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문학은 10세기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라틴어로 기록된 헝가리인의 기원과 전설, 헝가리어로 된 장례 설교와 마리아 애가 등의 작품이 존재했다.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어와 라틴어로 된 역사 연대기,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문주의 시인 야누스 판노니우스의 작품과 최초의 헝가리 인쇄본인 부다 연대기가 출판되었다.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시인 발린트 발라시, 미클로시 즈리니 등의 작품이 등장했으며, 종교 개혁 시대에는 가스파르 카롤리가 번역한 비졸리 성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세기에는 계몽주의와 언어 개혁이 일어나 페렌츠 카진치가 헝가리어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이후 낭만주의, 민족주의, 사실주의, 근대 문학 등 다양한 흐름을 거쳐 20세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헝가리 문학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 문학 - 근위병 (영화)
근위병은 부부의 불륜을 소재로, 남편이 근위병으로 변장하여 아내를 유혹하고 아내가 이를 알아채면서 부부가 화해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헝가리 문학 | |
---|---|
개요 | |
국가 | 헝가리 |
언어 | 헝가리어 |
시작 | 1000년경 |
주요 장르 | 시 소설 드라마 에세이 비평 |
시대별 특징 | |
초기 문학 (1000-1526) | 라틴어 사용 종교적 주제 중심 성 스테판 1세 시대 |
르네상스 및 종교 개혁 시대 (1526-1699) | 발렌틴 발라시 미클로시 즈리니 문학의 세속화 경향 |
바로크 시대 (1600-1772) | 종교적 영향력 지속 화려한 문체 특징 |
계몽주의 시대 (1772-1849) | 페렌츠 카지니치 미하이 치코나이 비테즈 데메테르 락피 국가 의식과 언어 개혁 강조 |
낭만주의 시대 (1849-1900) | 샨도르 페퇴피 요제프 에외트뵈시 임레 마다치 민족주의와 개인주의 고취 |
20세기 초 문학 (1900-1945) | 엔드레 아디 데죄 코스톨라니 지그몬드 모리츠 새로운 문학 경향 실험 |
사회주의 시대 (1945-1989) |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향 죄르지 루카치 |
현대 문학 (1989-현재) | 페테르 에스테르하지 임레 케르테스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 실험 |
주요 작가 | |
주요 작가 | 샨도르 페퇴피 엔드레 아디 미클로시 라드노티 이슈트반 외르케니 페테르 에스테르하지 임레 케르테스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인간의 비극》 (임레 마다치) 《유언장》 (샨도르 페퇴피) 《마음》 (데죄 코스톨라니) 《무적의 요새》 (게저 가르도니) 《운명》 (임레 케르테스) 《하르모니아 셀레스티스》 (페테르 에스테르하지)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헝가리 문화 헝가리 역사 헝가리어 헝가리의 작가 목록 |
2. 초기 문학 (10세기~14세기)
헝가리어의 역사는 기원전 1000년경 원시 헝가리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에 헝가리어는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인 오브-우그르어족과 분화되었다고 여겨진다.[1] 초기 헝가리 문학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민담과 민요를 통해 이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요소들이 남아 있다.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쓰여진 라틴어로 된 헝가리인의 기원과 헝가리 정복, 10세기 전투에 관한 헝가리 전설의 축약본도 남아있다.[1]
초기에는 헝가리어가 룬 문자 비슷한 문자로 쓰였지만, 현대적 의미에서 문학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슈트반 1세(1000~1038년) 통치하에 기독교화된 후 라틴 알파벳으로 바뀌었다. 11세기 이전 시대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옛헝가리어 시대는 헝가리인이 카르파티아 분지를 정복하고 정착하여 국가를 건설하기 시작한 89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최초의 기록물이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만들어졌다.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티하니 수도원 건립 칙서(1055년)의 단편으로, "feheruuaru rea meneh hodu utu rea,"("페헤르바르로 가는 군사 도로로")와 같은 몇몇 헝가리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텍스트는 오늘날의 철자로 ''Fehérü váru reá meneü hodu utu reá''로 읽어야 하며, 오늘날의 헝가리어로는 ''a Fehérvárra menő had[i] útra''로 읽을 수 있다.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완전하고 연속적인 텍스트는 ''Halotti beszéd és könyörgés''으로, 약 1192~1195년에 쓰여진 간결하지만 감동적인 짧은 장례 설교이다.[1] 가장 오래된 시는 ''Ómagyar Mária-siralom''(마리아 애가)로, 고드프루아 드 브레퇴유의 시를 라틴어에서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다.[1] 또한 가장 오래된 우랄어족 시이기도 하다. 장례 설교와 기도와 마리아 애가는 모두 현대 헝가리인들에게는 읽고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까지 서면 언어는 대부분 라틴어였다. 중요한 문서에는 왕이 그의 아들 임레 왕자에게 한 훈계가 포함된 ''성 이슈트반의 훈계''가 있다.
