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경 (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경(康虎景)은 신라 말의 군인이자 호족으로,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자칭 성골장군이라 불렸다. 그는 왕건의 증조모인 정화왕후의 증조부이며, 고려 왕건의 가계에 영향을 미쳤다. 호경은 백두산에서 부소산 골짜기로 이동하여 정착했고, 평나산에서 여산신과의 결혼 설화가 전해진다. 그의 후손들은 신천 강씨 가문을 이루었고, 고려 건국 이후에는 왕건에 의해 국조로 추앙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무신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신라의 무신 - 알천
알천은 신라의 장군이자 상대등으로 선덕여왕, 진덕여왕 대에 활약하며 여근곡 전투와 칠중성 전투에서 백제와 고구려 군을 격파하는 등 신라의 정치와 군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진덕여왕 사후 김춘추를 지지하여 왕위에 오르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고려 신화의 인물 - 정화왕후
정화왕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증조모이자 작제건의 어머니로, 신천 강씨 가문과 고려 왕실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 고려 신화의 인물 - 고려 세조
고려 세조 왕륭은 고려 태조 왕건의 아버지로, 의조 왕제건과 원창왕후 저민 사이에서 태어난 송악 호족 출신으로 궁예에게 귀부하여 금성태수를 지냈으며, 사후 아들 왕건에 의해 세조위무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신라의 장군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신라의 장군 - 김무력
김무력은 가락국 구형왕의 아들이자 신라 장군으로, 신주 도독 재임 중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키는 공을 세워 신라의 삼국통일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신라 사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호경 (신라) | |
---|---|
인물 정보 | |
한글 이름 | 강호경 |
한자 이름 | 康虎景 |
로마자 표기 | Gang Ho-gyeong |
가계 | |
배우자 | 미상 |
자녀 | 강충 강보전 |
신라에서의 역할 | |
직책 | 장군 |
활동 시기 | 신라 말기 |
주요 활동 | 신라 조정에서 활동, 지역 세력 기반 형성 |
가문 | |
본관 | 신천 강씨의 시조로 추정 |
후손 | 신천 강씨 재령 이씨 곡산 연씨 |
추가 정보 | 강호경의 14세손 강지연은 고려 충렬왕 때 신성부원군에 봉해짐 |
2. 생애
신라의 군인이자 호족으로, 고구려 유민 출신이었으며 자칭 성골장군이라 칭하였다. 부모와 가까운 친족,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신천강씨 문중의 전설에 의하면 섬서성 경조 사람인 강숙(康叔)의 둘째 아들 강후(康侯)의 67대 후손이라 한다.
호경은 왕건의 증조모 정화왕후의 증조부였지만 문헌에 이름이 등장하는 왕건의 첫 선조이다. 호경은 아들 강충을 두었고, 강충은 이제건, 강보육, 강보전을 두었다. 강보육은 조카 덕주를 아내로 맞아 강진의를 낳았고, 강진의와 중국인 사이에서 왕제건이 태어났다.[3] 왕제건의 아버지는 당나라 황족으로, 《編年通錄|편년통록중국어》과 《고려사절요》에서는 숙종, 《편년강목》에서는 선종으로 기록되어 있다.[8][9]
김관의(金寬毅)는 그의 책 《편년통록(編年通錄)》에, 민지는 자신의 책 본조편년강목에 강호경의 출신을 고구려계라 하였다. 고구려계 출신인 호경은 성골장군(聖骨將軍)이라고 자칭하며, 혹은 성골장군이라 불렸다 하며 그가 백두산에서부터 유람을 시작해 부소산 골짜기에 도착해 자리를 잡고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왕건의 가계는 강씨의 사위가 되면서 송악(松岳)에 정착할 수 있었는데, 왕건의 증조부 왕국조는 호경의 4대손 강보육의 딸 진의와 결혼함으로써 송악에 정착하게 되었다.
