경 영국 프로듀서 제이크스(Jakes)가 리듬(Riddim)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자메이카 파토아 용어 ''리듬''에서 유래한 것으로, 덥, 레게, 댄스홀 음악의 연주곡을 의미한다.[122] 리듬은 원래 덥스텝과 비슷하게 반복적이고 미니멀한 서브 베이스와 트리플릿 타악기 배열을 특징으로 하며, "엉성한" 소리로 묘사된다.[122][123] 리듬은 브로스텝, 드럼스텝, 워블스텝과 같은 다른 하위 장르와 마찬가지로 덥스텝의 하위 장르로 여겨진다.[122] 2015년경부터 상당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124]이 스타일의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은 덥스텝의 "더 지저분하고 스웨거"한 면을 보여준다고 묘사하는 반면, 외부 사람들은 "반복적이고 혼란스럽다"고 평가한다.[122] 이 장르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로는 서브필트론닉(Subfiltronik), 부케즈 파인제스트(Bukez Finezt), P0gman, 배드클라트(Badklaat), 50 캐럿(50 Carrot), 덥로드즈(Dubloadz), 코피(Coffi) 등이 있다.[125] 대표적인 트랙으로는 봄머(Bommer)와 크로웰(Crowell)의 "야스오(Yasuo)", 인펙트(Infekt)의 "오갈로그(Orgalorg)", 피소(Phiso)의 "조타로(Jotaro)"가 있다.[122][126]
일부 평론가들은 리듬이 독립적인 장르가 아니라 덥스텝의 한 스타일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리듬 프로듀서 올라실(Oolacile)은 "오래 활동한 많은 사람들은 리듬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된 팬들은 리듬을 늪 같고 반복적인 사운드로 생각하고, 새로운 팬들은 리듬을 언더그라운드의 사운드와 연관시킬 것입니다."라고 말한다.[122]
2010년대에 Skrillex 등 브로스텝의 폭발적인 인기로 일렉트로 하우스를 대체하고, 파생 장르인 트랩과 함께 EDM 페스티벌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주류화를 반대하는 언더그라운드 세력에 의해 Leftfield Bass와 트랩, 덥스텝의 중간 사운드인 Trapstep 등의 하위 장르도 등장했다.
3. 지역별 덥스텝
덥스텝은 영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미국, 독일 등 다른 지역에서도 발전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분화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인디 일렉트로니카의 메이저 장르로 부상했지만, 우블베이스가 주류가 되는 미국식 덥스텝(US Dubstep)이 덥스텝 씬을 장악한 2010년대 초반에는 다시 일부 애호가들만의 장르로 돌아갔다. 이후 리딤 덥스텝에서 UK 덥스텝 스타일이 부활했다.
2005년 후반부터 2006년에 걸쳐 덥스텝은 세분화되고 확산되었다. dubstepforum영어, Barefiles영어, gutterbreakz영어와 같은 덥스텝 전문 웹사이트, 블로그가 유행을 뒷받침했다.[149] 또한, The Wire영어 등 음악 잡지와 피치포크 미디어 같은 온라인 잡지에서 ''The Month In: Grime/Dubstep''영어이라는 연재를 통해 덥스텝을 다루었다.[150]
2010년대에는 Skrillex 등 브로스텝의 인기에 힘입어 일렉트로 하우스를 대체하고, 파생 장르인 트랩과 함께 EDM 페스티벌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반면, 주류화를 지양하는 언더그라운드 세력에 의해 Leftfield Bass와 트랩, 덥스텝의 중간적인 사운드인 Trapstep 등의 하위 장르도 생겨났다.
한편, 베를린에서는 DJ Orson Sieverding과 Frederic Stader (DJ Maxximus)가 "FWD>>"를 초청하여 스크림, 코드9, 로파의 공연을 성공시켰다.[153][154] Orson은 런던의 그라임, 덥스텝 씬을 기록하며, 당시 독일 음악 잡지 De:Bug영어에 기고했다.[154][155]
3. 1. 영국 덥스텝 (UK Dubstep)
런던 언더그라운드 클럽씬에서 발달한 투스텝 개러지의 2-스텝 리듬을 기반으로, 자메이카의 덥 음악 요소를 융합한 실험적인 혼합 장르이다. 1998년 처음 등장했을 때는 투스텝 개러지의 비트가 뚜렷하게 들렸지만, 2005년 이후 현재의 덥스텝과 같이 절제된 비트가 완성되었다.[30][31][32][33]2000년대 후반, 덥스텝은 인디 일렉트로니카의 메이저 장르로 부상했지만, 우블베이스가 주류가 되는 US 덥스텝이 등장하면서 2010년대 초반에는 다시 애호가들만의 장르로 돌아갔다. 이후 리딤 덥스텝에서 UK 덥스텝 스타일이 부활했다.[34]
초기 덥스텝은 오리스 제이(Oris Jay),[17] 엘-B(El-B),[12] 스티브 거리(Steve Gurley),[12] 제드 바이어스(Zed Bias)[30][31] 등의 프로듀서들의 작품에서 시작되었다. 템파 레코딩스(Tempa Recordings)의 닐 졸리페(Neil Jolliffe)는 2002년에 "덥스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2]
