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싱키 선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싱키 선언은 1964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처음 채택된, 의학 연구 윤리에 관한 세계의사협회의 지침이다. 뉘른베르크 강령과 제네바 선언을 기반으로, 임상 연구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며, 연구 대상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헬싱키 선언은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왔으며, 주요 개정 내용을 통해 연구 대상자 보호, 윤리 위원회 감독 강화, 사회 정의 개념 도입, 연구 결과 공개 의무 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은 헬싱키 선언을 바탕으로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 의무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의학 연구 윤리 수준을 향상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위약 사용, 연구 종료 후 치료 접근성, 선언의 강제성 등 여러 쟁점에서 비판과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구 윤리 - 비식별화
비식별화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식별 가능 정보를 제거 및 변경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유용성을 유지하면서 필요시 복원 가능하다는 점에서 익명화와 구별되며, 재식별 가능성 및 기술적 한계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연구 윤리 - 스탠퍼드 감옥 실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1971년 필립 짐바르도가 수행한 심리학 실험으로, 평범한 사람들이 역할과 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가상의 감옥 환경을 조성하여 교도관과 수감자 역할을 부여했으며, 상황적 요인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력 및 복종의 심리학을 보여주었지만 윤리적 문제로 비판받았다.
| 헬싱키 선언 | |
|---|---|
| 헬싱키 선언 | |
| 기본 정보 | |
| 종류 | 윤리적 원칙 선언 |
| 주제 | 인간 대상 의학 연구 |
| 제정 기관 | 세계 의사 협회 |
| 초판 제정일 | 1964년 |
| 최근 개정일 | 2013년 10월 |
| 원문 | JAMA |
| 한국어 번역 | 세계 의사 협회 |
| 역사 | |
| 배경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강령 발표 인간 대상 연구 윤리 문제 제기 |
| 초판 제정 | 1964년 핀란드 헬싱키 |
| 주요 목적 | 인간 대상 의학 연구 윤리 기준 제시 연구 대상자의 권리 보호 |
| 개정 과정 |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름 |
| 주요 개정 내용 | 연구 동의 요건 강화 취약 계층 연구 참여에 대한 추가 보호 임상 시험 투명성 강화 연구 결과 접근성 확대 연구의 윤리적 심사 절차 강화 위약 사용에 대한 엄격한 제한 |
| 주요 원칙 | |
| 연구 참여자의 자발적 동의 | 연구 참여는 전적으로 자발적이어야 함 |
| 연구 참여자의 이익 우선 | 연구의 목적보다 연구 대상자의 안녕이 우선 |
| 연구의 과학적 타당성 | 연구는 윤리적일 뿐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타당해야 함 |
| 연구 위험과 이익의 균형 | 연구의 잠재적 위험보다 이익이 커야 함 |
| 개인 정보 보호 및 비밀 유지 | 연구 과정에서 개인 정보 보호되어야 함 |
| 독립적인 윤리 심사 | 연구는 독립적인 윤리 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함 |
| 영향 및 평가 | |
| 영향 | 국제적인 의학 연구 윤리 표준 설정 각국 법률 및 규정 제정에 영향 |
| 비판 | 개발도상국 연구 관련 적용 문제 위약 사용에 대한 논쟁 지속 |
| 주요 쟁점 | 동의 능력 부족한 연구 대상자의 참여 연구 결과의 공유 및 투명성 연구자 윤리 교육 및 윤리 위원회 역량 강화 |
| 추가 정보 | |
| 관련 문서 | 뉘른베르크 강령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 |
| 외부 링크 | 세계 의사 협회 헬싱키 선언 JAMA 원문 세계 의사 협회 헬싱키 선언 한국어 번역 |
2. 역사
1947년 6월 나치즘의 인체실험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뉘른베르크 강령을 바탕으로, 1964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세계의사협회 제18회 총회에서 의학 연구자들이 스스로를 규제하기 위해 인체실험에 대한 윤리 규범인 헬싱키 선언을 채택하였다. 정식 명칭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의학 연구에 대한 윤리적 원칙’이다.[7]
헬싱키 선언은 1964년 처음 채택된 이후, 2024년까지 총 8차례의 개정과 2차례의 명확화 과정을 거쳤다. 1964년 11개 조항이었던 선언은 2024년판에는 37개 조항으로 늘어났다. 이 선언은 연구 윤리의 역사에서 중요한 문서로, 의료계가 연구 자체를 규제하기 위한 최초의 중요한 노력이었으며, 이후 대부분의 관련 문서의 기초가 되었다.
