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트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 일본 대중음악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한국 대중음악 장르이다. 초기에는 유행가로 불리다가 1960~70년대에 '트로트'라는 명칭이 정립되었다. 2박자 리듬과 특유의 창법인 '꺾기'가 특징이며, 사랑, 이별,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주제로 한 가사가 주를 이룬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 사회와 함께 성장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2000년대 이후 장윤정, 박상철, 박현빈 등의 등장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최근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를 얻으며 K-pop과의 융합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트로트 | |
---|---|
장르 | |
음악 장르 | 한국 대중음악 |
어원 | |
어원 | 영어 단어 '폭스트로트'에서 유래 |
스타일적 기원 | |
스타일적 기원 | 한국 민요 엔카 류코카 블루스 재즈 유럽 대중 민속 음악 |
문화적 기원 | |
문화적 기원 | 한국의 일제강점기 |
파생 장르 | |
파생 장르 | K-pop |
하위 장르 | |
하위 장르 | 올드 트로트 전통 트로트 엘레지 트로트 국악 트로트 발라드 트로트 록 트로트 세미 트로트 뽕짝 |
한국어 이름 | |
한글 | 트로트 |
로마자 표기 | teurote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ŭrot'ŭ |
북한 이름 | |
이름 | 계몽기 가요 |
한글 | 계몽기 가요 |
한자 | 啓蒙期 歌謠 |
로마자 표기 | gyemonggi gay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yemonggi kayo |
2. 역사
트로트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형성되기 시작했다.[97] 당시에는 "트로트"라는 장르명 대신 "유행가"나 "가요"로 불렸으며, 1960~70년대에 들어서야 "트로트"라는 장르명이 확립되었다.[112]
사회학자 고바야시 다카유키는 트로트가 일본에서 전해진 대중음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지적했다.[97] 엔카의 시조로 여겨지는 고가 마사오가 한국 민요의 요소를 일본 엔카에 도입했다는 주장도 제기되며,[98] 이는 트로트가 한일 양국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는 주장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
1945년 광복 이후, 왜색 가요에 대한 비판 속에서도 현인의 '신라의 달밤'(1947) 등이 히트하며 트로트는 명맥을 이어갔다. 1950년 한국 전쟁 전후로는 전쟁의 아픔을 담은 노래들이 유행했다. 1957년에는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가 데뷔했다.
1959년 이미자 데뷔 이후, 1960년대에는 최희준, 김상희 등 고학력 출신 가수들이 등장했다. 1967년 남진의 '가슴 아프게'가 히트하고, 나훈아가 데뷔하면서 이들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트로트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970년대에는 남진과 나훈아가 가요계를 주름잡았으며, 1975년 송대관의 '해뜰날', 1976년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히트했다.
1970년대 말 조용필은 '미워 미워 미워', '일편단심 민들레야' 등의 트로트 가요를 히트시켰다. 1980년대에는 김수희, 심수봉, 주현미 등 여성 트로트 가수들이 대거 등장했다.[78][79][80] 1980년대 후반은 트로트의 최고 전성기였다. 현철, 태진아, 송대관, 설운도 등 트로트 4대 천왕이 등장하여 트로트 음악의 부활을 주도했다.[108]
1990년대 초,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 현철은 트로트 사국시대를 열었다. 배일호는 '신토불이'를 불러 한국산 농산물 홍보에 기여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록,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의 인기로 트로트는 침체기를 겪었다. 김혜연은 세미 트로트로 젊은 층을 확보하며 신세대 트로트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1990년대 이후, K-POP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트로트는 중장년층 전용 음악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졌지만, 트로트 4대 천왕은 여전히 트로트의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2004년 장윤정의 '어머나', 2005년 박상철의 '무조건',[101] 2006년 박현빈의 '곤드레만드레' 히트 이후,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등장했다. 2019년부터 TV조선에서 방송된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은 트로트 부활에 크게 기여했다.[105][106] 최근 트로트는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를 얻으며 부활하고 있다.
