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국양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국양제(一國兩制)는 하나의 국가 내에서 두 개의 다른 사회·경제 체제를 허용하는 정치적 원칙이다. 이 원칙은 1980년대 덩샤오핑에 의해 처음 구상되었으며, 중국 공산당은 홍콩, 마카오, 대만과의 관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현재는 홍콩과 마카오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이 지역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로서 자본주의 경제 체제, 자체 통화, 법률 및 입법 체제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린다. 그러나 중국 중앙 정부는 외교와 국방을 담당하며,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 일국양제의 한계와 관련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일국양제는 대만, 한반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 다른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으나, 대만은 이를 거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국양제 -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
    2019년 홍콩에서 추진된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은 푼휘잉 피살 사건을 계기로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 인도 협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홍콩 시민들의 거센 반발과 대규모 시위를 야기하여 결국 철회되었으며, 홍콩 사회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나의 중국 -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대표로 인정받은 후 중화민국이 국제무대에서 사용하게 된 명칭으로, 복잡한 양안 관계를 반영하는 절충안이지만 명칭 사용에 대한 해석 차이와 다양한 국제사회의 사용 현황으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하나의 중국 - 92공식
    92공식은 1992년 양안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되 해석은 각자 다르다는 구두 합의로, 교류의 기반이 되었으나 해석과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양안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마카오의 정치 - 국무원홍콩마카오사무판공실
    국무원홍콩마카오사무판공실은 홍콩 및 마카오 특별행정구의 사회, 정치, 경제 등 각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중앙 정부와 홍콩·마카오 특별행정구 간의 연락을 감독·조정하는 중국 국무원 직속 기관이다.
  • 마카오의 정치 - 마카오 조직장정
일국양제
지도
기본 정보
샤먼시 스밍구 환다오 공로 풍경
샤먼의 표지판 (한 나라 두 제도 통일 중국)
중국어 간체一国两制
중국어 번체一國兩制
한어 병음Yīguó liǎngzhì
통용 병음Yi-guó liǎng-jhìh
주음 부호ㄧ ㄍㄨㄛˊ ㄌㄧㄤˇ ㄓˋ
광동어 예일jat1 gwok3 loeng5 zai3
포르투갈어Um país, dois sistemas
영어One Country, Two Systems
개요
내용중국의 헌법 원칙
주요 내용
목표중국 통일
대상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관련 구호
중국어 간체一个国家、两种制度
중국어 번체一個國家、兩種制度
영어One country, two systems
포르투갈어Um país, dois sistemas

2. 배경

1980년대 덩샤오핑 시대로 진입하면서 중국 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이 평화와 발전의 시대에 있다고 규정하고,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를 이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전쟁 불가피론에서 벗어나 전쟁을 피할 수 있다는 생각을 대외정책에 반영했다. 중국 공산당은 국가 발전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평화로운 국제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했다. 따라서 주변국과의 영토 분쟁에서 평화적인 해결 원칙을 천명하였고, 양안관계 문제에도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하며 무력을 통한 해결이 아닌 평화적 해결을 시도했던 것이 일국양제 개념의 시초이다.[105]

덩샤오핑은 홍콩, 마카오, 타이완과 관련하여 일국양제 원칙을 개발했다.[5] 홍콩과 마카오는 유럽 열강에 의해 식민지화되었고, 타이완은 중국 국민당의 지배하에 중국 내전 이후에도 남아 있었다.[5]

원래 일국양제는 중화민국의 실효 지배하에 있는 타이완 지역(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하기 위한 구상이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도 이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는 영국 식민지였던 홍콩포르투갈 식민지였던 마카오에서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도”는 원래 경제 제도를 가리킨다. 하지만 마카오는 반환 전 일이삼 사건부터 사실상 본토와의 일체화가 진행되었으며,[85] 경제적으로는 반환 후 급성장의 원동력이 된 중국 본토 관광객에 의존하고 있다.

2. 1. 홍콩의 경우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제2차 세계 대전 중 4년간 일본 점령 기간 제외) 156년 동안 영국 국왕이 임명한 총독이 통치하는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1997년 중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덩샤오핑은 홍콩의 미래를 논하면서, 홍콩 내부와 외부의 '파괴적인 세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위험을 언급했다.[5] 그는 이러한 세력이 홍콩 반환 전후 모두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중앙 정부가 때때로 홍콩 문제에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5] 1984년 베이징을 방문한 홍콩 대표들에게 덩샤오핑은 홍콩에 혼란이 발생하면 중앙 정부가 개입해야 하며, 그 개입이 홍콩 주민과 홍콩의 안정, 번영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5] 1988년에는 홍콩의 정치 체제가 영국이나 미국의 체제가 아니며, 앞으로 서구 정치 체제를 도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5]

중국은 중영 합동선언에 따라 홍콩 반환 전 홍콩의 '소헌법'인 기본법을 초안하고 채택했다. 기본법은 홍콩이 50년 동안 중국의 특별행정구(SAR)로서 자본주의 경제 체제, 자체 통화(홍콩 달러), 법 체제, 입법 체제, 그리고 동일한 인권과 자유를 유지하도록 보장했다. 2047년에 만료되는 이 합의는 홍콩이 WTO, 올림픽 등 많은 국제 무대에서 '중국 홍콩'이라는 이름으로 자체적인 단체로 기능할 수 있게 했다.[6][7][8]

덩샤오핑은 기본법 초안 작성 과정에서 보통선거와 서구 정치 체제는 홍콩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5] 그는 또한 홍콩이 민주주의를 명목으로 중국 본토 반대 정서의 근거지가 된다면 중국 중앙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5]

중국 위안화는 홍콩에서 법정통화가 아니며, 홍콩 달러는 중국 본토 상점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홍콩과 중국 본토 간 국경을 통과하려면 허가증이나 특별 비자가 필요하며, 홍콩 사람들은 중국 여권이 아닌 홍콩 SAR 여권을 소지한다. 공용어는 홍콩과 중국 본토를 구분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광둥어영어가 홍콩에서 널리 사용되는 반면 만다린은 중국 본토의 공용어이다. 베이징 중앙 정부는 홍콩의 외교 문제와 기본법 해석을 통제하며, 이는 민주주의 지지자들과 일부 홍콩 주민들이 기본법이 약속한 보통선거를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2014년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6][7][8]

2. 2. 마카오의 경우

마카오는 1557년부터 442년간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다가 1999년 중국에 반환되었다. 마카오 문제에 관한 공동선언에 따라 마카오 반환 이전에 마카오의 소헌법 초안 작성 및 채택이 이루어졌다. 기본법은 홍콩과 마찬가지로 마카오가 50년 동안 중국의 특별행정구(SAR)로서 경제 체제, 통화(마카오 파타카), 법 체계(포르투갈 민법에 기반), 입법 체계, 그리고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유지하도록 보장했다.[85] 2049년에 만료될 예정인 이 합의는 마카오가 중국이 아닌 독자적인 실체로서 WTO와 같은 많은 국제 무대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85]

마카오는 자체 통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 위안화는 마카오에서 법정통화가 아니며, 파타카도 중국 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85] 이 합의에 따라 마카오와 중국 국경을 넘을 때는 허가 또는 비자가 필요하며, 마카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본토 여권이 아닌 마카오 SAR 여권을 소지한다.[85] 홍콩과 마찬가지로 공용어는 옛 식민지의 역사 외에도 마카오와 중국을 서로 다르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며, 광둥어포르투갈어가 마카오의 공용어인 반면, 중국어는 중국의 공용어이다.[85] 베이징 중앙 정부는 기본법의 법적 해석뿐만 아니라 마카오의 외교 문제도 관리한다.[85]