헝가리 역사에 관한 최초의 연대기 중에는 익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진 헝가리인의 업적("Deeds of the Hungarians")과 케자의 시몬이 쓴 훈족과 헝가리인의 업적("Deeds of the Huns and the Hungarians")이 있다. 두 작품 모두 라틴어로 쓰여졌다. 이 연대기들은 역사와 전설을 섞어 쓰여져서 역사적으로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연대기는 1358년 칼트의 마르크가 루이 대왕을 위해 쓴 ''삽화 연대기''("Illustrated Chronicle")이다.
로제리우스의 13세기 작품은 15세기 후반에 투로치 연대기와 함께 출판되었다. 크로아티아의 일부인 스플리트에서 스플리트의 토마스는 13세기 헝가리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은 지역 역사를 저술했다. 당시 달마티아와 스플리트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2. 1. 헝가리 건국 이전
헝가리어의 역사는 기원전 1000년경 원시 헝가리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에 헝가리어는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인 오브-우그르어족과 분화되었다고 여겨진다.[1] 초기 헝가리 문학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민담과 민요를 통해 이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요소들이 남아 있다.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쓰여진 라틴어로 된 헝가리인의 기원과 헝가리 정복, 10세기 전투에 관한 헝가리 전설의 축약본도 남아있다.[1]초기에는 헝가리어가 룬 문자 비슷한 문자로 쓰였지만, 현대적 의미에서 문학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슈트반 1세(1000~1038년) 통치하에 기독교화된 후 라틴 알파벳으로 바뀌었다. 11세기 이전 시대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옛 헝가리어 시대는 헝가리인이 카르파티아 분지를 정복하고 정착하여 국가를 건설하기 시작한 89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티하니 수도원 건립 칙서(1055년)의 단편이다. 이 문서에는 "feheruuaru rea meneh hodu utu rea,"("페헤르바르로 가는 군사 도로로")와 같은 헝가리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1]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완전하고 연속적인 텍스트는 ''Halotti beszéd és könyörgés''으로, 1192~1195년경에 쓰여진 짧은 장례 설교이다.[1] 가장 오래된 시는 ''Ómagyar Mária-siralom'' (마리아 애가)로, 고드프루아 드 브레퇴유의 시를 라틴어에서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며, 가장 오래된 우랄어족 시이기도 하다.[1]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까지 서면 언어는 대부분 라틴어였다. 중요한 문서에는 왕이 그의 아들 임레 왕자에게 한 훈계가 포함된 ''성 이슈트반의 훈계''가 있다. 헝가리 역사에 관한 최초의 연대기로는 익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진 헝가리인의 업적과 시몬 케자이가 쓴 훈족과 헝가리인의 업적이 있으며, 두 작품 모두 라틴어로 쓰여졌다.[1] 1358년 칼트의 마르크가 루이 대왕을 위해 쓴 ''삽화 연대기''도 있다.