2001년 런던의 Velvet Rooms영어라는 클럽에서 개최되었던 Forward (FWD>>)영어라는 클럽 이벤트(후에 장소를 쇼디치의 Plastic People로 옮겼다[146][147])에서, 2-스텝의 더브 믹스에 브레이크비츠와 드럼 앤 베이스의 요소를 더한 음악을 선곡하는 것이 유행하면서 덥스텝이 시작되었다. 그 음악은 2002년경에는 "덥스텝"이라는 장르로, 2-스텝이나 그라임과는 또 다른 음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003년 DJ 해처(Hatcha)는 린스 FM(Rinse FM)과 Forward>>에서의 세트를 통해 덥스텝의 새로운 방향을 개척했다.[8][31] 그는 더브플레이트로 잘린 세트를 연주하며, 벵가(Benga)와 Skream,[31] Digital Mystikz와 Loefah의 작품을 사용하여 덥스텝의 어둡고 미니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38]
디지털 미스틱즈(Digital Mystikz)는 사운드 시스템 사고방식, 더브 가치, 정글 베이스의 중요성을 덥스텝 씬에 가져왔다.[30] 그들은 레게와 더브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멜로디를 포함한 확장된 음향 팔레트와 영향을 장르에 가져왔다.[39]
덥스텝 초창기 지지자는 2003년부터 덥스텝을 BBC 라디오 1의 프로그램에서 계속 소개한 DJ인 존 필이다. 그의 프로그램의 2004년 연간 히트 차트에서는 덥스텝 뮤지션 Distance, Digital Mystikz, Plastician의 곡이 50위 안에 차트인했다.[148]
2006년 1월, BBC 라디오 1의 DJ인 메리 앤 홉스가 덥스텝 전문 프로그램 Dubstep Warz영어를 시작하면서 덥스텝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다.[151][152]
3. 2. 미국 덥스텝 (US Dubstep)
미국에서 개량된 신종 덥스텝으로, 리듬과 속도는 UK 덥스텝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주로 쓰이는 신시사이저나 퍼커션의 음색은 일렉트로 하우스와 거의 같다. UK 덥스텝이 UK 거라지의 차분한 리듬에 기반한 것에 비해 우블베이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브로스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아예 미국식 덥스텝을 통틀어 브로스텝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111]
2011년, 덥스텝은 '''브로스텝'''으로 알려진 포스트 덥스텝 스타일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미국의 프로듀서 스크릴렉스는 이 장르의 "대표 인물"이 되었다. 2011년 9월, ''스핀 매거진''의 EDM 특집 기사는 브로스텝을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덥스텝의 "휘청거리고 공격적인" 변종이라고 언급했다.[114] 서브 베이스 콘텐츠를 강조하는 전통적인 덥스텝 프로덕션 스타일과 달리, 브로스텝은 중간 음역을 강조하며 "로봇 같은 변동과 금속적인 공격성"을 특징으로 한다.[115] 사이먼 레이놀즈에 따르면, 덥스텝이 더 많은 청중을 얻고 소규모 클럽 기반 장소에서 더 큰 야외 행사로 이동하면서, 서브 소닉 콘텐츠는 점차적으로 헤비 메탈의 전기 기타와 대략 같은 음역에서 기능하는 왜곡된 베이스 리프로 대체되었다.[116]
"브로스텝"이라는 용어는 일부 사람들에게 미국에서 개발된 인기 있는 덥스텝 스타일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111] 러스코 자신은 BBC 라디오 1Xtra와의 인터뷰에서 "브로스텝은 일종의 내 잘못이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싫어하게 되었다... 마치 누군가 당신 얼굴에 소리를 지르는 것과 같아서... 그걸 원하지 않게 된다."라고 말했다.[117] 그의 2012년 앨범 ''Songs''에 대한 BBC 리뷰에 따르면, 이 앨범은 러스코가 자신의 음악을 "자메이카 유산"과 다시 연결하고 동시대 사람들이 제작한 "트림을 토하는, 공격적이고, 단호하게 남성적인" 덥스텝으로부터 거리를 두려는 혼란스러운 시도였다.[118]
스크릴렉스와 같은 미국의 프로듀서들의 성공에 대해 스크림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영국 사운드인데 외부의 영향을 받은 누군가가 훨씬 더 크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곳의 많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는 것 같아요. 그것의 나쁜 점은 많은 사람들이 '덥스텝은 스크릴렉스와 같다'고 말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저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요. 저는 그가 만드는 음악을 좋아합니다."[119] 브로스텝 사운드와 처음 연관된 다른 북미 아티스트로는 캐나다 프로듀서 다츠크와 엑시전이 있었다. 그들의 프로덕션 스타일은 ''믹스매그''에 의해 "마릴린 맨슨과 나인 인치 네일스 팬들에게 영국 개러지 애호가들보다 더 어필하는 악랄하게 거칠지만 훌륭하게 제작된 사운드"로 묘사되었다.[120] 브로스텝 사운드는 또한 메탈 밴드의 관심을 끌었다. 뉴 메탈 밴드 콘의 2011년 앨범 ''The Path of Totality''는 스크릴렉스와 엑시전을 포함한 일렉트로닉 음악 프로듀서들과의 여러 콜라보레이션을 특징으로 한다.[121] 이 덥스텝 스타일은 때때로 '''메탈스텝'''으로 알려져 있다.