헬싱키 선언은 뉘른베르크 강령에서 처음 명시된 10가지 원칙을 발전시켜 의사의 윤리적 의무를 담은 제네바 선언(1948)과 연결했다. 이 선언은 뉘른베르크 강령에서 사용된 용어인 '인체 실험'에서 나타나는 의료 관행의 변화를 반영하여 임상 연구를 더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헬싱키 선언의 개정은 점차 더 빈번해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1975년과 2000년의 두 차례 개정만이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75년 개정 이전까지는 11년, 1975년 개정에서 2000년 개정까지는 25년의 간격이 있었다.
헬싱키 선언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64년: 원본. 제18회 헬싱키 회의
- 1975년: 첫 번째 개정. 제29회 도쿄 회의
- 1983년: 두 번째 개정. 제35회 베네치아 회의
- 1989년: 세 번째 개정. 제41회 홍콩 회의
- 1996년: 네 번째 개정. 제48회 서머싯 웨스트(남아프리카 공화국) 회의
- 2000년: 다섯 번째 개정. 제52회 에든버러 회의
- 2002년: 첫 번째 명확화, 워싱턴
- 2004년: 두 번째 명확화, 도쿄
- 2008년: 여섯 번째 개정. 제59회 서울 회의
- 2013년: 일곱 번째 개정. 제64회 포르탈레자 회의
2. 1. 뉘른베르크 강령과 제네바 선언
1947년 뉘른베르크 강령은 나치즘의 인체실험에 대한 반성으로 제정되었으며,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적 원칙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1948년 제네바 선언은 의사의 윤리적 의무를 강조하며, 뉘른베르크 강령의 원칙을 발전시켰다. 헬싱키 선언은 뉘른베르크 강령의 "인체 실험"이라는 용어 대신 "임상 연구"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의료 행위의 변화를 반영하고, 동의 조건 완화 등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다. 뉘른베르크 강령에서는 동의를 "무조건적으로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지만, 헬싱키 선언에서는 의사가 법정 후견인과 같은 위임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에 한해 본인의 동의 없이 연구가 제한적으로 허용되도록 변경되었다(제II.1조).2. 2. 주요 개정 내용
| 연도 | 회의 | 주요 개정 내용 |
|---|---|---|
| 1975년 | 제29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일본 도쿄) | "피험자의 이익이 과학과 사회의 이익보다 우선한다"는 원칙 명시,[8] 독립적인 윤리 위원회(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IRB) 감독 개념 도입,[9] 동의 절차 강화, 법정 후견인을 책임 있는 친척으로 대체, 출판 윤리 개념 도입.[90] |
| 1983년 | 제35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이탈리아 베네치아) | 미성년자 연구 대상자의 동의 획득 절차 구체화.[100] |
| 1989년 | 제41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홍콩) | 독립 위원회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 규정 추가.[100] |
| 1996년 | 제48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남아프리카공화국 서머싯 웨스트) | 상대적으로 소규모 개정.[100] |
| 2000년 | 제52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연구 대상 지역 사회에 대한 이익 제공 의무 강조, 사회 정의 개념 도입, 출판 윤리 강화 등 가장 광범위한 개정.[35] [36] [37] |
| 2002년 | 세계의사협회 총회 (미국 워싱턴) | 제29조(위약 사용)에 대한 해석 명확화.[130] |
| 2004년 | 세계의사협회 총회 (일본 도쿄) | 제30조(연구 종료 후 치료 접근성)에 대한 해석 명확화.[130] |
| 2008년 | 제59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제한적 개정,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133] |
| 2013년 | 제64차 세계의사협회 총회 (브라질 포르탈레자) | 의료 표준 논쟁 반영, 연구 결과 공개 의무, 연구 관련 손상에 대한 보상 조항 추가.[67] |
헬싱키 선언은 기본 원칙과 운영 원칙으로 구성된다. 기본 원칙은 개인 존중, 자기결정권, 연구 참여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 권리를 강조하며,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연구자는 환자나 자원봉사자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며, 윤리적 고려 사항은 항상 법률보다 우선한다. 취약한 개인이나 집단은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며, 연구 참여자가 동의 능력이 없으면 대리 동의 절차가 필요하지만, 가능한 한 본인 동의도 얻어야 한다.[19]