마카오는 반환 전 일이삼 사건부터 사실상 본토와의 일체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경제적으로는 반환 후 급성장의 원동력이 된 중국 본토 관광객에 의존하고 있다.[85]

2. 3. 타이완의 경우

덩샤오핑은 대만과의 통일에 일국양제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5] 대만 정부는 2023년 12월 현재까지도 이 제안을 지속적으로 거부해왔다.[9] 중국 공산당 정부는 대만에 대해서도 일국양제 원칙 적용을 제안했지만, 대만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66]

1992년 합의에 기반한 새로운 정책은 2005년 4월 판람 방중 기간 동안 강조되었고, 친통일 국민당(KMT)이 2008년 대만 총통 선거에서 승리한 마잉주 대통령 시대의 이후 주요 대만 해협 교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2012년 3월 베이징 방문 중 전 국민당 당수 우보슝은 대만 해협 관계를 다스리기 위한 "일국양구"(一國兩區|yīguóliǎngqū중국어) 체제를 제안했지만,[69] 이 용어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2019년 1월,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대만에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궁극적인 통일을 위한 일국양제 방식을 제안했다. 차이잉원 대통령은 2019년 1월 연설에서 시진핑의 제안에 대해 대만이 일국양제를 거부하며, 베이징이 1992년 합의를 일국양제와 동일시했기 때문에 대만은 이 또한 거부한다고 답했다.[70] 차이잉원은 홍콩 시위대와의 연대를 표명하며, 대만의 민주주의는 어렵게 얻은 것이며 지켜지고 갱신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차이잉원은 자신이 대만 대통령직에 있는 한 일국양제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지난 20년 동안 홍콩에서 민주주의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71] 2020년 대만 총통 선거에서 국민당이 참패한 후, 국민당 당수 장징중은 일국양제가 대만에 적합한 모델이 아니라고 거부했다.[72] 2021년, 새로 선출된 당수 주립룬 하의 국민당 강령에서는 일국양제를 거부하면서도 1992년 합의를 포함했다.[73]

1987년 당시 중화민국 총통 장징궈는 "일국양제"(一國兩制|Yīguó liǎngzhì중국어)에 대한 반어적 표현으로 "일국양제"(一國良制|Yīguó liángzhì중국어)[74][75]를 대안으로 제시하며, 중국이 중화민국의 민주적 시스템을 채택한 후 중국과 중화민국이 통일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중화민국에 대해 “일국양제로 중국 통일을 (달성하려 한다)”고 호소하는 슬로건(하문시·2010년)


채잉원 총통은 <문예춘추> 2021년 9월호 인터뷰에서 “베이징 정부는 타이완에 대해 홍콩과 같은 ‘일국양제’에 의한 통일을 호소했습니다. 이 제도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은 현재 홍콩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베이징 정부의 말을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베이징 정부의 ‘일국양제’ 제안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미래의 선택지에도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96]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금문현(金門縣)은 대만 독립에 반대하는 범람연맹(泛藍聯盟)의 표밭이며, 지리적 거리 때문에 “대만인”보다는 “중국인”이라는 의식이 강한 지역이다.[97] 이러한 이유로 일국양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여러 차례 보여주고 있다.

2006년 11월, 금문현의 리주봉(李炷烽) 현장은 금문도(金門島)를 일국양제의 실험 지역으로 하는 구상을 금문현 의회(金門縣議會)에서 제안했다.[99]

2018년 8월 8일, 오성전(吳成典) 부현장은 대륙의 언론에 금문현에 일국양제를 적용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혀, 대만 정부의 대륙위원회(大陸委員會)로부터 “자치 단체의 전권 사항이 아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100]

3. 특별행정구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사무소


홍콩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


베이징에 있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사무소


마카오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


특별행정구(SAR)는 일국양제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이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1조는 "국가는 필요한 경우 특별행정구를 설치한다. 특별행정구에서 시행하는 제도는 구체적인 상황에 비추어 전국인민대표대회가 법률로 정한다.[86]"라고 규정하고 있다. 홍콩마카오의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특별행정구 기본법"을 제정하여 이 두 특별행정구를 설치하고 그 제도를 정했다.

특별행정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1조에 의해 설치가 허가되었다. 이 조항은 필요시 국가가 특별행정구를 설립할 수 있으며, 그곳에 설치될 제도는 전국인민대표대회가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제정한 법률에 따라 규정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홍콩과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이 각 지역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기 시작한 직후인 홍콩 반환(1997년 7월 1일)과 마카오 반환(1999년 12월 20일)에 각각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안에 상무위원회가 설치되어 이 상무위원회가 제정한 법률을 "법률"이라고 부른다. 반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체회의)에서 제정된 법률은 "기본법"이라고 부른다. 즉, 특별행정구 기본법도 이러한 의미에서의 "기본법"이며, 헌법적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칭은 아니다. 또한 특별행정구 기본법의 최종 해석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있다(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제158조). 상무위원회 산하에는 각각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위원회와 마카오특별행정구 기본법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홍콩의 법원은 기본법 규정 중 중앙정부의 사무 또는 중앙정부와 특별행정구의 관계에 관련된 것에 대한 해석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해석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2014년 6월 10일에 발표된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의 백서에서는 홍콩특별행정구의 일국양제에 대해 "홍콩 고유의 것이 아니라 모두 중앙정부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다"라고 명시적으로 정의하였다.[87]

4. 일국양제를 둘러싼 법 제도



일국양제 원칙은 1997년 영국의 홍콩 신계(신계 구룡 포함) 임대차 계약 만료 문제에 대해 덩샤오핑이 영국 수상 마거릿 대처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제시되었다. 포르투갈과의 마카오 협상에서도 같은 원칙이 제시되었다.[85]

이 원칙에 따르면,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 본토의 사회주의와는 별개로, 각각 영국과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시절의 체제를 통일 후 최대 50년 동안 높은 수준의 자치권 아래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홍콩(2047년)과 마카오(2049년)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언급된 바 없다.

홍콩 기본법 제1장 제5조는 "홍콩 특별행정구에서는 사회주의 제도와 정책을 시행하지 않으며, 기존의 자본주의 제도와 생활 방식은 50년 동안 변함없이 유지됩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0][11][12]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1조는 필요시 국가가 특별행정구(SAR)를 설립할 수 있으며, 그곳에 설치될 제도는 전국인민대표대회가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제정한 법률에 따라 규정된다고 명시하여 특별행정구 설립을 허가했다.

홍콩과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1997년 7월 1일1999년 12월 20일에 각각 공식 설립되었다. 이들은 사법부와 최고법원을 포함하여 이민, 세관, 공공 재정, 통화, 범죄인 인도 등 내정을 담당한다. 또한, 간체자 사용 및 표준 중국어(Mandarin) 사용 의무화 법률에서 면제된다. 그러나 외교 관계와 국방은 베이징 중앙인민정부의 책임이다.

홍콩은 영국식 보통법을, 마카오는 포르투갈 민법 체계를 유지한다.

