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은 조선 시대 호남 지역의 의병과 충신, 효자, 열녀의 행적을 기록한 고문헌이다. 호남절의록은 1799년 홍양호, 고정헌 등이 편찬한 책으로 임진왜란 등 5대 국란에서 활약한 호남 의병들의 사적을 담고 있으며, 금성삼강록은 1802년 김세연, 고정헌, 이인채 등이 편찬하여 금성(나주) 지역의 충신, 효자, 열녀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두 책 모두 나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현재는 이광선의 후손인 이재향 씨가 소장하고 있다. 이재향 씨는 선조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관련 자료들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및 나주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고 나주시에 기탁하는 등 보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 |
---|
2.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湖南節義錄중국어은 1799년(정조 23) 홍양호, 고정헌 등이 편찬한 책으로,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인좌의 난 등 5난(亂)에서 활약한 호남 의병들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국가 변란기에 호남 사람들이 보여준 활동과 역할을 상세히 기록하여, 호남 의향론(義鄕論)의 핵심 자료 중 하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1799년 여름 순천 송광사에서 초간되었으며, 현존하는 12권 5책은 수록된 의적의 수에 차이가 있을 뿐, 본문의 내용은 모두 동일한 판본으로 확인되었다.
2. 1. 개요 및 구성
洪良浩중국어, 高廷憲중국어 등이 편찬한 책으로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인좌의 난 등 5난이 일어났을 때 활약한 호남 지방 의병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책의 권두에는 '범례(凡例)' 14개 항이 수록되었고, 「호남절의록 총서(湖南節義錄總敍)」라는 제목 아래 임진기사(壬辰記事)‚ 갑자기사(甲子記事), 정묘기사(丁卯記事), 병자기사(丙子記事)‚ 무신기사(戊申記事)라는 부제를 달아 각 사건의 개요를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제1권에서 제5권까지는 해당 사건별로 절개를 지킨 인물들의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이 책에는 순절자 374명, 공훈자 1,086명, 총 1,460명의 순창자(殉倡者)가 수록되어 있다.
2. 2. 주요 내용
홍양호, 고정헌 등이 편찬한 책으로, 임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인좌의 난 등 5난(亂)이 일어났을 때 활약한 호남 지방 의병들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책의 권두에는 '범례(凡例)' 14개 항이 수록되었고, 다음으로 「호남절의록 총서(湖南節義錄總敍)」라는 제목 하에 임진기사(壬辰記事)‚ 갑자기사(甲子記事), 정묘기사(丁卯記事), 병자기사(丙子記事)‚ 무신기사(戊申記事)라는 부제를 달고 각 사건의 개요를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제1권에서 제5권까지 해당 사건별로 입절(立節)한 인물들의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이 책에는 순절자 374명, 공훈자 1,086명, 총 1,460명의 순창자(殉倡者)가 수록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순창자를 배출한 지역은 영광, 장흥, 보성, 나주, 남원 등의 순으로 확인되어, 입절(立節)한 호남 사람의 사적을 수록한 것으로 해당 시기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2. 3. 자료적 가치
湖南節義錄중국어은 국가 변란기에 호남 사람들이 한국사의 발전 과정에서 수행해온 역할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며, 호남 의향론(義鄕論)의 핵심 자료 중 하나로 널리 이용된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국란 시기에 호남 지방의 모의(募義) 활동 양상이나 경향 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특히, 임진왜란 시기 호남 의병들의 활동은 이순신 장군의 승리와 함께 나라를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799년 여름 순천 송광사에서 초간된 湖南節義錄중국어 초간본은 역사적, 서지학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의병의 고장 나주에서는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할 필요가 있다.
3. 금성삼강록(錦城三綱錄)
《금성삼강록》은 1802년(순조 2) 김세연, 고정헌, 이인채 등이 편찬한 책으로, 금성(나주의 별칭) 지역의 충신, 효자, 열녀의 행적을 기록한 3권 2책 목판본이다. 크기는 가로 20.8cm, 세로 32.5cm이다.
