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모시아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모시아닌은 연체동물과 절지동물의 혈액에서 산소 운반 역할을 하는 구리 함유 단백질이다. 1878년 문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두족류, 갑각류, 일부 육지 절지동물에서 발견된다. 헤모시아닌 슈퍼패밀리는 페놀 산화 효소, 헥사메린, 가짜 헤모시아닌, 헥사메린 수용체로 구성된다. 헤모시아닌은 헤모글로빈과 유사하게 산소를 운반하지만, 분자 구조와 메커니즘에서 차이가 있으며, 산소 결합 프로파일은 용해된 염 이온 수준 및 pH의 영향을 받는다. 헤모시아닌은 촉매 활성을 가지며, 항암 효과가 연구되었고, 환경에 대한 연구 사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 색소 - 헤메리트린
    헤메리트린은 헴 없이 두 개의 철 원자를 활성 부위에 가진 산소 운반 단백질로, 철 원자가 특정 아미노산 잔기를 통해 단백질에 결합하며 산화 환원 상태에 따라 분류되고, 특이적인 이산소 결합 메커니즘과 낮은 일산화 탄소 친화성을 가진다.
  • 금속단백질 - 광계
    광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며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광수집 복합체에 둘러싸인 반응 중심을 가지며 물 분해를 통해 전자를 얻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계 II와 NADPH를 생성하는 광계 I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금속단백질 -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빈은 근육 조직 내 산소 저장 단백질로, 헴기에 산소를 결합하며, 최초로 삼차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이고, 헤모글로빈보다 산소 친화력이 높으며, 붉은 고기 색 결정, 대체육 활용, 근육 손상 진단 등과 관련된다.
헤모시아닌
개요
유형호흡기 단백질
기능산소 운반
발견 동물일부 무척추동물 (갑각류, 거미류, 투구게 및 연체동물)
색상탈산소화 시 무색, 산소화 시 파란색
활성 부위두 개의 구리 원자
구조
아단위최대 8개 (연체동물), 최대 6개 (절지동물)
분자량50 kDa ~ 1.3 MDa
구리 함량0.25 ~ 0.35% (질량 기준)
특성
산소 결합 부위두 개의 구리 이온 (II)
산소 결합 친화도pH, 이산화탄소, 염화물 이온, 젖산 및 칼슘 이온에 의해 조절됨 (보어 효과 및 힐 계수)
면역 기능자연 면역 반응 활성화 (절지동물 혈청 hemocyanin)
기타 정보
참고혈액이 파란색을 띄는 원인

2. 종 분포

헤모시아닌은 1878년 레온 프레데릭에 의해 문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연체동물 내 구리의 존재는 1833년 바르톨로메오 비지오에 의해 더 일찍 발견되었다.[2] 헤모시아닌은 연체동물절지동물에서 발견되며, 두족류갑각류 외에도 Eurypelma californicum[3], 황제전갈[4], 지네인 ''Scutigera coleoptrata''와 같은 일부 육지 절지동물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많은 곤충 유충의 저장 단백질은 헤모시아닌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5]

3. 헤모시아닌 슈퍼패밀리

절지동물 헤모시아닌 슈퍼패밀리는 페놀 산화 효소, 헥사메린, 가짜 헤모시아닌 또는 크립토시아닌, 그리고 (쌍시류의) 헥사메린 수용체로 구성된다.[6]

페놀 산화 효소는 구리를 함유하는 티로시나제이다. 이 단백질은 절지동물 큐티클의 경화 과정, 상처 치유, 체액성 면역 방어에 관여한다. 페놀 산화 효소는 지모겐에 의해 합성되며, N-말단 펩타이드를 절단하여 활성화된다.[7]

헥사메린은 곤충에서 흔히 발견되는 저장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유충의 지방체에서 합성되며 탈피 주기 또는 영양 상태와 관련이 있다.[8]

가짜 헤모시아닌과 크립토시아닌의 유전자 염기 서열은 갑각류의 헤모시아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단백질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구리 결합 부위가 없다.[9]

4. 구조 및 메커니즘

헤모시아닌의 호흡 기능은 헤모글로빈과 유사하지만, 분자 구조와 메커니즘에서 상당한 수의 차이점이 있다. 헤모글로빈은 원자를 포르피린 고리( 그룹)에 가지고 있는 반면, 헤모시아닌의 구리 원자는 히스티딘 잔기에 의해 배위된 보결 분자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각 헤모시아닌 단량체는 여섯 개의 히스티딘 잔기의 이미다졸 고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두 개의 구리(I) 양이온을 제자리에 고정한다.[11] 헤모시아닌을 산소 수송에 사용하는 종에는 낮은 산소 압력을 가진 차가운 환경에 사는 갑각류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헤모글로빈의 산소 수송은 헤모시아닌의 산소 수송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12] 온난한 기후에 사는 육상 절지동물(거미, 전갈 등)도 헤모시아닌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헤모시아닌은 산소와 비협동적 결합으로 결합하며, 혈액량당 산소 수송 효율이 헤모글로빈의 약 1/4 정도이다. 말굽게 및 일부 다른 절지동물 종의 일부 헤모시아닌에서는 1.6–3.0의 힐 계수로 협동적 결합이 관찰된다. 비교를 위해 헤모글로빈은 일반적으로 2.8–3.0의 힐 계수를 갖는다.[14]