중영 공동선언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일국양제가 시행되고 있는 홍콩에서는 기본법이 "소헌법" 역할을 한다. 마카오에서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된다. 각 기본법에 따라 특별행정구는 높은 자치권을 가지며, 최종심판권을 포함한 행정, 입법 및 독립적인 사법권을 행사한다. 또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수립하고, 자체 통화를 유지하며, 교육, 문화, 스포츠, 사회복지 제도 등에 대한 자체 정책을 수립한다.

기본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는 특별행정구의 외교 및 국방을 담당한다. 그러나 특별행정구 정부 대표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의 일원으로서 지역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외교 협상 및 국가에 한정되고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국제기구 또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홍콩과 마카오는 별도의 경제 주체로서 세계무역기구의 회원이며, 홍콩은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의 회원 경제체 중 하나이다.

홍콩 기본법은 다양한 기본적인 인권과 자유에 대한 헌법적 보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권리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그리고 홍콩 기본법 제39조 및 홍콩 권리장전 조례에 따라 시행되는 국제 노동 협약에 명시되어 있다.

베이징에 있는 중앙인민정부는 홍콩에 있는 홍콩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을 통해 홍콩 정부와 관계를 유지한다. 마카오의 경우 베이징은 마카오에 있는 마카오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을 사용한다. 반대로 홍콩 정부의 베이징 중앙인민정부 담당 사무소는 베이징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사무소이며, 마카오 정부의 베이징 사무소는 베이징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 사무소이다.

두 지역은 WTO패럴림픽과 같은 국제기구에 각각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기본법 제7장("대외 관계")에 따라 "홍콩, 중국" 또는 "마카오, 중국"을 사용해야 한다.

홍콩과 마카오의 특별행정구 설치와 제도에 대해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특별행정구 기본법”을 제정하여 규정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안에 상무위원회가 설치되어 이 상무위원회가 제정한 법률을 “법률”이라고 부른다. 반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체회의)에서 제정된 법률은 “기본법”이라고 부른다. 즉, 특별행정구 기본법도 “기본법”이며, 헌법적 성격을 가짐을 보여주는 명칭이 아니다. 또한 특별행정구 기본법의 최종 해석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있다(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제158조). 홍콩의 법원은 기본법 규정 중 중앙정부의 사무 또는 중앙정부와 특별행정구의 관계에 관련된 것에 대한 해석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해석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4. 1. 홍콩 국가보안법 적용

2020년 5월 22일, 중국의 국가 의회인 전국인민대표대회에 국가 안보 법안 초안이 제출되었다.[56]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기본법은 홍콩 입법부가 국가 안보를 비준하여 반란, 분리 및 외세 간섭을 방지할 것을 요구한다.[60] 그러나 중국 중앙 정부는 홍콩 특별행정구를 우회하여 직접 입법을 하고 있다.[60][57] 전국인민대표대회 관계자는 홍콩의 국가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법적 체계와 집행 메커니즘을 만들기 위해 "헌법적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고 보고했다.[58] 2020년 6월 30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기본법 부록 III에 명시하여 홍콩의 승인을 우회했다. 홍콩 변호사 협회(HKBA)는 2020년 5월 기본법 부록 III에 법을 포함시켜 제정하는 것의 합헌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59]

2020년 5월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 회견에서 중국이 약속했던 "일국양제" 원칙을 "일국일제"로 대체함에 따라 미국-홍콩 정책법에 명시된 홍콩에 대한 특별 대우를 종식시킬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했으며,[60] 국가 안보법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이 홍콩에 대해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2020년 7월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홍콩 자치법에 따라 행정명령 13936호에 서명하여 홍콩의 특별 무역 특권을 종식시켰다.

빅토리아 틴보르 후이(Victoria Tin-bor Hui)는 ''디플로맷''지에 기고한 글에서 국가 안보법이 홍콩에서 "경찰 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시민적 및 법적 보호를 침식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61]

2020년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반체제적 발언과 행동을 단속하는 내용의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안전법(中華人民共和国国家安全法)을 홍콩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결정(香港特別行政区が国家安全を守るための法律制度と執行メカニズムの確立・健全化に関する全国人民代表大会の決定)이 채택되었다. 전인대 상무위원회 왕천(王晨) 부위원장은 “일국양제(一国二制度)는 흔들리지 않는다”라고 발언했지만, 일국양제는 기로에 서게 되었다.[88]

영국령 홍콩의 마지막 총독(香港総督)을 지낸 크리스토퍼 패튼 남작은 “중국은 새로운 형태의 독재 정치를 진행하고 있다. 홍콩 시민들은 배신당했다. 즉 중화인민공화국은 신뢰할 수 있는 상대가 아님을 스스로 증명한 것이다”라고 발언하며, 영중공동성명 위반 가능성에도 언급했다.[89][90]

2020년 5월 28일에는 유엔에도 등록된 영중 공동성명에 따른 국제적 의무에 직접 위배된다며 중화인민공화국을 비난하는 성명을 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가 공동으로 발표했다.[91]

2020년 6월 30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全国人民代表大会常務委員会)는 홍콩 국가안보유지법(中華人民共和国香港特別行政区国家安全維持法)을 통과시켜 즉시 공포했고, 7월 1일 첫 체포자가 홍콩에서 발생했다.

4. 2. 홍콩의 정치 제도 개혁

영국 식민지 시절 홍콩은 민주적이지도 자치적이지도 않았다.[5] 1997년 영국이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후, 중국 베이징 정부는 홍콩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스스로 선출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헌법인 기본법에는 보통선거 실현 시점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 없으며, 50년 과도기가 끝나기 전까지 인민의 완전한 투표와 보통선거에 도달해야 한다고 제45조에서 궁극적으로 명시하고 있다.[24][25]

반환 후 1년 동안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베이징 정부의 전 식민지에 대한 비간섭 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26]

그 전 해에 임시입법회는 거주권을 제한하는 법률을 통과시켰고, 이는 정부를 상대로 소송으로 이어져 1999년 홍콩 최고항소법원에서 정부가 패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자 정부는 국가인민대표대회에 사건을 상정했다. 법조계는 마틴 리(Martin Lee)가 "홍콩의 자치권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묘사한 행위에 대해 침묵 시위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여론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법원의 입장보다 정부의 입장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건들은 대중의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켰다.[26]

2014년 6월 10일, 중국 중앙정부는 홍콩에 대한 포괄적 관할권에 대한 견해를 담은 백서를 발표했다.[27] [5] 백서에서는 홍콩의 높은 자치 수준이 고유한 권한이 아니라 중앙정부의 승인에 의해서만 존재하는 권한이라고 명시했다.[5] 백서 발표는 많은 홍콩 시민들의 비판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들은 중국공산당 지도부가 베이징의 지배하에 민주적이고 자치적인 홍콩을 허용하는 "일국양제" 원칙을 준수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리고 있다고 주장했다.[28]

2014년 홍콩 시위 당시 학생들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831 결정"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더 많은 정치적 자유를 요구했다. 참가자들은 선택의 자유, 선거의 자유, 민주주의를 요구했고, 특히 홍콩 행정부 수반 선거에 참여하고자 했다. "우산 운동"이라는 이름은 학생들이 경찰의 최루액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우산을 사용했기 때문에 유래되었으며, 우산은 이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2016년, 시위의 학생 지도자였던 조슈아 웡, 알렉스 초, 네이선 로는 시위에서의 역할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14년 6월 10일에 발표된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의 백서에서는 홍콩특별행정구의 일국양제에 대해 “홍콩 고유의 것이 아니라 모두 중앙정부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다”라고 명문으로 정의되었다.[87] 이와 함께 같은 해 8월 31일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가 2017년부터의 홍콩 보통선거 제도에 대해 사실상 홍콩 친중파 우대, 민주파 배제책을 마련한 것을 발표함에 따라 홍콩 민주파는 시위 등을 통해 중앙정부의 일국양제 방식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2021년 3월 11일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4차 회의에서 채택된 『홍콩 특별행정구의 선거제도 개선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에 따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 부속서(一)의 『홍콩 특별행정구 행정장관의 선출방법』과 부속서(二)의 『홍콩 특별행정구 입법회의 선출방법 및 표결절차』를 개정할 권한이 부여되었다.