2. 1. 일제강점기 (1910년대~1945년)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에서, 트로트는 일제강점기에 형성되기 시작했다.[111] 초기에는 윤심덕의 '사의 찬미'(1926)를 비롯해, 이정숙의 '낙화유수'(1927), 채규엽의 '봄노래 부르자'(1930) 등이 대표적인 노래였다.[111]일본 엔카의 영향을 받아 1930년대 중반에 트로트가 대중가요 양식으로 정착했다.[112] '라시도미파'의 단조 5음계나 '도레미솔라'의 장조 5음계를 '라'의 비중을 높여 사용하는 특징은 일본의 영향이었다.[112] 이 시기 트로트는 신민요와 함께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의 양대 산맥이었지만, '유행가', '유행소곡' 등으로 불렸고, '트로트'라는 명칭은 1960년대 중반에 정착했다.[112]
1930년대 중후반에는 음반 산업과 라디오 방송이 발전하면서 트로트가 대중화되었다.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1935), 남인수의 '애수의 소야곡', 황금심의 '알뜰한 당신', 김정구의 '눈물 젖은 두만강' 등이 대표적인 노래였다.
이애리수는 1932년에 '황성의한국어 跡한국어'(황성의 적)으로 조선어판 레코드 첫 대히트를 기록했다.
트로트의 기원을 한국 전통 시가(시가한국어)에서 찾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시적, 서정적 측면에만 관련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설명에 불과하다.[20] 일부에서는 트로트가 한국 민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한국 전통 음악의 리듬 구조가 트로트의 고정된 2박자와 다르더라도 트로트의 발성 억양과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에는 박향림이 부른 '오빠는 풍각쟁이'와 같은 만요(만요한국어)라는 새로운 현대 음악 스타일이 등장했다.
1940년 이전에는 트로트에서 단조와 5음 음계가 우세했지만, 이후에는 장조가 더 자주 사용되었다.[11]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어두운 분위기 속에서도 '나그네 설움'(1940), '찔레꽃'(1942) 등이 발매되었고, 이러한 노래들은 트로트 장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40]
다음은 일제강점기 주요 트로트 가수와 대표곡이다.
가수 | 출생-사망 | 주요 활동 및 대표곡 | ||||||||||||||||||||||||||||||||||||||||||||||||||||||||||||||||||||||||||||||||||||||||||||||||||||||||||||||||||||||||||||||||||||||||||||||||||||||||||||||||||||||||||||||||||||||||||||||||||||||||||||||||||||||||||||||||||||||||||||||||||||||||||||||||||||||||||||||||||||||||||||||||||||||||||||||||||||||||||||||||||||||||||||||||||||||||||||||||||
---|---|---|---|---|---|---|---|---|---|---|---|---|---|---|---|---|---|---|---|---|---|---|---|---|---|---|---|---|---|---|---|---|---|---|---|---|---|---|---|---|---|---|---|---|---|---|---|---|---|---|---|---|---|---|---|---|---|---|---|---|---|---|---|---|---|---|---|---|---|---|---|---|---|---|---|---|---|---|---|---|---|---|---|---|---|---|---|---|---|---|---|---|---|---|---|---|---|---|---|---|---|---|---|---|---|---|---|---|---|---|---|---|---|---|---|---|---|---|---|---|---|---|---|---|---|---|---|---|---|---|---|---|---|---|---|---|---|---|---|---|---|---|---|---|---|---|---|---|---|---|---|---|---|---|---|---|---|---|---|---|---|---|---|---|---|---|---|---|---|---|---|---|---|---|---|---|---|---|---|---|---|---|---|---|---|---|---|---|---|---|---|---|---|---|---|---|---|---|---|---|---|---|---|---|---|---|---|---|---|---|---|---|---|---|---|---|---|---|---|---|---|---|---|---|---|---|---|---|---|---|---|---|---|---|---|---|---|---|---|---|---|---|---|---|---|---|---|---|---|---|---|---|---|---|---|---|---|---|---|---|---|---|---|---|---|---|---|---|---|---|---|---|---|---|---|---|---|---|---|---|---|---|---|---|---|---|---|---|---|---|---|---|---|---|---|---|---|---|---|---|---|---|---|---|---|---|---|---|---|---|---|---|---|---|---|---|---|---|---|---|---|---|---|---|---|---|---|---|---|---|---|---|---|---|---|---|---|---|---|---|---|---|---|---|---|---|---|---|---|---|---|---|---|---|---|---|