4. 하위 장르
덥스텝은 다양한 하위 장르로 분화하며 발전해왔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Skrillex 등의 브로스텝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일렉트로 하우스를 대체하고, 파생 장르인 트랩과 함께 EDM 페스티벌의 중심 장르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주류화를 싫어하는 언더그라운드 세력에 의해 Leftfield Bass와 트랩과 덥스텝의 중간적인 사운드인 트랩스텝 등의 하위 장르도 생겨났다.[146][147]
- UK 덥스텝/딥 덥스텝/다크 덥스텝
- 브로스텝
- 레게 덥스텝
- 리퀴드 덥스텝
- 칩스텝
- 트랩스텝
- 오케스트럴 덥스텝
- 데스스텝
4. 1. 리딤 (Riddim)
Riddim영어은 UK 덥스텝 스타일을 계승하여 발전한 장르로, 클랩(박수 소리)을 추가하거나 셋잇단음표를 사용하는 등 변형을 거쳤다. UK 덥스텝의 깊은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덥스텝과는 다른 새로운 느낌을 준다.[122] 2010년대 초반, 영국의 아티스트들은 오리지널 영국 덥스텝 스타일의 부활 또는 지속을 연상시키는 덥스텝 스타일을 시도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2012년경 영국 프로듀서 제이크스(Jakes)가 만든 이름인 리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이름은 자메이카 파토아 용어인 ''리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덥, 레게 및 댄스홀 음악의 연주곡을 의미한다.[122]리듬은 오리지널 덥스텝과 유사하게 반복적이고 미니멀한 서브 베이스와 트리플릿 타악기 배열이 특징이며, "엉성한" 소리로 묘사된다.[122][123] 리듬은 브로스텝, 드럼스텝, 워블스텝과 같은 다른 하위 장르와 마찬가지로 덥스텝의 하위 장르로 여겨진다.[122] 2015년경부터 상당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124] 이 스타일의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은 이를 덥스텝의 "더 지저분하고 스웨거"한 면으로 묘사하는 반면, 외부에서 보는 사람들은 "반복적이고 혼란스럽다"고 주장한다.[122]
이 장르의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로는 서브필트론닉(Subfiltronik), 부케즈 파인제스트(Bukez Finezt), P0gman, 배드클라트(Badklaat), 50 캐럿(50 Carrot), 덥로드즈(Dubloadz), 코피(Coffi) 등이 있다.[125] 이 장르의 주목할 만한 트랙으로는 봄머(Bommer)와 크로웰(Crowell)의 "야스오(Yasuo)", 인펙트(Infekt)의 "오갈로그(Orgalorg)", 피소(Phiso)의 "조타로(Jotaro)"가 있다.[122][126]
일부 평론가들은 리듬이 그 자체로 하나의 장르가 아니라 덥스텝의 한 스타일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리듬 프로듀서 올라실(Oolacile)은 "오래 활동한 많은 사람들은 리듬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된 팬들은 리듬을 늪 같고 반복적인 사운드로 생각하고, 새로운 팬들은 리듬을 언더그라운드의 사운드와 연관시킬 것입니다."라고 말한다.[122]
4. 2. 브로스텝 (Brostep)
2011년, 덥스텝은 '''브로스텝'''이라는 포스트 덥스텝 스타일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미국의 프로듀서 스크릴렉스는 이 장르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 2011년 9월, ''스핀 매거진''의 EDM 특집 기사는 브로스텝을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덥스텝의 "휘청거리고 공격적인" 변종이라고 언급했다.[114] 전통적인 덥스텝이 서브 베이스 콘텐츠를 강조하는 반면, 브로스텝은 중간 음역을 강조하며 "로봇 같은 변동과 금속적인 공격성"을 특징으로 한다.[115] 사이먼 레이놀즈에 따르면, 덥스텝이 더 많은 청중을 얻고 소규모 클럽 기반 장소에서 더 큰 야외 행사로 이동하면서, 서브 소닉 콘텐츠는 점차 헤비 메탈의 전기 기타와 대략 같은 음역에서 기능하는 왜곡된 베이스 리프로 대체되었다.[116]
"브로스텝"이라는 용어는 일부 사람들이 미국에서 개발된 인기 있는 덥스텝 스타일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11] 러스코는 BBC 라디오 1Xtra와의 인터뷰에서 "브로스텝은 일종의 내 잘못이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싫어하게 되었다... 마치 누군가 당신 얼굴에 소리를 지르는 것과 같아서... 그걸 원하지 않게 된다."라고 말했다.[117] 그의 2012년 앨범 ''Songs''에 대한 BBC 리뷰에서는, 이 앨범이 러스코가 자신의 음악을 "자메이카 유산"과 다시 연결하고 동시대 사람들이 제작한 "트림을 토하는, 공격적이고, 단호하게 남성적인" 덥스텝으로부터 거리를 두려는 혼란스러운 시도였다고 평가했다.[118]
스크릴렉스와 같은 미국 프로듀서들의 성공에 대해 스크림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영국 사운드인데 외부의 영향을 받은 누군가가 훨씬 더 크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곳의 많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는 것 같아요. 그것의 나쁜 점은 많은 사람들이 '덥스텝은 스크릴렉스와 같다'고 말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저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요. 저는 그가 만드는 음악을 좋아합니다."[119] 브로스텝 사운드와 처음 연관된 다른 북미 아티스트로는 캐나다 프로듀서 다츠크와 엑시전이 있었다. 그들의 프로덕션 스타일은 ''믹스매그''에 의해 "마릴린 맨슨과 나인 인치 네일스 팬들에게 영국 개러지 애호가들보다 더 어필하는 악랄하게 거칠지만 훌륭하게 제작된 사운드"로 묘사되었다.[120] 브로스텝 사운드는 메탈 밴드의 관심도 끌었다. 뉴 메탈 밴드 콘의 2011년 앨범 ''The Path of Totality''는 스크릴렉스와 엑시전을 포함한 일렉트로닉 음악 프로듀서들과의 여러 콜라보레이션을 특징으로 한다.[121] 이러한 덥스텝 스타일은 때때로 '''메탈스텝'''으로 알려져 있다.
