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혜순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혜순옹주는 조선 중종과 경빈 박씨의 장녀로, 김인경에게 출가하였다. 1527년 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어머니 경빈 박씨, 오빠 복성군과 함께 서인으로 폐출되어 유배되었으나, 이후 직첩을 돌려받았다. 1583년 남편과 사별 후 사망했으며, 묘는 현재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2년 출생 -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는 16세기 유럽의 지도 제작자,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로, 항해에 유용한 메르카토르 도법 개발과 세계 지도첩 《아틀라스》를 '아틀라스'라는 명칭으로 처음 출판하여 지도 제작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12년 출생 - 로버트 레코드
    로버트 레코드는 웨일스 출신의 영국 의사이자 수학자로, 영어로 쓰인 최초의 대수학 서적인 《제예(諸藝)의 기초》를 저술하고, 저서 《지혜의 숫돌》에서 등호를 처음으로 인쇄물에 사용했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옹호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 1583년 사망 - 시바타 가쓰이에
    시바타 가쓰이에는 센고쿠 시대 오다 노부나가를 섬긴 용맹하고 충성심 강한 무장으로,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자결했으며, "오니 시바타"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1583년 사망 - 험프리 길버트
    험프리 길버트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영국 탐험가, 군인, 작가이자 의원으로서, 아일랜드 군사 활동, 북서 항로 탐험 주장, 그리고 뉴펀들랜드 점령으로 유명하며, 영국 식민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혜순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혜순옹주
한자 표기惠順翁主
철환(鐵環)
작위조선 중종의 옹주
혼인 정보
배우자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
자녀양자 1남
양자김호수(金虎秀)
가족 관계
아버지중종
어머니경빈 박씨
생몰 정보
출생일1512년 1월 25일 (음력)
사망일1583년 12월 4일 (음력)
묘소
능묘혜순옹주묘(惠順翁主墓)
위치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산293-1

2. 생애

중종과 경빈 박씨의 장녀로 태어나 1522년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과 혼인하였다. 그러나 1527년 김안로 등이 일으킨 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이 서인으로 폐출되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1533년에는 남편 김인경마저 사건에 연좌되어 유배되었고, 혜순옹주 역시 서인으로 폐출되어 상주로 유배되었다. 같은 해 어머니와 오빠는 사사되었다.[1] 오랜 유배 생활 끝에 1541년 남편과 함께 신분이 복원되고 직첩을 돌려받았다.[2] 1583년 남편 김인경과 사별한 지 보름 만에 세상을 떠났다.

2. 1. 출생과 혼인

1512년 (중종 7년) 1월 25일, 중종과 당시 종2품 숙의였던 경빈 박씨 사이에서 1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1522년 (중종 17년), 김헌윤의 아들인 광천위 김인경(金仁慶)과 혼인하였다. 그러나 1527년 (중종 22년), 김안로와 그의 아들 김희 등이 일으킨 작서의 변에 연루되었다. 이 사건으로 혜순옹주를 모시던 계집종 모이강, 자귀, 귀인과 경빈 박씨의 방자 및 비자인 사비, 춘월, 덕복 등이 인형을 만들어 저주하고 쥐를 불에 지진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중종실록》 58권, 중종 22년(1527년 명 가정 6년) 4월 15일 (신유)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한 차례 형신을 받았으나 혐의를 자백하지 않았다.

작서의 변의 여파로 혜순옹주의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서인(庶人)으로 강등되어 궁궐에서 쫓겨났다. 1533년 (중종 28년)에는 남편 김인경 역시 이 사건에 연루되어 곤장을 맞고 변방으로 유배되었으며, 혜순옹주 또한 서인으로 폐출되어 경상도 상주로 유배되었다. 같은 해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은 사사되었다.[1] 이후 1541년 (중종 36년), 혜순옹주는 남편 김인경과 함께 신분과 직첩을 회복하였다.[2]

1583년 (선조 16년) 11월 20일, 남편 김인경이 세상을 떠났고, 혜순옹주 역시 남편이 죽은 지 보름 만인 같은 해 12월 4일에 사망하였다. 혜순옹주의 무덤은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에 있다.