5. 일국양제의 적용과 한계

1980년대 덩샤오핑 시대로 진입하면서 중국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전쟁 불가피론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국제 환경 조성을 통한 국가 발전을 추구했다. 이에 따라 주변국과의 영토 분쟁에서 평화적 해결 원칙을 천명하고, 양안관계 문제에도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하며 평화적 해결을 시도했다.[105]

덩샤오핑1997년 영국의 홍콩 신계 임대차 계약 만료 문제에 대한 마거릿 대처 총리와의 협상, 그리고 마카오에 대한 포르투갈과의 협상에서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했다. 이 원칙은 중국 본토의 사회주의와는 별개로, 홍콩과 마카오가 통일 후 최대 50년 동안 높은 수준의 자치권 하에 기존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홍콩(2047년)과 마카오(2049년) 이후의 상황은 공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홍콩 기본법 제1장 제5조는 "홍콩 특별행정구에서는 사회주의 제도와 정책을 시행하지 않으며, 기존의 자본주의 제도와 생활 방식은 50년 동안 변함없이 유지됩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0][11][12] 특별행정구(SAR) 설립은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31조에 근거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제정한 법률에 따라 제도가 규정된다.

홍콩과 마카오는 각각 1997년 7월 1일1999년 12월 20일에 공식 설립되었다.

하지만, 일국양제는 그 적용에 있어 여러 한계를 드러냈다. 특히 홍콩에서는 1997년 반환 이후 중국 중앙 정부의 개입과 통제가 강화되면서, 일국양제 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14년 홍콩 시위 당시 학생들은 더 많은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고, '우산 운동'이라는 상징을 통해 경찰의 최루액에 저항했다.

채잉원 총통은 2021년 인터뷰에서 "베이징 정부는 타이완에 대해 홍콩과 같은 ‘일국양제’에 의한 통일을 호소했습니다. 이 제도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은 현재 홍콩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베이징 정부의 말을 신뢰하기 어렵습니다."라고 말하며 일국양제 제안을 거부했다.[96]

일국양제는 원래 중화민국의 실효 지배하에 있는 타이완 지역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하기 위한 구상이었으며, 현재는 홍콩마카오에서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도”는 원래 경제 제도를 가리키지만, 마카오는 일이삼 사건 이후 사실상 본토와 일체화가 진행되었고,[85] 경제적으로는 중국 본토 관광객에 의존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에서는 진의가 타이완에 특별행정구역 설립을 제안했고 장개석이 이를 받아들였으나, 2·28사건으로 인해 2년 만에 폐지되었다.[92][93][94]

초기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을 무력으로 “해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1978년 덩샤오핑은 타이완의 현상 유지를 존중한다고 언급했고, 1979년 삼통을 통한 평화통일 추구 자세를 보였다. 1981년 여건영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은 담화를 통해 높은 자치권과 군대 보유를 허용하고 경제사회 제도를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1982년 덩샤오핑이 “일국양제”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고 한다.

채잉원 총통은 2021년 인터뷰에서 일국양제에 대한 베이징 정부의 제안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으며, 미래의 선택지에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96]

5. 1. 홍콩

1997년 홍콩 반환 이전까지 홍콩은 1841년부터(제2차 세계 대전 중 4년간 일본 점령 기간 제외) 156년 동안 영국 국왕이 임명한 총독이 통치하는 영국의 식민지였다.[5]

덩샤오핑은 홍콩 내부와 외부의 파괴적인 세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중앙 정부가 때때로 홍콩 문제에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5] 1988년 덩샤오핑은 홍콩의 정치 체제가 영국이나 미국의 체제가 아니며, 앞으로 서구의 정치 체제를 수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5]

중영 합동선언에 따라 중국은 홍콩 반환 전에 홍콩의 "소헌법"인 기본법을 초안 작성하고 채택했다. 기본법은 홍콩이 50년 동안(2047년까지) 중국의 특별행정구(SAR)로서 자본주의 경제 체제와 자체 통화(홍콩 달러), 법 체제, 입법 체제, 인권, 자유를 유지하도록 보장했다. 이 합의로 홍콩은 WTO, 올림픽 등 많은 국제 무대에서 "중국 홍콩"이라는 이름으로 자체 단체로 기능할 수 있게 되었다.[6][7][8]

기본법 초안 작성 과정에서 덩샤오핑은 보통선거와 서구 정치 체제는 홍콩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5] 그는 또한 홍콩이 민주주의를 명목으로 중국 본토 반대 정서의 근거지가 된다면 중국 중앙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5]

중국 위안화는 홍콩에서 법정통화가 아니며, 홍콩 달러는 중국 본토 상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홍콩과 중국 본토 간 국경을 통과할 때는 허가증이나 특별 비자가 필요하며, 홍콩 사람들은 중국 여권이 아닌 홍콩 SAR 여권을 소지한다. 광둥어영어는 홍콩에서 널리 사용되는 반면, 만다린은 중국 본토의 공용어이다. 베이징 중앙 정부는 홍콩의 외교 문제와 기본법 해석을 통제하며, 이는 민주주의 지지자들과 일부 홍콩 주민들이 기본법이 약속한 보통선거를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2014년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6][7][8]

홍콩은 사법부, 최고법원, 이민, 세관, 공공 재정, 통화, 범죄인 인도 등 내정을 담당하며, 간체자 및 표준 중국어 사용 의무화 법률에서 면제된다. 그러나 외교 관계와 국방은 베이징 중앙인민정부의 책임이다. 홍콩은 영국식 보통법(English common law)을 사용한다.

기본법은 홍콩의 "소헌법" 역할을 하며, 중영 공동선언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일국양제를 시행한다. 기본법에 따라 홍콩은 높은 자치권을 가지며, 행정, 입법, 독립적인 사법권(최종심판권 포함)을 행사하고, 통화, 재정, 교육, 문화, 스포츠, 사회복지 제도 등에 대한 자체 정책을 수립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는 홍콩의 외교 및 국방을 담당하지만, 홍콩 정부 대표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의 일원으로서 지역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외교 협상 및 국제기구/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홍콩은 세계무역기구,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등에서 별도 경제 주체로 활동한다.

홍콩 기본법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국제 노동 협약 등 다양한 기본적 인권과 자유를 헌법적으로 보호한다. 중화인민공화국과 홍콩 정부는 영국과 미국 정부의 공식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 원칙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고 간주한다.

