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홍콩의 행정을 담당하는 기구로, 행정 수반인 행정장관과 행정부, 중앙 정부와의 관계, 공무원 제도로 구성된다. 행정장관은 선거위원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되어 국무원 총리의 임명을 받으며, 행정회의를 통해 정책을 결정한다. 행정부는 정부 총부와 집행 부문, 공영 기구로 나뉘며, 2022년 정부 개편으로 15개의 정책국 체제를 갖추었다. 중앙 정부는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고도의 자치를 보장하며, 홍콩 정부 고위 관리 임명권을 갖는다. 공무원은 정무직, 행정직 등 다양한 직군으로 구성되며, 중국어와 영어 능력이 요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 홍콩 금융관리국
홍콩 금융관리국은 홍콩의 통화 및 은행 시스템 안정과 금융 제도 효율성 증진을 목표로 1993년 설립된 기관으로, 통화 정책 결정, 은행 감독, 10홍콩 달러 지폐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홍콩 달러의 미국 달러 연동 고정환율제 유지를 최우선으로 한다. -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 홍콩의 행정장관
홍콩의 행정장관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수반으로서 홍콩 정부를 이끌고 법을 집행하며 법안에 서명하는 등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가지지만, 선출 방식과 권한, 높은 보수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 [정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관할 구역 | 홍콩 |
주요 기관 | 행정회의 |
설립일 | 1997년 7월 1일 |
수장 직함 | 행정장관 |
수장 임명 | 총리,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공식 웹사이트 | https://www.gov.hk |
정부 부서 | 13개 (전체 목록) |
관련 문서 | 홍콩 기본법 |
법원 | 종심법원 |
입법부 | 입법회 |
본부 | 중앙 정부 청사 |
회의 장소 | 입법회 청사 |
약칭 | 홍콩 정부 |
중국어 간체 | 香港特别行政区政府 |
중국어 병음 | Xiānggǎng Tèbié Xíngzhèngqū Zhèngfǔ |
광둥어 | Hēunggóng Dahkbiht Hàhngjingkēui Jingfú |
행정 | |
행정장관 | 존 리 |
정무사장 | 에릭 챈 |
재정사장 | 폴 찬 |
율정사사장 | 폴 램 |
행정회의 소집인 | 레지나 이프 |
법률 | |
법률 | 홍콩 법 |
기본법 | 홍콩 기본법 |
국가 보안법 | 제23조 |
사법부 | 사법 기관 |
외교 관계 | |
외교 관계 | 외교 관계 |
2. 행정 수반
홍콩 특별행정구의 수반이자 행정 수반은 홍콩 행정장관이다.[4] 행정장관은 홍콩 기본법에 따라 행정회의와 함께 홍콩 정부를 이끌며, 삼권 분립 원칙이 적용된다. 행정장관은 선거위원회의 선출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의 임명을 통해 직위에 오른다. 주요 책임으로는 기본법 시행, 법률 공포, 정부 정책 결정 등이 있다.[5][6]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이후 홍콩 총독의 역할을 대체했으며, 정무사장, 재정사장 등의 보좌를 받는다. 부패방지청과 감사원은 행정장관에게 직접 보고한다. 현 행정장관은 존 리이다.
2. 1. 행정장관
행정장관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수반이자 행정 수반이다. 홍콩 기본법은 행정장관과 행정회의가 이끄는 통치 시스템을 규정하고 있으며,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4] 반대표적 정부와 독립적인 사법부가 있는 2단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행정장관은 기본법에 정의된 40개의 기능별 선거구 내에서 선출된 개인과 단체(즉, 특별 이익 단체)로 구성된 1,500명의 선거인단인 선거위원회에 의해 간접 선거로 선출된다. 당선자는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에 의해 해당 직위에 임명된다. 홍콩의 신문 등에서는 특별행정구의 수장을 줄여 "특수(特首)"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행정장관의 선출은 간접 선거 방식이지만, 최종 임명은 국무원 총리가 하므로, 홍콩 정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 중앙 정부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정장관은 홍콩 기본법의 시행, 법안 및 예산 서명, 법률 공포, 정부 정책 결정, 행정 명령 발령 등의 책임을 진다. 2019년 10월 4일, 당시 행정장관이었던 캐리 람은 홍콩 법률 제241장인 긴급상황규례 조례를 발동하여 입법부를 거치지 않고 법령에 의한 입법 권한을 행사하기도 했다.[5][6]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이후, 홍콩 행정장관은 홍콩 정부 수반으로서 이전의 홍콩 총독을 공식적으로 대체했다. 행정장관은 정무사장과 재정사장, 그리고 각 정책국을 이끄는 다른 비서들의 보좌를 받는다. 이들 비서는 행정장관의 지명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의해 임명된다. 법무사(SJ)는 정부의 법률 자문과 특별행정구의 형사 사건 기소를 담당한다. 부패방지청과 감사원은 행정장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독립 기관이다.