로제리우스의 13세기 작품은 15세기 후반에 투로치 연대기와 함께 출판되었다. 스플리트의 토마스는 13세기 헝가리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은 지역 역사를 저술했다.
2. 2. 헝가리 건국 이후
헝가리어의 역사는 기원전 1000년경 원시 헝가리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시기에 헝가리어는 가장 가까운 친척 언어인 오브-우그르어족과 분화되었다고 한다. 초기 헝가리 문학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민담과 민요를 통해 이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요소들이 남아 있다.[1] 또한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쓰여진 라틴어로 된 헝가리인의 기원과 헝가리 정복, 10세기 전투에 관한 헝가리 전설의 축약본이 남아 있다.[1]초기에는 헝가리어가 룬 문자 비슷한 문자로 쓰였지만, 현대적 의미에서 문학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슈트반 1세(1000~1038년) 통치하에 기독교화된 후 라틴 알파벳으로 바뀌었다. 11세기 이전 시대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옛헝가리어 시대는 헝가리인이 카르파티아 분지를 정복하고 정착하여 국가를 건설하기 시작한 89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최초의 기록물이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만들어졌다.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티하니 수도원 건립 칙서(1055년)의 단편으로, "feheruuaru rea meneh hodu utu rea,"("페헤르바르로 가는 군사 도로로," 수도원이 세워진 곳을 가리킨다)와 같은 몇몇 헝가리어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헝가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완전하고 연속적인 텍스트는 ''Halotti beszéd és könyörgés''으로, 약 1192~1195년에 쓰여진 간결하지만 감동적인 짧은 장례 설교이다.[1] 가장 오래된 시는 ''Ómagyar Mária-siralom''(마리아 애가)로, 고드프루아 드 브레퇴유의 시를 라틴어에서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다.[1] 또한 가장 오래된 우랄어족 시이기도 하다.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까지 서면 언어는 대부분 라틴어였다. 중요한 문서에는 왕이 그의 아들 임레 왕자에게 한 훈계가 포함된 ''성 이슈트반의 훈계''가 있다.
헝가리 역사에 관한 최초의 연대기 중에는 익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진 헝가리인의 업적("Deeds of the Hungarians")과 시몬 케자이가 쓴 훈족과 헝가리인의 업적("Deeds of the Huns and the Hungarians")이 있다. 두 작품 모두 라틴어로 쓰여졌다.
또 다른 연대기는 1358년 칼트의 마르크가 루이 대왕을 위해 쓴 ''삽화 연대기''("Illustrated Chronicle")이다.
로제리우스의 13세기 작품은 15세기 후반에 투로치 연대기와 함께 출판되었다. 크로아티아의 일부인 스플리트에서 스플리트의 토마스는 13세기 헝가리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은 지역 역사를 저술했다.
3. 중세 및 르네상스 문학 (15세기~17세기)
15세기에는 최초의 헝가리어 번역본이 등장했다. 보헤미아 종교 개혁가 얀 후스의 추종자인 트란실바니아 출신 설교가 토마스와 발렌타인이 예언서, 시편, 복음서를 번역했으며, 이때 사용된 어휘 중 상당수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1]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국왕(1458-1490) 통치 기간 동안 르네상스 문학이 번성했다. 야누스 판노니우스는 라틴어로 작품을 썼지만, 당대 유일한 주요 헝가리 인문주의 시인으로서 헝가리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1473년 안드라스 헤스가 부다에서 제작한 헝가리 최초의 초인본인 부다 연대기가 출판되었다.[3][4][5] 이는 15세기 유럽에서 다른 국가의 인쇄 역사가 민족사 출판으로 시작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는 사례이며,[3][4] 헝가리 출판은 잉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보다 앞섰다.[6] 1470년대 말 유럽에서 운영된 66개의 인쇄소 중 두 곳이 헝가리 왕국 (부다와 포조니(현재 브라티슬라바))에 있었다.[4]
1526년 헝가리 대부분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중세 헝가리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 시기 주요 시인으로는 발린트 발라시(1554-1594),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약 1510-1556), 미클로시 즈리니(1620-1664)가 있다. 발라시의 시는 연애시, 전쟁시, 종교시로 나눌 수 있으며 중세의 영향을 보여준다. 즈리니의 대표작 ''시게티 베세데렘''(시게트의 위험)(1648/49)은 일리아드 풍의 서사시로, 증조부가 시게트바르 전투에서 시게트바르 성을 방어하다 사망한 영웅적인 사건을 묘사한다.