3. 주요 원칙
운영 원칙은 연구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위험과 이익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연구 대상 집단에게 타당한 이익이 예상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연구는 독립적인 윤리 심사를 받아야 하며, 연구 프로토콜은 윤리 문제를 다루고 선언을 준수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가 초기 예상과 다르면 연구는 중단되어야 하고, 연구 정보는 공개되어야 한다. 윤리적 고려 사항은 결과 발표 및 잠재적 이해 상충 고려까지 포함하며, 실험 연구는 항상 최선의 방법을 비교 검토해야 하지만, 상황에 따라 플라시보 또는 무치료군을 이용할 수 있다. 시험 종료 후 피험자 이익은 전반적인 윤리 평가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19]
3. 1. 기본 원칙
개인 존중(8조), 자기결정권, 그리고 연구 참여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할 권리(20조, 21조, 22조)는 연구 초기뿐 아니라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연구자의 의무는 환자(2조, 3조, 10조) 또는 자원봉사자(16조, 18조)에게만 있으며, 연구의 필요성(6조)이 항상 존재하지만, 참가자의 복지가 과학과 사회의 이익보다 항상 우선되어야 하며(5조), 윤리적 고려 사항이 법률 및 규정보다 항상 우선되어야 한다(9조).[19]
개인과 집단의 취약성 증가에 대한 인식은 특별한 경계를 요구한다(8조). 연구 참가자가 무능력하거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동의할 수 없거나, 미성년자인 경우(23조, 24조), 참가자의 최상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개인에 의한 대리 동의가 고려되어야 하지만, 가능한 한 참가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25조).[19]
3. 2. 운영 원칙
연구는 철저한 과학적 배경 지식에 기반하고,[19] 위험과 이익을 신중하게 평가하며,[19] 연구 대상 집단에게 이익을 가져올 합리적인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19] 또한, 적절하게 훈련된 연구자가 승인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하고, 적절하게 구성된 위원회의 독립적인 윤리적 검토 및 감독을 받아야 한다.[19] 프로토콜은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선언을 준수함을 명시해야 한다.[19] 가용 정보가 원래 고려 사항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연구는 중단되어야 한다.[19] 연구에 관한 정보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해야 한다.[19] 윤리적 원칙은 결과 발표와 잠재적인 이해 상충에 대한 고려 사항까지 확대된다.[19] 실험적 조사는 항상 최선의 방법과 비교해야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위약 또는 무처치 대조군을 사용할 수 있다.[19] 연구 완료 후 참가자의 이익은 최선의 입증된 치료 접근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윤리적 평가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19] 가능한 경우 입증되지 않은 방법은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고 합리적으로 믿을 수 있는 연구 맥락에서 시험되어야 한다.[19]
4. 한국 사회에의 영향
대한민국은 헬싱키 선언에 따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약사법 등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다.[1] 2008년 세계의사협회 서울 총회는 한국의 의학 연구 윤리 수준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
대한의사협회는 헬싱키 선언 한국어 번역본을 제공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헬싱키 선언을 국내에 확산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1]
5. 비판 및 논쟁
헬싱키 선언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지만, 여전히 여러 논쟁점이 존재한다.