이애리수 | 1932년 황성의 적 (개성을 배경으로 한 노래) | |||||||||||||||||||||||||||||||||||||||||||||||||||||||||||||||||||||||||||||||||||||||||||||||||||||||||||||||||||||||||||||||||||||||||||||||||||||||||||||||||||||||||||||||||||||||||||||||||||||||||||||||||||||||||||||||||||||||||||||||||||||||||||||||||||||||||||||||||||||||||||||||||||||||||||||||||||||||||||||||||||||||||||||||||||||||||||||||||||
채규엽 | 1932년 일본 유행가를 번안한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등 | |||||||||||||||||||||||||||||||||||||||||||||||||||||||||||||||||||||||||||||||||||||||||||||||||||||||||||||||||||||||||||||||||||||||||||||||||||||||||||||||||||||||||||||||||||||||||||||||||||||||||||||||||||||||||||||||||||||||||||||||||||||||||||||||||||||||||||||||||||||||||||||||||||||||||||||||||||||||||||||||||||||||||||||||||||||||||||||||||||
이난영 | 1916년 (목포시) 출생 1965년 사망 | 1935년 목포의 눈물 대히트, 1940년 울어라 문풍지, 목포는 항구다 히트 | ||||||||||||||||||||||||||||||||||||||||||||||||||||||||||||||||||||||||||||||||||||||||||||||||||||||||||||||||||||||||||||||||||||||||||||||||||||||||||||||||||||||||||||||||||||||||||||||||||||||||||||||||||||||||||||||||||||||||||||||||||||||||||||||||||||||||||||||||||||||||||||||||||||||||||||||||||||||||||||||||||||||||||||||||||||||||||||||||||
고복수 | 1911년 출생 1972년 사망 | 1934년 타향살이한국어 데뷔 및 대히트 | ||||||||||||||||||||||||||||||||||||||||||||||||||||||||||||||||||||||||||||||||||||||||||||||||||||||||||||||||||||||||||||||||||||||||||||||||||||||||||||||||||||||||||||||||||||||||||||||||||||||||||||||||||||||||||||||||||||||||||||||||||||||||||||||||||||||||||||||||||||||||||||||||||||||||||||||||||||||||||||||||||||||||||||||||||||||||||||||||||
이화자 | 1938년 콜만테 목동, 1940년 화류춘몽 히트 | |||||||||||||||||||||||||||||||||||||||||||||||||||||||||||||||||||||||||||||||||||||||||||||||||||||||||||||||||||||||||||||||||||||||||||||||||||||||||||||||||||||||||||||||||||||||||||||||||||||||||||||||||||||||||||||||||||||||||||||||||||||||||||||||||||||||||||||||||||||||||||||||||||||||||||||||||||||||||||||||||||||||||||||||||||||||||||||||||||
남인수 | 1938년 애수의한국어 소야곡, 1940년 울고 간 부산항 대히트 | |||||||||||||||||||||||||||||||||||||||||||||||||||||||||||||||||||||||||||||||||||||||||||||||||||||||||||||||||||||||||||||||||||||||||||||||||||||||||||||||||||||||||||||||||||||||||||||||||||||||||||||||||||||||||||||||||||||||||||||||||||||||||||||||||||||||||||||||||||||||||||||||||||||||||||||||||||||||||||||||||||||||||||||||||||||||||||||||||||
황금심 | 1921년 출생 2001년 사망 | 1938년 그리운 당신 데뷔 | ||||||||||||||||||||||||||||||||||||||||||||||||||||||||||||||||||||||||||||||||||||||||||||||||||||||||||||||||||||||||||||||||||||||||||||||||||||||||||||||||||||||||||||||||||||||||||||||||||||||||||||||||||||||||||||||||||||||||||||||||||||||||||||||||||||||||||||||||||||||||||||||||||||||||||||||||||||||||||||||||||||||||||||||||||||||||||||||||||