베이징 중앙인민정부는 홍콩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을 통해, 홍콩 정부는 베이징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사무소를 통해 서로 관계를 유지한다. 홍콩은 WTO, 패럴림픽 등 국제기구에 "홍콩, 중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예: 홍콩과 WTO 간 무역 정책 검토 문서에서 "홍콩, 중국"을 일관되게 사용, 약칭은 "HKC")[14][15]

영국 식민지 시절 홍콩은 민주적이지도 자치적이지도 않았다.[5] 1997년 반환 후, 중국 정부는 자치 정부 선출을 보장했지만, 기본법에는 보통선거 로드맵이 명확하지 않으며, 50년 과도기 내 완전한 투표와 보통선거를 명시하고 있다.[24][25] 반환 후 1년 동안 여론조사는 베이징 정부의 비간섭 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26]

1999년, 임시입법회의 거주권 제한 법률 통과는 정부 상대 소송으로 이어졌고, 최고항소법원은 정부 패소 판결을 내렸다. 정부는 국가인민대표대회에 사건을 상정했고, 법조계는 침묵 시위로 반대했다. 여론은 정부 입장을 지지했지만, 이 사건은 정부 신뢰를 저하시켰다.[26]

2014년 6월 10일, 중국 중앙정부는 홍콩에 대한 포괄적 관할권을 담은 백서를 발표, 홍콩의 높은 자치 수준이 중앙정부 승인에 의한 것이라고 명시했다.[27] [5] 이는 홍콩 시민들의 비판을 불러일으켰다.[28]

2014년 홍콩 시위 당시 학생들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831 결정"에 대한 반응으로 더 많은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며 행정부 수반 선거 참여를 원했다. 우산 운동은 경찰 최루액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2016년, 시위 지도자 조슈아 웡, 알렉스 초, 네이선 로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12년 9월, 홍콩 정부는 "국가, 도덕 및 시민 교육" 의무화를 발표, "중국 국가 정체성 인식과 애국심 함양"을 목표로 했다.[29] [30][31] 이는 홍콩의 "이중 정체성"을 보여주는 기존 교육과정과 달리, 중국 이해를 높이는 수업을 포함했다.[31][32] 이 발표는 자치권 상실 우려로 대규모 시위를 불러일으켰고, CY 량 행정장관은 의무 교육을 철회했다.[33] 그러나 2017년 취임한 캐리 람 행정장관은 국가 교육을 우선시했고,[34] 크리스틴 최 옥린 교육국 차관 임명은 친중 성향 논란으로 반대 서명운동을 낳았다.[35]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홍콩 교육에서 "국가 역사와 문화" 강화를 발표했다.[34]

2015년 10월~12월, 구룡포 서점 직원 5명 실종 사건은 국제적 비난을 야기했다. 이들은 중국 본토, 태국 등에서 실종되었고, 일부는 홍콩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으나 여행 서류 없이 중국 국경을 넘었다.[36] 이는 중국 공안에 의한 납치 및 강제송환 의혹을 증폭시켰고, 기본법과 일국양제 원칙 위반 논란을 낳았다.[37][38][39] 이후 이들은 중국 본토 구금이 확인되었고, 대부분 홍콩 귀환 후 실종 신고를 취소했다.

2016년 6월, 림윙키(林榮基)는 기자회견을 통해 8개월간 구금 과정과 자백 연출을 폭로, 중앙조사팀(中央調查組) 연루를 시사했다. 이는 홍콩을 충격에 빠뜨렸고, 중국 당국은 반박했다.[40][41]

2018년 7월, 홍콩 경찰은 社團條例에 따라 홍콩 국가당(HKNP)을 반란죄로 금지하려 했고, 중국 영토 보전을 이유로 들었다. 앤디 천(Andy Chan)은 소송을 제기했고, 안보국장 존 리(John Lee)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당을 금지했다.[42] 이 금지 조치는 당원 활동 및 지원을 최대 2년 징역/벌금형에 처할 수 있음을 의미했지만, '지원' 정의는 불명확했다. 천의 변호사들은 법적 지원 보장을 요청했지만, 거부되었다.[43]

2018년 8월, 홍콩 외국기자클럽(FCC)은 홍콩 독립당(HKIP) 대표 앤디 천 강연을 개최했고, 빅터 말렛(Victor Mallet)이 사회를 맡았다.[44] 중국과 홍콩 정부는 강연 취소를 요구했고,[45][46] 말렛은 비자 발급을 거부당했다.[47] 그는 태국에서 돌아온 후 조사를 받았고, 7일짜리 관광 비자로 입국했다.[48] 이는 앤디 천 강연 사회에 대한 보복으로 여겨졌고,[44][46] 존 리 안보국장은 언론 자유와 무관하다고 주장했지만, 설명을 거부했다.[48] 이 사건은 중영 공동선언으로 보호받던 자유 제한 논쟁을 일으켰다.[49]

2019년 4월, 홍콩에서 대규모 시위를 촉발한 송환법이 제안되었다.[50] 이 법은 중대 범죄 혐의자를 중국으로 송환할 수 있도록 했다.[51] 이는 2018년 대만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용의자가 홍콩으로 도피하면서 시작되었다.[52] 홍콩은 대만과 송환 협정이 없어 용의자 송환 및 기소가 불가능했다.[52][53] 송환법은 홍콩 법원이 최종 결정을 내리고, 행정장관이 사례별로 결정하며, 정치/종교적 기소자는 송환되지 않고, 최소 7년형 이상 "국경 간 범죄"만 다룬다고 캐리 람은 밝혔다.[52] 그러나 이는 홍콩 자치권 상실의 또 다른 예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51][52] 이 법은 용의자들을 중국 사법 제도의 자의적 구금, 불공정 재판, 고문 등에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를 낳았다.[52]

5. 2. 마카오

1557년부터 442년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1999년 중국 정부에 반환되었다.[13] 마카오 문제에 관한 공동선언에 따라 마카오 반환 이전에 마카오의 소헌법 초안 작성 및 채택이 이루어졌다. 기본법은 마카오가 50년 동안 중국의 특별행정구(SAR)로서 경제 체제, 통화(마카오 파타카), 법 체계(포르투갈 민법에 기반), 입법 체계, 그리고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유지하도록 보장했다. 2049년에 만료될 예정인 이 합의는 마카오가 WTO와 같은 많은 국제 무대에서 중국이 아닌 독자적인 실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3]

마카오는 자체 통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 위안화는 마카오에서 법정통화가 아니며, 파타카도 중국 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마카오와 중국 국경을 넘을 때는 허가 또는 비자가 필요하며, 마카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중국 본토 여권이 아닌 마카오 SAR 여권을 소지한다. 공용어는 광둥어포르투갈어이며, 이는 옛 식민지의 역사와 더불어 마카오와 중국을 서로 다르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13] 베이징 중앙 정부는 기본법의 법적 해석뿐만 아니라 마카오의 외교 문제도 관리한다.[13]

홍콩과 마카오는 사법부와 최고법원을 포함하여 이민과 세관, 공공 재정, 통화 및 범죄인 인도 등 내정을 담당한다. 또한, 간체자 사용을 의무화하는 본토 법률과 공교육 및 대부분의 방송에서 표준 중국어(Mandarin) 사용을 의무화하는 법률에서 면제된다. 그러나 두 특별행정구의 외교 관계와 국방은 베이징의 중앙인민정부의 책임이다.[13]