2. 2. 작서의 변 연루와 유배

1522년(중종 17년)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과 혼인하였다. 1527년(중종 22년)에는 김안로와 그의 아들 김희 등이 세자(훗날 인종)를 저주했다는 작서의 변이 일어났다. 이 사건에 혜순옹주가 연루되어, 옹주를 모시던 계집종 모이강(毛伊姜), 자귀(者歸), 귀인(貴仁) 등과 경빈 박씨의 방자(房子) 및 비자(婢子)인 사비(四非), 춘월(春月), 덕복(德福) 등이 인형을 만들어 저주하고 쥐를 불에 태워 세자를 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추국을 받았다. 이들은 형문을 당했으나 끝내 자백하지 않았다.

이 사건의 여파로 혜순옹주의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은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어 폐출되었다. 1533년(중종 28년), 남편 김인경마저 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곤장을 맞고 변방으로 유배(杖配)되었으며, 혜순옹주 역시 서인으로 폐출되어 경상도 상주로 유배되었다. 같은 해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은 결국 사사되었다.[1] 오랜 유배 생활 끝에 1541년(중종 36년), 혜순옹주는 남편 김인경과 함께 신분이 복원되고 직첩을 돌려받았다.[2]

2. 3. 복권과 사망

1533년(중종 28년) 작서의 변에 연좌되어 남편 김인경은 변방으로 유배되었고, 혜순옹주 역시 서인(庶人)으로 폐출되어 경상도 상주로 유배되었다. 이때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은 사사되었다.[1] 이후 1541년(중종 36년) 남편과 함께 직첩을 돌려받아 복권되었다.[2]

1583년(선조 16년) 11월 20일, 남편 김인경과 사별하였고, 김인경이 죽은 지 보름이 지난 12월 4일 사망하였다. 혜순옹주의 무덤은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에 위치해 있다.

3. 가족 관계


  • '''부왕''' : 중종(中宗, 1488 ~ 1544)
  • '''생모''' : 경빈 박씨(敬嬪 朴氏, ? ~ 1533)
  • * 오빠 : 복성군 이미(福城君 李嵋, 1509 ~ 1533)
  • * 여동생 : 혜정옹주 이석환(惠靜翁主 李石環, 1514 ~ 1580)
  • '''남편''' :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 1515 ~ 1583)[3]
  • * '''양자''' : 김호수(金虎秀) - 시동생 김원경(金遠慶)의 아들
  • * 며느리 : 전주 이씨 이정숙(李正淑, 1550 ~ ?) -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딸[4]
  • ** 손녀 : 김기영(金奇迎, 1570 ~ ?)
  • ** 손녀 : 김귀영(金貴迎, 1574 ~ ?)[5]
  • ** 손자 : 김상복(金尙復, 1576 ~ ?)
  • ** 손자 : 김상일(金尙一, 1578 ~ ?)
  • ** 손자 : 김상중(金尙中, 1581 ~ ?)
  • ** 손자 : 김상양(金尙養, 1582 ~ ?)
  • ** 손자 : 김상렴(金尙濂, 1584 ~ ?)
  • ** 손자 : 김상명(金尙明, 1586 ~ ?)
  • ** 손녀 : 김복영(金福迎, 1588 ~ ?)
  • ** 손자 : 김상회(金尙晦, 1589 ~ ?)
  • ** 손녀 : 김녹영(金祿迎, 1590 ~ ?)
  • * 며느리(측실) : 노비 대금(大今)
  • ** 서손자 : 김상범(金尙范, 1615 ~ ?)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중종 74권, 28년(1533년) 5월 26일 5번째기사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중종 96권, 36년(1541년) 11월 9일 3번째기사
[3] 문서 태종의 4남 경녕군의 외5대손 ----경녕군 → 영선도정 이리 → 순천 박씨|박수견의 처 이씨 → 김극개의 처 박씨 → 김헌윤 → 김인경
[4] 문서 완원군의 증손녀
[5] 문서 장렬왕후의 큰어머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