장세정 | 1921년 출생 2003년 사망 | 1937년 연락선은한국어 떠난다한국어 대히트 | ||||||||||||||||||||||||||||||||||||||||||||||||||||||||||||||||||||||||||||||||||||||||||||||||||||||||||||||||||||||||||||||||||||||||||||||||||||||||||||||||||||||||||||||||||||||||||||||||||||||||||||||||||||||||||||||||||||||||||||||||||||||||||||||||||||||||||||||||||||||||||||||||||||||||||||||||||||||||||||||||||||||||||||||||||||||||||||||||||
김정구 | 1916년 (원산시) 출생 1998년 사망 | 1938년 눈물 젖은한국어 두만강 발표 | ||||||||||||||||||||||||||||||||||||||||||||||||||||||||||||||||||||||||||||||||||||||||||||||||||||||||||||||||||||||||||||||||||||||||||||||||||||||||||||||||||||||||||||||||||||||||||||||||||||||||||||||||||||||||||||||||||||||||||||||||||||||||||||||||||||||||||||||||||||||||||||||||||||||||||||||||||||||||||||||||||||||||||||||||||||||||||||||||||
백년설 | 1915년 출생 1980년 사망 | 1940년 나그네 설움한국어 대히트 | ||||||||||||||||||||||||||||||||||||||||||||||||||||||||||||||||||||||||||||||||||||||||||||||||||||||||||||||||||||||||||||||||||||||||||||||||||||||||||||||||||||||||||||||||||||||||||||||||||||||||||||||||||||||||||||||||||||||||||||||||||||||||||||||||||||||||||||||||||||||||||||||||||||||||||||||||||||||||||||||||||||||||||||||||||||||||||||||||||
진방남 | 1917년 출생 | 1940년 '불효자{{lang|ko|} | }는 웁니다한국어' 히트, 이후 작사가로 전향
발표년도 | 곡명 | 가수 |
---|---|---|
2000 | 정열의 꽃 | 김수희 |
2000 | 둥지 | 남진 |
2000 | 러브레터 | 주현미 |
2000 | 사랑은 아무나 하나 | 태진아 |
2000 | 혼자사는 여자 | 이혜리 |
2000 | 외로운 여자 | 조승구 |
2001 | 저 하늘 별을 찾아 | 유지나 |
2001 | 친구에서 애인으로 | 현숙 |
2001 | 잘났어 정말 | 태진아 |
2001 | 있을 때 잘해 | 오승근 |
2001 | 당신 때문에 | 배일호 |
2001 | 자옥아 | 박상철 |
2002 | 사랑은 장난이 아니야 | 태진아 |
2002 | 사랑의 포로 | 오은주 |
2002 | 오빠는 잘 있단다 | 현숙 |
2002 | 아미새 | 현철 |
2002 | 꽃보다 아름다운 너 | 배일호 |
2003 | 떠날 수 없는 당신 | 김상배 |
2003 | 유행가 | 송대관 |
2003 | 빠이빠이야 | 소명 |
2003 | 너는 내 남자 | 한혜진 |
2003 | 사랑의 밧줄 | 김용임 |
2004 | 유리구두 | 김혜연 |
2004 | 춤추는 탬버린 | 현숙 |
2004 | 사는 동안 | 이태호 |
2004 | 춘자야 | 설운도 |
2004 | 어머나 | 장윤정 |
2004 | 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 | 하동진 |
2005 | 짠짜라 | 장윤정 |
2005 | 고장난 벽시계 | 나훈아 |
2005 | 우연히 | 우연이 |
2005 | 자기야 | 박주희 |
2005 | 무조건 | 박상철 |
2006 | 어허라 사랑 | 주현미 |
2006 | 만약에 | 조항조 |
2006 | 별난 사람 | 최유나 |
2006 | 아줌마 | 태진아 |
2006 | 이따, 이따요 | 장윤정 |
2006 | 곤드레 만드레 | 박현빈 |
2007 | 사랑에 한표 던진다 | 현숙 |
2007 | 쓰러집니다 | 서주경 |
2007 | 소문난 사랑 | 김혜연 |
2007 | 황진이 | 박상철 |
2007 | 오빠만 믿어 | 박현빈 |
2007 | 깍쟁이 | 백수정 |
2008 | 사랑한다 | 주현미, 조PD |
2008 | 참아주세요 | 김혜연 |
2008 | 그대는 내사랑 | 현숙 |
2008 | 샤방샤방 | 박현빈 |
2008 | 안동역에서 | 진성 |
2008 | 잠자는 공주 | 신유 |
2008 | 시계바늘 | 신유 |
2008 | 천년지기 | 유진표 |
2009 | 딱이야 | 성진우 |
2009 | 짜라자짜 | 주현미, 서현 |
2009 | 거짓말 | 조항조 |
2009 | 사랑의 배터리 | 홍진영 |
2009 | 잡지마 | 문연주 |
2009 | 고추 | 유지나 |
2009 | 일편단심 | 금잔디 |
발표년도 | 곡명 | 가수 |
---|---|---|
2010 | 신 사랑 고개 | 금잔디 |
2010 | 초혼 | 장윤정 |
2010 | 정기적금 | 김다나 |
2010 | 얼쑤 | 윙크 |
2010 | 뿐이고 | 박구윤 |
2010 | 마지막은 나와 함께 | 김혜연 |
2010 | 당신만 | 우연이 |
2011 | 바로 내 남자 | 백수정 |
2011 | 여백 | 주현미 |
2011 | 언니가 간다 | 연지후 |
2011 | 추억속으로 | 설운도 |
2011 | 딩동댕 정답입니다 | 정다비 |
2011 | 꽃물 | 신유 |
2012 | 오라버니 | 금잔디 |
2012 | 남자의 인생 | 홍원빈 |
