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자 (문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위자는 문장에서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를 하는 명사구를 의미하며, 문법적 역할 중 하나이다. 행위자는 의지, 지각, 상태 변화 유발 등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언어학자 데이비드 도우티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원시행위자 개념을 정의했다. 행위자는 주어와 혼동될 수 있지만, 주어는 정보 흐름에 따른 형식적인 명칭이며, 행위자는 동사의 행위와의 관계에 기반한다. 한국어는 조사를 통해 행위자를 명확히 나타내지만, 영어는 행위자의 문법적 역할을 명시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미론 - 자연종
자연종은 과학철학에서 존 듀이, 콰인, 퍼트넘 등 여러 철학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한 개념으로, 듀이는 자연을 과정으로, 콰인은 귀납 추론의 타당성을, 퍼트넘은 핵심 사실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콘블리스, 장하석과 윈터는 자연종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을 비판하고 과학적 탐구 활동과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등 한국 사회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논쟁적인 개념이다. - 의미론 - 부정 (언어학)
부정(否定)은 언어학에서 개념을 반박하거나 의미를 반전시키는 언어적 메커니즘을 총칭하며, 어휘 항목이 다른 항목의 의미를 부정하거나 반전시키는 형태통사론적 연산, 부정적인 진술이나 구성 요소의 특징, 그리고 부정적인 발화를 의미한다. - 문법 -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 절, 구, 단어와 같은 언어 요소들을 연결하여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로,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상관 접속사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문법 - 품사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언어학적 범주로, 언어별 특징과 문법화 과정에 따라 분류 체계와 구성원이 달라지며, 품사 간 경계가 모호한 경우도 있어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행위자 (문법) | |
---|---|
개요 | |
주제 | 문법적 역할 |
설명 | 문장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 |
관련 개념 | 자동사 타동사 능동태 피동태 |
문법적 특징 | |
역할 |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관련 문장 내에서 주어 역할을 수행 |
문장 구조 | 일반적으로 주어 자리에 위치 |
능동/피동 | 능동문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 피동문에서는 동작을 받는 대상이 될 수 있음 |
예시 | |
예시 문장 | "새가 노래한다."에서 '새' |
설명 | '새'는 '노래한다'라는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 |
언어별 특징 | |
언어 |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문법 요소 |
표현 방식 | 언어별로 다양한 문법적 형태로 표현 |
추가 정보 | |
주의사항 | 행위자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 |
관련 연구 | 다양한 언어학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짐 |
2. 이론
상황은 문장으로, 행동은 문장의 동사로, 행위자는 명사구로 나타낸다.[5] 예를 들어 "Jack kicked the ball"(잭이 공을 찼다)라는 문장에서 ''Jack''은 행위자이고, ''the ball''(공)은 수동자 혹은 피동주(patient)이다.
일부 언어에서는 행위자가 굴절되거나 문법적 역할을 지시하도록 표지되지만, 영어는 문장에서 명사의 행위적 문법 역할을 표시하지 않는다. 행위 명사(runner, kicker 등)와 같이 특정 명사는 항상 능동(agency) 특성을 갖지만, 행위자 명사가 반드시 문장의 행위자인 것은 아니다. (예: "Jack kicked the runner"(잭이 주자를 찼다))
2. 1. 행위자의 정의와 특징
문장에서 동사가 나타내는 행동을 하는 주체를 행위자라고 한다. 행위자는 보통 명사구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잭이 공을 찼다"라는 문장에서 '잭'이 행위자이다.행위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의지를 가지고 행동한다.
- 지각하거나 인지하는 능력이 있다.
- 상태 변화를 일으킨다.
언어학자 데이비드 도티는 이러한 특징들을 '원시행위자(Proto-Agent)'라는 개념으로 정의했다. 원시행위자 요소를 많이 가질수록 행위자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5] 예를 들어, "그의 에너지가 모두를 놀라게 했다"라는 문장에서 '그의 에너지'는 지각, 움직임, 의지 같은 일반적인 행위자의 특징은 없지만, 원시행위자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행위자로 볼 수 있다.[2]
하지만 행위자는 주어와는 다르다. 행위자는 동사가 나타내는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의되지만, 주어는 문장의 정보 흐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소년이 공을 찼다"라는 문장에서 '소년'은 행위자이자 주어이지만, "공은 소년에 의해 차였다"라는 수동태 문장에서는 '공'이 주어이고 '소년'은 행위자이다.
