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충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충일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그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대한민국의 기념일이다. 1956년 현충 기념일로 지정되었고, 1970년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6월 6일에 거행된다. 이날 오전 10시에는 전국적으로 사이렌이 울리고 1분간 묵념을 하며, 대한민국 국기는 반기 게양된다. 국립서울현충원 등에서 추모식이 거행되며, 대한민국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헌법기관 수장들이 참석한다. 현충일은 이순신과 그의 후손들을 모신 현충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한국 전쟁 발발과 망종에서 날짜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월 - 오하라에
    오하라에는 일본의 전통적인 정화 의식으로, 개인의 죄와 부정을 씻어내고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며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고, 현대에는 신사에서 치노와 쿠구리, 인형대를 이용한 정화 의식이 진행되며 궁중 제사, 민간 행사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한국 사회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 6월 6일 - 유엔 러시아어의 날
  • 전쟁 추모 기념일 - 앤잭 데이
    앤잭 데이는 제1차 세계 대전 갈리폴리 전투에서 희생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을 기념하며,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중요한 국가 기념일로 자리 잡아 전쟁 희생자를 기리고 국가 정체성을 되새기는 날이다.
  • 전쟁 추모 기념일 - 메모리얼 데이
    메모리얼 데이는 미국에서 군 복무 중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는 공휴일로, 남북 전쟁 후 "데코레이션 데이"에서 유래되어 5월 마지막 월요일에 기념하며 다양한 행사와 전통이 있는 시민 종교적 의미를 지닌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현충일
기본 정보
국립서울현충원
명칭
공식 명칭현충일
한자 표기顯忠日
로마자 표기Hyeonchungil
기념일 정보
유형국가 공휴일
기념 대상전몰 장병과 순국선열, 순직 공무원
날짜6월 6일
일정매년 같은 날
빈도해마다
관련 기념일영령 기념일
행사 및 의례
기념 행사현충식
참배 장소국립묘지 참배
의례묵념
관할 국가

2. 지정 배경

1956년 4월 19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대통령령 제1145호)[22]1956년 4월 25일 "현충 기념일에 관한 건"(국방부령 제27호)[23]에서 "현충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1965년 3월 30일 "국립 묘지령"(대통령령 제2092호)[24] 제17조에 의거 연 1회 현충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매년 이 날 오전 10시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추모식이 거행되며, 전국적으로 사이렌이 울리고 1분간 묵념을 올린다. 태극기는 반기 게양된다.[2]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국무총리, 대한민국 국회의장, 대한민국 대법원장,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주요 헌법기관의 수장들이 참석하여 의병,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국군을 기억하며 묵념을 올린다.[3][4][5]

2. 1. 명칭 유래

1956년 4월 19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대통령령 제1145호)[22] 및 1956년 4월 25일 "현충 기념일에 관한 건"(국방부령 제27호)[23]에서 "현충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1965년 3월 30일 "국립 묘지령"(대통령령 제2092호)[24] 제17조에 의거 연 1회 현충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이름은 이순신과 그의 후손들을 모신 현충사에서 유래한다.[16]

2. 2. 날짜 유래

1956년 4월 19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대통령령 제1145호)[22]1956년 4월 25일 "현충 기념일에 관한 건"(국방부령 제27호)[23]에서 "현충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1965년 3월 30일 "국립 묘지령"(대통령령 제2092호)[24] 제17조에 의거 연 1회 현충식을 거행하게 되었다. 이름은 이순신과 그의 후손들을 모신 현충사에서 유래한다.[16]

날짜는 한국 전쟁이 발발한 달이라는 점과 이십사절기의 망종에서 유래한다. 11세기 거란의 고려 침입 때 전사자의 유골을 망종에 행하는 제사에 맞춰 집으로 보낸 일화가 고려되었다.[17]

3. 추모식

매년 국립서울현충원 또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추도식이 거행된다.[18] 오전 10시에 사이렌이 울리면서 1분간 묵념이 진행되며, 이때 전국 225곳의 주요 도로에서 차량이 일시 정지한다.[16] 반기는 게양된다.