로마 작가들의 번역 작품도 등장했는데,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는 16세기 후반 살루스투스의 ''카탈리나'''와 유구르타 전쟁을 번역했고, 10년 후에는 쿠르티우스 루푸스의 알렉산드로스 전기가 데브레첸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역사 관련 작품으로는 가스파르 헬타이의 연대기, 15세기 벨그라드 공성전에 관한 자이 페렌츠의 미출판 작품, 케메니 야노시의 트란실바니아 공작들, 미클로시 베틀렌의 회고록, 야노시 살라르디의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관한 방대한 미출판 작품, 미하이 츠세레이의 18세기 초 작품 등이 헝가리어 문학의 정수로 꼽힌다. 16세기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 페테르 일로스바이 셀리메시, 미하이 사바트카이, 게르겔리 보르네미스자 등의 역사시도 이 시대의 주요 작품군이다.
이스반 사모스쾨지,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 미클로시 이슈트반피, 야노시 베틀렌, 파르카시 베틀렌, 페렌츠 포르가치, 죄르지 세레미, 암브루스 소모지, 지안미켈레 브루토, 올라 미클로시 등은 16~17세기 주요 역사 작품을 라틴어로 저술했다. 독일어로는 게오르크 크라우스와 게오르크 차일러가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대해 저술했고, 스페인어로는 베르나르도 데 알다나가 1552년 튀르크에게 리파 성을 빼앗긴 것에 대한 변명을 남겼다.
종교 문학]에서는 1590년 Gönc의 프로테스탄트 목사 가스파르 카롤리가 번역한 성경이 가장 중요하다. 이 번역은 처음 출판된 마을의 이름을 따서 ''비졸리 성경''이라고 불린다. 1510년경 레아 라스카이가 이전 작품(현존하지 않음)을 베껴 쓴 ''성 마르가레타 전설''도 중요한 종교 작품이다.
3. 1. 중세 문학
15세기에는 최초의 번역본이 등장했는데, 얀 후스의 추종자인 트란실바니아 출신 설교가 토마스와 발렌타인이 예언서, 시편, 복음서 번역을 담당했으며, 이 때 만들어진 어휘의 상당 부분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1] 마티아스 국왕 통치기(1458-1490)에는 르네상스 문학이 번성했는데, 야누스 판노니우스는 라틴어로 저술했지만, 당시 유일한 헝가리 인문주의 시인으로서 헝가리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1473년에는 안드라스 헤스가 부다에서 헝가리 최초의 초인본인 부다 연대기를 출판하여, 헝가리 출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3][4][5] 이는 15세기 유럽에서 민족사의 출판으로 인쇄 역사가 시작된 최초의 사례로, 헝가리의 출판은 잉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보다 앞섰다.[3][4][6] 1470년대 말 유럽에서 운영된 66개의 인쇄소 중 두 곳이 헝가리 왕국에 있었다.[4]
1526년 헝가리 대부분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중세 헝가리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 시기의 중요한 시인으로는 발린트 발라시(1554-1594),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약 1510-1556), 미클로시 즈리니(1620-1664)가 있다. 발라시의 시는 연애시, 전쟁시, 종교시로 나눌 수 있으며 중세의 영향을 보여준다. 즈리니의 ''시게티 베세데렘''(시게트의 위험, 1648/49)은 일리아드 스타일의 서사시로, 증조부가 사망한 영웅적인 시게트바르 전투를 묘사한다.