헤모시아닌은 각각 두 개의 구리 원자를 포함하고 하나의 산소 분자(O2)를 결합할 수 있는 많은 개별 소단위 단백질로 구성된다. 각 소단위는 약 75 킬로달톤 (kDa)의 무게를 갖는다. 소단위는 종에 따라 단백질 이량체 또는 육량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량체 또는 육량체 복합체는 마찬가지로 1500 kDa을 초과하는 무게를 가진 사슬 또는 클러스터로 배열된다. 헤모시아닌의 큰 크기 때문에, 헤모글로빈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혈액 내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는 형태로 발견된다.[15]



육량체는 절지동물 헤모시아닌의 특징이다.[17] 타란툴라 ''Eurypelma californicum''[3]의 헤모시아닌은 4개의 육량체 또는 24개의 펩타이드 사슬로 구성된다. 집지네 ''Scutigera coleoptrata''[18]의 헤모시아닌은 6개의 육량체 또는 36개의 사슬로 구성된다. 말굽게는 8개의 육량체(즉, 48개 사슬) 헤모시아닌을 가지고 있다. 단순 육량체는 바위새우 ''Panulirus interruptus''와 대왕 등각류 ''Bathynomus giganteus''에서 발견된다.[17]

5. 촉매 활성

헤모시아닌은 히스티딘 잔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티로시나아제와 같은 페놀 산화 효소와 상동성을 갖는다. 이는 "3형" 구리 결합 배위 중심이라고 불린다. 티로시나아제와 카테콜 산화 효소 또한 마찬가지이다.[19] 두 경우 모두 효소의 비활성 전구체(자이모겐 또는 프로효소라고도 함)를 먼저 활성화해야 한다. 이는 프로효소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활성 부위로의 입구 채널을 막는 아미노산을 제거하여 수행된다. 현재 프로효소를 활성화하고 촉매 활성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다른 알려진 수정 사항은 없다. 입체 차이는 헤모시아닌이 수행할 수 있는 촉매 활성의 유형을 결정한다.[20] 헤모시아닌은 페놀 산화 효소 활성을 나타내지만, 활성 부위에서의 더 큰 입체 벌어짐으로 인해 속도가 느려진다. 부분적인 변성은 실제로 활성 부위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헤모시아닌의 페놀 산화 효소 활성을 향상시킨다.[1][19]

6. 분광학적 특성

붉은 바위 게(''Cancer productus'')의 '''갑각''' 뒷면. 보라색은 헤모시아닌에 의해 발생한다.


옥시헤모시아닌의 분광학은 몇 가지 주요 특징을 보여준다.[21]

  • 공명 라만 분광법은 O|2영어가 대칭적인 환경에서 결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ν(O-O)는 IR 활성이 아님)
  • 옥시Hc는 EPR 비활성이며, 이는 짝을 이루지 않은 전자가 없음을 나타낸다.
  • 적외선 분광법은 755 cm−1의 ν(O-O)를 보여준다.


헤모시아닌 활성 부위의 합성 유사체를 준비하는 데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다.[21] 그러한 모델 중 하나는 페록소 리간드에 의해 측면으로 연결된 한 쌍의 구리 중심을 특징으로 하며, 741 cm−1에서 ν(O-O)를 보여주고 349 및 551 nm에서 흡광도를 갖는 UV-Vis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이 두 가지 측정 모두 옥시Hc에 대한 실험적 관측과 일치한다.[22] 모델 복합체의 Cu-Cu 분리는 3.56 Å이고, 옥시헤모시아닌의 Cu-Cu 분리는 약 3.6 Å이다(데옥시Hc: 약 4.6 Å).[22][23][24]

7. 항암 효과

칠레 전복 ''콩코레파스 콘콜레파스''의 헤모시아닌은 생쥐 모델에서 방광암에 대한 면역 치료 효과가 있다.[25] 방광 종양 세포 이식을 하기 전에 ''C. 콘콜레파스''로 전처치한 생쥐는 ''C. 콘콜레파스'' 헤모시아닌으로 치료했을 때 생존 기간 연장, 종양 성장 및 발병률 감소, 독성 효과 없음과 같은 항종양 효과를 보였다. 이는 표재성 방광암의 미래 면역 요법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25]