3. 1. 추모 내용

매년 이 날 오전 10시에는 1956년부터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추모식이 거행된다. 기념일 오전 10시에는 전국적으로 사이렌이 울리고 1분간 묵념을 올린다. 태극기는 반기 게양된다.[2]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국무총리, 대한민국 국회의장, 대한민국 대법원장,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 대한민국의 최고 헌법기관 수장들이 이 기념일에 참석하여 묵념을 올리고 의병,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국군을 기억한다.[3][4][5]

4. 연표

연도내용
1956년 4월한국 전쟁 전사자를 추모하는 현충일로 제정[19]
1965년 3월서울현충원이 국군묘지에서 국립묘지로 승격됨에 따라, 그 해부터 독립운동 희생자(순국열사) 추모도 포함[16]
1970년 6월공휴일로 제정[20]
1975년 12월현충일로 개칭
1982년 5월국가기념일로 제정


5. 기념 행사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은 2020년 6월 7일 봉오동 전투 승리 100주년을 기념하며 "이 전투는 한국 독립군의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승리였다"고 선언했다.[6][7][8][9][10] 또한 "한국 독립군 최고 지휘관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카자흐스탄에 있다. 그러므로 나는 이 영웅의 유해를 대한민국으로 봉환하고 홍범도 장군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로 만들 것을 약속드린다"고 발표했다.[11][12][13][14][15]

참조

[1] 웹사이트 Regulations On Holidays Of Government Offices https://elaw.klri.r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Law Translation Center 2022-05-05
[2] 웹사이트 Flag flying information from Korea.net http://www.korea.net[...]
[3] 뉴스 현충일 추념식…文대통령 "애국으로 대한민국 통합" https://www.yna.co.k[...] Yonhapnews 2017-06-06
[4] 웹사이트 '애국' 22회 언급한 문 대통령 현충일 추념사에 시선 집중 http://www.civicnews[...] 2017-06-06
[5] 웹사이트 현충일 문 대통령 옆자리엔 '지뢰사고 부상군인' http://www.hani.co.k[...] 2017-06-06
[6] 웹사이트 文대통령, 봉오동 전투 100주년 맞아…"승리와 희망의 역사" https://www.donga.co[...] 2020-06-07
[7] 웹사이트 文대통령 "봉오동전투 100주년...국민 위대함 가슴에 새겨" https://www.fnnews.c[...] 2020-06-07
[8] 웹사이트 [속보]문대통령 "봉오동 전투 100년…평범한 국민의 위대한 힘" http://news.heraldco[...] 2020-06-07
[9] 웹사이트 文대통령 "봉오동전투, 코로나 극복… 평범한 국민의 위대한 힘" https://www.seoul.co[...]
[10] 웹사이트 문재인 "봉오동 전투 100주년, 평범한 국민의 위대한 힘" http://www.kdfnews.c[...] 2020-06-07
[11] 웹사이트 文대통령 "홍범도 장군 유해 모셔와 최고 예우할 것" https://www.pressian[...] 2020-06-07
[12] 웹사이트 [청와대M부스] 문 대통령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독립군 기억은 국가의 책무" https://imnews.imbc.[...] 2020-06-07
[13] 웹사이트 '봉오동 전투' 100주년…"홍범도 장군, 조국으로" https://news.sbs.co.[...] 2020-06-07
[14] 웹사이트 봉오동 전투 100년…文대통령 "홍범도 장군 유해 모셔올 것" https://www.edaily.c[...] 2020-06-07
[15] 웹사이트 文대통령 "홍범도 장군의 유해 조국으로...최고 예우로 보답" https://www.sedaily.[...] 2020-06-07
[16] 뉴스 현충일은 왜 망종인 6월6일로 지정됐을까 http://news.tf.co.kr[...] THE FACT 2017-06-05
[17] 뉴스 현충일이 6월 6일이 된 이유 / 박진아 아나운서 http://www.sisunnews[...] sisunnews 2018-06-05
[18] 뉴스 현충일 추념식 19년 만에 대전현충원에서 개최 http://news.khan.co.[...] 京郷新聞 2018-06-05
[19] 법령 大統領令第1145号
[20] 법령 大統領令第5038号
[21] 웹인용 관보 제5574호 http://theme.archive[...] 1970-06-15
[22] 웹인용 관보 제1536호 http://theme.archive[...] 1956-04-19
[23] 웹인용 관보 제1541호 http://theme.archive[...] 1956-04-25
[24] 웹인용 관보 제4002호 http://theme.archive[...] 1965-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