4. 3. 포스트 덥스텝 (Post-Dubstep)
덥스텝은 덥스텝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장르다.- UK 덥스텝/딥 덥스텝/다크 덥스텝
- 브로스텝
- 레게 덥스텝
- 리퀴드 덥스텝
- 칩스텝
- 트랩스텝
- 오케스트럴 덥스텝
- 데스스텝
4. 4. 덥스타일 (Dubstyle)
덥스타일은 덥스텝과 하드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장르이다.4. 5. 드럼스텝 (Drumstep)
드럼 앤 베이스의 드럼 비트를 덥스텝과 결합한 장르다.4. 6. 웡키 (Wonky)
Wonky영어는 덥스텝의 영향을 받은 일렉트로니카 장르로, 복잡하고 불안정한 리듬과 신스 사운드가 특징이다.4. 7. 컬러 베이스 (Colour Bass)
2010년대 초중반, 덥스텝 내에서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브로스텝의 공격적인 특징과 멜로딕 덥스텝의 풍부한 음색 및 음악성을 결합한 것으로, 양쪽 스타일의 장점을 모두 살리고 중간 음역대의 베이스 사운드 디자인과 음색을 융합한 것이었다.[136][137] 501, Subscape, 그리고 제미니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2010년대 초반에 이러한 스타일의 음악 제작을 시도했다.[135]영국의 덥스텝 프로듀서 Chime은 이러한 스타일의 덥스텝을 "'''컬러 베이스'''"라고 이름 붙였다. 이는 생생하고 밝으며 다채로운 프로덕션에 초점을 맞춘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Chime은 이 스타일을 알리기 위해 2016년에 레이블 러쉬다운을 설립했다.[135][137] 덥스텝이 전반적으로 주류 음악계에서 인기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컬러 베이스는 몬스터캣과 같은 유명 전자 음악 레이블을 통해 2020년대 초반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135][138][139][140] Skybreak, 에이스 아우라, 그리고 Chime 자신과 같은 아티스트들이 컬러 베이스 음악을 제작하여 성공을 거두었다.[141][142]
5. 특징
리버브, 에코, 딜레이 등을 사용하여 넓은 공간감을 형성하고, 90 Hz 이하의 서브 베이스가 매우 도드라진다.[11] 최근에는 베이스의 무게감이나 양감보다는 와블링(베이스의 음색 변화) 기교에 주목하는 경향이 더 강해져서, 서브 베이스보다는 어퍼 베이스 혹은 그 이상의 사운드가 더 도드라지는 경우도 많다. 킥과 스네어를 투 스텝 비트로 치고 사이사이 뮤트(소리 제거)를 넣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종종 레게 리듬도 찾아볼 수 있으며, 가끔씩 상극 장르인 하드코어 테크노의 리듬과도 결합된다.[11] BPM은 대부분 110-150 사이이며, 드럼 앤 베이스의 드럼 비트가 본래의 절제된 스타일의 드럼 비트를 가진 덥스텝과 합쳐진 드럼스텝의 경우 85(170) 전후의 BPM을 가진다.
브레이크비트의 영향을 받은 복잡한 리듬의 분절, 베이스가 유난히 강력한 장르적 특성상 드럼 앤 베이스 리스너가 들어도 거부감이 없고, 심지어 믹스할 때 덥스텝을 간간히 끼워넣는 DJ도 있다.
음악 웹사이트 올뮤직(AllMusic)은 덥스텝의 전반적인 사운드를 "압도적인 베이스 라인과 잔향 드럼 패턴, 잘린 샘플, 그리고 가끔 보컬이 있는 꽉 짜여진 프로덕션"이라고 묘사했다.[11] 사이먼 레이놀즈에 따르면 덥스텝의 구성 요소는 원래 "1989-99년 영국 계보의 다른 지점에서 나왔습니다. 블립 앤 베이스, 정글, 테크스텝, 포토크 스타일의 뉴로펑크, 스피드 개러지, [그리고] 2 스텝."이라고 한다.[2]
덥스텝은 일반적으로 기악 음악이다. 보컬 UK 개러지 하이브리드인 그라임과 유사하게, 장르의 느낌은 일반적으로 어둡다. 트랙은 자주 단조 또는 프리기안 선법을 사용하며, 리프 내에서 트라이톤 간격과 같은 협화음과 불협화음 하모니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14] 다른 스타일의 개러지 음악과 비교하여 덥스텝은 두드러진 서브 베이스 주파수에 집중하여 더 미니멀리즘적인 경향이 있다.[15]
덥스텝의 리듬은 일반적으로 싱코페이션을 가지며, 종종 스윙 리듬이나 셋잇단음표를 포함한다. 템포는 거의 항상 132~142 분당 박자 수 범위이며, 한 마디마다 세 번째 박자에 박수 소리나 스네어가 삽입된다.[15]
덥스텝의 특정 갈래의 특징 중 하나는 종종 "wub"이라고 불리는 베이스의 일종인 와블 베이스인데, 여기서 연장된 베이스 음표가 리듬적으로 조작된다. 이 스타일의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저주파 발진기를 사용하여 음압, 디스토션 또는 필터 차단 주파수와 같은 신디사이저의 특정 매개변수를 조작하여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볼륨, 필터 차단 주파수 또는 디스토션의 리듬적인 변화로 구분되는 음색이 나타난다. 이 스타일의 베이스는 덥스텝의 일부 변형, 특히 클럽 친화적인 쪽에 있는 음악의 주요 동인이다.[19]
6. 주요 아티스트
덥스텝의 주요 아티스트는 한국과 해외 아티스트로 나뉜다. 하위 섹션에 자세한 내용이 나오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다룬다.