2012 | 미워도 미워도 | 최유나 |
2012 |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 소명 |
2012 | 내 나이가 어때서 | 오승근 |
2013 | 왔구나 왔어 | 장윤정 |
2013 | 아모르 파티 | 김연자 |
2013 | 이봐요 | 문희옥 |
2013 | 몰랐네 | 우연이 |
2013 | 남자는 말합니다 | 장민호 |
2014 | 일소일소 일노일노 | 신유 |
2014 | 청풍명월 | 금잔디 |
2014 | 빈깡통 | 박상철 |
2014 | 산다는 건 | 홍진영 |
2014 | 사랑 꽃 | 조항조 |
2014 | 천태만상 | 윤수현 |
2014 | 돼지토끼 | 장윤정 |
2015 | 나무꾼 | 박구윤 |
2015 | 인생팁 | 현숙 |
2015 | 진진자라 | 태진아 |
2015 | 반창고 | 장윤정 |
2016 | 엄지 척 | 홍진영 |
2016 | 누나가 딱이야 | 영탁 |
2016 | 그 남자 | 우연이 |
2017 | 쏟아집니다 | 김가현 |
2017 | 거기까지만 | 송가인 |
2017 | 이별없는 부산정거장 | 현숙 |
2018 | 건배송 | 윤태화 |
2018 | 여기서 | 서지오 |
2018 | 잘가라 | 홍진영 |
2018 | 니가 왜 거기서 나와 | 영탁 |
2019 | 사랑탑 | 금잔디 |
2019 | 김치볶음밥 | 현숙 |
2019 | 목포행 완행열차 | 장윤정 |
2019 | 세월아 | 장윤정 |
2019 | 사랑, 참 | 장윤정 |
2019 | 주마등 | 윤태화 |
2019 | 손가락 하트 | 노지훈 |
2019 | 쏠까 말까 | 윤태화 |
2019 | 무명배우 | 송가인 |
2019 | 타요타요 | 윤태화 |
2019 | 라밤바 | 정미애 |
2019 | 여기요 | 홍자 |
-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20년대:
6. 논쟁
트로트는 그 기원과 관련하여 '일본풍' 논쟁과 '뽕짝' 명칭 논쟁 등 여러 논쟁이 존재한다. 이러한 논쟁들은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보여준다.
6. 1. '일본풍' 검열
과거 일본 식민 통치에 대한 적대적인 감정으로 인해 정부는 일본의 유산을 배척했고, 이는 문화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엔카의 영향을 받은 듯한 트로트 노래들은 '왜색'(倭色|왜색일본어)이라는 멸칭으로 불리며 검열 대상이 되었다. 관습적인 도덕률을 위반하는 노래들은 '퇴폐 가요'(頹廢歌謠|퇴폐 가요한국어)라고 불렸다.[23]1965년 방송사들은 '왜색' 노래를 방송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이에 가수협회가 격렬하게 항의했다. 1968년 '예술 문화 윤리 위원회'(오늘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전신)는 108곡을 금지했고, 이후 더 많은 곡들이 금지되었다. 금지 이유는 주로 '음란, 저속, 퇴폐적, 왜색적'이었다.[24] 이미자의 "동백 아가씨"는 1965년과 1968년 모두 금지 목록에 포함되었다. 이미자는 "당시 검열에 대해 비난을 받았던 박정희 대통령은 그 노래가 금지된 것을 몰랐고, 만찬에서 불러달라고 요청했다"고 회상했다.[25]
이러한 검열은 1970년대에 절정에 달했으며, '어쿠스틱 기타 가수'들의 노래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동백 아가씨" 등 금지곡은 1987년에 해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검열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2010년대의 반일 좌파는 '왜색' 트로트 노래가 배척되었던 것처럼, 친일 음악가들이 작곡한 학교 노래를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 2. 뽕짝 논쟁
1980년대에 대한민국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었던[26][27] '뽕짝 논쟁'은 트로트 음악의 기원이 일본 음악인지, 아니면 한국 음악인지에 대한 논쟁이었다.[28] 이 논쟁은 "뽕짝, 과연 누구의 것인가?"라는 도발적인 제목의 기사로 촉발되었다.트로트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되었고, 창가에도 일본 노래의 영향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한국적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한국 정체성 문제는 일본의 문화 탄압 정책[29]으로 인해 한국인들이 엔카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는 주장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반일 비평가들은 트로트를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유물로까지 폄하하기도 했다.[30]
그러나 다른 시각을 가진 음악가와 평론가들은 트로트가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는 이유로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식민지 피해자 의식에서 비롯된 무의미한 판단이라고 반박했다.[31] 이 논쟁은 1984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일간지 ''한국일보''에서 벌어졌다.[32] 어느 쪽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트로트 음악의 기원을 논할 때 이 논쟁은 여전히 존재한다.
