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혁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혁종(奕誴)은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돈친왕이었다. 그는 신유 정변에서 이혁(공친왕)을 지지하여 섭정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으며, 1865년에는 종실부의 수장이 되었다. 1889년 광서제 재위 기간에 사망했으며, 그의 옛 거주지는 현재 칭화 대학의 위치인 칭화원이었다. 혁종은 여러 명의 부인에게서 많은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광제의 황자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도광제의 황자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만주 양백기인 - 혁현
    이혁현은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동생으로, 서태후의 매부로서 신유정변과 광서제 즉위에 관여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서태후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해군 아문 대신으로 북양함대 육성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보수파와 혁신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 청나라 황족이다.
  • 만주 양백기인 - 산치
    청나라 말기의 황족 산치는 광서제와 서태후의 시안 피난을 수행하고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으나, 신해혁명 이후 청조 복벽 운동을 주도하며 일본 제국주의 세력과 결탁한 인물이다.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영황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지만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면흔
    가경제의 아들인 면흔은 1등 숭선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관료 생활 중 홍수 피해 구호 활동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자금성 인쇄소 관리 부실로 징계를 받았으며, 사망 후 숭선휘친왕으로 추봉되어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혁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Yicong
이름아이신 교로 이총 (愛新覺羅 奕誴)
아이신 교로 혁종 (愛新覺羅 奕誴)
작위친왕(親王)
시호돈근친왕 (惇勤親王)
출생1831년 7월 23일
출생지중국, 베이징
사망1889년 2월 18일
사망지중국, 베이징
아버지도광제 (생부), 돈각친왕(양부)
어머니상비
배우자울랑하이김옷 씨
자녀재련, 단군왕 재의, 재란, 재영, 재진
가문아이신 교로
행치 (行痴)
종교유교(성리학)
관직 정보
작위 계승돈친왕가 수장
재위 시작1846년
재위 종료1889년
이전 수장면개
다음 수장재련
가족 관계
숙부서회친왕
사촌 형서민군왕
법적 5촌 종질이혁단군왕
법적 사촌 형함풍제
법적 사촌 남동생공충친왕, 순현친왕
법적 사촌 누이동생수장고륜공주
법적 5촌 종질동치제, 광서제, 순친왕

2. 생애

도광제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후사가 없던 숙부 면개에게 입양되어 돈친왕(惇親王) 작위를 계승했다. 이복형인 함풍제가 사망한 후에는 신유 정변에 가담하여 조카 동치제의 즉위를 도왔으며, 이후 종실부 수장을 역임했다. 광서제 재위 시기인 1889년에 사망하였다.

그의 증손자인 유언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자칭 후계자였으며, 이총이 생전에 거주했던 칭화원(清華園)은 현재 칭화 대학의 부지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이총(奕誴)은 아이신 교로 가문 출신으로, 도광제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상비 니오후루 씨였다. 그는 후사가 없던 삼촌 면개(가경제의 셋째 아들)에게 입양되었다. 1838년 면개가 사망하자, 이총은 양아버지의 작위를 물려받아 돈친왕(惇親王)이 되었다.

2. 2. 정치 활동

1850년 도광제가 사망한 후, 이총의 넷째 형인 이주가 황위를 계승하여 함풍제가 되었다. 1861년 함풍제가 열하성에서 사망했을 당시, 이총은 일곱째 형인 이훤과 함께 황제의 곁에 있었고, 여섯째 형인 이혁은 수도 베이징에 머물고 있었다. 이후 발생한 신유 정변에서 이총은 이혁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를 통해 함풍제가 어린 아들 동치제를 보좌하도록 임명했던 8명의 섭정 세력으로부터 권력을 되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65년에는 종실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어 황족 사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2. 3. 사망

이총은 광서제 재위 기간인 1889년에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혁종은 정실 부인 1명, 측실 부인 2명, 첩 2명을 두었다. 이들을 통해 총 8명의 아들과 7명의 딸을 두었으나, 일부 자녀는 일찍 사망하였다.

3. 1. 정실 부인


  • 정실 부인, 烏梁海濟爾默特|울량해제이얼모특중국어 씨족
  • * 장녀 (1852년 2월 29일 – 1857년 12월 24일)
  • * 넷째 딸 (1855년 3월 21일 – 1855년 11월 28일)
  • * 여섯째 딸 (1858년 10월 8일)

3. 2. 측실 부인


  • 측실 부인, 허서리(赫舍里) 씨족
  • * 재련(載濂), 삼품 베일(1854년 10월 8일 – 1917년 11월 13일), 맏아들
  • * 재의(載漪), 이품 단군왕(端郡王) (1856년 8월 26일 – 1923년 1월 10일), 둘째 아들
  • * 다섯째 딸 (1857년 12월 17일 출생)
  • ** 1873년 3/4월 만주족 동가(佟佳) 씨족 곤림(堃林)과 결혼
  • * 재영(載瀛), 삼품 베일 (1859년 2월 14일 – 1930년 8월 18일), 넷째 아들
  • * ''재생(載泩)'' (1860년 4월 6일 – 1864년 6월 21일), 여섯째 아들
  • 측실 부인, 왕가(王佳) 씨족
  • * 재진(載津), 일품 진국장군 (1859년 4월 13일 – 1896년 3월 7일), 다섯째 아들

3. 3. 첩


  • 첩, 이(李) 씨족
  • * ''차녀'' (1854년 11월 20일 – 1855년 8월 15일)
  • * ''재통(載浵)'' (1860년 5월 11일 – 1862년 3월 13일), 일곱째 아들
  • 첩, 조(趙) 씨족
  • * ''셋째 딸'' (1854년 12월 24일 – 1855년 5월 7일)
  • * 재란(載瀾), 사품 불입팔분보국공 (1856년 12월 13일 – 1916년 4월 17일), 셋째 아들
  • * 일곱째 딸 (1859년 10월 16일 – 1876년 1월 27일)
  • ** 1873년 12월 30일 은명(恩銘)과 결혼
  • * ''재호(載灝)'' (1860년 11월 27일 – 1861년 1월 2일), 여덟째 아들

4. 가계도

번호이름 (한자)생몰년관계 (1번 기준)
1혁종 (奕𫘜)1831–1889본인
2도광제1782–1850아버지
3상비1808–1861어머니
4가경제1760–1820친할아버지
5효서예황후1760–1797친할머니
6지우푸 (九福)외할아버지
8건륭제1711–1799증조할아버지 (친가)
9효의순황후1727–1775증조할머니 (친가)
10허얼징어 (和爾經額)외증조할아버지 (친할머니 쪽)
11왕기야씨 (王佳氏)외증조할머니 (친할머니 쪽)
16옹정제1678–1735고조할아버지 (친가)
17효성헌황후1692–1777고조할머니 (친가)
18칭타이 (庆泰)외고조할아버지 (증조할머니 쪽)
19양기야씨 (杨佳氏)외고조할머니 (증조할머니 쪽)
20창안 (长安)증외고조할아버지 (외증조할아버지 쪽)
21리지야씨 (李佳氏)증외고조할머니 (외증조할아버지 쪽)


5. 평가

돈친왕 작위를 계승한 이총은 청나라 황실의 주요 인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861년 함풍제 사후 발생한 신유 정변에서 여섯째 형인 공친왕을 지지하여, 함풍제가 임명한 8명의 섭정 세력을 몰아내고 권력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공로로 1865년에는 황족 사무를 총괄하는 종실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옛 거주지였던 칭화원(清華園|칭화위안중국어)은 현재 칭화 대학 부지로 사용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