로마 작가들의 번역 작품도 등장했는데,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는 살루스투스의 ''카탈리나'''와 유구르타 전쟁을, 10년 후에는 쿠르티우스 루푸스의 알렉산드로스 전기가 번역되었다. 역사 작품으로는 가스파르 헬타이의 연대기, 자이 페렌츠의 미출판 작품, 케메니 야노시의 트란실바니아 공작들, 미클로시 베틀렌의 회고록, 야노시 살라르디의 역사 작품, 미하이 츠세레이의 작품 등이 있다.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 페테르 일로스바이 셀리메시 등 역사적 시도 등장했다.
이 시대의 라틴어 작품으로는 이스반 사모스쾨지,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 등의 역사 작품이, 독일어로는 게오르크 크라우스 등의 트란실바니아 역사 작품이, 스페인어로는 베르나르도 데 알다나의 변명을 읽을 수 있다.
종교 문학 작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590년 가스파르 카롤리가 번역한 성경으로, ''비졸리 성경''이라고 불린다. 레아 라스카이가 베껴 쓴 ''성 마르가레타 전설''도 중요한 종교 작품이다.
3. 2. 르네상스 문학
최초의 헝가리어 번역본은 15세기에 등장했다. 보헤미아 종교 개혁가 얀 후스의 추종자인 트란실바니아 출신 설교가 토마스와 발렌타인이 예언서, 시편, 복음서를 번역했으며, 이때 사용된 어휘 중 상당수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1]마티아스 코르비누스 국왕(1458-1490) 통치 기간 동안 르네상스 문학이 번성했다. 야누스 판노니우스는 라틴어로 작품을 썼지만, 당대 유일한 주요 헝가리 인문주의 시인으로서 헝가리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1473년 안드라스 헤스가 부다에서 제작한 헝가리 최초의 초인본인 부다 연대기가 출판되었다.[3][4][5] 이는 15세기 유럽에서 다른 국가의 인쇄 역사가 민족사 출판으로 시작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는 사례이며,[3][4] 헝가리 출판은 잉글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보다 앞섰다.[6] 1470년대 말 유럽에서 운영된 66개의 인쇄소 중 두 곳이 헝가리 왕국 (부다와 포조니(현재 브라티슬라바))에 있었다.[4]
1526년 헝가리 대부분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중세 헝가리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 시기 주요 시인으로는 발린트 발라시(1554-1594),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약 1510-1556), 미클로시 즈리니(1620-1664)가 있다. 발라시의 시는 연애시, 전쟁시, 종교시로 나눌 수 있으며 중세의 영향을 보여준다. 즈리니의 대표작 ''시게티 베세데렘''(시게트의 위험)(1648/49)은 일리아드 풍의 서사시로, 증조부가 시게트바르 전투에서 시게트바르 성을 방어하다 사망한 영웅적인 사건을 묘사한다.
로마 작가들의 번역 작품도 등장했는데,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는 16세기 후반 살루스투스의 ''카탈리나'''와 유구르타 전쟁을 번역했고, 10년 후에는 쿠르티우스 루푸스의 알렉산드로스 전기가 데브레첸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역사 관련 작품으로는 가스파르 헬타이의 연대기, 15세기 벨그라드 공성전에 관한 자이 페렌츠의 미출판 작품, 케메니 야노시의 트란실바니아 공작들, 미클로시 베틀렌의 회고록, 야노시 살라르디의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관한 방대한 미출판 작품, 미하이 츠세레이의 18세기 초 작품 등이 헝가리어 문학의 정수로 꼽힌다. 16세기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 페테르 일로스바이 셀리메시, 미하이 사바트카이, 게르겔리 보르네미스자 등의 역사시도 이 시대의 주요 작품군이다.