한국 아티스트banvox, 100MADO, Blacklolita, Dubscribe, ENA, GOTH-TRAD, JaQwa, Dayzero, Karnage, HELKTRAM, CITY1, AJAPAI, T2R, DJ Doppelgenger, OQTO, DUBTRO, Vvotaro, Killrina, NUU$HI, viwiv 등이 있다.
해외 아티스트버리얼(Burial), 캐스파(Caspa), 콤파(Compa), 디스턴스(Distance), 해치아(Hatcha), 조커(Joker), 코드9(Kode9), 크로메스타(Kromestar), 로에파(Loefah), 말라(Mala), 플라스티션(Plastician), 러스코(Rusko), 스쿠버(Scuba), 스크림(Skream), Coki, 캠 라스키, Egoless, Kaiju, M2U, Truth, V.I.V.E.K, ZHA 등이 있다.
브로스텝 아티스트로는 2562, 제임스 블레이크, Knife Party, Martyn, 마운트 킴비, SBTRKT, Sepalcure, Shackleton, 스크릴렉스, Zomby 등이 있다.
6. 1. 한국 아티스트
이름 |
---|
banvox |
100MADO |
Blacklolita |
Dubscribe |
ENA |
GOTH-TRAD |
JaQwa |
Dayzero |
Karnage |
HELKTRAM |
CITY1 |
AJAPAI |
T2R |
DJ Doppelgenger |
OQTO |
DUBTRO |
Vvotaro |
Killrina |
NUU$HI |
viwiv |
6. 2. 해외 아티스트
- 버리얼(Burial)
- 캐스파(Caspa)
- 콤파(Compa)
- 디스턴스(Distance)
- 해치아(Hatcha)
- 조커(Joker)
- 코드9(Kode9)
- 크로메스타(Kromestar)
- 로에파(Loefah)
- 말라(Mala)
- 플라스티션(Plastician)
- 러스코(Rusko)
- 스쿠버(Scuba)
- 스크림(Skream)
- Coki
- 캠 라스키
- Egoless
- Kaiju
- M2U
- Truth
- V.I.V.E.K
- ZHA
브로스텝 아티스트도 포함한다.
- 2562
- 제임스 블레이크
- Knife Party
- Martyn
- 마운트 킴비
- SBTRKT
- Sepalcure
- Shackleton
- 스크릴렉스
- Zomby
7. 주요 레이블
- 하이퍼더브(Hyperdub)
- 핫플러시 레코딩스(Hotflush Recordings)
- 텍토닉 레코딩스(Tectonic)
8. 덥스텝을 들을 수 있는 유튜브 채널
- UKF Dubstep
- DubstepGutter
- NoCopyrightSounds
- The Dub Rebellion
참조
[1]
웹사이트
AllMusic - Dubstep
http://www.allmusic.[...]
2017-09-23
[2]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Perseus Books
2012-01-05
[3]
뉴스
The Big Big Sound System Splashdown
http://uncarved.org/[...]
New Musical Express
1981-02-21
[4]
웹사이트
Hatcha Biography
http://www.imorecord[...]
IMO Records
2011-10-17
[5]
웹사이트
Keeping It Peel: Festive 50s – 2004
https://www.bbc.co.u[...]
BBC
2011-03-31
[6]
뉴스
Bubble and Squeak: Michael Wilson on Dubstep
http://www.thefreeli[...]
Artforum International
2006-11-01
[7]
뉴스
Put a Bit of Dub in Your Step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6-10-14
[8]
웹사이트
Dubstep
http://www.timeout.c[...]
Time Out Group
2006-10-04
[9]
웹사이트
The Year in Grime and Dubstep
http://www.pitchfork[...]
2006-11-16
[10]
웹사이트
Dubstep: How Has It Become So Popular?
http://www.theedgesu[...]
2012-01-03
[11]
웹사이트
Explore Music: Dubstep
http://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1-03-31
[12]
간행물
The Primer: Dubstep
2011-04
[13]
웹사이트
Interview: Plasticman
http://www.riddim.ca[...]
Riddim.ca
2005-06-18
[14]
서적
Interactive Composition: Strategies Using Ableton Live and Max for Live
Oxford
2015
[15]
뉴스
South London Calling
http://www.cbc.ca/ar[...]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01-30
[16]
웹사이트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7-05-23
[17]
웹사이트
Dubstep 101
http://www.residenta[...]
2007-06-07
[18]
간행물
Invisible Jukebox
2006-07
[19]
웹사이트
The Year in Grime / Dubstep: The Year in Dubstep, Grime, and Funky 2009
http://pitchfork.com[...]
