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실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종실록》은 조선 중종 시대의 역사적 기록으로, 중종의 치세 기간을 기록한 실록이다. 편찬 과정은 실록청을 구성하여 진행되었으며, 4~5개월 분량의 기사를 1권으로 묶어 편찬했으나, 2~3개월 또는 11개월 분량을 1권으로 묶기도 했다. 다른 실록과 달리 사론과 세주가 많이 수록되었으며,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내용의 변화가 나타난다. 대외 관계에서는 명나라와의 관계 및 야인과 왜인의 침입에 대한 기사가 주로 실려 있다. 《인종실록》은 중종실록에 부수되어 편찬되었으며, 공정성 논란과 역사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묘사화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는 조선 중종 시대를 배경으로 정난정, 문정왕후, 윤원형 등의 권력 투쟁과 몰락을 그린 SBS 대하 사극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선정성, 폭력성 논란과 잦은 연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기묘사화 - 정순붕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신진사류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조선왕조실록 - 선조실록
《선조실록》은 선조 시대 40년 7개월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로, 임진왜란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완성되었으며, 당파적 시각과 기록의 부실함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선조 시대의 여러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서 현대 역사 연구에 활용된다. - 조선왕조실록 - 인조실록
인조실록은 인조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으로, 인조반정, 병자호란, 정묘호란 등의 사건을 포함하여 조선 후기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 조선 중종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조선 중종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중종실록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환 |
휘 | 융 |
묘호 | 중종(中宗) |
시호 | 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
능호 | 정릉(靖陵) |
출생 |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7일) |
사망 | 1544년 12월 8일 (음력 11월 15일) |
재위 기간 | 1506년 ~ 1544년 |
부모 |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 |
배우자 | 단경왕후 신씨 장경왕후 윤씨 문정왕후 윤씨 |
자녀 | 인종 경혜옹주 효혜공주 의혜공주 명종 순회세자 정순옹주 숙정옹주 정현옹주 인순옹주 |
생애 | |
즉위 전 | 진성대군 (晉城大君) |
왕위 계승 | 연산군의 폐위로 즉위 |
주요 업적 | 기묘사화 이후 개혁 정치 추진, 조광조 등용 |
주요 사건 | 을사사화 발생 |
기타 | |
존호 |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
2. 편찬 과정
2. 1. 실록청 구성
2. 2. 편찬의 어려움
2. 3. 완성 및 보관
3. 구성 및 내용
《중종실록》은 대개 4~5개월분의 기사를 1권으로 편찬하였으나, 2~3개월분을 1권으로 묶거나 11개월분을 1권으로 묶은 경우도 있다.
3. 1. 주요 내용
다른 실록들과 달리 사론과 세주가 많이 수록되었다.[10]사론은 대개 각 권마다 10여 개 정도이나, 많게는 35개가 넘게 수록된 경우도 있다. 내용이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크게 갈리는데, 사화 이전에는 국정 전반에 걸친 내용이 많으나 사화 이후에는 개인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 또 개인에 대한 평가 역시 사화 이전에는 훈구파들을 비난하고 사림파를 칭송하나, 사화를 기점으로 평가가 바뀐다.
세주는 사건의 전말이나 보충 설명, 인적 사항, 용어 설명, 특이 사항 등을 수록하였다. 이 중 용어를 설명하는 내용은 당대의 방언 및 속칭 연구나 특징적인 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내용면에서는 대간의 상소나 중종의 경연 참여 기록이 대부분이다.
3. 1. 1. 사론
다른 실록들과 달리 사론과 세주가 많이 수록되었다. 사론은 대개 각 권마다 10여 개 정도이나, 많게는 35개가 넘게 수록된 경우도 있다. 내용이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크게 갈리는데, 사화 이전에는 국정 전반에 걸친 내용이 많으나 사화 이후에는 개인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 또 개인에 대한 평가 역시 사화 이전에는 훈구파들을 비난하고 사림파를 칭송하나, 사화를 기점으로 평가가 바뀐다.3. 1. 2. 세주
사건의 전말이나 보충 설명, 인적 사항, 용어 설명, 특이 사항 등을 수록하였다.[10] 이 중 용어를 설명하는 내용은 당대의 방언 및 속칭 연구나 특징적인 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조선 중종 대는 일제 강점기 이전 시기이므로, 한국 고유의 언어 및 문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3. 2. 대외 관계
《연산군일기》와 달리 종계변무와 관련한 대명 관계 기사가 많이 실려있다. 또한, 《연산군일기》에는 야인과 왜인들의 진상에 대한 기사가 많았던 반면, 《중종실록》에는 이들의 국경선 침입에 대한 기사가 많이 실려있다.[9]3. 3. 《인종실록》과의 관계
4. 특징
《중종실록》은 다른 실록과 달리 연산군이 폐위되었기 때문에 중종이 즉위한 1506년을 원년으로 칭하는 즉위년칭원법을 사용한다.[9] 대개 4~5개월분의 기사를 1권으로 편찬하였으나, 2~3개월분을 1권으로 묶거나 11개월분을 1권으로 묶은 경우도 있다. 내용면에서는 대간의 상소나 중종의 경연 참여 기록이 대부분이다.
