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어는 몸이 납작하고 가슴지느러미가 넓게 발달한 마름모꼴의 어류로, 몸길이는 약 150cm이다. 등쪽은 갈색, 배쪽은 흰색 또는 회색을 띠며, 몸 등 중앙선에 가시가 있다. 동해, 동중국해 및 한반도,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함량이 높아 회, 구이, 국, 포 등으로 이용된다. 특히 삭혀 먹는 홍어는 독특한 풍미로 한국의 향토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홍어삼합으로도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어과 - 홍어속
홍어속은 가오리류에 속하는 속으로, 2016년에 일부 종이 이동되었으며 현재 14종이 존재하고 한국에는 15종이 서식한다. - 홍어과 - 참홍어
참홍어는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는 가오리 종류로, 최대 1.12m까지 성장하며, 마름모꼴 가슴지느러미와 꼬리 등지느러미를 가지며 난생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소비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1841년 기재된 물고기 - 노랑가오리
노랑가오리는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며 최대 2m까지 자라는 가오리류의 일종으로, 꼬리에 독가시가 있고 갑각류를 먹으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1841년 기재된 물고기 - 긴부리새치
긴부리새치는 긴 주둥이를 가진 육식성 어류로, 대서양 북아메리카와 유럽 북동부 해역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어획된다.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별불가사리
별불가사리(Patiria pectinifera)는 동북아시아 해역에 분포하며 얕은 조간대에서 서식하고, 조류 등을 섭취하며, 난모세포 연구에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홍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kamejei kenojei |
명명자 | Müller & Henle, 1841 |
이명 | Dipturus kenojei (Müller & Henle, 1841) Raja fusca (Garman, 1885) Raja japonica (Nyström, 1887) Raja karagea (Tanaka, 1927) Raja katsukii (Tanaka, 1927) Raja kenojei (Müller & Henle, 1841) Raja porosa (Günther, 1874) Raja tobae (Tanaka, 1916)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아강 | 판새아강 |
상목 | 가오리상목 |
목 | 홍어목 |
과 | 홍어과 |
속 | 홍어속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취약 |
IUCN 상태 기준 | IUCN3.1 |
IUCN 참고 자료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61645/124520681 |
어류 데이터베이스 | |
FishBase | http://www.fishbase.org/summary/Okamejei-kenojei.html |
서식 및 생태 | |
서식지 | 한국, 일본, 동중국해 |
먹이 | 갑각류, 어류, 다모류 |
기타 정보 | |
관련 뉴스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4863448&sid1=001 |
2. 특징
홍어는 몸이 위아래로 납작하고 가슴지느러미가 넓게 발달해 있어 위에서 보면 마름모꼴이다. 몸길이는 약 150cm이다. 몸빛깔은 등쪽이 갈색이고 배쪽은 희거나 회색이다. 머리와 주둥이는 작으나 돌출되어 있다. 눈은 작고 분수공은 눈 뒤쪽에 가깝게 붙어 있다. 몸의 등 중앙선에 많은 가시가 있고, 이빨은 작고 마름모꼴이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이나 몸 뒤쪽에 있고 모두 작다. 뒷지느러미는 없고 배지느러미는 있어도 아주 작다. 가슴지느러미의 기저(基底)면에 한 개의 검은 테를 가진 큰 반점이 있다. 난생이고 20~80m 깊이의 바다에 살며 봄에 산란한다.[1]
2. 1. 신체적 특징 (일본어 문서 관련)
등에는 가시가 있어 베인 상처를 입을 수 있다.[1] 주둥이 연골은 약간 단단하여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다.[1] 체반에 미세한 갈색 흑점이 없고, 뒷면(복면)의 어두운 부분이 넓으며, 꼬리의 피부 주름은 가장 뒤쪽의 꼬리 지느러미 중앙보다 약간 뒤까지 뻗어 있다.[1]3. 분포
홋카이도에서 가고시마만에 이르는 동해 및 동중국해 해역과 홋카이도에서 분고 수도, 세토 내해, 아리아케해에 이르는 해역에 분포한다. 한반도, 중국 보하이해, 황해, 타이완, 홍콩에도 분포한다.