7. 정치적 활용
대한민국 정부는 트로트 음악을 대북 선전 도구로 활용하였다.[89] 2010년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나훈아, 장윤정, 박현빈 등 184곡이 넘는 트로트 노래가 북한 군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FM 라디오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되었다.
참조
[1]
서적
K-Pop: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Young singers are hot to 'trot'
http://koreajoongang[...]
2015-02-02
[3]
뉴스
"[북한 문화 산책] 2. 북에도 '뽕짝'은 있다"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00-11-10
[4]
뉴스
"[김문성의 盤세기]분단의 최대 희생곡 '조선팔경가'… 남북 정치 현실 따라 가사 난도질"
https://www.donga.co[...]
The Dong-a Ilbo
2018-04-27
[5]
간행물
"So-called People music in North Korea"
http://hri.co.kr/upl[...]
2001
[6]
웹사이트
Music in North Korea
http://nkinfo.unikor[...]
Unification Ministry
[7]
뉴스
"[클로즈업 북한]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래…'계몽기 가요'"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11-12
[8]
문서
"Trot"
http://encykorea.aks[...]
2013
[9]
웹사이트
Oxford Grove Music Online
https://www.oxfordmu[...]
[10]
간행물
"The Continuation and Variation of K-pop Musical Styles"
https://kiss.kstudy.[...]
2016
[11]
간행물
"Extension of Trot in 1940-1950 years"
http://s-space.snu.a[...]
2015
[12]
서적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Boston
2012
[13]
간행물
"Text analysis of writing style in Korean popular music"
2015
[14]
Youtube
Ju Hyeon-mi channel
https://www.youtube.[...]
[15]
서적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
Routledge
2016-08
[16]
학위논문
"Studies on Changa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Korea"
http://www.riss.kr/s[...]
1990
[17]
학술지
Regulating and Negotiating in T'urot'u, a Korean Popular Song Style
2006
[18]
학위논문
The Poli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Popular Song Style T'ŭrot'ŭ
http://repositor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4-05
[19]
학술지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 With a Focus on 1945-1950"
https://kiss.kstudy.[...]
2015-06
[20]
문서
"Siga"
http://encykorea.aks[...]
1995
[21]
학술지
"Industrial Folksong and the Popular Music in Modern Era"
http://s-space.snu.a[...]
2014-12
[22]
학술발표
"Inherit of traditional music"
http://congress.aks.[...]
2006-10
[23]
학술지
"Controversy about Korean Trot"
https://www.kci.go.k[...]
2008
[24]
학술지
"Study about music control of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http://mrc.hanyang.a[...]
2008-10
[25]
간행물
"Forbidden songs"
http://www.archives.[...]
2015
[26]
서적
"On the Mimetic Faculty: A Critical Study of the 1984 Ppongtchak Debate and Post-Colonial Mimesis"
Folkestone, Kent: Global Oriental
2006
[27]
학술지
"Self and Others in the Studies of Korean Popular Music: a Case Study of T'ŭrot'ŭ"
http://www.ksasa.org[...]
2013-10
[28]
잡지기사
누가 뽕짝을 우리 것이라 하는가?
1984-11
[29]
서적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in Colonial Korea, 1910-1945"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9
[30]
신문기사
"Ppongjjak is oddments of age"
1984-11-29
[31]
신문기사
"There are many contradictions when judging songs as forbidden"
1984-12-13
[32]
기타
Debate participants
[33]
웹사이트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ttps://chf.or.kr/c2[...]
[34]
웹사이트
Korean Records Archives
http://www.sparchive[...]
[35]
문서
ja:多梅稚
[36]
간행물
"The Revolutionary Song of N. Korea and Japanese Songs"
[37]
간행물
"Channelling Desires and Rebuilding Sensibilities Modern Desires of Japanese Colonial Era Represented in Comic Songs of the 1930s"
http://cms.ewha.ac.k[...]