- 위약 사용: 위약(플라시보) 대조군 사용의 윤리적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21]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의료 표준에 대한 질문과 함께 "세계 어느 지역의 인간 대상 연구 참여자도 감축 불가능한 윤리적 기준 집합에 의해 보호받아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22] 2002년에는 '강력한… 방법론적 이유' 또는 '심각하거나 돌이킬 수 없는 해의 위험'이 낮은 '경미한 질환'의 경우 위약 사용이 윤리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는 해설이 추가되었지만,[51]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46]
- 연구 종료 후 치료 접근성: 개발도상국 등 의료 취약 지역 연구 대상자의 치료 접근권 보장 문제가 제기된다. 19조에서는 '연구가 수행되는 인구가 연구 결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합리적으로 있을 경우에만 연구가 정당화된다'고 명시하여 사회 정의 개념을 도입했지만,[18] 2004년 미국의사협회의 해설에서는 시험 후 치료 문제가 절대적 보장이 아닌 고려 사항으로 변경되었다.[56]
- 선언의 강제성: 헬싱키 선언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선언적 의미의 지침이라는 한계가 있다.
- 미국 FDA의 입장: 미국 FDA는 2000년 이후 개정된 헬싱키 선언을 인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임상시험 실시기준(Good Clinical Practice)을 따르고 있어 국제적 기준과의 조화 문제가 제기된다.[58] 2008년부터는 헬싱키 선언 대신 임상시험 실시기준(Good Clinical Practice)으로 대체되었다.[69] 이는 미국 이외 지역의 연구 대상자에 대한 보호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는 우려를 낳았다.[70]
6. 관련 규정 및 지침
참조
[1]
논문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2013
[2]
웹사이트
WMA Press Release: WMA revises the Declaration of Helsinki. 9 October 2000
http://www.wma.net/e[...]
[3]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The cornerstone of research ethics
http://scindeks.ceon[...]
[4]
논문
Declaration of Helsinki: the ethical cornerstone of human clinical research
[5]
웹사이트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s Declaration of Helsinki: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5th draft.
http://www.wma.net/e[...]
World Medical Association
2001-07-24
[6]
웹사이트
Comparison of Common Rule with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Good Clinical Practice
http://www.tera.org/[...]
2002-08
[7]
웹사이트
Declaration of Helsinki History Website
http://sites.jamanet[...]
The JAMA Network
[8]
서적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Facing the 21st Century
University Publishing Group, Inc.
[9]
논문
Letter from...Denmark. Planning of scientific-ethical committees
1977-07
[10]
논문
Reduction of Maternal-Infant Transmiss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with Zidovudine Treatment
1994-11-03
[11]
서적
Recommendations from the Meeting on Prevention of Mother-to-Infant Transmission of HIV by Use of Antiretrovirals
http://name.umdl.umi[...]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06-23
[12]
논문
New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993-08
[13]
서적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Bio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http://www.codex.uu.[...]
World Health Organization
[14]
논문
Ethical imperialism? Ethics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linical research
1988-10
[15]
논문
Ethical considerations of human investig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AIDS dilemma
1988-10
[16]
논문
Some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on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a
[17]
웹사이트
Search for FDA Guidance Documents - Acceptance of Foreign Clinical Studies
https://www.fda.gov/[...]
2019-04-20
[18]
간행물
Impact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on medical research from a regulatory perspective
World Medical Association General Assembly
2003-09
[19]
논문
The need to revise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999-08
[20]
Submitted manuscript
The 2000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 Step Forward or More Confusion?
https://zenodo.org/r[...]
2001-10
[21]
논문
Unethical trials of interventions to reduce perinatal transmission of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developing countries
1997-09
[22]
문서
General Assembly WMA Hamburg, Germany 1997
[23]
논문
Americans want to water down Helsinki Declaration
[24]
웹사이트
Harvard Kennedy School Case Program
http://www.ksg.harva[...]
