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혜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관은 중국 수나라에서 삼론종의 교리를 배우고 일본으로 건너가 삼론종을 전파한 인물이다. 625년 일본에 건너가 간고지에 머물면서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으며, 영류왕 시기에 일본 조정에 공물을 바치고 내조한 고구려 왕의 기록이 있다. 가와치국에 이노우에 절을 창건하고 삼론종을 널리 퍼뜨렸으며, 복량, 지장, 도지 등에게 삼론종을 계승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카 시대의 외국인 - 혜자
    혜자는 고구려 출신의 승려로서 일본 아스카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으며, 621년 쇼토쿠 태자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 해 죽음을 예언하고 실제로 사망했다.
  • 아스카 시대의 외국인 - 풍왕
    풍왕은 백제의 왕족으로, 외교적 인질로 일본에 갔다가 백제 부흥 운동을 위해 귀국하여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고구려로 망명한 인물이다.
  • 고구려의 승려 - 보덕
    보덕은 고구려 승려로, 연개소문의 억불 정책에 반발하여 백제로 망명하여 열반종을 포교했으며, 하룻밤 만에 거처를 옮겼다는 비래방장 설화로 알려져 있다.
  • 고구려의 승려 - 혜자
    혜자는 고구려 출신의 승려로서 일본 아스카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으며, 621년 쇼토쿠 태자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 해 죽음을 예언하고 실제로 사망했다.
  • 도래인 - 야사카 신사
    야사카 신사는 교토 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기온샤로 불리다 메이지 시대에 개칭되었고, 스사노오노미코토 등을 주요 신으로 모시며, 기온마쓰리의 중심지이자 국보 본전을 포함한 중요문화재를 보유한 관광 명소이다.
  • 도래인 - 이삼평
    이삼평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가 아리타에서 일본 최초의 백자를 구워 아리타 자기의 시초를 연 조선의 도공으로, 사후에는 '도조'로 추앙받고 도잔 신사에 제신으로 모셔지지만, 역사적 사실성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혜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慧灌
한국어혜관
일본어에칸
로마자 표기 (일본어)Ekan
출생/사망 시기7세기
출생지고구려
종파삼론종
사원니치겐사, 간고지, 이노우에데라
스승기치조
제자도지

2. 생애

고구려의 승려로, 수나라에 유학하여 길장(吉蔵)에게 삼론종(三論宗)의 교리를 배웠다.[5] 625년 영류왕일본으로 건너가[6] 간고지(元興寺)에 머물며 삼론종을 널리 전파하여 일본 삼론종의 시조로 평가받는다.[6] 이후 가와치국에 이노우에 절(井上寺)을 창건하는 등[7] 일본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2. 1. 수나라 유학

610년경의 수나라 (581년~618년)


고구려의 승려 혜관은 중국 수나라로 유학하여[5] 길장(吉蔵)에게 삼론종(三論宗)의 교리를 배웠다.[5]

2. 2. 일본 전파

중국 수나라에 가서 길장(吉蔵)에게 삼론종(三論宗)의 교리를 배우고 돌아왔다.[5] 625년 영류왕일본으로 건너갔다.[6]일본서기』에 따르면 같은 해 정월, 고구려 왕이 일본 조정에 공물을 바치고 내조(來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혜관은 일본 왕의 칙명에 따라 간고지(元興寺)에 머물게 되었다.

같은 해 여름 가뭄이 들자 혜관은 삼론종의 교리를 강론하였고, 이 공으로 승정(僧正)에 임명되었다고 전해진다.[6] (일설에는 고토쿠 천황 때 임명되었다고도 한다.) 혜관은 간고지를 중심으로 삼론종을 널리 펴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다.[6]

이후 가와치국에 이노우에 절(井上寺, 이카미지 또는 세이조사)을 창건하여[7] 삼론종을 더욱 널리 퍼뜨렸으며, 682년에는 선림사(禪林寺)의 도사가 되었다.[7] 그의 가르침은 복량(福亮)과 지장(智藏)에게 계승되었다. 지장은 이후 당나라에 들어가 삼론 교학을 더 배우고 돌아와 호류사에 머물렀으며, 그 뒤를 이은 도지(道慈) 역시 당나라에서 삼론 교학을 배우고 대안사에 머물며 학맥을 이었다.

3. 평가

혜관은 수나라 유학 중 길장에게 삼론종 교학을 익혔다. 일본서기 기록에 따르면, 625년 고구려 왕의 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그는 일본 조정의 명으로 원흥사(元興寺)에 머물렀다. 같은 해 가뭄이 들자 삼론을 강론하였으며, 이때 승정(僧正)에 임명되었다고 전해진다. (일설에는 고토쿠 천황 때 임명되었다고도 한다.) 이후 가와치국에 이노우에 절(井上寺, 이카미지)을 세우고 삼론종을 널리 전파하는 데 힘썼다.

그의 가르침은 복량(福亮)과 지장(智蔵)에게 이어졌고, 지장은 이후 당나라에서 삼론 교학을 더 배우고 돌아와 호류사에 머물렀다. 그 뒤를 이은 도지(道慈) 역시 당나라에서 삼론 교학을 배우고 대안사에 머물며 학맥을 이었다.

이처럼 혜관은 고구려 출신 승려로서 일본에 선진 불교 사상인 삼론종을 체계적으로 전파하고 그 학맥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고대 고구려일본 간 불교 교류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twelve Japanese Buddhist sects https://archive.org/[...] Bukkyo-sho-ei-yaku-shupan-sha 1886
[3] 웹사이트 Nihon Shoki, volumes 22, Story of Suiko http://applepig.idv.[...] 2006-06-16
[4] 서적 Gyōnen's Transmission of the Buddha Dharma in Three Countries 2018
[5] 백과사전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혜관
[6]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한국불교의 역사〔개설〕> 삼국시대
[7] 백과사전 인명사전 > 한 국 인 명 > ㅎ > 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