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트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트만(Hetman)은 고대 고지 독일어 '하우프트만'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중세 시대에는 우두머리를, 현대 독일어에서는 소령을 의미한다. 1505년 폴란드 왕국에서 처음 헤트만 직책이 창설되었으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기에는 국왕 다음가는 통수권을 행사했다.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헤트만 직위가 폐지되었다. 16세기 말 자포리자 코사크의 수장 또한 헤트만으로 불렸으며, 164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 봉기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전체의 지도자가 되었다. 1667년 우크라이나 분할 이후 좌안 우크라이나의 헤트만직은 1764년 폐지되었고, 1918년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가 '전 우크라이나 헤트만'을 칭하며 군주제 국가를 수립하기도 했다. 보헤미아에서는 주지사를, 루마니아와 몰다비아 공국에서는 군에서 공작 다음 계급을 의미하기도 하며, 비유적으로 지휘관 또는 지도자를 뜻하기도 한다. 체스에서 퀸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우프트만de(Hauptmann)[9]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며, '하우트'(Haupt)는 '머리(head)' 또는 'main'을, '만'(Man)은 '사람'을 의미한다. 하우프트만은 중세에는 일반적인 군사 관계 칭호였고, '우두머리'(captain)라는 의미였으나, 현대에는 육해공군의 소령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독일어 '하우프트만'이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의 '헤트만'에서 파생되었다는 의견도 있으나, 가능성은 낮다. 폴란드와 프로이센 국가는 오랜 기간 접촉하며 군사 및 행정 어휘 등 여러 분야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10]
1505년 폴란드 왕국에서 헤트만 직책이 처음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중요한 전투나 전쟁이 있을 때만 임명되는 임시직이었으나, 1581년부터 상설직으로 바뀌었다.[4]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때는 대(大)헤트만(Hetman wielki)과 야전 헤트만(Hetman polny)이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에 각각 있어서, 모두 3~4명의 헤트만이 있었다.
16세기 말, 자포리자의 코사크 수장들은 키슈의 오타만 대신 '헤트만' 칭호를 사용했다. (예: 최초의 자포리자 헤트만 크시슈토프 코신스키) 1572년, 헤트만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등록 코사크군 사령관이 되었다. 1648년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봉기 이후, 헤트만은 우크라이나 전체의 지도자이자 헤트만 국가의 통치자가 되었다. 우크라이나 헤트만은 선출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코사크 수장국의 우두머리로서 최고 군사령관이자 최고 입법권자로서 강력한 권한을 행사했다.[6]
보헤미아에서 헤트만(hejtmancs)은 15세기 후스 전쟁 이후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체코 지역(krajcs)의 선출된 주지사를 뜻하는 용어이다.[7]
헤트만은 비유적으로 '지휘관' 또는 '지도자'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1]
뉴스
The Cossacks: A super-ethnos in Russia's ribs
1996-12-21
2. 어원
'헤트만(hetman)'이라는 용어는 폴란드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체코어를 거쳐 튀르크어의 칭호인 '아타만(ataman)'(말을 탄 사람들의 아버지라는 뜻)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2] 그러나 독일어 Hauptmannde – 대장(captai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3] 헤트만이라는 칭호가 15세기에 체코에서 처음 등장했으므로, 튀르크어에서 유래했다고 가정하면 쿠만인에 의해 체코인들에게 소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고지 독일어의 '하우프트만'(Hauptmann)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 Haupt는 '머리'(수도)」, (중앙역)」 등 「정점, 중심」이라는 파생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de, mann은 '사람'을 각각 의미한다. 폴란드와 프로이센 국가는 군사 어휘(Rittmeister/rotmistrz)나 행정 어휘(Rathaus/ratusz, Bürgermeister/burmistrz) 등의 분야에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단, 이 단어는 아마도 체코어를 통해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3. 폴란드 및 리투아니아
1585년부터 헤트만은 반역을 저지르지 않으면 평생 자리를 지켰으며, 국왕 다음가는 군 통수권을 가졌다.[4] 얀 카롤 호드키에비치처럼 죽음을 앞두고도 군대를 지휘할 만큼 권한이 컸다. 1585년 이전에는 얀 자모이스키가 전임자 미코와이 므예레츠키가 살아있는데도 헤트만 자리를 이어받기도 했다.
국왕은 헤트만을 해임할 수 없었기 때문에, 헤트만은 자기 뜻대로 정책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국왕이 약하고 헤트만이 유능할 때는 효과적이었지만, 1648년 미코와이 포토츠키처럼 반대일 경우에는 비극적인 결과를 낳기도 했다.(대홍수 시대)
1776년 개혁으로 헤트만의 권한은 줄어들었고,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과 함께 헤트만 직위는 사라졌다. 헤트만 직위가 없어진 뒤 행정권은 대판관에게 넘어갔고, 의회는 의원내각제 정비를 통해 견제 기능을 강화했다. 1791년 5월 3일 헌법은 이러한 변화를 명확히 담았으나, 폴란드 분할로 민주주의 개혁은 좌절되었다.
4. 우크라이나
1667년 안드루소보 조약으로 우크라이나가 드네프르강을 기준으로 분할되면서, 우크라이나 코사크는 우안 코사크(폴란드령)와 좌안 코사크(코사크 헤트만 국가, 러시아령)로 나뉘었다.
러시아 제국령 좌안 우크라이나에서는 1764년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코사크 헤트만직이 폐지되었다. 마지막 자포리자 군 헤트만(우크라이나 헤트만의 정식 칭호)은 키릴로 로주모프스키였다.[6]
헤트만 칭호는 1917년부터 1920년 사이 우크라이나 혁명기에 부활했다. 1918년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는 독일의 지원을 받아 '전 우크라이나 헤트만'을 칭하며 군주제 국가(우크라이나국)를 수립했으나, 같은 해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에 의해 전복되었다.
5. 보헤미아, 루마니아, 몰다비아
루마니아와 몰다비아 공국에서 헤트만은 군주(voievodro) 다음가는 군사 계급이었다.
6. 기타 용례
체스에서 퀸은 폴란드어로 '헤트만'이라고 하며, 대수 기보에서는 '''H'''로 표기된다.
참조
[2]
웹사이트
Ataman
http://www.cossackwe[...]
2012-07-06
[3]
서적
Concise Oxford English Dictionary: Luxury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
서적
The Khotyn Campaign of 1621: Polish, Lithuanian and Cossack Armies versus Might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Helion and Company
[5]
서적
The Cossacks and Religion in Early Modern Ukraine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01-11-01
[6]
서적
Kiev
https://www.degruy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zechia
https://eurydice.eac[...]
European Commission
2024-04-03
[8]
서적
Mother
https://archive.org/[...]
D. Appleton–Century Company
1906
[9]
서적
옥스퍼드 영어 사전
[10]
서적
Słownik Języka Polskiego P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