마카오는 포르투갈 민법 체계를 계속 사용한다.[13] 기본법에 따라 특별행정구는 높은 자치권을 가지며, 최종심판권을 포함한 행정, 입법 및 독립적인 사법권을 행사한다. 기본법의 틀 안에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수립하고, 자체 통화를 유지하며, 교육, 문화, 스포츠, 사회복지 제도 등에 대한 자체 정책을 수립한다.[13]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는 특별행정구의 외교 및 국방을 담당하지만, 특별행정구 정부 대표는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의 일원으로서 지역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외교 협상 및 국가에 한정되고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국제기구 또는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홍콩과 마카오는 별도의 경제 주체로서 세계무역기구의 회원이다. [13]

마카오의 경우 베이징은 마카오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판공실을 통해 관계를 유지한다. 마카오 정부의 베이징 사무소는 베이징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 사무소이다.[13]

마카오는 WTO패럴림픽과 같은 국제기구에 "마카오, 중국"을 사용하여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마카오와 WTO 간의 무역 정책 검토 문서에서는 "마카오, 중국"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유일한 약칭은 "MSAR"이다.[16]

마카오는 홍콩에서 발생했던 시위와 민중 봉기가 발생하지 않았다.[62] 민주당 성향 정당인 마카오 신협회(New Macau Association)의 전 회장인 자슨 차오(Jason Chao)에 따르면, 마카오는 자유와 자치를 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홍콩과 다르다고 한다.[62] 대신 마카오 주민 대다수는 친중 성향을 보인다.[62][63] 그 이유는 마카오에 거주하는 60만 명 중 약 절반이 중국 이민자이기 때문이다.[63] 2019년 12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인 리잔수는 마카오에 "강한 국제적 정체성"이 있다고 주장했다.[62]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2019년 12월 마카오 20주년을 기념하는 첫 공식 연설에서 마카오를 "일국양제 실험의 짧은 역사에서 눈부신 장"이라고 선포했다.[64] 마카오 행정장관인 호이앗성(Ho Iat Seng)은 "마카오는 중국의 통일을 보여주는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시진핑은 마카오가 "일국양제" 합의를 올바르게 준수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며 "마카오 모델"을 강조함으로써 이에 동의했다.[62][64] 마카오의 평화로운 태도와 반정부 시위의 부재에 대한 보상으로 시진핑은 헝친(Hengqin) 섬으로부터 마카오에 더 많은 중국 영토를 제공했다.[63] 이는 마카오의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고, 중국과의 물리적 통합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63][65]

5. 3. 대만

덩샤오핑은 대만과의 통일에 일국양제 원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5] 대만 정부는 2023년 12월 현재까지도 이 제안을 지속적으로 거부해왔다.[9] 중국 공산당 정부는 대만에 대해서도 일국양제 원칙 적용을 제안했지만, 대만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66] 이 제도는 원래 대만을 중국과 통일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66]

1992년 합의에 기반한 새로운 정책은 2005년 4월 판람 방중 기간 동안 강조되었고,[68] 친통일 국민당(KMT)이 2008년 대만 총통 선거에서 승리한 마잉주 대통령 시대의 이후 주요 대만 해협 교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2012년 3월 베이징 방문 중 전 국민당 당수 우보슝은 대만 해협 관계를 다스리기 위한 "일국양구"(一國兩區|yīguóliǎngqū중국어) 체제를 제안했지만,[69] 이 용어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2019년 1월,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대만에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궁극적인 통일을 위한 일국양제 방식을 제안했다. 차이잉원 대통령은 2019년 1월 연설에서 시진핑의 제안에 대해 대만이 일국양제를 거부하며, 베이징이 1992년 합의를 일국양제와 동일시했기 때문에 대만은 이 또한 거부한다고 답했다.[70] 차이잉원은 홍콩 시위대와의 연대를 표명하며, 대만의 민주주의는 어렵게 얻은 것이며 지켜지고 갱신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차이잉원은 자신이 대만 대통령직에 있는 한 일국양제를 결코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지난 20년 동안 홍콩에서 민주주의가 지속적이고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71] 2020년 대만 총통 선거에서 국민당이 참패한 후, 국민당 당수 장징중은 일국양제가 대만에 적합한 모델이 아니라고 거부했다.[72] 2021년, 새로 선출된 당수 주립룬 하의 국민당 강령에서는 일국양제를 거부하면서도 1992년 합의를 포함했다.[73]

1987년 당시 중화민국 총통 장징궈는 "일국양제"(一國兩制|Yīguó liǎngzhì중국어)에 대한 반어적 표현으로 "일국양제"(一國良制|Yīguó liángzhì중국어)[74][75]를 대안으로 제시하며, 중국이 중화민국의 민주적 시스템을 채택한 후 중국과 중화민국이 통일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채잉원 총통은 『문예춘추』 2021년 9월호 인터뷰에서 “베이징 정부는 타이완에 대해 홍콩과 같은 ‘일국양제’에 의한 통일을 호소했습니다. 이 제도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은 현재 홍콩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베이징 정부의 말을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베이징 정부의 ‘일국양제’ 제안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미래의 선택지에도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96]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금문현(金門縣)은 대만 독립에 반대하는 범람연맹(泛藍聯盟)의 표밭이며, 지리적 거리 때문에 “대만인”보다는 “중국인”이라는 의식이 강한 지역이다.[97] 이러한 이유로 일국양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여러 차례 보여주고 있다.

2006년 11월, 금문현의 리주봉(李炷烽) 현장은 금문도(金門島)를 일국양제의 실험 지역으로 하는 구상을 금문현 의회(金門縣議會)에서 제안했다.[99]

2018년 8월 8일, 오성전(吳成典) 부현장은 대륙의 언론에 금문현에 일국양제를 적용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혀, 대만 정부의 대륙위원회(大陸委員會)로부터 “자치 단체의 전권 사항이 아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100]

6. 일국양제의 미래

홍콩 정부 고위급 인사들은 2047년 이후에도 일국양제 시스템이 연장될 가능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2020년 1월, 캐리 람은 "'일국양제' 원칙을 고수하고, 그 이행을 추진하며, 원칙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행한다면… '일국양제'가 원활하고 장기적으로 이행될 것이며 2047년 이후에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17] 2020년 6월, 장샤오밍은 국가보안법이 홍콩에 부여된 자유를 2047년 이후에도 연장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18] 그러나 캐리 람과 장샤오밍 모두 구체적인 약속이나 단계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2021년 10월, 캐리 람은 2047년 이후에도 일국양제가 연장될 것이라고 재차 언급하며, "누구든 왜 바꿔야 하는지 진지하게 질문할 것"이라면서도, 관습법 체계, 통화 시스템, 전문직 인정 시스템, 토지 임대 등의 지속을 위한 보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19]

2022년 3월, 홍콩·마카오 사무판공실의 수장인 샤 바오롱은 2047년 이후 '일국양제'가 2097년까지 50년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20] 2022년 7월, 전 행정장관 레옹 춘잉은 2047년 이후에도 일국양제가 연장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7월 1일, 시진핑의 홍콩 방문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 총서기 시진핑은 일국양제가 장기적인 정책이라고 약속했다.[22] 2024년 2월, 샤 바오롱은 일국양제가 영구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23]