[38]
웹사이트
Korean Records Archives
http://www.sparchive[...]
[39]
논문
A study on the traditionalism of "trot" – Focused on Yi Nanyǒng's "Tears of Mokp'o"
[40]
웹사이트
The monumental trot songs and singers
http://www.kocca.kr/[...]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5-09-01
[41]
간행물
The Era of voice
https://www.much.go.[...]
2014-07
[42]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 Newsletter
http://theme.archive[...]
Summary of the broadcasts
[43]
웹사이트
AFN via internet
https://www.afnpacif[...]
[44]
웹사이트
History of AFKN
https://www.army.mil[...]
[45]
웹사이트
Tony's Web - Spring Days Are Passing (봄날은 간다) - The Old Song
http://www.tonysweb.[...]
2015-04-30
[46]
웹사이트
Detailed documentation and testimony of the 'US Army Shows'
http://www.newsmaker[...]
[47]
웹사이트
History of 8th United States Army
https://8tharmy.kore[...]
[48]
Youtube
Marilyn's performance
https://www.youtube.[...]
[49]
웹사이트
Presidential Archives
http://www.pa.go.kr/[...]
[50]
인터뷰
Interview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51]
웹사이트
About the details of US Army club
http://www.bpcf.or.k[...]
Bupyeong City Forum
[52]
간행물
Popular Music in the 1950s
http://ksoundlab.com[...]
2018-02
[53]
논문
"Character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youth popular music culture: focusing on popular music since 1970"
http://www.riss.kr/s[...]
[54]
웹사이트
Photo Gallery
https://flashbak.com[...]
the 8th US army club in the 1950s, taken by then US soldier Jack Tobin
[55]
서적
"Process and development of modern pop songs"
http://kiss.kstudy.c[...]
[56]
간행물
"The Exoticism of Korean Popular Music in the 1950s"
http://www.dbpia.co.[...]
2007-12
[57]
간행물
"Study of exotic elements of popular music in the 1950s"
http://kiss.kstudy.c[...]
2008-12
[58]
서적
"Changes of Korean pop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yrics"
2015-08
[59]
정보
"A Pastoral Song"
[60]
웹사이트
A Pastoral Song: 네이버 영어사전
https://endic.naver.[...]
2019-05-12
[61]
웹사이트
Bae Ho's biography (documented 2017) see Archives of Seoul Future Heritage
https://futureherita[...]
[62]
웹사이트
Digital collections
http://nlcollection.[...]
National Library of Korea
[63]
간행물
"A Comparative Voice Analysis between Original Singer and Mimic Singer in the Speech Signal Processing"
[64]
논문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65]
간행물
"Diffusion of television, wax and wane of community and family bond"
http://www.dbpia.co.[...]
2018-12
[66]
웹사이트
eFilm History
http://ehistory.go.k[...]
[67]
웹사이트
2018 MBC Song Festival
http://www.imbc.com/[...]
[68]
뉴스
Donga News reported the canceled festival
http://news.donga.co[...]
Donga News
2005-12-19
[69]
간행물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song' lyrics in the 1970-1980s - focused on hit songs of public TV 1970-80"
http://kiss.kstudy.c[...]
2012-02
[70]
웹사이트
The detailed rivalry story of both singers
http://newsmaker.or.[...]
[71]
뉴스
English Chosun Ilbo
http://english.chosu[...]
2019-03-21
[72]
웹사이트
가슴 아프게 (Heartbreakingly) – Nam Jin (남 진)
https://littleariel1[...]
2012-02-13
[73]
문서
서울서부지법 2006. 3. 17
http://www.law.go.kr[...]
[74]
간행물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theme.archive[...]
[75]
Youtube
釜山港へ帰
https://www.youtube.[...]
[76]
인터뷰
Interview
http://www.choyongpi[...]
2013-05-22
[77]
뉴스
Drug-shadow over the entertainment business
http://www.hankookil[...]
Hanguk Ilbo
2019-04-11
[78]
간행물
"Who is the Baby Boomer?", in: ''Monthly Labor Review'', Vol. 71, pp.5-9
https://www.kli.re.k[...]
2011-02
[79]
통계
Statistics Korea
http://kosis.kr/upsH[...]
2015
[80]
논문
"1970s Korean youth culture as cultural production layers", ''Research of Korean Studies'' Vol. 2, p. 172
http://cks.pccu.edu.[...]
2011-01
[81]
뉴스
DongA Ilbo
https://news.joins.c[...]
