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텝세켐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텝세켐위는 이집트 제2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로, 기원전 29세기 경에 통치했다. 그의 이름은 "두 권력이 화해했다" 또는 "권력에서 기쁘게 하다"라는 의미로,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화해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헤텝세켐위의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지만, 정치적 혼란기를 거쳐 왕위에 올랐을 것으로 추정되며, "빛나는 별의 호루스"라는 새로운 왕실 거주지를 건설하고, 신전과 예배당을 세웠다. 그의 무덤은 사카라의 지하 갤러리 무덤 A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9세기 파라오 - 라네브
라네브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세레크 이름은 태양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호루스와 세트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종교적 특징을 보이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 기원전 29세기 파라오 - 니네체르
니네체르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은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팔레르모 석비에는 그의 통치 기간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가 기록되어 있고, 그의 통치 시기에는 태양 숭배 발전과 행정 시스템 변화가 있었으며, 통치 말기에는 정치적 혼란과 왕국 분열 가능성이 제기되고, 그의 무덤은 북 사카라에 위치한다. - 기원전 29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왕조
이집트 제1왕조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전 30세기까지 이집트를 통치하며 통일 국가를 형성하고 상형 문자, 건축, 예술 등을 발전시켰으며,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덴 등의 파라오들이 통치했다. - 기원전 29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왕조
이집트 제2왕조는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한 역사 파악이 어렵지만, 마네토의 기록과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일부 파라오의 이름과 재위 기간, 왕권 변화와 상·하 이집트 통일 시도, 그리고 마지막 왕 카세켐위 시대에 왕권 안정화 후 제3왕조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고대 이집트 왕조이다. - 기원전 29세기 통치자 - 길가메시
길가메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영웅이자 《길가메시 서사시》의 주인공으로, 반신반인의 존재로서 죽음과 불멸에 대한 고뇌, 친구와의 우정, 숲의 수호자와의 전투 등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며 후대에 신격화되어 명계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 기원전 29세기 통치자 - 낀즈엉브엉
《대월사기전서》등 베트남 역사서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인물 낀즈엉브엉은 염제 신농의 증손으로 남쪽을 다스렸으며, 락 롱꿘의 아버지로서 훙왕의 조상으로 숭배받지만, 응오 티 시 등 일부 역사가들은 그의 기록이 소설에서 차용되었다고 비판한다.
헤텝세켐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호루스 이름 | 호르-호테프세켐위 (Hr.-htp-sxm.wj, 두 권력의 화해) |
네브티 이름 | 세호테프-네브티 (S.htp-nbt.j, 두 여신을 진정시키는 자) |
아비도스 왕 목록 | 베자우 (Bḏ3.w, 제련업자) |
사카라 왕 목록 | 네체르바우 (Nṯr-b3.w, 바의 신성함) |
토리노 왕 목록 | ...바우-호테프유 (...b3.w-htp.w, ...바가 만족함) |
기자의 서기판 (6왕조) | 베자타우 (Bḏ3-t3.w, 제련업자) |
통치 기간 | 25–29년 |
왕조 | 제2왕조; 기원전 2890년경 시작 |
이전 통치자 | 불확실; 카아, 스네페르카, 또는 호루스 새 |
다음 통치자 | 라네브 |
이름 | |
탄생명 | 니수트-비트-네브티-호테프 (Nsw.t-btj-nbt.j-htp,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 두 여신의 소유자, 만족한 자) |
가족 | |
자녀 | 페르네브와 라네브 (?) |
생애 | |
매장지 | 갤러리 무덤 A, 사카라 (?) |
기타 |
2. 이름의 기원과 의미
호텝세켐위의 이름은 사카라, 기자, 바다리, 아비도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 봉인 인장, 석조 용기, 뼈 실린더 등의 유물을 통해 확인되었다. 여러 석조 용기 비문에는 호텝세켐위와 그의 후계자 라네브의 이름이 함께 언급되어 있다.[6][7][8][9]
호텝세켐위의 호루스 이름에 포함된 "호텝"이라는 단어는 "평화로운", "기쁘게 하다"라는 뜻 외에도 "화해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호텝세켐위의 전체 이름은 "두 권력이 화해했다" 또는 "권력에서 기쁘게 하다"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두 권력"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 그리고 주요 신인 호루스와 세트를 가리킬 수 있다.[6][15][10]
호텝세켐위 통치 이후부터 호루스 이름과 네브티 이름을 동일하게 쓰는 전통이 확립되었다. 이는 왕위에 오른 후에 호루스 이름을 채택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6]
2. 1. 이름 오독

호텝세켐위는 람세스 시대의 카르투슈 이름과 동일시되는데, 아비도스 왕 목록의 '베자우', 기자의 '베자타우', 사카라 왕 목록의 '네테르-바우', 토리노 왕실 연대기의 '바우-호텝주'가 있다. 이집트학자 볼프강 헬크는 고위 관료 메제루의 마스타바 무덤 '''G1001'''에서 발견된 필기판에 있는 짧은 왕 목록에 나타나는 유사한 이름 '베자타우'를 지적한다. "베자타우"는 "주조공"을 의미하며 "호텝세켐위"의 오독으로 생각되는데, "호텝"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 상형 문자 기호가 신관 문자에서 도자기 가마와 병아리 기호와 매우 유사했기 때문이다. 두 개의 ''세켐'' 홀 기호는 다리와 드릴로 오독되었다. 카세켐위 왕의 경우에도 호루스 이름의 두 개의 홀이 두 개의 다리 기호 또는 두 개의 드릴 기호로 오독되는 유사한 현상이 발생했을 수 있다. 아비도스 왕 목록은 고대 이집트 왕국 이름 형태인 "베자타우"를 모방한다.[6] "네테르바우"와 "바우-호텝주"라는 이름은 이집트학자들이 호텝세켐위 시대의 이름을 찾을 수 없어 문제가 된다.