2009-11-06
[20]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https://books.google[...]
Soft Skull Press
2012-03-20
[21]
웹사이트
Interview: Joe Nice
http://www.getdarker[...]
2006-08-15
[22]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Dubstep
http://www.pitchfork[...]
2006-07-14
[23]
웹사이트
Low End Theory: Dubstep Merchants
http://www.xlr8r.com[...]
Amalgam Media
2006-08-30
[24]
간행물
How Low Can it Go: The Evolution of Dubstep
http://nymag.com/art[...]
2008-07-20
[25]
뉴스
Rising Star: DMZ, Music Collective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7-03-04
[26]
웹사이트
InYourBassTv Presents Sgt. Pokes (Dour Festival 2008)
http://inyourbass.co[...]
Inyourbass.com
2008-08-28
[27]
웹사이트
Crazy D & Hatcha
http://www.totalkiss[...]
Bauer Radio
2011-03-31
[28]
웹사이트
Markle Said Wha?: Plastician Interview (as featured in ATM Magazine 7 Nov)
http://markleman.blo[...]
2007-12-18
[29]
간행물
Rave From the Grave: Skull Disco
2007-07
[30]
뉴스
Dubstep: Straight outta Croyd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6-07-28
[31]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Dubstep
http://pitchfork.com[...]
2006-01-25
[32]
웹사이트
Beyond lies the wub: a history of dubstep
https://www.theverge[...]
2012-08-28
[33]
뉴스
Dawn of Dubstep: Will this Bass-heavy Dance Phenomenon Blow Out Only Your Speakers or Will it Really Blow Up?
http://www.sfweekly.[...]
SF Weekly
2006-11-15
[34]
간행물
The Dubstep Explosion!
2007-08-01
[35]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6-04-12
[36]
웹사이트
FWD>> Friday 23 June
https://web.archive.[...]
2006-06
[37]
웹사이트
Introducing ... Kode 9
http://chantellefidd[...]
2006-03-19
[38]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5-06-22
[39]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pitchforkmedi[...]
2006-07-20
[40]
간행물
Dmz
https://web.archive.[...]
2009-09
[41]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5-05-25
[42]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6-03-08
[43]
웹사이트
In Profile: A Plotted History of Deep Medi
https://www.fabriclo[...]
2016-05-11
[44]
간행물
Various Artists – Grime (Rephlex) / DJ Slimzee – Bingo Beats III (Bingo)
http://www.cyclicdef[...]
2004-06
[45]
간행물
Various Artists – Grime 2 (Rephlex)
http://www.cyclicdef[...]
2005-01
[46]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5-09-11
[47]
뉴스
Partners in Grime
https://web.archive.[...]
Independent Print
2004-02-22
[48]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5-06-22
[49]
간행물
About 2 Blow: Dubstep
http://www.rwdmag.co[...]
[50]
웹사이트
Burial: Burial
http://www.sputnikmu[...]
2007-06-19
[51]
웹사이트
Reasons to Be Cheerful (Just Three)
http://www.villagevo[...]
2007-01-30
[52]
웹사이트
Cast and Credits for 'Children of Men'
https://movies.yahoo[...]
Yahoo!
[53]
간행물
Various Artists – The Roots of Dubstep (Tempa)
https://web.archive.[...]
2006-11
[54]
간행물
Brand New Heavy
2006-03
[55]
간행물
The Week in Dubstep
https://web.archive.[...]
2007-06-18
[56]
뉴스
Japan's Dubstep Forges Own Path
http://search.japant[...]
2010-03-19
[57]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06-03-08
[58]
뉴스
Various, Dubstep Allstars 5 – Mixed By DJ N-Type
https://www.theguard[...]
2007-04-22
[59]
웹사이트
Ricardo Villalobos: Vasco EP Part 1
http://www.pitchfork[...]
2008-06-22
[60]
간행물
Ellen Allien & Apparat: Orchestra of Bubbles
http://www.stylusmag[...]
2006-04-19
[61]
웹사이트
Ellen Allien: Orchestra of Dubbles
http://www.pitchfork[...]
2006-05-03
[62]
뉴스
Losing Your Mind in Berlin
http://www.metrotime[...]
2004-10-11
[63]
웹사이트
philip sherburne: November 2005 Archives
http://phs.abstractd[...]
Phs.abstractdynamics.org
[64]
웹사이트
Blackdown: One Friday night
http://blackdownsoun[...]
Blackdownsoundboy.blogspot.com
2007-04-01
[65]
웹사이트
Pitchfork Feature: Column: The Month in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Pitchforkmedia.com
[66]
웹사이트
Burial: Beautiful Dread, Inviting and Sinister : NPR Music
https://www.npr.org/[...]
NPR
2008-05-20
[67]
뉴스
Kode9 interviews Burial
http://hyperdubrecor[...]
Hyperdub
2007-11-01
[68]
Webarchive
Q&A with Kyle Lynd - How to get your music on Skins
https://www.bbc.co.u[...]
2010-02-10
[69]
웹사이트
Mary Anne Hobbs – TV
https://www.bbc.co.u[...]
BBC
[70]
Youtube
Broadcast Yourself
http://www.youtube.c[...]
[71]
웹사이트
Radio One Hosts Generation Bass " RWD
http://www.rwdmag.co[...]
