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금심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36년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에서 1등으로 데뷔하여, 〈알뜰한 당신〉, 〈울산 큰애기〉, 〈삼다도 소식〉 등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인기를 얻었다. 빅타레코드에서 활동하며 고복수와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으며, 한국 전쟁 중 남편의 납치 및 사업 실패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70년대까지 4천여 곡을 발표하며 활동했다. 1996년부터 파킨슨병으로 투병하다가 2001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어린이 가수 - 남인수
남인수는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하며 '애수의 소야곡', '낙화유수',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가요 황제"라 불린 대한민국의 가수로, 넓은 음역과 풍부한 감정 표현으로 한국 대중가요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친일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제강점기의 어린이 가수 - 이난영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가수 이난영은 〈목포의 눈물〉로 큰 인기를 얻어 당대 최고의 여가수가 되었고, 저고리 시스터즈 멤버로 활동했으며, 김해송과 결혼 후 김시스터즈를 결성하여 미국 무대에 진출시키는 등 후진 양성에도 기여했다.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김해송
김해송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활동하며 '재즈의 귀재'로 불린 작곡가, 가수, 지휘자로, 수많은 히트곡을 작곡하고 KPK악극단을 결성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친일 행적과 한국 전쟁 중 납북으로 사망한 사실로 논란이 된 인물이며, 가수 이난영의 남편이자 김시스터즈와 김브라더즈의 아버지이다. - 부산광역시 출신 가수 - 아린
아린(본명 최예원)은 오마이걸 및 오마이걸 반하나의 서브보컬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뮤직뱅크 MC, 웹 드라마 《소녀의 세계》 주인공, 드라마 《환혼》 시리즈와 영화 《도시괴담》 등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출신 가수 - 채정안
채정안은 1995년 모델로 데뷔하여 1999년 가수로 데뷔 후 배우로 활동하며 다양한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 MBC 연기대상 PD상, 에이판 스타 어워즈 여자 조연상,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우수연기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황금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21년 12월 10일 |
출생지 | 경상남도 동래군 |
사망일 | 2001년 7월 30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종교 | 천주교(세례명 : 마리아) |
음악 활동 | |
장르 | 트로트 |
활동 시기 | 1936년 ~ 1960년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고복수 |
자녀 | 딸 3명, 아들 3명 |
첫째 아들 | 고영준 |
둘째 아들 | 고영민 |
둘째 며느리 | 손현희 |
셋째 아들 | 고병준 |
손자 | 디테 |
2. 생애
경상남도 동래군(東萊) 출생이나 어릴 때 경성부(京城府)로 이주해 자랐다. 1936년 15세의 나이에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모집에서 1등으로 입상하면서 가수로 데뷔하게 되었다. 그해 오케레코드사에서 발표한 〈왜 못 오시나요〉와 〈지는 석양 어이 하리오〉가 데뷔곡이다.
이후 작사가 이부풍의 소개로 빅타레코드로 옮겨 1938년 〈알뜰한 당신〉과 〈한양은 천리원정〉을 발표했는데, 이 음반이 대히트를 기록하면서 일약 인기 가수가 되었다. 〈알뜰한 당신〉은 이후로도 널리 불리면서 황금심의 대표곡으로 남아 있다. 이때 오케레코드사와 분쟁이 일어나 법정으로 가는 소동도 있었다.
황금심은 꾀꼬리처럼 고운 목소리로 '꾀꼬리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민요조의 구성진 창법은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일제 강점기에 남긴 히트곡으로는 리면상 작곡의 신민요인 〈울산 큰애기〉와 블루스곡 〈외로운 가로등〉을 비롯하여 〈마음의 항구〉, 〈알려주세요〉, 〈청치마 홍치마〉, 〈꿈꾸는 시절〉, 〈여창에 기대어〉, 〈만포선 천리 길〉, 〈날 다려가소〉, 〈한 많은 추풍령〉, 〈추억의 탱고〉 등이 있다.
이후 김용환이 조직한 빅타레코드 소속의 반도악극좌에서 활동하다가 〈타향살이〉의 가수 고복수와 만나 결혼했다. 이 사이에는 3남2녀가 출생했으며, 한국 전쟁으로 고복수가 납치되었다가 탈출하는 시련 속에 1952년 취입한 제주도를 소재로 한 노래 〈삼다도 소식〉이 히트하여 다시 인기를 이어갔다.