하지만, 채잉원 총통은 2021년 인터뷰에서 "베이징 정부는 타이완에 대해 홍콩과 같은 '일국양제'에 의한 통일을 호소했지만, 이 제도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은 현재 홍콩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베이징 정부의 말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베이징 정부의 '일국양제' 제안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으며, 미래의 선택지에도 들어가 있지 않다"고 강조하며, "민주주의, 자유, 인권은 보편적 가치"라고 덧붙였다.[96]

7. 다른 국가에 대한 제안

무하마드 코헨은 ''아시아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일국양제" 방식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0]

북한은 두 체제의 연합을 통한 한국 통일을 위해 "일국양제" 방식을 제안했다.[81] 중국 또한 이러한 아이디어를 홍보했는데, 북한과 중국의 동기는 다르다. 북한은 두 개의 별개 정부를 유지하려는 반면, 중국은 한 개의 중앙 정부를 통해 한반도에 안정을 가져오고자 점진적인 통일을 추구한다.[82]

아일랜드 외무장관 사이먼 코브니는 홍콩과 중국을 잇는 이 방식이 브렉시트 이후 북아일랜드의 운명을 다루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EU 회원국인 아일랜드 공화국과 영국 통치 하의 북아일랜드 사이의 국경은 영국과의 회담에서 점점 더 큰 우려가 되고 있으며, 더블린은 평화 프로세스를 위태롭게 하지 않기 위해 국경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83]

일본의 민주당이 오키나와현에 대한 입장을 정리한 오키나와 비전에서, “지역 자치의 시범 사례로서 ‘일국양제’적으로 각종 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도 검토한다”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103] 그러나 자치권 고도화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경제·입국 관리·교육 등에 관한 경제 특구와 유사한 것이다.