2024-03-14
[25]
논문
Proposed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26]
논문
Revising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 fresh start
[27]
논문
Updating the WMA Declaration of Helsinki
[28]
논문
Göttingen Report. Freedom and control of biomedical research- the planned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29]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revising ethical research guidelines for the 21st century
[30]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research in vulnerable populations
[31]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CIOMS and the ethics of research on vulnerable populations
[32]
논문
Proposed revisions to the Declaration of Helsinki--will they weaken the ethical principles underlying human research?
1999-08
[33]
논문
If it ain't broke, don't fix it
[34]
서적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Facing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Publishing Group, Inc.
[35]
문서
Nancy Dickey, Kati Myllymäki, Judith Kazimirsky
[36]
논문
Doctors revise Declaration of Helsinki
2000-10-01
[37]
논문
Perspectives on the Fifth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https://doi.org/10.1[...]
2000-12-20
[38]
논문
Some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on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39]
논문
The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past, present and future
[40]
논문
The continuing unethical use of placebo controls
1994-08-01
[41]
논문
Placebo orthodoxy in clinical research. I: Empirical and methodological myths
[42]
논문
Placebo-controlled trials and active-control trials in the evaluation of new treatments. Part 1: ethical and scientific issues
[43]
논문
Placebo effect and randomized clinical trials
1995-06-01
[44]
논문
Distributive justice and clinical trials in the Third World
[45]
웹사이트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The ethics of research related to healthcare in developing countries. 2005
http://www.nuffieldb[...]
2007-08-21
[46]
웹사이트
Macklin R. After Helsinki: Unresolved issues in international research. Kennedy Inst Ethics J 2001 11(1): 17-36 (password required)
http://muse.jhu.edu/[...]
null
[47]
논문
The promise and limits of international bioethics: Lessons from the recent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48]
논문
Violence in research
[49]
웹사이트
Schuklenk U. Helsinki Declaration revisions. Indian Journal of Medical Ethics. Jan-Mar 2001 9(1)
http://www.ijme.in/0[...]
null
[50]
논문
Dismantling the Helsinki Declaration
[51]
논문
The Ethics of Placebo-Controlled Trials — A Middle Ground
[52]
논문
Withholding Proven Treatment in Clinical Research
[53]
웹사이트
WMA -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Hello world!
http://www.wma.net/e[...]
2007-08-21
[54]
웹사이트
WMA Press Release: WMA to continue discussion on Declaration of Helsinki. 14 September 2003
http://www.wma.net/e[...]
2007-08-24
[55]
웹사이트
Workgroup report on the revision of paragraph 30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5 January 2004
http://www.wma.net/e[...]
2008-08-17
[56]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 update on paragraph 30
[57]
논문
The standard of care debate: the Declaration of Helsinki versus the international consensus opinion
[58]
논문
The battle of Helsinki: Two troublesome paragraphs in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re causing a furore over medical research ethics
[59]
웹사이트
WMA Ethics Unit Invitation of Submissions
http://www.wma.net/e[...]
2007-08-18
[60]
웹사이트
The 2007 Draft Declaration of Helsinki - Plus ça Change...?
http://www.thehastin[...]
Hastings Center
2007-11-28
[61]
웹사이트
Draft revision Nov 2007
http://myweb.dal.ca/[...]
null
[62]
웹사이트
Second draft revision May 2008
http://myweb.dal.ca/[...]
2008-06-12
[63]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public health
https://www.who.int/[...]
[64]
웹사이트
APPI endorses proposed updates to Declaration of Helsinki APPI 22 July 2008
http://216.147.199.3[...]
2008-08-15
[65]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through a feminist lens
2008-03-01
[66]
논문
Fresh thinking about the Declaration of Helsinki
[67]
논문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68]
논문
US exceptionalism comes to research ethics
[69]
웹사이트
DHHS FDA 21 CFR part 312 Human Subject Protection: Foreign clinical studies not conducted under an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Final Rule April 28 2008, effective October 27 2008
http://www.regulatio[...]