현 행정장관은 존 리이다.
3. 행정부
홍콩 특별행정구의 행정 기능은 행정장관을 수반으로 하는 행정부에 의해 집행된다. 행정부는 행정회의, 주요 관리, 그리고 정책국 및 관련 부서들로 구성된다.
행정회의는 행정장관에게 정책 결정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최고 기구이다. 행정부의 운영은 정무사 사장, 재정사 사장, 율정사 사장 등 3명의 사장(Secretary)과 여러 정책국을 이끄는 국장(Director of Bureau)을 포함한 주요 관리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2002년 도입된 책임 시스템에 따라 정치적으로 임명된다.
정책 수립은 정부총부 내 여러 정책국에서 담당하며, 결정된 정책은 관련 집행 부서들을 통해 실행된다. 2022년 정부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재 15개의 정책국이 운영되고 있다. 각 정책국은 특정 분야를 담당하며, 정무사장 또는 재정사장의 지휘를 받는다.
3. 1. 행정회의
행정회의(Executive Council)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주요 정책 결정, 입법회에 제출할 법안 심의, 하위 법규 제정 등을 담당하는 핵심 기구이다.[1][2] 행정회의는 21명의 주요 관료(관직 멤버, 官方成員|관방성원중국어)와 16명의 비관료 위원(비관직 멤버, 非官方成員|비관방성원중국어)으로 구성된다.[1][2] 모든 위원은 행정장관이 정부 고위 관리, 입법회 의원, 기타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 중에서 임명하며, 임기는 행정장관의 임기와 같다.[1]행정회의 의장은 행정장관이 맡는다.[2] 형식상 자문 기구의 성격을 가지며, 최종 결정은 다수결 원칙이 아닌 행정장관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진다.[2] 홍콩 반환 초기에는 재계 출신의 비관직 멤버를 중심으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역할이 강했다.[2]
그러나 2002년 7월 고위 관료 문책제가 도입되면서 정무사장, 재정사장, 율정사장 등 3명의 사장(司長)과 11명의 국장(局長)이 모두 관직 멤버로 임명되어, 행정회의는 내각과 유사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2] 이후 쩡인취안 행정장관 시기에는 비관직 멤버가 증원되어 관직 멤버가 소수파가 되었고, 정부와 여러 정치 세력 간의 이해 및 의견 조율 기능이 다시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2]
행정회의의 논의 내용은 보도 자료로 발표되는 결정을 제외하고는 비공개이며, 모든 멤버는 기밀 유지 의무를 지닌다. 특히 정부 측 설명과 다른 멤버의 발언을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금지된다.[2]
3. 2. 주요 관리
2002년 7월, 당시 행정장관 둥젠화는 주요 관리 책임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 하에서 정무관료, 즉 정무차관, 재정장관, 법무장관, 정부 부서장 및 행정장관 비서실 실장을 포함한 모든 주요 관리들은 더 이상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직업 공무원이 아닌, 공무원 내부 또는 외부에서 행정장관이 직접 선택하는 정치적 임명직이 되었다. 이는 과거 고위 공무원과 행정장관 간의 협력 문제 등 행정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설명되었다.새로운 시스템은 3명의 사장(Secretary)과 13명의 국장(Director of Bureau)으로 구성된다. 이 제도의 목표는 공무원의 책무성을 높이는 것으로, 정치적으로 임명된 이들은 자신의 모든 직무에 책임을 지며, 실패할 경우 사임해야 한다. 모든 부서장은 행정회의의 구성원이 되었고, 기존에 정무차관이나 재정장관에게 보고하던 것에서 행정장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로 변경되었다.
3명의 사장과 13명의 국장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내에서 사실상 각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행정장관이 지명하고 국무원이 임명하지만, 입법회의 승인은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민주주의 국가의 각료와는 달리, 이들이 누구에게 실질적인 책임을 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 2002년 이전까지 이들 고위 관료는 공무원 신분이었으나, 2002년 7월 문책제 도입으로 정치 임명직으로 전환되어 각료에 가까운 지위를 갖게 되었다. 공무원이 이 직책에 임명될 경우, 기존 공무원직에서 퇴직해야 하며 원칙적으로 다시 공무원 신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공무원 사무국장 제외). 이를 통해 재계나 학계 인사들의 등용이 가능해졌다.