이스반 사모스쾨지,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 미클로시 이슈트반피, 야노시 베틀렌, 파르카시 베틀렌, 페렌츠 포르가치, 죄르지 세레미, 암브루스 소모지, 지안미켈레 브루토, 올라 미클로시 등은 16~17세기 주요 역사 작품을 라틴어로 저술했다. 독일어로는 게오르크 크라우스와 게오르크 차일러가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대해 저술했고, 스페인어로는 베르나르도 데 알다나가 1552년 튀르크에게 리파 성을 빼앗긴 것에 대한 변명을 남겼다.
종교 문학]에서는 1590년 Gönc의 프로테스탄트 목사 가스파르 카롤리가 번역한 성경이 가장 중요하다. 이 번역은 처음 출판된 마을의 이름을 따서 ''비졸리 성경''이라고 불린다. 1510년경 레아 라스카이가 이전 작품(현존하지 않음)을 베껴 쓴 ''성 마르가레타 전설''도 중요한 종교 작품이다.
3. 3. 종교 개혁과 바로크 문학
15세기에는 최초의 번역본이 등장했는데, 얀 후스의 추종자인 트란실바니아의 두 설교가 토마스와 발렌타인이 예언서, 시편, 복음서 번역을 담당했으며, 이 때 만들어진 어휘의 상당 부분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1] 마티아스 국왕 통치기(1458-1490)에는 르네상스 문학이 번성했는데, 야누스 판노니우스는 라틴어로 저술했지만, 당시 유일한 헝가리 인문주의 시인으로서 헝가리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1473년에는 안드라스 헤스가 부다에서 제작한 헝가리 최초의 초인본인 부다 연대기가 출판되어, 헝가리 출판의 시작으로 여겨진다.[3][4][5] 이는 15세기 유럽에서 다른 어떤 국가의 인쇄 역사도 민족사의 출판으로 시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례가 없는 사례이다.[3][4] 1470년대 말 유럽에서 운영된 66개의 인쇄소 중 두 곳이 헝가리 왕국 (부다와 포조니(현재 브라티슬라바))에 있었다.[4]
1526년 헝가리 대부분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중세 헝가리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 시기 주요 시인으로는 발린트 발라시(1554-1594),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약 1510-1556), 미클로시 즈리니(1620-1664)가 있다. 발라시의 시는 연애시, 전쟁시, 종교시로 나눌 수 있으며 중세의 영향을 보여준다. 즈리니의 가장 중요한 작품인 ''시게티 베세데렘''(시게트의 위험, 1648/49)은 ''일리아드''의 스타일로 쓰여진 서사시로, 증조부가 시게트바르 성을 방어하다 사망한 영웅적인 시게트바르 전투를 묘사하고 있다.
로마 작가들의 번역 작품도 일부 등장했는데,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는 16세기 후반에 살루스투스의 ''카탈리나'''와 유구르타 전쟁을 번역했고, 10년 후에는 쿠르티우스 루푸스의 알렉산드로스 전기가 데브레첸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역사 작품으로는 가스파르 헬타이가 콜로즈바르에서 출판한 연대기, 15세기 벨그라드 공성전에 관한 자이 페렌츠의 미출판 작품, 케메니 야노시의 트란실바니아 공작들, 미클로시 베틀렌의 회고록, 야노시 살라르디의 베틀렌 통치 시대부터 1660년대까지의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관한 방대한 미출판 작품, 미하이 츠세레이의 18세기 초 작품 등이 있다. 16세기 세베스텟 띠노디 란토스, 페테르 일로스바이 셀리메시, 미하이 사바트카이, 게르겔리 보르네미스자 등의 역사시도 이 시대의 문학 범주에 포함된다.