그러나 고복수의 사업이 계속 실패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에 시달리게 되었으며, 고복수가 이 사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고혈압과 식도염으로 투병하다가 세상을 떠났고, 이 때문에 황금심도 생계를 위해 영화와 드라마 주제가를 부르면서 많은 분량의 노래를 취입하게 되었다. 선우일선의 노래를 재취입한 〈대한팔경〉, 신민요 〈뽕따러 가세〉, 라디오 드라마 주제곡 〈장희빈〉, 영화 주제곡 〈피리 불던 모녀고개〉 등이 유명하다. 이렇게 1970년대까지 발표한 곡 수는 4천여 곡에 이른다.
당대의 스타 커플이었던 황금심과 고복수의 자녀들은 음악인이 되어 음악 가정을 이루었다. 맏아들은 트로트 가수 고영준, 둘째 아들은 가톨릭 복음가수 고영민, 둘째 며느리는 대학가요제 출신의 가수 손현희, 셋째 아들은 작곡가 고병준이다. 1996년부터 노환으로 인한 파킨슨병으로 힘든 투병생활을 하다 2001년 7월 30일 향년 80세로 세상을 떠났다.
2. 1. 어린 시절과 데뷔
황금심은 경상남도 동래군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경성부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1936년, 15세의 나이로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모집에서 1등으로 입상하며 가요계에 데뷔했다. 데뷔곡은 〈왜 못 오시나요〉와 〈지는 석양 어이 하리오〉이다.2. 2. 빅타레코드 이적과 전성기
이부풍의 소개로 빅타레코드로 이적한 황금심은 1938년 〈알뜰한 당신〉과 〈한양은 천리원정〉을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알뜰한 당신〉은 황금심의 대표곡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오케레코드사와 법적 분쟁을 겪기도 했다. '꾀꼬리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맑고 고운 목소리와 민요조의 창법은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일제 강점기 동안 리면상 작곡의 신민요인 〈울산 큰애기〉와 블루스곡 〈외로운 가로등〉을 비롯하여 〈마음의 항구〉, 〈알려주세요〉, 〈청치마 홍치마〉, 〈꿈꾸는 시절〉, 〈여창에 기대어〉, 〈만포선 천리 길〉, 〈날 다려가소〉, 〈한 많은 추풍령〉, 〈추억의 탱고〉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히트시켰다.2. 3. 결혼과 광복 이후
빅타레코드 소속의 반도악극좌에서 활동하던 중, 〈타향살이〉의 가수 고복수와 만나 결혼했다. 3남 2녀를 두었으며, 한국 전쟁으로 고복수가 납치되었다가 탈출하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1952년 제주도를 소재로 한 노래 〈삼다도 소식〉이 히트하여 다시 인기를 이어갔다.2. 4. 말년과 사망
고복수의 사업 실패와 사망으로 황금심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영화와 드라마 주제가를 비롯한 많은 곡을 취입했다. 〈대한팔경〉, 〈뽕따러 가세〉, 〈장희빈〉, 〈피리 불던 모녀고개〉 등이 이 시기에 발표된 대표적인 곡들이다. 1970년대까지 발표한 곡 수는 4천여 곡에 달한다. 1996년부터 파킨슨병으로 투병 생활을 하다가 2001년 7월 30일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3. 가족 관계
배우자는 고복수(1911년 ~ 1972년)이다. 장남은 고영준(1958년 ~ )이고, 차남은 고영민(195? ~ )이다. 며느리는 손현희(1962년 ~ )이다. 삼남은 고병준(1962년 ~ 2005년 1월 1일)이다.
3. 1. 자녀 및 가족
배우자는 고복수(1911년 ~ 1972년)이다. 장남은 고영준(1958년 ~ )이고, 차남은 고영민(195? ~ )이다. 며느리는 손현희(1962년 ~ )이다. 삼남은 고병준(1962년 ~ 2005년 1월 1일)이다.4. 학력
경성 덕수소학교 (현 서울덕수초등학교)를 졸업했다.
5. 소속
상록회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