Rwdmag.com
2009-11-11
[72]
웹사이트
Generation Bass " n3k4.com
http://n3k4.com/gene[...]
n3k4.com
2009-11-11
[73]
웹사이트
Jay 5ive - FABRICLIVE x Tempo Clash Mix - fabric blog
https://www.fabriclo[...]
2020-02-09
[74]
웹사이트
Women in dubstep – Time Out London
http://www.timeout.c[...]
Timeout.com
2011-04-05
[75]
웹사이트
Interview: Joker
http://www.thestoolp[...]
The Stool Pigeon
2016-07-18
[76]
웹사이트
The Dummy guide to purple
https://dmy.co/featu[...]
2024-04-26
[77]
뉴스
Column: Poptimist #10: Britney in the Black Lodge (Damn Fine Album)
http://www.pitchfork[...]
2007-11-21
[78]
뉴스
Have You Heard of This Britney Spears Chick?
http://blogs.ocweekl[...]
Village Voice Media
2007-11-21
[79]
웹사이트
Radio 1 – BBC Radio 1's Chart Show with Reggie Yates – UK Top 40 Dance Singles
https://www.bbc.co.u[...]
BBC
2009-11-11
[80]
뉴스
'Electronic review: La Roux, In For the Kill (Skream remix)'
https://www.theguard[...]
2009-03-15
[81]
웹사이트
'Freeload: La Roux, "In for the Kill (Skream''s Let''s Get Ravey Remix) " The FADER'
http://www.thefader.[...]
Thefader.com
2009-11-11
[82]
웹사이트
Grime/Dubstep
http://pitchfork.com[...]
2009-11-11
[83]
웹사이트
The London Dubstep Scene
https://www.intervie[...]
2008-12-23
[84]
웹사이트
Adventures in Modern Music: Issues
http://www.thewire.c[...]
2009-11-11
[85]
웹사이트
XLR8R's Favorites of 2009
http://www.xlr8r.com[...]
XLR8R
2011-04-05
[86]
뉴스
Luke Hood, The 19 Year Old From UKF Dubstep Tops YouTube Charts
http://www.huffingto[...]
2011-12-14
[8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UKF Founder Luke Hood
http://www.sosoactiv[...]
2012-07-06
[88]
웹사이트
Dazed Digital | Hank Shocklee
http://www.dazedgrou[...]
Dazedgroup.com
2009-11-11
[89]
간행물
Interviews: Chase & Status
http://www.m-magazin[...]
PRS for Music
2011-04-28
[90]
뉴스
New music: Britney Spears – Hold It Against Me
https://www.theguard[...]
2016-12-14
[91]
뉴스
Chase & Status Interview
https://www.telegrap[...]
2011-04-02
[92]
뉴스
Dubstep it up– Features, Music
https://www.independ[...]
2009-11-11
[93]
웹사이트
Alexander Spit
http://dubstepped.ne[...]
Dubstepped.net
2009-11-11
[94]
웹사이트
'Track Reviews: Eve – "Me N My (Up in the Club)"'
http://pitchfork.com[...]
2009-11-11
[95]
웹사이트
'Eve, "Me N My (prod. by Salaam Remi & Benga)" MP3 " The FADER'
http://www.thefader.[...]
Thefader.com
2009-11-11
[96]
Webarchive
Magnetic Man – 'I Need Air'
https://www.bbc.co.u[...]
2018-09-15
[97]
웹사이트
UK Charts: Week Ending 04-September–2010
https://www.official[...]
2020-05-06
[98]
웹사이트
Skrillex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2-04-17
[99]
웹사이트
Chase & Status – No More Idols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11-04-05
[100]
웹사이트
UK Charts: Week Ending 07-May–2011
https://www.official[...]
2020-05-06
[101]
웹사이트
All The Official Singles Chart Number 1s
http://www.theoffici[...]
2018-05-09
[102]
간행물
Taylor Swift on Going Pop, Ignoring the Gossip and the Best (Worst) Nickname She's Ever Had
https://entertainmen[...]
2012-12-10
[103]
간행물
Chart Highlights: Demi Lovato 'Attack's Pop Songs
http://www.billboard[...]
2013-03-05
[104]
웹사이트
Grime / Dubstep
http://www.pitchfork[...]
2011-06-12
[105]
웹사이트
10 Post-Dubstep Artists Who Matter
https://www.spin.com[...]
2018-04-05
[106]
웹사이트
SBTRKT adds to post-dubstep genre
http://www.dailygame[...]
2011-07-12
[107]
웹사이트
Blawan takes post-dubstep and UK house out of its comfort zone
http://www.xlr8r.com[...]
2011-05-19
[108]
웹사이트
Fantastic Mr Fox (No 910)
https://www.theguard[...]
2016-12-14
[109]
웹사이트
A profile of James Blake – post-dubstep artist
https://www.bbc.co.u[...]
2019-12-20
[110]
웹사이트
Crooks & Lovers – Mount Kimbie
http://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1-04-06
[111]
뉴스
Bass Invasion
http://digitalissue.[...]
2011-12-31
[112]
웹사이트
"'The potential for disaster was just too big': small Canadian city shuts down Skrillex gig – FACT Magazine: Music News, New Music"
http://www.factmag.c[...]
2012-11-16
[113]
웹사이트
Is dubstep the new metal?
http://www.mixmag.ne[...]
2012-11-16
[114]
웹사이트
Dubstep 101: A U.S. Primer
https://www.spin.com[...]