이 시대의 라틴어 작품으로는 이스반 사모스쾨지, 야노시 바라냐이 데치, 미클로시 이슈트반피, 야노시 베틀렌, 파르카시 베틀렌, 페렌츠 포르가치, 죄르지 세레미, 암브루스 소모지, 지안미켈레 브루토, 올라 미클로시 등의 역사 작품이 중요하다. 독일어로는 게오르크 크라우스와 게오르크 차일러가 트란실바니아 역사에 대해 저술했으며, 스페인어로는 베르나르도 데 알다나의 1552년 튀르크에게 리파 성을 빼앗긴 것에 대한 변명을 읽을 수 있다.
종교 문학 작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590년 Gönc의 프로테스탄트 목사 가스파르 카롤리가 번역한 성경으로, ''비졸리 성경''이라고 불린다. 또 다른 중요한 종교 작품으로는 1510년경 레아 라스카이가 이전 작품(현존하지 않음)을 베껴 쓴 ''성 마르가레타 전설''이 있다.
4. 계몽주의와 언어 개혁 (18세기~19세기 초)
헝가리의 계몽주의 초기 작가들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근위병들이었다(죄르죄 베세네이, 야노시 바차니 등). 당시 가장 위대한 시인들은 미하이 쵸코나이 비테즈와 다니엘 베르제니였다.
헝가리어 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페렌츠 카진치였는데, 그는 헝가리어를 과학 이론화에 유용한 도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발명품을 설명하기 위해 '모즈도니'(mozdony)(기관차/mozdonyhu)와 같은 많은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이전에는 '로코모티브'(lokomotív)라는 외래어가 사용되었다.
4. 1. 계몽주의 문학
헝가리의 계몽주의 초기 작가들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근위병들이었다(죄르죄 베세네이, 야노시 바차니 등). 당시 가장 위대한 시인들은 미하이 쵸코나이 비테즈와 다니엘 베르제니였다.헝가리어 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페렌츠 카진치였는데, 그는 헝가리어를 과학 이론화에 유용한 도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발명품을 설명하기 위해 '모즈도니'(mozdony)(기관차/mozdonyhu)와 같은 많은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이전에는 '로코모티브'(lokomotív)라는 외래어가 사용되었다.
4. 2. 언어 개혁
헝가리의 계몽주의 초기 작가들은 마리아 테레지아의 근위병들이었다(죄르죄 베세네이, 야노시 바차니 등). 당시 가장 위대한 시인들은 미하이 쵸코나이 비테즈와 다니엘 베르제니였다.헝가리어 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페렌츠 카진치였는데, 그는 헝가리어를 과학 이론화에 유용한 도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발명품을 설명하기 위해 '모즈도니'(mozdony)(기관차/mozdonyhu)와 같은 많은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다. 이전에는 '로코모티브'(lokomotív)라는 외래어가 사용되었다.
5.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문학 (19세기)
5. 1. 헝가리 낭만주의 문학
5. 2. 헝가리 민족주의 문학
6. 사실주의와 근대 문학 (19세기 말~20세기 초)
6. 1. 헝가리 사실주의 문학
6. 2. 헝가리 근대 문학의 태동
7. 20세기 문학
7. 1. 전간기 문학
7. 2.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 문학
7. 3. 공산주의 시대 문학
7. 4. 1956년 헝가리 혁명과 문학
8. 현대 헝가리 문학 (1989년 이후)
8. 1. 민주화 이후의 문학
8. 2. 헝가리 문학과 한국
참조
[1]
백과사전
Hungarian literatur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
서적
A History of Hungarian Literatur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mid-1970s
http://mek.oszk.hu/0[...]
Clarendon Press
[3]
서적
Chronica Hungarorum 1473 (Fakszimile kiadás és kísérőkötet)
https://chronica.osz[...]
Országos Széchényi Könyvtár (National Széchény Library)
[4]
학술지
Megjelent a Budai krónika újabb hasonmás kiadása
https://magyarnemzet[...]
2023-05-28
[5]
웹사이트
1473. június 5-én jelent meg a Budai krónika
https://www.jakd.hu/[...]
2023-05-30
[6]
서적
Chronica Hungarorum
http://real-eod.mta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