'''사장'''은 행정장관을 직접 보좌하는 최고위 관료이다.
- 정무사 사장(정무장관): 서열 1위로 간주되며, 모든 국(Bureau)과 국장(Director of Bureau)을 총괄 지도한다.
- 재정사 사장(재정장관): 서열 2위로, 재정 및 경제 관련 국과 국장만을 지도한다.
- 율정사 사장(법무장관): 서열 3위로, 행정장관의 법률 고문 역할을 하며 법률 사무를 관장하는 율정사 부문을 통괄하지만, 다른 국장을 직접 지도하지는 않는다.
홍콩 기본법에는 부사장 직책이 언급되어 있으나, 홍콩 반환 이후 실제로 임명된 적은 없다.
'''국장'''은 각 정책국(Policy Bureau)의 수장으로, 해당 사장의 지도 아래 소관 분야의 정책 결정을 담당한다. 영어 명칭은 사장과 동일하게 'Secretary'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실제 직급은 사장보다 낮다.
3. 3. 부장관 및 정치 보좌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2007년 10월 17일 정무 임명 제도의 추가 개발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9] 이 보고서에 따라 국장급 차관과 국장 보좌관(AD)이라는 두 계층의 직책이 정무 임명 대상에 추가되었다. 각 국장은 새로 임명된 두 명의 지원을 받아 정무팀을 이루게 되며, 이들은 행정 주도 정부 하에서 행정장관의 정책 아젠다를 실행하기 위해 해당 국의 비서 및 고위 공무원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역할을 맡는다. 주요 공무원들과 마찬가지로, 이 두 새로운 직책은 공무원 내부 또는 외부에서 충원될 수 있으며, 임명자가 반드시 정치적 배경을 가질 필요는 없다.[10]2008년 5월 20일, 8명의 새로운 차관보가 임명되었고, 이틀 뒤인 5월 22일에는 9명의 정무 보좌관 임명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정부 스스로 인정한 바와 같이, 발표 과정은 미흡하게 처리되었으며, 임명된 인물들의 국적 및 경력, 채용 과정의 투명성 부족, 공무원 급여 수준과의 형평성 등 여러 핵심적인 측면에 대해 광범위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1]
3. 4. 정무사장
정무사(政務司, Chief Secretary for Administration)는 행정장관을 보좌하며 정책국을 감독하고 정책 수립 및 시행의 조화를 보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고위 관료인 사장(司長, Secretary)은 총 3명으로, 이들은 각료에 상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중 '''정무사 사장'''은 으뜸으로 여겨지며, 모든 국(局) 및 국장(局長)을 지도한다. 서열 2위인 재정사 사장은 재정 및 경제 관계의 국 및 국장만을 지도하며, 3위인 율정사 사장은 행정장관의 법률 고문으로서의 역할과 율정사 부문을 통괄하지만 국장을 지도하는 입장은 아니다.
사장은 행정장관이 지명하고 중앙인민정부(국무원)이 임명한다. 입법회의 승인은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민주주의 국가의 각료와 달리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
2002년까지 사장을 포함한 정부 고위 관료는 공무원이었으나, 2002년 7월 문책제(問責制, Principal Officials Accountability System) 도입에 따라 정치 임명직 포스트가 되었다. 이는 각료에 더 가까운 위치를 부여한 것으로 평가되며, 재계나 학계 인사의 등용도 가능하게 되었다. 공무원이 사장으로 임명될 경우, 원칙적으로 공무원직에서 퇴직해야 한다(공무원 사무국장 제외).
현임 정무사 사장은 천궈지 (陳國基, Chan Kwok-ki)이다.
3. 5. 재정사장
재정사장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각료에 해당하는 고위 관료 중 한 명이다. 서열상 정무사 사장 다음인 2위이며, 재정 및 경제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국과 국장을 지도한다.재정사장은 행정장관의 정책 연설에 따라 정부 예산을 준비하고, 재정 정책이 공공 재정 조례에 부합하도록 관리할 책임이 있다. 매년 입법회에 정부의 수입과 지출 예상치, 예산 제안 등을 담은 연례 예산안을 제출하여 통과시켜야 한다. 현재 재정사장은 폴 찬 모포이다.