참조

[1] IPA
[2] 뉴스 China warns UK of "consequences" over Hong Kong 'interference' https://www.bbc.com/[...] 2020-07-21
[3] 웹사이트 US, UK step up pressure on China over Hong Kong security law https://www.france24[...] France24.com 2020-05-29
[4] 웹사이트 China is breaking Hong Kong treaty with UK, says Boris Johnson https://www.theguard[...] 2020-07-01
[5] 서적 Reinventing the Chinese C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6] 웹사이트 What Country Is Hong Kong in? China or Not? http://gohongkong.ab[...]
[7] 뉴스 China Resumes Control of Hong Kong, Concluding 156 Years of British Rule https://www.nytimes.[...] 1997-07-01
[8] 뉴스 1898 and all that—a brief history of Hong Kong https://www.economis[...]
[9] 웹사이트 Lai and Hou Focus on Cross-Strait Relations, Ko on Appeals to Youth in First Presidential Policy Presentation https://newbloommag.[...] 2023-12-22
[10] 웹사이트 Chapter I : General Principles http://www.basiclaw.[...]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AR 2008-03-17
[11] 서적 Over A Cup of Tea: An Introduction To Chinese Life And Cultur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4
[12] 서적 One Country, Two Systems in Crisis: Hong Kong's Transformation Lexington Books 2004
[13] 웹사이트 http://www.macauolym[...] 2024-08-01
[14] PDF https://www.wto.org/[...] 2024-08-01
[15] PDF https://www.wto.org/[...] 2024-08-01
[16] PDF https://www.wto.org/[...] 2024-08-01
[17] 웹사이트 'One Country, Two Systems' could remain unchanged after 2047, says Hong Kong's Carrie Lam https://hongkongfp.c[...] 2020-01-16
[18] 웹사이트 Security law to extend, not erode Hong Kong freedoms beyond 2047 https://www.scmp.com[...] 2020-06-08
[19] 웹사이트 One Country, Two Systems to last beyond 2047: CE https://news.rthk.hk[...]
[20] 웹사이트 City's autonomy could last beyond 2047 https://www.thestand[...]
[21] 웹사이트 CY Leung expects "one country, two systems" to go beyond 2047 https://www.thestand[...]
[22] 웹사이트 Hong Kong will stay a common law jurisdiction: SJ https://news.rthk.hk[...]
[23] 웹사이트 Hong Kong governing principle to be permanent feature, top Beijing official says https://www.scmp.com[...] 2024-02-26
[24] 웹사이트 Fact check: Was Hong Kong ever promised democracy? – Fact Check https://mobile.abc.n[...] 2014-12-16
[25] 웹사이트 An alternative view of HK protests {{!}} Opinion https://www.asiatime[...] 2019-10-02
[2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Hong Kong https://www.worldcat[...]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7
[27] 뉴스 Full Text: The Practice of the "One Country, Two Systems" Policy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ttp://news.xinhuane[...]
[28] 뉴스 Beijing's "White Paper" Sets Off a Firestorm in Hong Kong http://mobile.nytime[...] 2014-06-11
[29] 웹사이트 Moral, Civic and National Education https://www.edb.gov.[...]
[30] 웹사이트 National education in Hong Kong https://www.scmp.com[...]
[31] 학술지 Schooling, politics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in Hong Kong: the 2012 "Moral and National Education" crisis in historical context https://discovery.uc[...] 2015-07-03
[32] 뉴스 Hong Kong debates "national education" classes https://www.bbc.com/[...] 2012-09-01
[33] 웹사이트 Protest against national education to end after government climbdown https://www.scmp.com[...] 2012-09-09
[34] 웹사이트 Is national education set to make a comeback in Hong Kong? https://www.scmp.com[...] 2017-08-04
[35] 웹사이트 Pro-Beijing school principal named Hong Kong's new education undersecretary despite national education fears https://www.scmp.com[...] 2017-08-01
[36] 뉴스 Hong Kong unsettled by case of 5 missing booksellers http://bigstory.ap.o[...] 2016-01-03
[37] 뉴스 Disappearance of 5 Tied to Publisher Prompts Broader Worries in Hong Kong https://www.nytimes.[...] 2016-01-05
[38] 뉴스 Hong Kong bookshops pull politically sensitive titles after publishers vanish https://www.theguard[...] 2016-01-07
[39] 웹사이트 Unanswered questions about the missing booksellers http://www.ejinsight[...] 2016-01-05
[40] 웹사이트 In Pictures: Over 1,000 protesters chant "no to authority" in support of returned bookseller – Hong Kong Free Press HKFP https://www.hongkong[...] 2016-06-18
[41] 웹사이트 Returned bookseller says he was detained by "special unit" in China, TV "confession" was scripted https://www.hongkong[...] 2016-06-16
[42] 뉴스 Hong Kong National Party's call for "armed revolution" no mere political slogan but a threat to safety and order, security minister John Lee says https://www.scmp.com[...] 2018-09-24
[43] 뉴스 Hong Kong National Party founders lodge separate appeals against ban in effort to avoid legal action https://www.scmp.com[...] 2018-10-24
[44] 뉴스 Financial Times Editor Barred Entry Into Hong Kong https://time.com/545[...] 2018-10-08
[45] 웹사이트 Hong Kong rejects visa for FT editor https://www.bbc.com/[...] BBC 2018-10-06
[46] 웹사이트 Ex-British foreign minister, US senator urge action on Hong Kong visa refusal https://www.scmp.com[...] 2018-11-09
[47] 웹사이트 Journalist Victor Mallet allowed back into Hong Kong – for seven days only https://www.scmp.com[...] 2018-10-08
[48] 웹사이트 Ban on journalist risks undermining business confidence, UK minister warns https://www.scmp.com[...] 2018-11-09
[49] 웹사이트 Financial Times editor given one week to leave Hong Kong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8-10-08
[50] 뉴스 Hong Kong Residents Block Roads to Protest Extradition Bill https://www.nytimes.[...] 2019-06-11
[51] 웹사이트 Hong Kong's controversial extradition bill explained https://www.aljazeer[...] 2019-06-11
[52] 뉴스 Hong Kong-China extradition plans explained https://www.bbc.com/[...] 2019-12-13
[53] 웹사이트 Murder suspect whose alleged crime sparked Hong Kong protests walks free https://www.cnn.com/[...] 2019-10-23
[54] 웹사이트 Hong Kong leader withdraws extradition bill, sets up platform to examine protest causes https://www.scmp.com[...] 2019-09-04
[55] 웹사이트 As coronavirus crisis starts to pass, Hong Kong may be set for another summer of discontent https://www.cnn.com/[...] 2020-04-21
[56] 웹사이트 'The end of Hong Kong': Experts say China's push to pass strict national security laws further erodes the city's autonomy https://www.business[...] 2020-05-23
[57] 뉴스 Why reassertion of Xi Jinping's authority spells violence in Hong Kong https://www.theguard[...] 2020-05-22
[58] 웹사이트 'Knockout blow': China plans controversial new national security legislation for Hong Kong https://www.abc.net.[...] 2020-05-21
[59]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ng Kong Bar Association on proposal of National People's Congress to enact National Security Law in Hong Kong https://www.hkba.org[...] 2020-05-25
[60]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Trump on Actions Against China https://trumpwhiteho[...] 2020-05-30
[61] 웹사이트 Hong Kong's New Police State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62] 뉴스 HK's model neighbour that stays loyal to China https://www.bbc.com/[...] 2019-12-20
[63] 뉴스 Exclusive: Protest-free Macau to win financial policy rewards from China https://www.reuters.[...] 2019-12-12
[64] 웹사이트 Where Does China's "One Country, Two Systems" Stand in 2020? https://thediplomat.[...]
[65] 웹사이트 EXCLUSIVE-Protest-free Macau to win financial policy rewards from China https://www.cnbc.com[...] CNBC 2019-12-12
[66] 논문 Why Taiwan is not Hong Kong: A Review of the PRC's "One Country Two Systems" Model for Reunification for Taiwan https://digitalcommo[...] 1997
[67] 웹사이트 Analysis Report: 20 Years After Hong Kong's Handover https://ws.mac.gov.t[...] 2006-06-29
[68] 뉴스 Hopes grow as second Taiwan leader visits China http://www.theage.co[...] 2005-05-13
[69] 웹사이트 'One country, two areas' proposed by Wu Po-hsiung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2-03-23
[70] 뉴스 Taiwan's President, Defying Xi Jinping, Calls Unification Offer 'Impossible' https://www.nytimes.[...] 2019-01-05
[71] 웹사이트 Tsai, Lai voice support for Hong Kong extradition bill protesters https://web.archive.[...] The Central News Agency 2019-06-10
[72] 뉴스 Taiwan opposition chief in no rush for China meeting https://www.reuters.[...] 2021-03-11
[73] 뉴스 KMT vows to "defend Taiwan, protect democracy, fight for future" https://focustaiwan.[...] 2021-10-31
[74] 뉴스 辜汪會談23週年:放下兩國論,追求一國良制 http://www.ettoday.n[...] 2016-11-03
[75] 뉴스 邓小平对台和平统一构想回顾:立足两岸现实推进和平统一 https://news.sina.cn[...] 2021-02-10
[76] 간행물 Three Views of Local Consciousness in Hong Kong http://japanfocus.or[...] 2014-11-03
[77] 웹사이트 "One country, two systems" not possible for Tibet http://www.china-emb[...]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United States 2010-08-24
[78] 웹사이트 His Holiness speaks to Chinese students in Rochester, MN https://www.dalailam[...] 2012-04-23
[79] Youtube Dalai Lama Speaks to Chinese Students in MN (1 of 3) https://www.youtube.[...] 2012-05-05
[80] 웹사이트 Try "one country, two systems" where it might work http://www.asiatimes[...] 2017-09-18
[81] 웹사이트 N. Korea proposes "one country, two systems" reunification http://www.thesundai[...] 2017-09-18
[82] 웹사이트 China backs "one country, two systems" in Korean unification effort http://english.yonha[...] 2017-09-18
[83] 뉴스 Irish minister suggests "Hong Kong solution" for post-Brexit Northern Ireland https://www.scmp.com[...] Agence France-Presse 2017-11-22
[84] 뉴스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 the Guardian briefing https://www.theguard[...] 2023-06-11
[85] 간행물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974
[86] 문서 국가 필요시 특별행정구 설립 가능. 특별행정구 내 제도는 전인대 법률로 규정
[87] 웹사이트 “一国两制”在香港特别行政区的实践 http://www.gov.cn/xi[...]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新闻办公室
[88] 웹사이트 中国、香港治安法導入方針を採択 一国二制度が岐路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0-05-31
[89] 웹사이트 「イギリスが香港のために立ち上がらないことこそ危機だ」パッテン元総督 https://www.newsweek[...] 2020-05-31
[90] 웹사이트 中国の香港国家安全法、G7サミットで議論を=元英香港総督 - ロイターニュース - 国際: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eb.archive.[...] 2020-05-31
[91] 웹사이트 香港への国家安全法導入は国際公約違反、英米など4か国が共同声明 https://www.afpbb.co[...] 2020-05-31
[92] 서적 陳儀原擬呈之「台灣省行政長官公署組織綱要」 秦孝儀、張瑞成編、『光復臺灣之籌劃與受降接收』
[93] 웹사이트 建議恢復為“中國人民解放事業貢獻出生命的愛國人士”陳儀先生故居並建紀念堂(市政協五屆四次會議提案) http://www.hf.usx.ed[...] 2019-07-26
[94] 문서 建议恢复为“中国人民解放事业贡献出生命的爱国人士”陈仪先生故居并建纪念堂(市政协五届四次会议提案) 绍兴文理学院
[95] 위키소스 告台灣同胞書
[96] 뉴스 台湾・蔡英文総統独占インタビュー「日本によるワクチンの提供は、『まさかの時の友こそ真の友』の証です」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1-08-10
[97] 뉴스 「我々は台湾ではない」中華民国を悩ませる離島の現実 http://jbpress.ismed[...] 2018-08-30
[98] 뉴스 台湾なのに…人民元が流通、中国旗はためく島 https://www.asahi.co[...] 2019-08-21
[99] 뉴스 台湾の離島・金門県「一国二制度」の導入を提議―台湾金門県 https://www.recordch[...] 2018-08-18
[100] 뉴스 大陸委、親中姿勢の金門県副県長を批判/台湾 https://web.archive.[...] 2018-08-18
[101] 뉴스 台湾、中国に金門島への水・電力供給を要望 https://www.nikkei.c[...] 2018-08-18
[102] 뉴스 中台間に送水管開設 金門島、民意取り込み https://www.sankei.c[...] 2018-08-18
[103] 문서 民主党沖縄ビジョン2008 https://www.dpj.or.j[...] 民主党
[104] 문서 일본 류큐 제도(오키나와현) 특별행정구 운동
[105] 서적 https://web.archive.[...] 2010-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