3. 1. 개요 및 구성
《금성삼강록》은 금성(나주의 별칭) 지역의 충신(忠臣), 효자(孝子), 열부(烈婦) 등 삼강(三綱)에 뛰어난 사람들의 사적(事蹟)을 모은 기록으로, 삼강을 모아 엮은 책이다. 1802년(순조 2) 김세연(金世淵), 고정헌(高廷憲), 이인채(李寅采)가 3권 2책 목판본으로 발행하였다. 서문은 김세연·고정헌, 발문은 이인채가 작성하였고, 삼강(三綱)에서 귀감이 되는 인물의 행동을 후세에 전할 목적으로 간행했음을 밝혔다. 범례에서는 본문에 기록된 인물들을 나이에 따라 편제한다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효자, 충신, 열녀로 구분하고, 해당 인물의 자(字), 관직 경력, 활동 상황 등을 기록하고 있다.《삼강록》은 정조 즉위년(1776)부터 7년간 식년마다 실시, 각 도에서 충신, 효자, 열부의 삼강에 뛰어난 사람을 뽑아 팔도에서 이를 예조에 보고하면 예조에서 다시 국왕에게 아뢰어 증직, 급복 및 상전을 시행, 이를 뒷받침하는 사적을 1802년 나주향교에서 3권 2책을 간행하면서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본서는 전라도 나주 지역의 충신(忠臣), 효자(孝子), 열부(烈婦)의 삼강(三綱)에 뛰어난 사람들의 사적을 모은 책으로 조선 후기 나주 지역의 지역 문화와 지역 사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
3. 2. 주요 내용
忠臣중국어, 孝子중국어, 烈婦중국어 등 삼강(三綱)에 뛰어난 나주 지역 사람들의 사적(事蹟)을 모은 기록이다. 1802년 김세연(金世淵), 고정헌(高廷憲), 이인채(李寅采)가 작성 및 발행하였다. 서문은 김세연과 고정헌이, 발문은 이인채가 작성하였으며, 삼강(三綱)에서 귀감이 되는 인물의 행동을 후세에 전할 목적으로 간행했음을 밝혔다. 범례에서는 본문에 기록된 인물들을 나이에 따라 편제한다는 기준을 제시하였다.본문은 효자, 충신, 열녀로 구분하고, 해당 인물의 자(字), 관직 경력, 활동 상황 등을 기록하고 있다. 정조 즉위년(1776)부터 7년간 식년마다 각 도에서 충신, 효자, 열부를 뽑아 예조에 보고하면, 예조에서 다시 국왕에게 보고하여 증직, 급복 및 상전을 시행하였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적을 1802년 나주향교에서 간행하였다.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3. 3. 자료적 가치
金世淵중국어, 高廷憲중국어, 李寅采중국어가 1802년(순조 2)에 발행한 《금성삼강록》은 금성(나주의 별칭) 지역의 충신(忠臣), 효자(孝子), 열부(烈婦)의 삼강(三綱)에 뛰어난 사람들의 사적(事蹟)을 모은 기록이다. 조선 후기 나주 지역의 지역 문화와 지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학술적 가치가 있다. 특히, 당시 사회의 윤리 의식과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4. 소장 경위 및 현황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은 현재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482에 거주하는 이재향(李載香) 씨가 소장하고 있다. 그는 이들 자료 외에도 문촌공 이광선의 후손으로서 선현의 충절과 관련된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4. 1. 이광선과 후손
이재향 씨는 임진왜란 당시 관군 지휘부로 활동하며 큰 공을 세운 이광선(李光先|이광선중국어, 1563~1616)의 후손이다. 이광선의 자는 여효(汝孝), 호는 문촌(文村),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그는 1591년 신묘별시무과을과에 급제한 후, 권율 휘하에서 금산전투, 이치대첩, 독성전투, 행주대첩 등에서 큰 공을 세웠다. 이순신과도 교류하였으며,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4. 2. 추가 소장 자료
소장자 이재향은 이광선의 선무원종공신녹권 1책, 교지 4점, 고문서 7점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7호로 지정 등록하였다.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은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55호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남파유고 등 49점을 나주시에 기탁하고 있다.4. 3. 기증 및 보존 노력
소장자 이재향은 이광선의 선무원종공신녹권 1책, 교지 4점, 고문서 7점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7호로 지정 등록하였다.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은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55호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남파유고 등 49점을 나주시에 기탁하는 등 선현의 충절 정신을 기리고 관련 자료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