2008-05-13
[70]
웹사이트
Obasogie O. Goozner on the FDA and the Declaration of Helsinki. Biopolitical Times. Center for Genetics and Society May 15th 2008
http://www.biopoliti[...]
2008-08-03
[71]
웹사이트
FDA abandons Declaration of Helsinki for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https://www.socialme[...]
2008-06-01
[72]
웹사이트
Global bioethics blog: May 2008
http://globalbioethi[...]
[73]
웹사이트
Shah S. FDA Puts Medical Test Subjects in Danger. The Nation May 19, 2008
http://www.thenation[...]
[74]
논문
Trials on trial: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hould rethink its reject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2008-05-01
[75]
웹사이트
FDA scraps Helsinki Declaration on protecting human subjects. Integrity in Science May 5 2008
http://www.cspinet.o[...]
2008-05-05
[76]
논문
The FDA decision to shelve the Helsinki Declaration: Ethical considerations
[77]
논문
Helsinki discords: FDA, ethics, and international drug trials
http://www.thelancet[...]
2009-01-01
[78]
논문
Does the FDA have the authority to trump the Declaration of Helsinki?
[79]
웹사이트
DIRECTIVE 2001/2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4 April 2001
http://www.eortc.be/[...]
[80]
웹사이트
Research and innovation
http://ec.europa.eu/[...]
[81]
논문
The 2008 Declaration of Helsinki — First among Equals in Research Ethics?
2010-03-01
[82]
논문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 can hope triumph over experience?
http://dx.doi.org/10[...]
1994-01-22
[83]
웹사이트
WMA -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Declaration of Helsinki
https://www.wma.net/[...]
[84]
논문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http://jama.jamanetw[...]
2013-01-01
[85]
웹사이트
WMA Press Release: WMA revises the Declaration of Helsinki. 9 October 2000
http://www.wma.net/e[...]
2000-10-09
[86]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The cornerstone of research ethics
http://scindeks.ceon[...]
[87]
논문
Declaration of Helsinki: the ethical cornerstone of human clinical research
[88]
웹사이트
The World Medical Association's Declaration of Helsinki: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5th draft.
http://www.wma.net/e[...]
World Medical Association
2001-07-24
[89]
웹사이트
Comparison of Common Rule with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Good Clinical Practice
http://www.tera.org/[...]
2002-08-01
[90]
서적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Facing the 21st Century
University Publishing Group, Inc.
[91]
논문
Letter from...Denmark. Planning of scientific-ethical committees
1977-07-01
[92]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from the Meeting on Prevention of Mother-to-Infant Transmission of HIV by Use of Antiretrovirals
http://name.umdl.umi[...]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06-23
[93]
논문
New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993-08-01
[94]
서적
International Ethical Guidelines for Bio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http://www.codex.uu.[...]
World Health Organization
[95]
논문
Ethical imperialism? Ethics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linical research
1988-10-01
[96]
논문
Ethical considerations of human investig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AIDS dilemma
1988-10-01
[97]
논문
Some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on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a
[98]
웹사이트
Search for FDA Guidance Documents - Acceptance of Foreign Clinical Studies
http://www.fda.gov/R[...]
[99]
간행물
Impact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on medical research from a regulatory perspective
[100]
논문
The need to revise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999-08-01
[101]
논문
The 2000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 Step Forward or More Confusion?
https://zenodo.org/r[...]
2001-10-01
[102]
논문
Unethical trials of interventions to reduce perinatal transmission of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developing countries
1997-09-01
[103]
문서
General Assembly WMA Hamburg, Germany 1997
[104]
논문
Americans want to water down Helsinki Declaration
[105]
논문
Proposed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06]
논문
Revising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 fresh start
[107]
논문
Updating the WMA Declaration of Helsinki
[108]
논문
Göttingen Report. Freedom and control of biomedical research- the planned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09]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revising ethical research guidelines for the 21st century
[110]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research in vulnerable populations
[111]
논문
The Declaration of Helsinki, CIOMS and the ethics of research on vulnerable populations
[112]
논문
Proposed revisions to the Declaration of Helsinki--will they weaken the ethical principles underlying human research?