Spin Magazine, Spin Media LLC.
2011-09-12
[115]
웹사이트
Dubstep Maker: The Software & Video Tutorial You Need
http://ledgernote.co[...]
2015-10-14
[116]
간행물
The Art of the Groove
Computer Music Specials
2011-10-26
[117]
웹사이트
Fall preview 2011: Dubstep takes over the dance floor
http://www.vita.mn/1[...]
Star Tribune Media Company LLC
2017-07-19
[118]
웹사이트
"Dubstep producer tries aligning his output with Jamaican originals, with muddled results."
https://www.bbc.co.u[...]
BBC
2012-03
[119]
웹사이트
I Like The Music Skrillex Makes': An Interview With Skream
http://thequietus.co[...]
The Quietus
2011-12-19
[120]
뉴스
United Bass of America
http://mixmag.net/wo[...]
2011-12-12
[121]
간행물
Korn Team with Skrillex, More Dubstep Producers for New Album
https://www.rollings[...]
2017-08-26
[122]
웹사이트
How to Talk to Your Kids About Riddim {{!}} Insomniac
https://www.insomnia[...]
2019-04-30
[123]
웹사이트
What is this Riddim Everyone Keeps Talking About?
https://iedm.com/blo[...]
2019-04-26
[124]
웹사이트
What We Like {{!}}{{!}} Riddim
https://edmidentity.[...]
2019-05-01
[125]
뉴스
The Rise of Riddim: What's this latest bass craze all about?
http://www.theuntz.c[...]
2017-12-07
[126]
웹사이트
30 Best Riddim Songs of All Time
https://www.edmsauce[...]
2019-04-30
[127]
웹사이트
Popping the Drop: A Timeline of How EDM's Bubble Burst
https://pitchfork.co[...]
Conde Nast
2018-01-23
[128]
웹사이트
Metalhead turned dance-music star Bassnectar is happy to headline this weekend's Summer Set fest because its lineup is more eclectic than "electronic."
http://www.startribu[...]
The Minneapolis Star-Tribune
2018-01-23
[129]
웹사이트
Dubstep May Be Dying, Just Don't Tell Canadians That
https://thump.vice.c[...]
VICE Magazine
2018-01-23
[130]
뉴스
Mount Kimbie: Love What Survives review – electric wit and wisdom from London synth duo
https://www.theguard[...]
2018-01-23
[131]
웹사이트
James Blake: The Colour in Anything
http://pitchfork.com[...]
2018-08-25
[132]
뉴스
Pleasure Principle: Loefah
https://www.clashmus[...]
2018-08-24
[133]
뉴스
Skream shares the tracks lighting up his marathon Open-To-Close sets
https://mixmag.net/f[...]
2018-08-22
[134]
뉴스
Skream goes full techno on new single, 'Poison' - Dancing Astronaut
https://dancingastro[...]
2018-08-22
[135]
웹사이트
Chime Discusses His Influences, Color Bass, & Rushdown Records
https://fuxwithit.co[...]
2023-03-25
[136]
웹사이트
FAQ
https://www.chimetun[...]
2023-03-25
[137]
웹사이트
Rushdown
https://www.chimetun[...]
2023-03-25
[138]
웹사이트
Chime Asks To "Bring Me Back" In New Single
https://substreammag[...]
2023-03-25
[139]
웹사이트
Dr. Ushūu Makes Monstercat Debut With Cosmic Colour-Bass Single "Save Me"
https://themusicesse[...]
2023-03-25
[140]
웹사이트
Papa Khan Returns To Monstercat With New Colour Bass Single "Get To U"
https://themusicesse[...]
2023-03-25
[141]
웹사이트
Chime Dives Into His Label and Plans for 2022 [Interview]
https://edmidentity.[...]
2021-12-14
[142]
웹사이트
PREMIERE: Chime Delivers Thrilling Single "From Atoms To Pixels" ft. Sekai [Rushdown]
https://www.youredm.[...]
2023-03-07
[143]
웹사이트
AllMusic - Dubstep
http://www.allmusic.[...]
[144]
서적
Energy Flash: A Journey Through Rave Music and Dance Culture
Perseus Books
2012
[145]
뉴스
The Big Big Sound System Splashdown
http://uncarved.org/[...]
New Musical Express
1981-02-21
[146]
웹사이트
An Oral History of Plastic People
https://www.factmag.[...]
2015-02-17
[147]
웹사이트
Plastic People - where it all began, closes.
https://getdarker.co[...]
2015-01-03
[148]
웹사이트
Radio 1 - Keeping It Peel - Festive 50s - 2004
http://www.bbc.co.uk[...]
BBC
null
[149]
뉴스
Bubble and squeak: Michael Wilson on dubstep
http://www.thefreeli[...]
2006-11-01
[150]
웹사이트
Grime / Dubstep
https://pitchfork.co[...]
[151]
웹사이트
Dubstep
http://www.timeout.c[...]
2006-10-04
[152]
웹사이트
The Month In: Grime/Dubstep
http://www.pitchfork[...]
2006-11-16
[153]
웹사이트
ダブステップの変遷
https://www.redbull.[...]
2015-07-09
[154]
웹사이트
From Croydon To The World: A Decade Of Dubstep Growth - BR
https://boilerroom.t[...]
2016-09-27
[155]
웹사이트
RA: Orson
https://www.resid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