재정사장을 포함한 3명의 사장과 13명의 국장은 행정장관이 지명하고 중국 국무원이 임명한다. 하지만 입법회의 승인 절차는 필요하지 않아, 민주주의 국가의 각료와 달리 누구에게 정치적 책임을 지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2002년까지 이들 고위 관료는 공무원 신분이었으나, 2002년 7월 문책제가 도입되면서 정치 임명직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공무원 출신이 임명될 경우 퇴직해야 하며, 원칙적으로 다시 공무원으로 돌아갈 수 없다(공무원 사무국장 제외). 이러한 변화로 재계나 학계 등 외부 전문가의 등용이 가능해졌다.
3. 6. 법무사장
법무사장(律政司司長중국어)은 기소 및 법률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며, 법무부를 이끈다. 현 법무사장은 림정걸이다.법무사장은 행정장관의 법률 고문 역할을 수행하며, 법률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율정사 부문을 통괄한다. 그러나 정무사 사장이나 재정사 사장과는 달리 다른 정책국 국장을 지도하는 위치는 아니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내 고위 관료 중에서는 정무사 사장, 재정사 사장에 이어 서열 3위로 여겨진다.
3. 7. 정책국 및 부서
2022년 7월 리자차오 행정부 출범 이후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조직은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정부총부(Government Secretariat)와 정책 실행을 담당하는 집행 부서(Executive Departments)로 크게 나뉜다. 2022년 정부 개편을 통해 현재 15개의 정책국(Policy Bureaux)이 정부총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외에 정부 조직과는 별도로 공영 기구(Public Bodies)가 존재한다.'''정부총부'''는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 조직으로, '결책국'이라고도 불린다. 15개 정책국은 각각 특정 분야의 정책을 수립하며, 정무사장 또는 재정사장의 지도를 받는다. 각 정책국의 수장은 정치임용제에 따라 임명되는 '국장'이며, 국장 아래에는 해당 국의 공무원 중 최고위직인 상임 비서장과 정치적으로 임명되는 부국장, 정치보좌 등이 있다.
'''집행 부서'''는 정책국이 결정한 정책을 실제로 집행하는 기관이다. 대부분 특정 정책국의 관할 하에 있으며 해당 국에 책임을 진다. 다만, 일부 집행 부서는 정무사장이나 재정사장, 또는 행정장관에게 직접 보고하기도 한다. 홍콩 기본법에 따라 해관 관장(세관장), 염정 전원(염정공서 장관), 경무처 처장(경찰청장), 입경 사무처 처장(이민국장), 심계서 서장(회계감사원장) 등 일부 집행 부서의 장은 행정장관이 지명하고 중앙 정부(국무원)가 임명한다. 심계서(회계감사원)는 정부의 회계 감사를 담당하며 입법회에 직접 보고한다.
'''공영 기구'''는 정부 조직에는 포함되지 않는 반관반민 성격의 조직이다. 일본의 독립 행정 법인이나 특수 법인과 유사하게, 정부의 출자나 지시를 받아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설립 배경이나 성격은 다양하다. 정부 예산 지원을 받는 기구 외에 홍콩 철도 유한공사나 홍콩 공항 관리국처럼 자체 사업 수입으로 운영되는 공기업 형태도 있다. 설립법에 근거한 조직은 법정 기구(Statutory Bodies)라고도 불리며, 대학, 자선 단체, 홍콩 증권 거래소, 홍콩 무역 발전국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7. 1. 정책국 목록 (2022년 개편 이후)
2022년 7월 1일 리자차오 행정부 출범과 함께 정부 조직 개편이 이루어져 15개 정책국 체제가 되었다. 이 중 9개 정책국은 정무사장에게, 나머지 6개 정책국은 재무사장에게 보고한다. 정무사장은 관례상 정책국의 수장으로 여겨진다.개편된 15개 정책국은 다음과 같다.
- 정무사장 산하 (9개)
- 공무원 사무국: 공무원 인사(채용, 육성), 규율 유지 관할.
- 헌법 및 본토 사무국: 선거 사무, 중앙 정부와의 교섭, 해외와의 조약·협정 관련 사무 관할.
- 문화, 스포츠 및 관광국 (신설): 레저, 문화, 스포츠, 관광 진흥 관할.
- 교육국: 교육 행정 관할.
- 환경 및 생태국 (환경국에서 개칭, 기존 식품 및 보건국의 환경 위생 및 식품 안전 업무 이관): 환경 보호, 자연 보전, 환경 위생, 식품 안전, 농어업 관할.