2. 2. 행위자와 주어의 구별
행위자는 동사가 표현하는 행동과의 관계에 기반하는 반면, 주어는 정보 흐름 이론을 사용하는 형식적 명칭이다. 예를 들어 "The boy kicked the ball"(소년이 공을 찼다)라는 문장에서 'the boy'(소년)는 행위자인 동시에 주어이다. 그러나 수동태 문장 "The ball was kicked by the boy"(공은 소년에 의해 차였다)에서는 'the ball'(공)이 주어이지만, 'the boy'(소년)는 행위자이다.[5]한국어는 조사를 통해 행위자와 주어를 명확히 구분하지만, 영어는 문맥에 따라 행위자를 파악해야 한다.
"John met Sylvia"(존이 실비아를 만났다)와 같이 엄밀한 상호적 사건을 지시하는 타동사의 경우, 행위자와 주어의 융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문장에서 "John"(존)과 "Sylvia"(실비아) 모두 데이비드 도우티의 원시행위자 정의를 충족시키지만, 공동행위자 "Sylvia"는 문장의 직접목적어이기 때문에 수동자로 전락한다.[6]
2. 3. 의미역
의미역은 문장 내에서 명사구가 갖는 의미론적 역할을 나타낸다. 행위자는 의미역 중 하나이며, 이 외에도 대상, 도구, 경험주 등 다양한 의미역이 존재한다. 도우티의 원시행위자/원시수동자 개념은 의미역의 개수와 특성을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5]많은 사람들에게, 행위성 개념은 직관적으로는 파악하기 쉽지만 정의하기는 어렵다. 행위자가 흔히 갖게 되는 특성으로는 의지가 있다는 것, 지각이 있다는 것, 상태나 동작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언어학자 데이비드 도우티는 이러한 특성들을 자신이 만든 개념인 원시행위자(Proto-Agent) 정의에 포함시켰다. 또한 원시행위자 요소 대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과 원시수동자(Proto-Patient) 요소 최소 부분을 가지고 있는 명사류(nominal)는 문장 내 행위자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2] 예를 들어, "His energy surprised everyone"(그의 에너지가 모두를 놀라게 했다)라는 문장에서, ''His energy''(그의 에너지)는 지각, 움직임 또는 의지와 같은 전형적인 행위자적 특성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행위자이다.
하지만, 도우티의 해결책은 시간 관계를 표현하는 동사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1) April precedes May. (4월은 5월보다 앞선다.) vs: (2) May follows April. (5월은 4월보다 뒤따른다.)
여기서 행위자인 것과 수동자인 것은 각 동사에 따라 지정된다.
행위자는 주어와 혼동되기도 하나, 이 둘은 엄연히 다르다. "The boy kicked the ball"(그 소년이 공을 찼다) 문장에서, "the boy"(그 소년)는 행위자이자 동시에 주어이다. 그러나 수동태 문장 "The ball was kicked by the boy"(공은 그 소년에 의해 차여졌다)에서, "the ball"(공)은 주어이지만, "the boy"(그 소년)는 행위자이다.
엄밀한 상호적 사건(reciprocal event)을 지시하는 타동사를 사용하면 행위자와 주어의 융합(conflation)이 이뤄진다. "John met Sylvia"(존이 실비아를 만났다)라는 문장에서 "John"(존)과 "Sylvia"(실비아) 모두 도우티의 원시행위자 정의를 충족시키지만, 공동행위자(co-agent) "Sylvia"(실비아)는 문장의 직접목적어(direct object)이기 때문에 수동자로 전락한다.[3]
3. 같이 보기
주어
목적어
의미역
참조
[1]
서적
Analyzing Grammar: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matic proto-roles and argument selection"
[3]
서적
Syntax: An Introduction. Volume 1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
서적
Analyzing Grammar: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Thematic proto-roles and argument selection"
[6]
서적
Syntax: An Introduction. Volume 1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