이전의 실록들과 달리 사론과 세주가 많이 수록되었다.[10] 사론은 대개 각 권마다 10여 개 정도이나, 많게는 35개가 넘게 수록된 경우도 있다. 내용은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크게 나뉘는데, 사화 이전에는 국정 전반에 걸친 내용이 많으나 사화 이후에는 개인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 또 개인에 대한 평가 역시 사화 이전에는 훈구파들을 비난하고 사림파를 칭송하나, 사화를 기점으로 평가가 바뀐다. 세주는 사건의 전말이나 보충 설명, 인적 사항, 용어 설명, 특이 사항 등을 수록하였다. 이 중 용어를 설명하는 내용은 당대의 방언 및 속칭 연구나 특징적인 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대외관계 내용에 있어서는 《연산군일기》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종계변무와 관련한 대명관계의 기사가 많이 실려있다. 또 야인과 왜인들의 진상에 대한 기사가 많았던 《연산군일기》와 달리 이들의 국경선 침입에 대한 기사가 많이 실려있다.
《인종실록》은 인종 재위기간의 첫 2개월분의 기사가 《중종실록》에 수록됐을 뿐 아니라, 편찬작업 자체도 《중종실록》에 부수되었고 편찬관들도 대부분 겹친다.[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지 않은 실록이 일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중종실록》은 총 6책이며, 밀랍본이다.[11]
5. 평가 및 논란
《중종실록》은 완성 이후 기묘사화의 일이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정성에 의심을 받았다.[9]
- 《선조실록》에서는 《중종실록》에 누락된 것이 있다면서, 남곤이 조광조에게 교류를 청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이에 유감을 갖고 나뭇잎에 "주초위왕[12]" 글자 모양으로 꿀을 발라 벌레가 갉아먹게 하고 자연스럽게 생긴 일처럼 꾸며 모해했다는 사실을 기록하였다.[13]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서는 《중종실록》의 편찬을 간신이 맡았다고 하면서, 실제와는 다르게 기록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14]
5. 1. 공정성 논란
《중종실록》은 완성 이후 기묘사화 관련 기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정성에 의심을 받았다.[9] 《선조실록》에는 《중종실록》에 누락된 내용이 있다면서, 남곤이 조광조에게 교류를 청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유감을 품고 나뭇잎에 "주초위왕[12]" 글자 모양으로 꿀을 발라 벌레가 갉아먹게 하고 자연스럽게 생긴 일처럼 꾸며 모해했다는 사실을 기록하였다.[13]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서는 《중종실록》의 편찬을 간신이 맡았다고 하면서, 실제와는 다르게 기록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14]5. 2. 역사적 가치
《중종실록》은 중종 대의 정치, 사회, 문화, 대외 관계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9] 특히, 사론과 세주는 당대 사회상과 언어생활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기묘사화 관련 기록 등 일부 내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선조실록》에서는 《중종실록》에 누락된 것이 있다고 하면서, 남곤이 조광조에게 교류를 청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이에 유감을 갖고 나뭇잎에 "주초위왕[12]" 글자 모양으로 꿀을 발라 벌레가 갉아먹게 하고 자연스럽게 생긴 일처럼 꾸며 모해했다는 사실을 기록하였다.[13]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서는 《중종실록》의 편찬을 간신이 맡았다고 하면서, 실제와는 다르게 기록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14]
참조
[1]
문서
판심제목
[2]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인종실록〉항목
https://terms.naver.[...]
[3]
문서
인종실록 1권, 인종 1년 2월 24일 정사 1번째기사
[4]
문서
명종실록 6권, 명종 2년 12월 14일 신유 2번째기사
[5]
문서
명종실록 6권, 명종 2년 12월 16일 계해 2번째기사
[6]
문서
명종실록 8권, 명종 3년 6월 2일 을사 2번째기사
[7]
문서
명종실록 10권, 명종 5년 10월 9일 기사 1번째기사
[8]
문서
명종실록 11권, 명종 6년 3월 8일 병신 2번째기사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중종실록〉항목
https://terms.naver.[...]
[10]
문서
세주
[11]
뉴스
<조선왕조실록> ①국보 지정서 빠진 60여책 더 찾았다
https://news.naver.c[...]
2016-12-20
[12]
문서
走肖爲王
[13]
문서
선조실록 2권, 선조 1년 9월 21일 정묘 2번째기사
[14]
웹인용
《연려실기술》제7권〈중종조 고사본말 - 기묘사화〉
https://web.archive.[...]
2018-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