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순 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순 최씨는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낸 최세기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최세기가 화순의 옛 지명인 오산군에 봉해진 것을 계기로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상계가 실전되어 최언을 기세조로 하고, 최윤의를 기세조로 하는 계통도 있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했으며, 주요 인물로는 최중홍, 최영경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38,604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 최씨 - 호란
    호란은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과 심리학을 전공하고 2004년 클래지콰이 멤버로 데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음주운전 사고와 학교 폭력 관련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다.
  • 화순 최씨 - 최병렬 (정치인)
    최병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2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을 지냈으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후 정계를 은퇴, 2022년 별세했다.
화순 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和順崔氏
관향전라남도 화순군
시조
이름최세기(崔世基)
중시조
이름최언(崔堰), 최윤의(崔允儀)
집성촌
주요 인물
통계
년도2015년
인구38,604명

2. 역사

화순 최씨(和順崔氏)는 전라남도 화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화순은 전라남도 중앙에 위치하며, 원래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고, 고려 초에 화순(和順)으로 바뀌어 나주에 속했다가 후에 능성에 편입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1407년(태종 7) 복순(福順), 1416년(태종 16) 순성(順城)으로 불리다가, 1611년(광해군 3) 화순현이 설치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화순군, 1896년에 전라남도 화순군이 되었다.

2. 1. 시조 및 본관

화순 최씨(和順崔氏)의 시조는 '''최세기'''(崔世基)이다.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그가 화순의 옛 이름인 오산(烏山)군에 봉해짐으로써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최세기와 같이 몽골군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최부'''(崔傅)를 함께 시조로 삼기도 한다.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만호산(萬湖山)에 시조묘가 있다.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서북면도감판관(西北面都監判官)을 지낸 '''최언'''(崔堰)을 기세조(起世祖)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는데,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최윤의'''(崔允儀)를 기세조로 삼는 계통도 있다.

2. 2. 분파

최언의 5세손에 이르러 감찰공(監察公) 최덕윤(崔德潤), 밀양공(密陽公) 최자해(崔自海), 부정공(副正公) 최자하(崔自河), 문정공(文貞公) 최자강(崔自江), 대사성(大司成) 최자빈(崔自濱)의 5형제파가 분파되었으며, 그 후 시정공파(寺正公派), 유수공파(留守公派),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첨사공파(僉使公派), 지평공파(持平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로 분파되었다.

  • 감찰공파(監察公派) - 최덕윤(崔德潤)
  • * 시정공파(寺正公派) - 최윤공
  • 밀양공파(密陽公派) - 최자해(崔自海)
  • * 유수공파(留守公派) - 최한원
  • 부정공파(副正公派) - 최자하(崔自河)
  •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최사로
  • 문정공파(文貞公派) - 최자강(崔自江)
  • * 도사공파(都事公派) - 최한공
  • * 승지공파(承旨公派) - 최한후
  • * 첨사공파(僉使公派) - 최한백
  • * 지평공파(持平公派) - 최한번
  • * 진사공파(進士公派) - 최한남

3. 주요 인물


  • 최계신 - 고려 때 봉상대부를 지냈다.
  • 최영호 - 고려 충렬왕 때 좌우위 보승산원(左右衛 保勝散員)을 지냈다.
  • 최영유 - 고려 공민왕 때 해주목사를 지냈다.
  • 최중홍 - 조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 최영경 - 조선의 저명한 성리학자로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다.

3. 1. 고려


  • 최계신: 고려 때 봉상대부를 지냈다.
  • 최영호: 고려 충렬왕 때 좌우위 보승산원(左右衛 保勝散員)을 지냈다.
  • 최영유: 고려 공민왕 때 해주목사를 지냈다.

3. 2. 조선

화순 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
최국진최사로최석규최선복최세준
최우최원로최일최자빈최주하
최중연최중홍최한공최한량최한보
최한원최한정최한후최호최홍제
최후



무과
최겸제최경달최경신최계증최기운
최대익최동규최두원최보신최봉혁
최상문최상형최영수최유림최유숙
최의규최이순최익해최일성최종원
최종일최중식최징최채순최태양
최흥신



진사시
최강주최경최굉최봉거최봉의
최세준최완최용하최우최운정
최의최일최주하최중순최중심
최중홍최찬최한보최호최홍렬



생원시
최강우최건최경천최대복최덕무
최산립최상렴최세준최순최영
최영석최우최유선최이설최일
최제안최중연최중청최지최항구
최홍익최홍제최희남



의과
최제빈



음관
최국진최달수최석근
최진화최치신


  • 최중홍 - 조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 최영경 - 조선 성리학자로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다.

3. 3. 과거 급제자

화순 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



무과



진사시



생원시



의과
최제빈(崔悌贇)



음관


4. 항렬자

화순 최씨 항렬표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
재(在)태(泰)경(炅)석(錫)광(桄)기(基)영(永)훈(燻)명(銘)


5. 집성촌

지역비고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유곡리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계천리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봉곡리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양각리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면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도남리, 봉암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
황해도 재령군 재령면 한천리
평안북도 의주군 고진면 향교동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
경기도 평택시


6. 인구

연도인구
2000년31,173명
2015년38,604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