호텝세켐위의 이름은 고대에 베자우로 오독되었으며, 오래된 문헌에는 이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23]
3. 가족
호텝세켐위의 왕비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왕의 아들"이자 "소프두의 사제"였던 ''페르네브''가 그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지만, 페르네브의 이름과 직함이 적힌 점토 인장이 헤텝세켐위와 그의 계승자인 라네브 두 왕에게 모두 해당되는 갤러리 무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페르네브가 누구의 아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1][12]
4. 정체성
호텝세켐위의 이름은 사카라, 기자, 바다리와 아비도스에서 점토 봉인 인장, 석조 용기 및 뼈 실린더를 통해 고고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여러 석조 용기 비문은 호텝세켐위와 그의 후계자 라네브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6][7][8][9]
호텝세켐위는 일반적으로 람세스 시대의 카르투슈 이름과 동일시되는데, 아비도스 왕 목록의 ''베자우'', 기자의 ''베자타우'', 사카라 왕 목록의 ''네테르-바우'', 그리고 토리노 왕실 연대기의 ''바우-호텝주''가 있다. 이집트학자 볼프강 헬크는 고위 관료 메제루의 마스타바 무덤 '''G1001'''에서 발견된 필기판에 있는 짧은 왕 목록에 나타나는 유사한 이름 ''베자타우''를 지적한다. "베자타우"는 "주조공"을 의미하며 "호텝세켐위"의 오독으로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호텝"을 전체 형태로 표기하는 데 사용된 상형 문자 기호가 신관 문자에서 도자기 가마와 병아리의 기호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두 개의 ''세켐'' 홀의 기호는 다리와 드릴로 오독되었다.
현대 학자들이 얻을 수 있는 호텝세켐위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적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기원전 305년-기원전 30년)에 마네토에 의해 기록된 『이집트사(Αἰγυπτιακά)』에서는 제2왕조의 첫 번째 왕의 이름은 보에토스이며, 그의 치세 동안 부바스티스에서 지진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한다.[24]
현대 학자들은 제2왕조의 초대 왕명을 호텝세켐위로 보고 있다. 제2왕조의 처음 3명의 왕명은 헤테프디에프라는 신관·관료의 상(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 기재되어 있으며[26][23], 호텝세켐위라는 이름은 "두 힘을 만족시킨다[26]", "두 힘은 평화롭다[23]"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또한 호텝세켐위의 이름은 고대에는 베자우로 오독되었으며, 오래된 문헌에는 이 이름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23]
5. 통치
호텝세켐위의 통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동시대 자료에 따르면 그는 호루스 버드와 스네페르카와 같은 단명한 통치자를 포함한 정치적 혼란기를 거쳐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스네페르카는 카아 왕이 잠시 사용한 다른 이름으로 여겨진다.) 제1왕조 말에 카아 왕의 무덤이 약탈당했다가 호텝세켐위 재위 기간에 복원된 점, 그리고 호텝세켐위라는 이름이 가진 화해적인 의미는 왕조 투쟁의 단서일 수 있다는 것이 이집트학자 볼프강 헬크, 디트리히 빌둥, 조지 라이스너의 지적이다. 헬크는 스네페르카와 호루스 버드 왕이 이집트 왕위를 놓고 벌인 투쟁이 제1왕조 붕괴의 요인이 되었기 때문에 후대의 왕 목록에서 누락되었다고 추정한다.[6][15][16]
현대 학자들은 제2왕조의 초대 왕명을 헤테프세켐위로 보고 있다. 제2왕조의 처음 3명의 왕명은 헤테프디에프라는 신관·관료의 상(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 기재되어 있으며,[26][23] 헤테프세켐위라는 이름은 "두 힘을 만족시킨다[26]", "두 힘은 평화롭다[23]"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이름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라는 두 나라, 더 나아가 각각의 수호신인 호루스와 세트의 화해를 의미한다고 해석되어, 제1왕조 말기의 혼란을 평정한 왕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억측이 종종 제기된다.[26][23]
봉인 인장은 호텝세켐위가 "빛나는 별의 호루스"라는 새로운 왕실 거주지를 건설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는 또한 부토 근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신인 ''네테르-아크티''를 위한 사원을 짓고 "백관 예배당"을 설립했다. 백관은 상 이집트의 상징으로, 이는 호텝세켐위 왕조의 기원에 대한 또 다른 단서이자 정치적 권력의 유력한 근원으로 여겨진다.[6][17]
호텝세켐위에게는 페르네브라는 아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27] 그의 형제, 또는 또 다른 아들인 라네브가 뒤를 이었다.