1985-04-24
[82]
인터뷰
KBS TV interview
http://md.kbs.co.kr/[...]
2014-09-24
[83]
인터뷰
Interview
http://www.koreadail[...]
JungAng Ilbo
2010-12-01
[84]
웹사이트
너무합니다 (Too Much) – Kim Soo Hee (김수희)
https://littleariel1[...]
2011-08-23
[85]
인터뷰
Interview
https://monthly.chos[...]
Monthly Chosun Magazine
2005-10
[86]
웹사이트
Gayo-mudae Home page
http://program.kbs.c[...]
[87]
웹사이트
세상은 요지경 신신애는 누구?, 나이 예순 한살, 김수희 권유로 가수 데뷔..KBS2 '가요톱10', MBC 코믹가요 대상
http://www.polinews.[...]
2019-01-26
[88]
웹사이트
"[장유정의 음악 정류장] [25] '세상은 요지경' 속이지만 '웃으며 살자'"
https://www.chosun.c[...]
2022-04-20
[89]
뉴스
Trot Music Is S.Korea's Best Propaganda Weapon
http://english.chosu[...]
The Chosunilbo
2010-12-30
[90]
뉴스
Will trot bring a breath of fresh air to K-pop?
https://news.koreahe[...]
2024-10-02
[91]
문서
[92]
웹사이트
韓国演歌「トロット」が熱い あどけない小学生までもが人生の悲哀を歌う:朝日新聞GLOBE+
https://globe.asahi.[...]
2022-05-03
[93]
웹사이트
트로트
http://encykorea.aks[...]
2022-05-20
[94]
웹사이트
【萬物相】『明日はミスター・トロット』-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E[...]
2019-05-12
[95]
웹사이트
ホン・ジニョン、「トロットの沈滞に意気消沈? 自信がある」
http://contents.inno[...]
[96]
뉴스
歌姫キム・ヨンジャの「超浮き沈み人生」(下) 再ブレーク呼び込んだ名曲「アモール・ファティ」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4-30
[97]
논문
日本の『エンカ』と韓国『トロット』の比較のための基礎的観点
2018
[98]
웹사이트
≪jpnews_co_kr≫ ˝지금 일본에 필요한건 돈이 아닌 정(情)˝
http://www.jpnews.kr[...]
2023-06-08
[99]
웹사이트
금기와 자율
https://theme.archiv[...]
韓国・国家記録院
[100]
뉴스
「オモナフォン」、東芝製端末……LGグループのMP3フォン新戦略
https://www.itmedia.[...]
ITmedia Mobile
2005-03-15
[101]
뉴스
韓国の〈トロット王子〉、パク・ヒョンビンが新曲発売イヴェントを開催
https://tower.jp/art[...]
タワーレコード
2012-06-28
[102]
뉴스
1집 '랏츠 오브 러브' 쇼케이스, 신곡 부족 아쉬워
https://www.mk.co.kr[...]
MK
2019-03-08
[103]
뉴스
"[‘트로트 엑스’ 화제의 3인방]① 30년 무명 가수 나미애의 꽃밭"
http://lady.khan.co.[...]
レディー京郷
2014-07
[104]
뉴스
트로트 샛별 조정민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14-12-30
[105]
뉴스
"'미스트롯' 시청률 14.4% 또 신기록…TV조선 프라임타임 수도권 시청률 모든 지상파 제치고 1위"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19-04-25
[106]
뉴스
視聴率:『ミスター・トロット』32.7%、自己最高更新
http://ekr.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エンタメコリア
2020-02-28
[107]
웹사이트
2020年ブレーク!韓国音楽界を賑わせている「トロット」って?
https://www.konest.c[...]
KONEST NOW!ソウル
2020-08-12
[108]
뉴스
전통가요? 뽕짝?… '성인가요', 새 이름을 찾아주세요
http://www.newdaily.[...]
newdaily
2019-04-30
[109]
서적
K-Pop: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0]
웹인용
트로트중에 가사가 너무 저질 극혐인 노래
https://www.82cook.c[...]
2023-05-20
[111]
웹인용
대중가요(大衆歌謠)
http://encykorea.aks[...]
2022-05-22
[112]
웹인용
트로트
http://encykorea.aks[...]
2022-05-25
[113]
간행물
‘엔카’와 한국 ‘트로트’ 비교를 위한 기초적 관점
[114]
웹사이트
금기와 자율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115]
뉴스
〈박성서의 7080가요 X파일〉佛 샹송가수, 한국가요 부르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