- 보건국 (폐지된 식품 및 보건국에서 건강 관련 정책 인수): 의료 정책, 공공 보건 서비스 관할.
- 내무 및 청소년 사무국 (내무국에서 개편): 지역 행정, 청소년 개발, 사회적 기업, 정보 서비스 관할.
- 노동 및 복지국: 노동 정책, 복지 정책 관할.
- 보안국: 치안(경찰, 교도소), 출입국 관리, 세관, 소방, 재난 대응 등 공공 안전 관할.
- 재무사장 산하 (6개)
- 상무 및 경제 개발국: 상업, 산업, 무역, 지식 재산권, 통신, 방송, 관광(일부), 투자 유치 관할.
- 개발국: 토지 이용 계획, 도시 개발, 공공 사업, 건축물 관리 관할.
- 재무 서비스 및 재무부: 금융 서비스 정책, 정부 재정 및 예산 관리, 세금, 통계 관할.
- 주택국 (폐지된 운송 및 주택국에서 분리): 공공 및 민간 주택 정책, 토지 공급 관할.
- 혁신, 기술 및 산업국 (혁신기술국에서 개칭): 혁신 및 기술 개발 지원, 정보 기술 정책, 산업 진흥 관할.
- 운송 및 물류국 (폐지된 운송 및 주택국에서 분리): 육상, 해상, 항공 운송 정책 및 인프라, 물류 발전 관할.
아래는 각 정책국과 그 산하의 주요 정부 부서 목록이다.
보고 대상 | 정책국 (정부 사무국) | 산하 주요 정부 부서 |
---|---|---|
정무사장 | 행정 장관 비서실1 | |
공무원 사무국 | (산하 부서 없음) | |
헌법 및 본토 사무국 | ||
문화, 스포츠 및 관광국 | ||
교육국 | ||
환경 및 생태국 | ||
보건국 | ||
내무 및 청소년 사무국 | ||
노동 및 복지국 | ||
보안국 | ||
재무사장 | 재정 장관 비서실1 | |
상무 및 경제 개발국 | ||
개발국 | ||
재무 서비스 및 재무부 | ||
주택국 | ||
혁신, 기술 및 산업국 | ||
운송 및 물류국 |
''1 행정 장관 비서실과 재정 장관 비서실은 정책 결정 및 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공식적인 정책국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정부 구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4. 중앙 정부와의 관계
홍콩 행정장관은 선거위원회에 의한 간접 선거로 선출되지만, 최종 임명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가 한다. 따라서 홍콩 정부의 운영 방식을 이해하려면 중국 중앙 정부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은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분야에서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받는다. 이에 따라 홍콩의 외교 사무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주홍콩 특파원 공서가, 국방은 중국 인민해방군 홍콩 주둔부대가 담당하며, 이들 기관은 홍콩에 설치 및 파견되어 있다. 또한 중앙 정부의 홍콩 대표부로서 중앙인민정부 주홍콩 연락판공실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홍콩 기본법에 따라 중앙 정부는 홍콩 정부 고위 관리의 임명권을 가진다. 임명 대상은 다음과 같다.
직위 | 설명 |
---|---|
행정장관 | 홍콩 특별행정구 수반 |
사장(司長) | 정무사장, 재정사장, 법무사 |
부사장(副司長) | 현재 미설치 |
국장 | 각 정책국의 장관 |
염정전원(廉政專員) | 염정공서의 장관 |
심계서 서장(審計署 署長) | 심계서장 (한국의 감사원장에 해당) |
경무처장(警務處處長) | 홍콩 경찰의 수장 |
입경사무처장(入境事務處處長) | 출입국 관리 책임자 |
해관관장(海關關長) | 세관 책임자 |
다만 행정장관은 선거를 통해 선출되고, 다른 고위 관리는 행정장관이 지명하는 형식이므로, 중앙 정부의 임명권은 사실상 임명 거부권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5. 공무원 제도
홍콩 정부의 직원, 즉 공무원은 정무직, 행정 주임직, 법정 언어 주임·동시 통역 주임·교정원직, 훈련 주임직, 문서·비서직 등으로 나뉜다. 모든 직종에서 중국어(광둥어와 표준중국어) 및 영어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급여 수준은 직렬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반직 공무원의 급여는 일본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며, 행정직은 일본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정무직 공무원의 급여는 일본의 거의 두 배에 달하며, 수장급으로 승진하면 더 높은 급여를 받게 된다. 공무원 최고위직인 정책국 비서장(D8, 수장급 갑1급 정무관)의 월급은 21만홍콩 달러으로, 일본 엔화로는 300만엔 이상으로 책정되어 있다. 홍콩 금융 관리국 국장의 경우, 운용하는 펀드의 성과에 따라 변동이 있지만 실제로는 일본 엔화로 1억엔를 훨씬 넘는 보수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다만, 2001년 이후 경기 침체와 재정 적자 확대로 인해 공무원 급여는 다소 삭감되는 추세이다.