1999-08
[113]
논문
If it ain't broke, don't fix it
[114]
서적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Facing the 21st Century
University Publishing Group, Inc.
[115]
문서
Nancy Dickey, Kati Myllymäki, Judith Kazimirsky
[116]
논문
Doctors revise Declaration of Helsinki
2000-10
[117]
웹사이트
Perspectives on the fifth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http://jama.ama-assn[...]
2000-12-20
[118]
논문
The need to revise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999-08
[119]
논문
Some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ternational guidelines on the ethics of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20]
간행물
Impact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on medical research from a regulatory perspective
2003-09
[121]
웹사이트
Macklin R. After Helsinki: Unresolved issues in international research. Kennedy Inst Ethics J 2001 11(1): 17-36 (password required)
http://muse.jhu.edu/[...]
2019-06-02
[122]
논문
The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past, present and future
[123]
논문
Doctors revise Declaration of Helsinki
2000-10
[124]
논문
The continuing unethical use of placebo controls
1994-08
[125]
논문
Placebo orthodoxy in clinical research. I: Empirical and methodological myths
[126]
논문
Placebo-controlled trials and active-control trials in the evaluation of new treatments. Part 1: ethical and scientific issues
[127]
논문
Placebo effect and randomized clinical trials
1995-06
[128]
논문
Distributive justice and clinical trials in the Third World
[129]
웹사이트
Nuffield Council on Bioethics: The ethics of research related to healthcare in developing countries. 2005
http://www.nuffieldb[...]
2005-06-04
[130]
논문
The Ethics of Placebo-Controlled Trials — A Middle Ground
[131]
논문
Withholding Proven Treatment in Clinical Research
[132]
웹사이트
WMA Ethics Unit Invitation of Submissions
http://www.wma.net/e[...]
2006-08-08
[133]
웹사이트
APPI endorses proposed updates to Declaration of Helsinki
http://216.147.199.3[...]
2008-07-22
[134]
논문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135]
논문
The battle of Helsinki: Two troublesome paragraphs in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re causing a furore over medical research ethics
[136]
논문
US exceptionalism comes to research ethics
[137]
웹사이트
DHHS FDA 21 CFR part 312 Human Subject Protection: Foreign clinical studies not conducted under an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 Final Rule April 28 2008, effective October 27 2008
http://www.regulatio[...]
2008-04-28
[138]
웹사이트
Goozner on the FDA and the Declaration of Helsinki. Biopolitical Times. Center for Genetics and Society
http://www.biopoliti[...]
2008-05-15
[139]
웹사이트
FDA abandons Declaration of Helsinki for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http://www.socialmed[...]
2008-06-01
[140]
웹사이트
The FDA ditches the Declaration of Helsinki
http://globalbioethi[...]
2008-05-06
[141]
뉴스
FDA Puts Medical Test Subjects in Danger
http://www.thenation[...]
The Nation
2008-05-19
[142]
논문
Trials on trial: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hould rethink its reject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2008-05
[143]
웹사이트
FDA scraps Helsinki Declaration on protecting human subjects
http://www.cspinet.o[...]
Integrity in Science
2008-05-05
[144]
논문
The FDA decision to shelve the Helsinki Declaration: Ethical considerations
[145]
논문
Helsinki discords: FDA, ethics, and international drug trials
2009-01
[146]
논문
Does the FDA have the authority to trump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47]
웹사이트
DIRECTIVE 2001/2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4 April 2001
http://www.eortc.be/[...]
2019-06-02
[148]
웹사이트
http://ec.europa.eu/[...]
[149]
논문
The revis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past, present and future
[150]
논문
The 2008 Declaration of Helsinki — First among Equals in Research Ethic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