5. 1. 세드 축제
나빌 스웨림과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호텝세켐위의 재위 기간 동안 세드 축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통치자가 30년 이상 통치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세드 축제는 30년의 재위를 기념하는 기념일로 기념되었다.[18]5. 2. 마네토의 기록
고대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는 호텝세켐위를 '보에토스'(이름 '베자우'에서 변경된 것으로 보임)라고 불렀으며, 이 통치자 재위 기간 동안 "부바스티스 근처에 깊은 구덩이가 열리고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보고했다.[4] 마네토가 기원전 3세기에 썼고 왕의 실제 재위 이후 2천 년이 넘었지만,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이 일화가 사실에 근거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부바스티스 근처 지역이 지진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4]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기원전 305년-기원전 30년)에 마네토에 의해 기록된 『이집트사(Αἰγυπτιακά)』에서는 제2왕조의 첫 번째 왕의 이름은 보에토스이며, 그의 치세 동안 부바스티스에서 지진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한다.[24]6. 무덤
플린더스 페트리, 알레산드로 바르산티, 토비 윌킨슨과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헤텝세켐위의 무덤이 사카라에 있는 우나스 네크로폴리스의 장례 통로 아래에 있는 거대한 지하 '갤러리 무덤 A'일 수 있다고 믿는다. 이 갤러리에서 헤텝세켐위 왕의 많은 인장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볼프강 헬크와 페터 문로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갤러리 무덤 B'가 라네브 왕의 매장지라고 생각한다. 그곳에서도 라네브의 인장들이 여러 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9][19][20][21][22]
더 일반적인 이론은 헤텝세켐위와 그의 아들 라네브가 무덤 A를 공유했다는 것이다.
참조
[1]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Reissued.
Griffith Institute, Oxford
1997
[2]
간행물
Two old writing boards from Giza.
http://www.gizapyram[...]
1987
[3]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Griffith Institute of Oxford, Oxford (UK)
1997
[4]
서적
Manetho (The Loeb Classical Library, Volume 350)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2004
[5]
서적
Die Rolle ägyptischer Könige im Bewusstsein ihrer Nachwelt. Teil 1: Posthume Quellen über die Könige der ersten vier Dynastien
Deutscher Kunstverlag, München/Berlin
1969
[6]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Ägyptologische Abhandlungen)
Harrassowitz, Wiesbaden
1987
[7]
서적
Qau and Badari I
British School of Archaeology in Egypt 44, London
1927
[8]
간행물
Notes sur les objets recueillis sous la pyramide d'Ounas
1902
[9]
서적
Die Siegelabrollungen von Hetepsechmui und Raneb aus Saqqara
Peeters, Leuven
2006
[10]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London
2006
[11]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y, Society and Security.
Routledge, London u. a.
1999
[12]
서적
Inschriften der Ägyptischen Frühzeit
Harrassowitz, Wiesbaden
1963
[13]
간행물
Two Old Kingdom writing boards from Giza
1987
[14]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Düsseldorf
2002
[15]
서적
'"Er ist ein Liebling der Frauen" – Ein "neuer" König und eine neue Theorie zu den Kronprinzen sowie zu den Staatsgöttinnen (Kronengöttinnen) der 1./2. Dynastie'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Wien
2006
[16]
서적
Die Rolle ägyptischer Könige im Bewußtsein ihrer Nachwelt
[17]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1999
[18]
서적
Some Problems on the History of the Third Dynasty
Archaeological Society, Alexandria
1983
[19]
간행물
Annales du service des antiquités de lÉgypte - Súppleménts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Kairo
1902
[20]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1999
[21]
서적
Wirtschaftsgeschichte des alten Ägypten im 3. und 2. Jahrtausend vor Chr.
Brill, Leiden
1975
[22]
서적
Der Unas-Friedhof Nordwest I
Von Zabern, Mainz
1993
[23]
문서
"#ライス 2022, p. 399, 「ホテプセケムウィ」の項目より"
[24]
문서
"#フィネガン 1983, p. 217"
[25]
문서
"#マネトーン断片集, 第1巻"
[26]
문서
"#河合 2021, p. 74"
[27]
웹사이트
The Genealogies of the Dynasties
http://horizontea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