호경은 강충(康忠)을 낳았으며, 강충은 강서 연안촌 장자의 딸과 결혼하여 이제건(伊帝健), 보전(寶甸), 보육(寶育) 등을 낳았다. 그의 직계 14세 후손은 고려 충렬왕 때 신성부원군에 봉해진 충렬공 강지연(康之淵)이다.[13]
어느날 호경은 한동네 사람들과 평나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날이 저물어 굴에서 자던 중 호랑이 한 마리가 굴에 나타났다. 굴 안의 일행은 어쩔 수 없이 갓을 벗어던져 제물이 될 사람 또는 호랑이와 싸울 사람을 결정하기로 했다. 이때 호경이 던진 갓을 호랑이가 물자 호경은 싸우려 나갔고, 때마침 동굴이 무너져 오히려 동굴 속에 있던 다른 사람들은 모두 죽게 되었다.[14] 호경이 죽은 이들의 장사를 지내주고 산신에게 제사를 올렸는데, 자칭 평나산 주인이라고 하는 과부 여산신이 나타났다. 신화에 따르면, 이 과부 여산신이 바로 굴을 막고 으르렁거리던 호랑이였다고 한다. 여산신이 호경에게 “그대와 부부의 인연을 맺어 함께 신정(神政)을 펼치려 하오니 이 산의 대왕(大王)이 되어주소서.”라고 말하며 청혼하였으며, 여산신의 말이 끝나자 호경은 여산신과 함께 사라졌다고 한다. 그 광경을 본 고을 사람들이 구전하여, 사당을 세워 호경을 산의 대왕으로 모셨다고 한다.[14] 그러나 호경을 모셨다는 사당의 위치는 전하지 않으며, 산의 여신이 과부였다는 기록을 볼 때 산의 주인은 여신이 아니라 인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사후의 묘소는 실전되었고 고려 건국 후에 태조 왕건이 강호경을 국조라 칭했다 하나 그에게 내려진 증직 벼슬도 실전되어 전하지 않는다. 전설에 의하면 구룡산 산신이 된 호경은 옛 부인을 잊지 못해 가끔 밤마다 찾아왔고, 그들 사이에서 아들 강충이 태어났다.[14]
3. 가계
아들 강충은 황해도 신천군의 호족이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후고구려 건국 무렵에는 황해도 신천군 일대의 유력 호족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궁예의 정비 신천 강씨도 그의 후손이었다.
3. 1. 가계도
4. 사후
어느날 호경은 한동네 사람들과 평나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날이 저물어 굴에서 잤는데, 호랑이 한 마리가 굴에 나타났다. 굴 안의 일행은 갓을 벗어던져 제물이 될 사람 또는 호랑이와 싸울 사람을 결정하기로 했다. 호경이 던진 갓을 호랑이가 물자 호경은 싸우려 나갔다. 이때 동굴이 무너져 동굴 속에 있던 다른 사람들은 모두 죽게 되었다.[14] 호경이 죽은 이들의 장사를 지내주고 산신에게 제사를 올렸는데, 자칭 평나산 주인이라고 하는 과부 여산신이 나타났다. 신화에 따르면, 이 과부 여산신이 바로 굴을 막고 으르렁거리던 호랑이였다고 한다. 여산신은 호경에게 “그대와 부부의 인연을 맺어 함께 신정(神政)을 펼치려 하오니 이 산의 대왕(大王)이 되어주소서.”라고 말하며 청혼하였으며, 여산신의 말이 끝나자 호경은 여산신과 함께 사라졌다고 한다. 그 광경을 본 고을 사람들이 구전하여, 사당을 세워 호경을 산의 대왕으로 모셨다고 한다.[14] 그러나 호경을 모셨다는 사당의 위치는 전하지 않으며, 산의 여신이 과부였다는 기록을 볼 때 산의 주인은 여신이 아니라 인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 건국 후에 태조 왕건이 강호경을 국조라 칭했으나, 그에게 내려진 증직 벼슬은 실전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묘소 또한 실전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구룡산 산신이 된 호경은 옛 부인을 잊지 못해 가끔 밤마다 찾아왔고, 그들 사이에서 아들 강충이 태어났다고 한다.[14]
5. 평가 및 의의
호경은 신라의 군인이자 호족으로, 스스로 성골장군이라 칭했으며, 고구려 유민 출신이었다.[13] 김관의는 《편년통록》에, 민지는 《본조편년강목》에 강호경의 출신을 고구려계라 하였다.
그는 평나산에서 사냥 중 호랑이를 만난 일화와, 산신과 혼인하여 신정을 펼쳤다는 전설로도 유명하다. 이 전설은 고려 건국 설화와 연결되어 신화적 의미를 가진다.[14] 태조 왕건은 강호경을 국조라 칭하였다.[14]
참조
[1]
웹사이트
강씨(康氏)의 본관
https://web.archive.[...]
RootsClick
2018-04-15
[2]
웹사이트
신천 강씨
http://seogwipo.gra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5-14
[3]
서적
誤解だらけの韓国史の真実
イースト・プレス
2015-04-10
[4]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http://www.segye.com[...]
世界日報
2013-04-02
[5]
뉴스
신천강씨 信川康氏
https://archive.ph/A[...]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6]
뉴스
강씨(康氏)의 본관
http://www.rootsinfo[...]
rootsinfo
[7]
간행물
2001
[8]
뉴스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9]
간행물
2001
[10]
뉴스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의조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11]
간행물
2001
[12]
서적
韓国大河ドラマ公式ガイドブック 太祖王建
インフォレスト
2012-10-26
[13]
문서
성씨검색
http://www.rootsinfo[...]
[14]
뉴스
(24) 동굴 뛰쳐나간 호랑이는 어디로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