'''정무직계''' (AO, Administrative Officer)는 공무원 중 가장 높은 등급의 직책으로, 최고위직인 정책국 비서장까지 승진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 문책 제도가 도입된 이후에는 해당 직책에서 물러나야 하지만, 이후 국장이나 사장으로 임명될 기회도 있다(단, 중국 국적 보유자에 한함). 2006년 말 기준으로 홍콩 정부 전체에 583명의 정무직 공무원이 있다.
정무직으로 임용되기 위해서는 대학 졸업 시 1급 또는 2급 우등 학사 학위(학사 학위 중 특히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수여)를 취득해야 한다. 임용 후 2년간의 수습 기간을 거치며, 이 기간 동안 해외 대학원으로 유학할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또한 베이징의 칭화 대학에서 중국 국내 상황 및 중앙 정부와의 관계에 대한 연수를 받는다. 첫 보직은 주로 민정 사무처에서 기초 행정 업무를 경험하는 것이며, 이후 원칙적으로 3년에 한 번씩 부서를 옮겨 다니며 홍콩 정부의 다양한 부서에서 경험을 쌓는다. 근무 부서는 정책국, 집행 부문, 해외 공관 등 다양하다https://www.csb.gov.hk/tc_chi/admin/grade/ao/425.html.
홍콩 반환 이전에는 정무직 공무원의 상당수가 영국인이었다. 그러나 홍콩 반환이 결정된 후, 특히 마지막 홍콩 총독이었던 패튼 총독 재임 시기에 홍콩 출신 중국인의 등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도 홍콩 영주권을 소지하고 있다면 외국 국적자도 정무직을 포함한 공무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수장급'으로 불리는 고위 간부직으로의 승진은 중국 국적자에게만 허용되므로, 영국인이나 영국 국적을 가진 중국계 홍콩인의 승진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우수한 홍콩 학생들이 해외 대학으로 유학하는 경우가 많아, 해외에서도 홍콩 공무원 채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행정관 직군'''(EO, Executive Officer)은 정무직 다음 등급으로, 주로 정부의 집행 부서에서 행정 사무를 담당한다. 2006년 말 기준으로 2,122명이 있다. 대학교 졸업이 임용 조건이지만, 정무직과 달리 해외 연수 기회는 일반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그 외 직종으로는 문서·비서직이 있으며, 이는 일반직에 해당한다. 약 2만 명 이상이 이 직종에 속해 있다. 법정 언어 주임·동시 통역 주임·교정원 직종은 정부 문서를 영어와 중국어로 작성하거나 번역하는 전문직으로, 총 600명 이상이 있다. 훈련 주임 직종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담당하며, 70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다 (모든 인원수는 2006년 말 기준).
참조
[1]
웹사이트
Basic Law of Hong Kong – Chapter IV
https://www.basiclaw[...]
2022-06-16
[2]
문서
Article 68, Hong Kong Basic Law
[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2024-25 Hong Kong Budget
https://www.china-br[...]
2024-03
[4]
웹사이트
No separation of powers in Hong Kong says Chief Exec. Carrie Lam, despite previous comments from top judges
https://hongkongfp.c[...]
2020-09-01
[5]
뉴스
Violence sweeps Hong Kong after face mask ban
https://www.afr.com/[...]
2019-10-05
[6]
웹사이트
Emergency Regulations Ordinance
https://www.elegisla[...]
[7]
웹사이트
GovHK: Government Structure
https://www.gov.hk/e[...]
2009-10-25
[8]
보고서
Report on Further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Appointment System
https://www.cmab.gov[...]
[9]
문서
"Consultation Document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Appointment System"
https://www.info.gov[...]
Hong Kong Government
2006-07
[10]
뉴스
"Attracting new political talent 'from all sector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06-07-27
[11]
뉴스
"Tsang's assistant may face Legco censure"
https://www.scmp.com[...]
2008-06-17
[12]
웹사이트
福井総裁の4倍!香港“中銀総裁”は世界一の俸給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