4. 생태
홍어의 몸은 위아래로 납작하고, 가슴지느러미가 넓게 발달해 있어 위에서 보면 마름모꼴이다. 몸길이는 약 150cm이다. 몸빛깔은 등쪽이 갈색이고 배쪽은 희거나 회색이다. 머리와 주둥이는 작으나 돌출되어 있다. 눈은 작고 분수공은 눈 뒤쪽에 가깝게 붙어 있다. 몸 등 중앙선에 많은 가시가 있고, 이빨은 작고 마름모꼴이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이나 몸 뒤쪽에 있고 모두 작다. 뒷지느러미는 없고 배지느러미는 있어도 아주 작다. 가슴지느러미 기저면에 한 개의 검은 테를 가진 큰 반점이 있다. 난생이고 20m~80m의 깊은 곳에 살며 봄에 산란한다.
5. 이용 및 음식
홍어는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함량이 높아 특유의 맛과 향을 가진다. 회, 구이, 국, 포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7] 삭히지 않고 그냥 먹는 경우도 있다. 서양에서는 삶은 홍어를 헤이즐넛 버터, 파슬리, 레몬, 케이퍼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상태의 홍어는 상한 것으로 보아 먹지 않는다.[8] 조림이나 건어물로도 만들 수 있지만, 비린내가 난다. 요리할 때 꼬리는 위험하므로 잘라내는 것이 좋다.
5. 1. 한국에서의 이용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함량이 높아 회, 구이, 국, 포 등으로 먹는다.[7] 다른 생선과는 달리 항아리에 짚, 소금 등을 함께 넣고 삭혀 먹으며, 삭히지 않고 그냥 먹기도 한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홍어삼합이다. 삼합은 삭힌 홍어를 돼지 삼겹살 수육과 함께 묵은 김치에 싸 먹는 음식이다. 막걸리를 곁들여 먹기도 하는데, 이를 '홍탁'이라고도 한다. 홍어회는 호남을 대표하는 향토 음식으로, 영남의 과메기, 문어와 함께 3대 향토 음식으로 꼽히기도 한다. 가오리와 유사하지만 가격이 더 비싸 가오리를 홍어로 속여 파는 일도 있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가오리와 홍어를 구별하는 감별법을 개발하기도 했다.[9]5. 2. 기타 국가에서의 이용
아이슬란드에서는 삭혀서 데친 홍어를 명절 음식으로 먹는다.[8] 서양에서는 삶은 홍어를 헤이즐넛 버터, 파슬리, 레몬, 케이퍼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8] 일본에서는 조림이나 건어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요리 시 꼬리는 위험하므로 잘라내는 것이 좋다.6. 기타
일본에서는 세밀한 베이지색 반점이 전통 기모노 무늬와 비슷하여 코몬카스베라고 불리지만, 가시가오리는 아니다.[1] 옛날부터 도바카스베라고도 불렸다.[1] 등에는 가시가 있어 베인 상처를 입을 수 있다.[1] 주둥이 연골은 약간 단단하여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다.[1] 체반에 미세한 갈색 흑점이 없고, 뒷면(복면)의 어두운 부분이 넓으며, 꼬리의 피부 주름은 가장 뒤쪽의 꼬리 지느러미 중앙보다 약간 뒤까지 뻗어 있다.[1]
참조
[1]
간행물
Okamejei kenojei
2021-11-20
[2]
FishBase
[3]
학술지
Feeding habits of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Müller & Henle, 1841), in coastal waters of Taean, Korea
https://www.research[...]
[4]
FishBase
[5]
간행물
Okamejei kenojei
2024-10-07
[6]
뉴스
상어가오리ㆍ홍어 '알고보니 같은 동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1-12
[7]
뉴스
팍 삭힌 홍어회, 소화 돕고 기운 회복
http://s.hankyung.co[...]
한경닷컴
2013-03-14
[8]
서적
죽기 전에 꼭 먹어야 할 세계 음식 재료 1001
https://terms.naver.[...]
마로니에북스
2009-03-15
[9]
뉴스
국과수, ‘가짜 국산홍어’ 감별법 개발
http://news.naver.co[...]
채널A
2015-06-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인의 반찬' 콩나물, 우리나라만 먹는다?
전국 방방곡곡 맛난 음식과 술 총정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