키홀 삿갓 조개 헤모시아닌 (KLH)은 해양 연체동물 ''메가투라 크레눌라타''에서 추출한 면역 자극제이다. KLH는 시험관 내에서 투여했을 때 유방암, 췌장암,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에 대한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홀 삿갓 조개 헤모시아닌은 세포 사멸의 아폽토시스 및 비아폽토시스 기전을 통해 인간 바렛 식도암의 성장을 억제한다.[26]

8. 환경 영향 연구 사례

2003년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의 혈액 대사 물질 및 헤모시아닌이 배양 조건에 따라 받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특히 옥시헤모시아닌을 포함한 헤모시아닌의 수준은 식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27] 이 연구에서는 실내 연못에서 상업용 사료를 먹는 흰다리새우와, 야외 연못에서 자연 활성 먹이와 같이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는 단백질원을 섭취하는 흰다리새우의 옥시헤모시아닌 수준을 비교했다. 옥시헤모시아닌과 혈당 수치는 야외 연못의 새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27] 또한 게, 바닷가재, 실내 새우와 같이 활동 수준이 낮은 종들의 혈액 대사 물질 수치는 야외 새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27] 이러한 상관관계는 갑각류의 형태적, 생리학적 진화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혈액 단백질 및 대사 물질의 수치는 에너지 요구량과 이러한 에너지원의 가용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27]

참조

[1] 논문 Diverse immune functions of hemocyanins 2014-07
[2] 논문 The pre-history of hemocyanin. The discovery of copper in the blood of molluscs http://link.springer[...] 1992
[3] 논문 Complete sequence of the 24-mer hemocyanin of the tarantula Eurypelma californicum. Structure and intramolecular evolution of the subunits 2000-12
[4] 논문 Crystallization and preliminary analysis of crystals of the 24-meric hemocyanin of the emperor scorpion (Pandinus imperator)
[5] 논문 Evolution of arthropod hemocyanins and insect storage proteins (hexamerins) 1994-05
[6]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arthropod hemocyanins and related proteins 2002-02
[7] 논문 The prophenoloxidase-activating system in invertebrates 2004-04
[8] 논문 Hemolymph Proteins and Molting in Crustaceans and Insects 1999
[9] 논문 Cryptocyanin, a crustacean molting protein: evolutionary link with arthropod hemocyanins and insect hexamerins 1999-03
[10]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the arthropod hemocyanin superfamily 2001-02
[11] 논문 Solvation of copper ions by imidazole: structures and sequential binding energies of Cu+(imidazole)x, x = 1-4. Competition between ion solvation and hydrogen bonding 2005-03
[12] 논문 Influence of temperature, hypercapnia, and development on the relative expression of different hemocyanin isoforms in the common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https://epic.awi.de/[...] 2012-12
[13] 논문 Extreme thermostability of tarantula hemocyanin 1995-05
[14] 논문 Influence of antibody binding on oxygen binding behavior of Panulirus interruptus hemocyanin 1997-05
[15] 논문 The structure of arthropod and mollusc hemocyanins 1975-05
[16]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3.8-MDa Respiratory Supermolecule Hemocyanin at 3.0 Å Resolution 2015
[17] 서적 Advances in Protein Chemistry Academic Press
[18] 논문 Complete subunit sequences,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6 x 6-mer hemocyanin from the common house centipede, Scutigera coleoptrata 2003-07
[19] 논문 Tyrosinase/catecholoxidase activity of hemocyanins: structural basis and molecular mechanism 2000-08
[20] 논문 Similar enzyme activation and catalysis in hemocyanins and tyrosinases 2007-08
[21] 논문 Copper-Oxygen Complexes Revisited: Structures, Spectroscopy, and Reactivity 2017-02
[22] 논문 A new model for dioxygen binding in hemocyani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structure of the μ-η2:η2 peroxo dinuclear copper(II) complexes, [Cu(BH(3,5-R2pz)3)]2(O2) (R = i-Pr and Ph) 1992
[23] 논문 3.2 Å structure of the copper-containing, oxygen-carrying protein Panulirus interruptus haemocyanin
[24] 논문 Crystal Structure and Reversible O2-Binding of a Room Temperature Stable μ-η2:η2-Peroxodicopper(II) Complex of a Sterically Hindered Hexapyridine Dinucleating Ligand 1999
[25] 논문 This Month in Investigative Urology
[26] 논문 Keyhole limpet hemocyanin, a novel immune stimulant with promising anticancer activity in Barrett's esophageal adenocarcinoma 2003-11
[27] 논문 Blood metabolites and hemocyanin of the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The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and a comparison with other crustacean species
[28] 간행물 血液の話:血液の色 http://www.csj.jp/ch[...] 日本化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